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462B1 - 건재용 결정화 유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재용 결정화 유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462B1
KR940003462B1 KR1019910017338A KR910017338A KR940003462B1 KR 940003462 B1 KR940003462 B1 KR 940003462B1 KR 1019910017338 A KR1019910017338 A KR 1019910017338A KR 910017338 A KR910017338 A KR 910017338A KR 940003462 B1 KR940003462 B1 KR 94000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ranular
crystallized glass
crystallized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926A (ko
Inventor
한기현
정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
석강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 석강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
Priority to KR101991001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462B1/ko
Publication of KR93000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재용 결정화 유리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 결정화 유리의 X선 회절 분석기에 의한 분석도.
제2도는 본 발명 결정화 유리의 파단면 결정구조의 1,000배 전자현미경 사진.
제3도는 본 발명 결정화 유리의 파단면 결정구조의 2,000배 전자현미경 사진.
본 발명은 β-월라스토나이트 결정이 혼재하고 청징성이 뛰어난 건축용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 외장재로 사용되는 천연 대리석이나 화강석은 그 외관이 미려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산출양과 산지가 한정되어 있고 화학적 내구성과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고 굴곡 및 곡면 가공이 어려운 결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상기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건축물의 내외장 건자재로 천연석 모양을 갖는 포스터라이트(FORSTERRITE)계 결정화유리, 휘석계 결정화유리, β-월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계 결정화유리 제조방법 등이 개발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특허공고 90-3139와 특허공개 89-9786에 나타난대로 주결정상인 β-월라스토나이트 결정과 디옵사이드(CaO MaO 2SiO2)로된 결정상과 유리상이 혼재된 결정화유리 제조방법이 개시 되어 있으나 디옵사이드 결정상을 만들기 위한 필수성분인 MgO로 인해 용융점이 높아지고 건재용 결정화유리의 중요한 문제라 할수 있는 천연석 모양의 결정화 유리 특유의 무늬 선명도가 떨어져 전반적으로 표면에 깊은 질감을 나타내지 못하고 제품의 조잡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상품가치가 매우 떨어지는 결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의 결정화유리의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 기존의 결정화 유리 혼합물중에 용융점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MgO및 상품성을 위해 청징제로 쓰이는 Sb2O3를 제거하고 불소화합물을 사용함으로서 유리의 청징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유리의 용융온도를 낮추어 용융능력을 확대함으로서 생산성을 증대하고 무늬가 선명한 결정화유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모유리로 사용되는 입상(粒狀)유리조성은 중량%로 SiO250-65%, CaO 15-25%, Al2O35-10%, ZnO 5-10%, BaO 3-6%, Na2O 1-3%, K2O 1-3%, B2O30.1-2%, F 0.1-1%의 조성이 되도록 혼합한 유리원료 혼합물을 전기저항로, 탱크로 및 도가니로에서 용융한 후 출탕과 동시에 냉각수를 흘려 수쇄하여 입자의 크기를 4-7mm가 되도록 입상유리를 제조한다.
이 입상유리를 이형제가 도포된 뮬라이트 혹은 SiC붕판에 적재 성형한 후 로울러 하스 소성로(ROLLER HEARTH KILN)혹은 셔틀 소성로(SHUTTLE KILN)로 상온에서 600℃에서 분당 10℃로 승온시키며, 900℃까지 분당 2.5℃로 승온시키고, 30분간 유지한 후 1100℃-1200℃까지 분당 1.5℃씩 재차 승온하여 유지시킨다. 다음 서서히 냉각하여 결정화 유리 판재 제품을 얻고 이를 연마 가동하므로서 완료되는 것이며 이같이 제조된 유리는 β-월라스토나이트 결정 무늬가 선명한 결정화된 상태를 띠게된다.
본원발명의 입상유리 조성에 있어서 SiO2성분이 50%이하이거나 65%이상에서는 결정화 유리제품이 얻어지기 곤란하며 또한 점성의 문제가 야기 되므로 SiO2의 성분은 50-65%로 함이 좋으며 CaO는 β-월라스토나이트 석출을 위한 필수성분으로 15%이하에서는 결정핵 발생이 억제되고 25%이상에서는 용융성이 저하되며 결정 형성시 크랙이 발생하므로 그 배합비를 15%-25%로 함이 적당하다.
Al2O3는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작용과 결정핵 형성을 제지하는 작용이 있으나 Al2O3가 5%이하가 되면 그러한 작용이 불충분하고 10%이상이면 다른 결정을 생산할 수 있고 용융성도 저하된다. 그래서 SiO2와 Al2O3의 투입량이 75%이상이 되면 유리의 용융성이 나빠지고 55%이하로 되면 유리의 내후성이 저하되므로 양성분의 투입량을 상호 조절하여야 한다. 또한 B2O3가 0.1%보다 적으면 유리의 용융성이 좋지않고 2%이상이면 결정화를 억제하게 된다. ZnO는 유리의 용융 특성과 내약품성 및 강도의 증가를 주는 특성이 있는데 5%이하에서 용융성 및 강도의 저하를 가져오고 10%이상에서 표면 광택의 저하와 유리의 분상이 발생하며 과도한 강도의 증가로 인해 결정화된 제품의 곡면 가공이 용이치 않다.
다음 용융특성을 갖는 Na2O, K2O, BaO는 소량을 사용하면 용융성이 나빠지고 과량을 사용할 경우 결정화물의 내후성이 저하된다. 그러나 K2O와 Na2O를 동시에 적량사용할 경우 좋은 내후성의 증진과 복합알카리효과로 전기저항로를 사용할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F의 첨가는 유리물의 용융성을 양호하게 하며 점도를 낮추어 청징효과를 부여하지만 과량을 사용하면 결정화 유리의 무늬가 소멸하고 유백화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일으킬 소지가 있음으로 그 사용량을 1.0%이하로 함이 적당하다.
또한 사용목적에 따라 특별한 색상을 원할경우 상기의 유리원료 혼합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2중량% 이하의 NiO, CoO, CuO, MnO, Fe2O3, Se등의 착색 금속산화물을 1, 2종 이하 첨가하여 배합하므로서, 상기 기술한 방법에 따라 열처리 및 연마 가공하여 다양한 색조의 결정화유리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결정화 유리의 표면에만 착색을 원할 경우에는 SiO250-65%, CaO 15-25%, Al2O35-10%, ZnO 5-10%, BaO 3-6%, Na2O 1-3%, K2O 1-3%, B2O30.1-2%, F 0.1-1.0%로 조합된 유리원료 혼합물을 용융로에서 용융한 후 수쇄하여 입상유리를 제조하고 금속산화물염 즉 NiCL2·6H2O, CuSOx5H2O, Cr(SOx)·18H2O, CoCl2·6H2O등과 같은 착화물을 수용액화하여, 이 형제를 도포한 붕판에 적재된 입상유리의 표면에 도포하거나 침적시켜 결정화 열처리하면 연마 가공후 표면무늬의 계면에는 다양한 색조를 띤 미려한 결정화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표 1의 조성에 맞도록 SiO2원으로 규석분, CaO원으로 경탄, Al2O3원으로 Na2O원으로 소다회, K2O원으로 탄산가리, F원으로 형석을 원료로 사용하여 전기저항로, 탱크로, 도가니에서 용융, 수쇄하여 입상유리를 제조하고 이 입상유리를 이형제가 도포된 붕판에 적재한다. 이 적재물을 열처리로에서 상온에서 600℃까지 분당10℃, 900℃까지 분당 2.5℃로 승온후 30분간 유지하고 1150℃까지 분당 1.5℃승온하고 60분간 유지 후 서냉하여 판상의 결정화 유리를 얻어 연마 및 절단하여 무늬가 선명한 결정화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4]
결정화 유리를 착색시키기 위하여 표 1의 실시예 2-4조성이 되도록 NiO나 CoO를 첨가시키고 도가니로에 용융 수쇄시켜 입상유리를 제조한후 이형제가 도포된 붕판에 적재하고 이를 실시예 1의 온도 조건으로 열처리하여 판상의 제품을 얻고 이를 연마, 절단한 결과 무늬가 선명한 결정화유리를 제조할수 있다.
[실시예 5-7]
표 2의 조성비로 조합된 배합물을 용융로에서 수쇄하여 입상유리를 제조하고, NiCl2O, CoCl2·6H2O, CuSOx·5H2O, Cr(SOx)·18H2O등으로 10% 금속산화물염 수용액을 만들어 붕판에 적재된 입상유리에 스프레이하거나 침전시킨 후 실시예 1의 온도 조건으로 열처리하여 판상의 제품을 얻고 이를 연마, 절단하므로서 계면의 무늬가 선명한 결정화 유리를 제조할수 있다.
[표 1]
[표 2]
표 1 내지 표 2의 제조된 조성으로 결정화유리는 아래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수한 물성을 지닌 건축용 결정화유리로서 β-월라스토나이트 결정이 혼재하면서 청징성이 우수해 선명한 무늬를 갖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표 3]
표 3의 곡강도 측정은 10×10×60mm시편을 3점 하중식 강도 측정계에서 측정하였고 내산 및 내알칼리시험은 1N H2SOx1N NaOH수용액에 10×50×50mm크기의 시편을 25℃에서 24시간 침전 후 주량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열팽창계수 측정은 동경공업주식회사 DILARONIC 모델 5024로 측정하였고 비커스경도는 SHIMADZU사의 모델 83295로 측정하였다.

Claims (4)

  1. 결정화유리의 조성 중량%로 SiO250-65%, CaO 15-25%, Al2O35-10%, ZnO 5-10%, BaO 3-6%, Na2O 1-3%, K2O 1-3%, B2O30.1-2%, F 0.1-1%의 조성이 되도록 혼합한 유리원료 혼합물을 전기저항로, 탱크로 및 도가니로에서 용융한 후 출탕과 동시에 냉각수를 흘려 수쇄하여 입자의 크기를 4-7mm가 되도록 입상유리를 제조하고 이 입상유리를 이형제가 도포된 뮬라이트 혹은 SiC붕판에 적재 성형한 후 로울러 하스 소성로(ROLLER HEARTH KILN)혹은 셔틀 소성로(SHUTTLE KILN)로 상온에서 600℃까지 분당 10℃로 승온시키며, 900℃까지 분당 2.5℃로 승온시키고, 30분간 유지한 후 1100℃-1200℃까지 분당 1.5℃씩 재차 승온하여 유지한 다음 서서히 냉각하여 결정화유리 판재 제품을 얻고 이를 연마 가공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β-월라스토나이트 결정 무늬가 선명한 건재용 결정화유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리원료 혼합물에 대해 NiO, CoO, Cr2O3, CuO, MnO, Fe2O3, Se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착색산화물 2중량% 이하를 추가로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유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유리원료 혼합물을 용융, 수쇄하여 얻어진 입상 유리를 NiCl2.6H2O, CuSOx.5H2O, Cr(SOx).18H2O, CoCl2.6H2O에서 선택된 1종의 금속산화물염 수용액에 침적한 후 붕판위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유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유리원료 혼합물을 용융, 수쇄하여 얻어진 입상 유리를 NiCl26H2O CuSOx5H2O Cr(SOx).18H2O CoCl2.6H2O에서 선택된 1종의 금속산화물염 수용액으로 스프레이한 후 붕판위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유리의 제조방법.
KR1019910017338A 1991-09-30 1991-09-30 건재용 결정화 유리 제조방법 KR94000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338A KR940003462B1 (ko) 1991-09-30 1991-09-30 건재용 결정화 유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7338A KR940003462B1 (ko) 1991-09-30 1991-09-30 건재용 결정화 유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926A KR930005926A (ko) 1993-04-20
KR940003462B1 true KR940003462B1 (ko) 1994-04-22

Family

ID=1932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338A KR940003462B1 (ko) 1991-09-30 1991-09-30 건재용 결정화 유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63B1 (ko) * 2006-10-31 2008-04-15 마규대 세라믹섬유를 이용한 조형유리 성형방법
KR102531729B1 (ko) * 2021-08-02 2023-05-12 세아상역 주식회사 전사 프레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926A (ko) 199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8681B (zh) 熔合形成及離子交換的玻璃陶瓷
US5352638A (en) Nickel aluminosilicate glass-ceramics
JP2691263B2 (ja) 透明結晶化ガラス
JP2008273826A (ja) 金属コロイド着色ガラスセラミック及び同ガラスセラミックへ変換可能な無色ガラス
JP2905529B2 (ja) ディオプサイド系天然大理石様結晶化ガラスの製造方法
JPS6049145B2 (ja) 結晶化ガラスの製造方法
US3761235A (en) Marble like glass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940003462B1 (ko) 건재용 결정화 유리 제조방법
US3964917A (en) Objects of marble-like glass ceramic
KR100385371B1 (ko) 천연대리석무늬를갖는건축재료용결정화유리및그제조방법
JP3269416B2 (ja) 結晶化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3094375B2 (ja) 天然大理石様結晶化ガラス及び天然大理石様結晶化ガラス製造用ガラス小体
JP3087262B2 (ja) 結晶化ガラス
KR900003139B1 (ko) 천연 대리석 무늬의 결정화 유리
JPS58199742A (ja) カルシウム・弗素金雲母ガラス−セラミツク
JP3173529B2 (ja) 黒色天然大理石様結晶化ガラス
CN110803868A (zh) 一种透辉石增强云母基可加工微晶玻璃及其制备方法
KR910009979B1 (ko) 천연대리석 무늬의 건축용 결정화 유리
JPS6287435A (ja) 天然石様結晶化ガラス物品
DE1471337B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rzellanartigen Gegenständen
JPS5817133B2 (ja) 半透明ガラス
JP2611546B2 (ja) 模様入り結晶化ガラス
JP4041546B2 (ja) 着色結晶化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JPH0692257B2 (ja) 輝石系結晶化ガラスの製造法
KR950004061B1 (ko) 천연대리석 모양의 결정화유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