KR940004238Y1 - 감광체드럼용 플랜지 - Google Patents

감광체드럼용 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238Y1
KR940004238Y1 KR2019940009343U KR19940009343U KR940004238Y1 KR 940004238 Y1 KR940004238 Y1 KR 940004238Y1 KR 2019940009343 U KR2019940009343 U KR 2019940009343U KR 19940009343 U KR19940009343 U KR 19940009343U KR 940004238 Y1 KR940004238 Y1 KR 940004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flange
drum
hol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쓰야 기따우라
마사루 오까모도
Original Assignee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8202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89732Y2/ja
Application filed by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40009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광체드럼용 플랜지
제1도는 본 고안의 감광체 드럼용 플랜지의 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의 동작설명을 위한 개략도.
제5도는 종래의 드럼용 플랜지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럼용플랜지 11 : 본체부
12 : 외벽부 13 : 접촉부
14 : 리브 15 : 지지부
16 : 관통구멍 16a : 단면이 타원형인 내측부분
16b : 단면이 원형인 외측부분 17 : 통형상부
20 : 감광체드럼 30 : 회전축
31 : 끝부분 40 : 드럼용플랜지
본 고안은 전자사진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감광체드럼 등의 드럼끝부분에 장착되는 플랜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서 그 회전축의 회전을 드럼에 전달하는 감광체드럼용 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사진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외주면에 감광층이 형성된 감광체드럼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다.
그 감광체드럼은 화상형성장치 본체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그 회전하는 사이에 외주면의 감광층 위에 화상이 형성된다.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감광체드럼은 통상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끝부분에 드럼용플랜지(40) 및 (50)이 각각 감광체드럼(20)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각 끝부분에 플랜지(40) 및 (50)이 장착된 감광체드럼(20)은 각 플랜지(40) 및 (50)과 일체로 회전된다.
각 플랜지(40) 및 (50)의 축심부에는 각각 관통구멍(41) 및 (51)이 형성되어 있고, 각 관통구멍(41) 및 (51)내에 회전축(30)의 각 끝부분이 통하게 끼워진다.
한쪽 플랜지(40)의 관통구멍(41)은 통상 단면이 아주 동그란 원형으로 되어 있고, 다른쪽 플랜지(50)의 관통구멍(51)은 단면이 긴구멍과 같은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회전축(30)의 각 끝부분은 플랜지(40) 및 (50)의 관통구멍(41) 및 (51)의 단면형상과 같은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고, 한쪽 플랜지(40)의 관통구멍(41)에 삽입관통되는 끝부분은 아주 동그란 원형인데 대하여 다른쪽 끝부분(31)은 플랜지(50)의 관통구멍(51)의 단면형상과 같은 단면형상이 되도록 각 측면부가 모떼기(chamfering)가 되어 있다.
모떼기가 된 회전축(30)의 끝부분이 플랜지(50)에 있어서의 타원형인 관통구멍(51)에 통하게 끼워지면, 그 회전축(30)의 회전은 그 끝부분(31)을 통해 프랜지(50)에 전달되고, 그 플랜지(50)이 회전축(30)과 일체로 회전하므로서 감광체드럼(20)이 회전축(30)과 일체로 회전한다.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감광체드럼(20)이 회전되는 사이에 그 외주면의 감광층에 잠상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잠상이 현상제에 의해 현상되어 화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감광체드럼(20)이 회전축(30)에 대해 편심상태로 되어 있으면, 그 감광체드럼(20)은 진동하면서 회전하고, 그 감광체드럼(20)위에 형성되는 잠상이 일그러진 상태가 되거나 감광체드럼(20)위의 잠상이 현상제에 의해 선명하게 현상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그 때문에 양호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감광체드럼(20)을 회전축(30)에 대해 동심원상으로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감광체드럼(20)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는 감광체드럼(20)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측정하는 일은 용이하지 않고, 또 감광체드럼(20)이 정상적으로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감광체드럼(20)을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통상은 감광체드럼(20)의 각 끝부분에 플랜지(40) 및 (50)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각 플랜지(40) 및 (50)을 지지해서 회전시켜 감광체드럼(20)의 진동을 측정하고 있다.
감광체드럼(20)의 회전시의 진동의 측정은 통상 다음과 같이 행해지고 있다.
각 플랜지(40) 및 (50)의 관통구멍(41) 및 (51)에 원추형 회전핀을 각각 삽입해서 감광체드럼(20)을 각 회전핀에 의해 지지하고 각 회전핀을 회전시키므로서 각 플랜지(40) 및 (50)을 거쳐 감광체드럼(20)에 회전이 전달되어 그 감광체드럼(20)이 회전한다.
그리하여 감광체드럼(20)의 외주면의 각 끝부분에 있어서의 비화상형성 영역의 진동을 다이얼게이지(dial gauge)로 측정하므로서 감광체드럼(20)의 회전하는 상태에서의 진동이 측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감광체드럼(20)의 한쪽 끝부분에 장착되는 플랜지(50)의 관통구멍(51)은 그 플랜지(50)이 회전축(3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30)의 모떼기가 된 끝부분(31)의 단면형상에 꼭 맞는 단면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때문에 단면이 타원형인 그 관통구멍(51)에 원추형 회전핀을 삽입관통한 상태에서 그 회전핀을 회전시키면 플랜지(50)가 그 회전핀에 동심원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고, 플랜지(50)자체가 회전핀에 대해 진동할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감광체드럼(20)자체의 회전시의 진동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염려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드럼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축의 회전을 그 드럼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드럼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드럼자체의 회전시의 진동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감광체 드럼용 플랜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드럼용플랜지는 중심부에 회전축(30)이 통하게 끼워지는 관통구멍(16)을 갖고 있고, 감광체드럼(20)의 한끝부분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그 관통구멍(16)을 통하게 끼워지는 회전축(30)이 감광체드럼(20)과 동일축상태로 되어서 그 회전축(30)의 회전이 감광체드럼(20)에 전달되는 감광체드럼용플랜지(10)에 있어서, 그 관통구멍(16)은 드럼(20)장착시에 그 드럼(20)측에 위치하는 내측부분(16a)의 단면이 타원형이고, 다른쪽 외측부분(16b)의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해서 이루어지고, 그것에 의해 상기한 목적이 달성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드럼용 플랜지(10)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감광체드럼(20)의 한쪽 끝부분에 밀어 넣어서 사용된다.
그 드럼용플랜지(10)는 합성수지에 의해 원판상으로 성형된 본체부(11)를 갖고 있다.
그 본체부(11)의 외주측면 부분에는 감광체드럼(20)에 장착될때에 그 감광체드럼(20)내에 밀어 넣어지도록 한쪽측면쪽에 돌출한 외벽부(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외벽부(12)의 앞쪽끝 외주면은 앞쪽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축소된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그 외벽부(12)의 외경은 감광체드럼(20)내에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 그 감광체드럼(20)의 내경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플랜지(10)의 본체부(11)에 있어서의 외벽부(12)의 돌출쪽과는 반대쪽 부분에는 바깥쪽 및 직경방향으로 돌출한 접촉부(13)가 그 외벽부(12)에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그 접촉부(13)에는 외벽부(12)가 감광체드럼(20)내에 밀어 넣어진 때에 그 감광체드럼(20)의 끝면이 맞닿아 있다.
플랜지(10)의 본체부(11)에 있어서의 외벽부(12)에 둘러싸인 끝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14)가 동심원상 및 방사상이 되도록 적당히 배치되어 있다.
또 그 끝면에는 외벽부(12)의 돌출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지지부(15)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지지부(15)에는 스테인리스 등의 도전성 금속제의 도전판(60)이 지지된다.
그 도전판(60)은 감광체드럼(20)의 내주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도전판(60)을 통해서 회전하는 감광체드럼(20)은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로 된다.
그 도전판(60)의 바깥둘레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걸림돌출부(61)이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감광체드럼(20)은 알루마이트 처리된 알루미늄 소재관의 외주면에 감광층이 형성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 알루미늄 소재관을 각 걸림돌출부(61)에 의해 홈 내어 알루미늄 소재관과 도전판(60)과를 전기적으로 접속상태로 한다.
플랜지(10)의 본체부(11)에 있어서의 접촉부(13)가 배치된 쪽의 끝면에는 축심부에 통형상부(17)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 통형상부(17)의 축심부 및 본체부(11)의 축심부에는 관통구멍(16)이 통하게 끼워져 있다.
그 관통구멍(16)은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 측면부인 본체부(11)를 통하게 끼워지는 내측 부분(16a)은 단면이 긴구멍과 같은 타원형으로 되어 있고, 다른쪽 측면부인 통형상부(17)은 통하게 끼워지는 외측부분(16b)는 단면이 아주 동그란 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럼용플랜지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감광체드럼(20)의 한쪽 끝부분에 외벽부(12)가 밀어 넣어져서 그 감광체드럼(20)과는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 감광체드럼(20)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종래의 플랜지와 같은 회전축(30)의 단면이 아주 동그란 원형인 끝부분이 통하게 끼워지는 관통구멍(41)이 형성된 플랜지(40)가 장착된다.
이와같이 감광체드럼(20)의 각 끝부분에 플랜지(10) 및 (40)이 장착된 상태에서 그 감광체드럼(20)의 회전시의 진동측정, 바꿔말하면 각 플랜지(10) 및 (40)에 있어서의 관통구멍(16) 및 (41)과 감광체드럼(20)과의 동심도의 측정이 행해진다.
이 진동의 측정은 앞쪽 끝부분이 원추형인 한쌍의 회전핀(70) 및 (70)이 사용된다.
한쪽 회전핀(70)은 플랜지(10)의 관통구멍(16)에 있어서의 통형상부(17)의 축심부를 통하게 끼워지는 단면이 아주 동그란 원형인 외측부분(16b) 내에 삽입되고, 이 단면이 아주 동그란 원형인 외측부분(16b)의 구멍둘레에 밀착한 상태가 된다.
다른쪽 회전핀(70)은 다른쪽 플랜지(40)의 단면이 아주 동그란 원형인 관통구멍(41)내에 삽입되어 관통구멍(41)의 구멍둘레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각 회전핀(70)이 회전하면, 각 회전핀(70)의 앞쪽끝 부분의 원추형 부분이 각 플랜지(10) 및 (40)에 있어서의 단면이 아주 동그란 원형인 관통구멍(16) 및 (41)의 구멍둘레에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각 플랜지(10) 및 (40)은 각 회전핀(70)과는 동심원상태로 일체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각 플랜지(10) 및 (40)과는 일체가 된 감광체드럼(20)이 회전한다.
그리고 감광체드럼(20)의 각 끝부분 외주면에 있어서의 비화상형성영역에 다이알게이지(80)가 접촉되어 감광체드럼(29)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진동이 측정된다. 이와같이 해서 감광체드럼(20)과 그 감광체드럼(20)의 각 끝부분에 장착된 플랜지(10) 및 (40)의 각 관통구멍(16) 및 (41)의 동심원 상태가 확인된다.
그리고 그 동심원 상태가 확인된 감광체드럼(20)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전축(30)에 장착된다.
그 회전축(30)은 한쪽 끝부분(31)의 각 측면부가 모떼기한 상태로 되어 있고, 그 모떼기된 끝부분(31)으로 부터 플랜지(40)의 관통구멍(41)내에 삽입되어서, 그 회전축(30)의 끝부분(31)이 본 고안의 플랜지(10)의 관통구멍(16)에 있어서의 단면이 긴구멍과 같은 타원형의 내측부분(16a)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그 회전축(30)의 끝부분(31)은 관통구멍(16)에 있어서의 단면이 아주동그란 원형인 외측부분(16b)을 통하게 끼워져서 플랜지(10)의 바깥쪽으로 뻗어나가게 된다.
그 회전축(30)의 다른쪽 끝부분은 감광체드럼(20)에 장착된 플랜지(40)의 관통구멍(41)내에 위치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그 회전축(30)은 화상형성장치 본체내의 소정위치에 장착되고, 그 회전축(30)에 회전이 전달되므로서 감광체드럼(20)이 회전한다.
본 고안의 감광체 드럼용플랜지는 이와같이 축심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한쪽 측면부가 단면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고, 다른쪽 측면부가 단면이 아주 동그란 원형이 되어 있기 때문에 단면이 타원형인 내측부분에 회전축의 단면이 타원형인 외측부분이 끼워 맞춰져서 그 회전축과는 확실하게 일체로 회전한다.
또 단면이 아주 동그란 원형인 외측부분에는 원추형 회전핀이 동심원 상태로 확실하게 끼워 맞춰진다.
따라서 드럼의 각 끝부분에 플랜지를 장착한 상태에서 한쌍의 회전핀에 의해 각 플랜지를 각 회전핀과 동심원 상태로 회전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각 끝부분에 플랜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감광체드럼의 회전시의 진동을 정확히 측정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중심부에 회전축(30)에 통하게 끼워지는 관통구멍(16)을 갖고 있고, 감광체드럼(20)의 한끝부분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그 관통구멍(16)을 통하게 끼워지는 회전축(30)이 감광체드럼(20)과 동일축 상태로 되어서 그 회전축(30)의 회전이 감광체드럼(20)에 전달되는 감광체드럼용 플랜지(10)에 있어서, 그 관통구멍(16)은 드럼(20)장착시에 그 드럼(20)측에 위치하는 내측부분(16a)의 단면이 타원형이고, 다른쪽 외측부분(16b)의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드럼용플랜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6)의 단면이 원형인 외측부분(16b)에는 원추형 회전핀(70)의 끝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원추형 회전핀(7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랜지(10)에 회전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드럼용플랜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6)의 단면이 타원형인 내측부분(16a)에는, 그 타원형의 내측부분(16a)과 동일모양의 단면이 되도록 모떼기된 회전축(30)의 끝부분(31)이 꼭 들어맞는 상태로 통하게 끼워맞춰져서 그 회전축(30)의 회전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드럼용플랜지.
KR2019940009343U 1989-07-11 1994-04-29 감광체드럼용 플랜지 KR940004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343U KR940004238Y1 (ko) 1989-07-11 1994-04-29 감광체드럼용 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82022(??) 1989-07-11
JP1989082022U JPH089732Y2 (ja) 1989-07-11 1989-07-11 感光体ドラム
KR1019900010664A KR910003463A (ko) 1989-07-11 1990-07-11 드럼용 플랜지
KR2019940009343U KR940004238Y1 (ko) 1989-07-11 1994-04-29 감광체드럼용 플랜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664A Division KR910003463A (ko) 1989-07-11 1990-07-11 드럼용 플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238Y1 true KR940004238Y1 (ko) 1994-06-22

Family

ID=2730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343U KR940004238Y1 (ko) 1989-07-11 1994-04-29 감광체드럼용 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2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9732Y2 (ja) 感光体ドラム
US564022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ositioning device for a developing unit
JPH02304459A (ja) 電子写真プリンタのドラム駆動装置
WO2000016168A9 (en) Driving mechanism for photosensitive image bearing drum in electrophotographic machines
KR940004238Y1 (ko) 감광체드럼용 플랜지
JPH0414348B2 (ko)
KR900018641A (ko) 회전각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
JPH08328280A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の円筒状支持体
US6011942A (en) Cylindrical rotating member having a support mechanism exhibiting little unevenness in rota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320328B2 (ja) 電子写真装置
JPH08171310A (ja) 感光体ドラムの固定構造
KR930000483B1 (ko) 회전식 부호기
JPS602601Y2 (ja) 磁気ブラシ現像装置の位置決め装置
CN218037685U (zh) 驱动力接收件和显影盒
KR0156616B1 (ko) 자기 롤러 및 현상 장치
JP2005215311A (ja) 電子写真感光体
JPS6151313B2 (ko)
JP3210210B2 (ja) 現像装置
JPH0143726Y2 (ko)
CN211425727U (zh) 一种外转子电机扭矩测试装置
CN216956678U (zh) 显影盒
JPS6038631A (ja) トルク測定装置
SU5600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севой фиксации колеса на валу
KR920000084Y1 (ko) 복사기의 토너 잔량 검지장치
KR100360344B1 (ko) 밸런싱 머신의 회전체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