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995B1 - 전류를 통하게 하는 조립 요소 - Google Patents

전류를 통하게 하는 조립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995B1
KR940002995B1 KR1019860700190A KR860700190A KR940002995B1 KR 940002995 B1 KR940002995 B1 KR 940002995B1 KR 1019860700190 A KR1019860700190 A KR 1019860700190A KR 860700190 A KR860700190 A KR 860700190A KR 940002995 B1 KR940002995 B1 KR 940002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ontact
coupling
assembly
stu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700316A (ko
Inventor
에릭 바흐
Original Assignee
레고 에이/에스
고트프레드 키르크 크리스티안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고 에이/에스, 고트프레드 키르크 크리스티안센 filed Critical 레고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86070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70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oys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류를 통하게 하는 조립 요소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종래의 조립 요소의 일부분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제3도는 전기 연결 수단이 마련된 종래의 조립 요소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4도는 조립 요소상의 다수의 결합 스터드에 걸쳐 전기 연결 수단이 분포된 조립 요소의 개략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 요소 상의 주 접촉 영역 위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 실시예에 의한 각각의 접촉 영역의 위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제7도는 주 접촉 영역의 위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8도는 제7도의 조립 요소의 저면도로서,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를 위한 부접촉 영역의 위치를 도시한다.
제9도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전류 통로를 위한 접촉 레일을 도시한다.
제10도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2전류 통로를 위한 접촉 레일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립 요소는 다수의 인접한 모듈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의 모듈 유니트는 모듈 유니트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돌출한 결합 스터드(stud)를 가져 결합 스터드의 상호간의 중심 대 중심 거리가 모듈 유니트 치수의 배수와 동일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조립 요소는 다수의 가능한 상호간의 각도 위치(angular position)에서 요소들을 기계적으로 함께- 결합하기 위하여 인접한 요소상의 결합 스터드들과 협동하도록 상호 보완적인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 요소는 인접 요소(조립 요소에 끼워질 동형의 다른 조립 요소)의 두개의 접촉 영역중 대응하는 하나의 접촉 영역과 전기 연결하도록 하나의 접촉 영역에 연결된 하나의 전류 통로와, 상기 하나의 전류 통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인접 요소의 두개의 접촉 영역중 다른 하나의 접촉 영역과 전기 연결하도록 다른 하나의 접촉 영역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전류 통로를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전류 통로"와 "다른 하나의 전류 통로"라는 용어, 그리고 후술하는 제1 및 제2영역이라는 용어는 조립 요소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두개의 전류 통로와 이들 통로를 구성하는 두개의 접촉 영역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스위스 특허 제455 606호에는 완구 조립 세트를 기재하고 있는 바, 상기 완구 조립 세트의 조립 블럭에는 조립 요소들을 함께 결합하였을 때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하여 전도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전도 영역은 단지 단극전류에 관한 것이나, 조립 블록에는 몇개의 전류 통로가 있을 수도 있으며,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이들 전류 통고간의 단락(short circuit)을 피해야 한다는 것이 원칙적으로 독일 공개 공보 제25 27 587호에서 주지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단락에 대한 안전과 다른 한편으로는 요소가 매우 신속하고 비용이 저렴한 방법으로 완전 자동으로 제조되도록 하는 접촉 영역의 위치를 제공하도록 전류 통로를 위한 접촉 영역이 위치되는 조립 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기적 접속을 위한 두개의 접촉 영역이 서로 가능한 각도 위치(angular position)에 대응하고 상호간의 각도 회전(angular rotation)에 관계없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두개의 각 섹터(angle sector)에 배치되며, 상기 두개의 접촉 영역이 서로 다른 각 섹터로 인접 중심축의 둘레에 배치됨으로써 달성된다. 각각의 조립 요소들에는 다수의 멀티플로그(multiplug) 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며, 각 멀티플러그 수단은 예컨대 원을 따라 균일하게 이격된 8개의 접촉 영역을 포함하여 이때 하나씩 걸르는 다른 접촉 점이 개 전류 통로중의 각각의 한 전류 통로와 연결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요소들이 상호 수직을 이루는 단지 4개의 위치에서만 연결될 수 있다면, 단락은 상기 구조에서 결코 발생할 수 없음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접촉 영역의 수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 적용하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멀티플러그 수단에 속한 접촉 점들을 조립 요소의 보다 넓은 구역에 걸쳐 분포시킴으로써 이러한 구역들은 2개 조립 요소를 결합할 때 달락의 위험없이 각각의 전류 통로끼리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하고 접촉 영역의 밀도를 상당히 감소시켜 조립 요소의 구조를 상당히 단순화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에 의한 기술적 효과는 각 섹터의 배분에 관한 특징과 모든 필요한 접촉 영역이 반드시 단일 중심축을 중심으로 위치되지는 않는다는 특징을 조합시킨 청구 범위 제1항의 특징부의 내용에 의하여 정확하게 얻어진다.
상기 접촉 영역의 분포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접촉 영역의 분포는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과적으로 후술하는 설명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조를 단순화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요소들은 4개의 가능한 상호 각 위치에서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이같은 상태에서 주 접촉 영역(primary contact area)들은 청구 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조립 요소는 청구 범위 제4항의 전단에 기재된 유형이며, 이 경우에 청구항 제4항의 후단에서 한정한 특징들을 채택하면 특히 편리하다. 양호하게는, 결합 스터드들은 원형 횡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요소 밑면의 상기 보완적인 결합 수단은 결합 튜브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설명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멀티플러그 수단의 모든 접촉 영역이 조립 요소에 포함될 필요는 없다. 청구 범위 제5항은 제조하기에 특히 값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주 접촉 영역이 청구 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치될 때 단 하나의 결합 경우의 수를 희생하면 부 접촉 영역(secondary contact area)의 위치 결정은 청구 범위 제6항에 따라 단순화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소의 구조는 하나 이상의 결합 경우의 수를 포기함으로써 단순화될 수 있으며, 이것은 결합 경우의 수가 많으므로 조립 요소의 사용시 결점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류 통로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소정 방향 또는 위치에서 조립 요소들이 결합될 수 없도록 조립 요소의 배열하는 것이 유리 할 수 있다. 이같은 이점은 예를 들면 청구 범위 제7항에 기재한 특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몇가지 실시예에 대한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보다 충분히 설명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조립 세트에서 대응 조립 요소들과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종래의 조립 요소의 형태를 도시한다. 즉, 조립 요소는 통상 상부면에는 결합 스터드(2)가 마련되고, 제2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는 중공 상자(hollow box, 1)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 튜브(3)은 조립 요소의 및 면상에 그리고 조립 요소의 공동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조립 요소들은 2개의 결합 튜브와, 조립 요소 측벽들 중의 한 측벽 사이에, 또는 하나의 결합 스터드와 조립 요소의 주 측벽들 사이에 결합 스터들들을 클랩핑함으로써 주지의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립 요소의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소정의 모듈 거리를 두고 조립 요소 상에 위치된 기계적 결합 수단을 구비하여 상호 변위 및 상호 각도 회전되는 여러 형태의 조립이 가능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조립 요소들과 관련하여도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결합 스터드는 반드시 조립 요소이 동일 측면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중요한 조건은 조립 요소가 제3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되고, 결합 스터드가 마련될 수 있는 다수의 모듈 유니트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제3도는 종래의 조립 요소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여기에서 상부면은 각각 결합 스터드를 가지고 있는 8개의 모듈 유니트를 포함한다. 결합 스터드들은, 조립 요소들이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인접 조립 요소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수단과 상호 작동되도록 공지의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두개의 전류 통로를 내장하는 유형의 조립 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조립 요소들에는 분리된 전류 통로들이 조립 요소들을 다양한 가능한 위치로 결합해도 단락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고 위치되는 접촉 영역들이 형성되어 있다. 단락에 대한 요구되는 안전성은 제3도에 도시한 각각의 결합 스터드 외면에(하나의 결합 스터드에만 도시된)8개의 접촉 영역(이하 주 접촉 영역이라 함)을 마련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조립 요소의 상부면 상의 접촉 영역을 주 접촉 영역이라 하고 조립 요소의 밑면에 있는 대응 접촉 영역을 부 접촉 영역이라 한다. 예를 들면, 상호 연결되는 하나의 접촉 영역(이하 제1영역이라 함) (예를 들어, 4,8, ; 6,10)은 조립 요소에 마련된 한족 전류 통로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상기 조립 요소들이 결합될 때에는 단락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3도의 조립 요소는 4개의 상호 각도 위치에서 다른 조립 요소들과 결합될 수 있는 유형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런, 실제로 조립 요소들은 여러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도 변위될 수 있으므로 스터드에는 접촉 영역을 가능한 많이 마련해야 한다. 실제로 모든 결합 스터드의 제1영역(4,8 ; 6,10)은 (제3도에서 2중선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어야 하고 또한 모든 결합 스터드이 제2영역(5,9 ; 7,11)은 (제3도에서 단일선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상호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촉 구역의 수가 너무 많아 사실상 제조에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조립 요소를 기계적으로 결함함에 있어서 적어도 2개, 통상적으로는 4개의 결합 스터드가 보통 관련된다는 사실과, 조합된 결합 스터드 그룹의 접촉 영역들이 제3도의 결합 스터드들 주 하나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영역들의 필요한 수를 표시한다면 접촉부의 수를 상당히 줄이더라도 접속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다. 접촉부는 조립 요소에 여러 방식으로 분포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양호한 실시예 몇가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에 의하면 접촉부는 조립 요소가 완전 자동식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도록 형상 및 위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4도는 8개의 결합 스터드를 구비한 조립 요소에 있어서 4개의 결합 스터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고 이런 결합 스터드 그룹을 두개 갖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설명에 관련하여, 제1영역(4,8 ; 6,10)은 상호 연결(2중선)되면서 하측 절반부에 있는 다른 결합 스터드 그룹의대응 (4',8' ; 6',10')과 연결되고 제2영역(5,9 ; 7,11)은 상호 연결(단일선)되면서 다른 결합 스터드의 그룹에 있는 대응 접촉 영역(5',9' ; 7',11')과 연결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된 주 접촉 영역의 위치 구조는 부 접촉 영역을 매우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편리하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된 주 접촉 영역의 분포는 부 접촉 영역의 분포와 대응하며, 이 경우 하나의 전류 통로는 제1영역의 주 접촉 영역(4,8 ; 6,10)과 조립 요소의 내측벽 상에 도포된 전도성 코팅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영역의 부 접촉 영역끼리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전류 통로는 제2영역의 주 접촉 영역(5,9 ; 7,11)과 결합 튜브(3) 같이 상호 보완적인 결합 수단의 외부 상에 도포된 전도성 코팅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영역의 부 접촉 영역끼리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조립 요소 내측벽의 제1전류 통로를 위한 전도성 내부 코팅으로 이루어지는 제1영역의 부 접촉 영역은 언제나 제1영역의 주 접촉 영역 중 하나(4,8 ; 6,10)과 접촉하고, 결합 튜브상의 제2전류 통로를 위한 외부 코팅으로 이루어지는 제2영역의 부 접촉 영역은 제2영역의 주 접촉 영역 중의 다른 하나(5,9 ; 7,11)과 접촉하게 된다. 제4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의 상세한 구조를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조립 요소가 완전 자동으로 생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전류 통로의 주 접촉 영역과 부 접촉 영역을, 그리고 제2전류 통로의 주 접촉 영역과 부 접촉 접촉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직접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주 접촉 영역의 두 전류 통로가 서로 교차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제5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피할 수 있다.
제5도에 있어서, 결합 스터드 그룹은 2개의 대향한 결합 스터드들을 포함하며, 접촉 영역의 위치는 제5도의 참조 부호를 제4도의 참조 부호와 비교함으로서 잘 이해할 수 있다.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4도에 도시된 제2영역의 주 접촉 영역 중 두개의 영역(7,9)가 생략되어 있고, 이 때문에 사용 빈도수가 낮은 몇가지 결합 경우의 수가 상실되지만, 요소의 실제적 형상은 상당히 단순해지는 점도 있다. 부 접촉 영역의 위치는 원칙적으로 제4도에 관련시켜 설명한 것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제5도에 도시된 요소의 저면도에 제6도에 나타나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접촉 영역의 전류 통로중 하나는 각 결합 튜브(3)을 전도성 코팅으로 피복함으로써 형성되며, 이 코팅은 중간 부재(13)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조립 요소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관련 결합 스터드 외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다리(14,15)와 접촉함으로써, 제5도에 도시된 각각의 전도성 접촉영역(11,5)와의 접촉을 제공한다. 상기 다리는 조립 요송 완전 자동식으로 장착되기 전에 성형된 금속편으로 할 수도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접촉 영역의 전류 통로 중 다른 하는 조립 요소 내측벽 상의 전도성 코팅(1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팅은 주 접촉 영역 중 대응하는 하나의 전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결합 스터드 외주의 각 부분을 따라 요소를 통하여 위로 연장된 몇개의 다리(17,18,19,20)과 접촉한다. 특히, 다리(17)은 주 접촉 영역의 접촉 영역(8)과 접촉하며, 반면에 다리(18,19,20)은 각각 주 접촉 영역의 접촉 영역(10,4,6)과 접촉한다. 다리(18,19,20)과 다른 결합 스터드의 대응되는 접촉 다리들은 급속 박판편(21)로 요소 내측벽의 전도성 코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요소 내측에 부착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두개의 전류 통로를 위하여 전류 전도 영역을 교차시킬 필요가 없음에 알 수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더욱 단순화시킨 실시예를 도시하며, 제9도 및 제10도는 제조하기가 매우 간단하고 조립 요수에 자동적으로 합체하는 대량 생산에 적합한 접촉 레일의 형상을 도시한다.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영역의 주 접촉 영역 중 하나의 접촉영역(8)의 생략되었다는 점만이 제5도에 도시된 주 접촉 영역의 구조와 다르게 되어 있다. 사실상 이것은 요소들이 서로의 길이 방향에 걸쳐 있고 전류 통로간에 접촉이 있는 위치로부터 상호 180°로 회전된다면, 제1전류 통로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게 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 연결의 경우의 수를 포기하면, 부 접촉 영역의 배치 구조를 상당히 단순화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하나의 전류 통로는 요소의 한쪽 내측벽을 따라서 전도성 레일을 제공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다른 하나의 전류 통로는 결합 튜브의 표면 절반에 전도성 코팅을 마련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제7도에 표시된 실시예의 저면도인 제8도에서 보다 분명히 나타나지만,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접촉 레일을 우선 고려함으로써 잘 이해될 수 있다.
제9도는 하나의 전류 통로를 위한 접촉 레일(40)을 도시하며, 상기 접촉 레일(40)은 단일 금속편으로부터 펀치 가공되어 굴곡되어 있다. 접촉 레일(40)은 평면부(22)와 평면부(22)의 수직인 4개의 플랩(flap,23)을 포함한다. 또한 플랩(23)에는, 그리고 플랩(23)간에, 즉 부 접촉 영역의 하나의 전류 통로와 인접 요소의 주 접촉 영역의 대응하는 전류 통로간에 소정의 탄성 이동이 마련될 수 있도록 리세스(25)를 둔다. 플랩(23)들이 조립 요소 내측면 상기 몇개의 돌출부(24)의 단부에서만 지지되게 하는 방법이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에 언급한 주 접촉 영역은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립 요소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결합 스터드 외면에 형성된 축방향 종홈을 따라서 끼워지는 상방으로 연장된 3개의 분리된 다리(26,27,28)이 형성되어, 결합시 접촉 다리의 외부 표면이 실질적으로 결합 스터드의 외주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한다. 다리는 중간에서 약간 굴곡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다리는 중간에서는 축방향 종홈의 바닥과 결하되지 않고 결합 스터드의 곡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한다. 접촉 레일(40)을 부착하기 위해, 접촉 레일(40)이 조립 요소 내부의 플라스틱 핀(도시 않음)을 수납하도록 구멍(30)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플라스틱 핀을 접촉 레일(40)을 장착한 후 열을 가함으로써 변형시켜 접촉 레일(40)을 고정할 수 있다.
제10도는 제9도의 접촉 레일(40)이 구성하는 전류 통로와는 다른 또 하나의 전류 통로를 구성하는 접촉레일(60)을 도시하면, 이 접촉 레일(60)도 단일 금속편으로부터 펀치 가공되어 굴곡된다. 이 접촉 레일(60)은 평면부(31)을 포함하며, 평면부는 그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3개의 반원형 벽(32)와 평면부(31)에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다수의 다리(33,34)와 접속된다. 다리(33,34)는 조립 요소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결합 스터드의 외면에 형성된 축방향 종홈 내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결합 스터드 상에 전도성 접촉 영역(11,5)를 각각 구성하도록 한다. 평면부(31)은 제9도의 접촉 레일(40)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촉 레일(60)을 조립 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플라스틱 핀(도시 않음)을 수용하는 다수의 구멍(35)를 가질 수도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작 하기가 매우 간단하고 합리적인데, 그 이유는 공지의 방식으로 조립 요소를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한 후 다리(26,27,28,33,34)와 반원형 벽(32)를 수납하기 위한 리세스를 마련하고 하나의 내측벽에 전술한 돌출부(24)를 형성하는 정도의 변경을 가하기만 하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물론, 제10도에 도시된 접촉 레일(60) 상의 다리(33,34)와 제9도에 관하여 설명한 다리(26,27;28)의 경우와 같이 중간에서 약간 굴곡시켜 결합 스터드 내의 장홈에서 탄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상기 모든 다리는 상단부를 약간 내측으로 굴곡시켜 다리가 조립 요소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제9도 및 제10도의 접촉 레일은 긴 웨브로부터 제조되고 소요 길이로 절단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 레일(40,60)은 조립 요소에 완전 자동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써 단락에 대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되는 요소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요소들이 서로의 길이 방향에서 180°회전된다면 전기적으로 접촉을 이룰 수 없다. 이같은 연결 위치는 (단락을 초래하기 때문이 아니라 전류 통로간에 전기 연결이 단되기 때문에) 피해야 하는데, 이를 사용자에게 지시하기 위하여 조립 요소는 몇가지 코드(code)돌출부를 가질 수도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의 상부면에는 각 결합 스터드상에 일렬로 돌출부(36,3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요소의 밑면에는 상호 보완적인 돌출부(38,39)는 돌출부(36,37)과 협동함으로써 전류 통로를 갖는 2개의 조립 요소가 코드 돌출부가 없는 다른 조립 요소하고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전기 연결이 성취되는 위치에서만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립 요소의 공동 내로 약간만 돌출되게 하면 된다.

Claims (7)

  1. 다수의 인접한 모듈 유니트로 구성되며, 요소들을 다수의 가능한 상호간의 각도 위치(angular position)에서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요소에 끼워질 인접 요소상의 대응 결합 스터드들과 협동하도록 하는 상호 보완적인 결합숟나과, 인접 요소의 대응하는 제1영역(4,8 ; 6,10)과 전기 연결하도록 제1영역(4,8 ; 6,10)에 연결된 하나의 전류 통보와, 상기 하나의 전류 통로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인접 요소의 대응하는 제2영역(5,9 ; 7,11)과 전기 연결하도록 제2영역(5,9 ; 7,11)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전류 통로를 포함하며, 일부의 모듈 유니틀는 모듈 유니트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돌출한 결합 스터드를 가져 결합 스터드의 상호간의 중심 대 중심 거리가 모듈 유니트 치수의 배수와 동일하도록 되어 있는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 영역(4,8 ; 6,10) 및 제2영역(5,9 ; 7,11)이 소정 각도 위치에 대응하는 상호간의 각도 회전(angular rotation)에 관계없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두개의 각 섹터에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각각 주 접촉 영역과 부 접촉 영역으로 나뉘어져, 상기 주 접촉 영역(26 내지 28,33,34)는 결합 스터드의 원통형 외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부 접촉 영역(23,32)는 상기 결합 스터드의 형성과 상호 보완적인 형상의 결합 수단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
  3. 제1항에 있어서, 요소들이 서로 직각 관계에 있는 4개의 위치에서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2개의 인접 중심축을 가진 결합 스터드로 구성되는 그룹들을 구비하며, 하나 및 다른 하나의 결합 스터드들의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주 접촉 영역 각각은 상기 중심축들을 중심으로 약 45°의 각도로 서로 회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2열의 결합 스터드가 요소의 상부면에 마련되고, 밑면에는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결합 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상호 보완적인 결합 수단은 요소의 내측벽과의 사이에 인접 요소 상의 결합 스터드를 클램핑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1영역의 부 접촉 영역(23)은 길이 방향의 측벽과 평행하게 요소의 밑면에 배치되고, 제2영역의 부 접촉 영역(32)는 상기 상호 보완적인 수단의 외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의 열의 결합 스터드에 3개의 분리된 전도 영역의 형태로 제1영역의 주 접촉 영역(4,6,10)이 독립적으로 마련되고, 전도 영역에 접하는 결합 스터드의 접선 방향은 조립 요소의 측면들과 평행하며, 다른 하나의 열의 결합 스터드에는 상기 하나의 열의 결합 스터드 상의 3개의 전도 영역들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전도 영역의 형태를 갖는 제2영역의 주접촉 영역(5,11)이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제1영역의 부 접촉 영역은 요소의 한쪽 내측벽을 따라 배치된 접촉 레일(40)을 포함하며, 제2영역의 부 접촉 영역은 상기 한쪽 내측벽과는 대향되어 격리되고 결합 튜브의 절반과 상호 연결된 접촉 레일(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소의 주 접촉 영역에 있는 코드 돌출부(36,37)과 부접촉 영역에 있는 코드 돌출부(38,39)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들은 소정 방향에서의 결합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세트용 조립 요소.
KR1019860700190A 1984-08-03 1985-08-02 전류를 통하게 하는 조립 요소 KR940002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3767/84 1984-08-03
DK376784A DK156244C (da) 1984-08-03 1984-08-03 Stroemfoerende byggeelement
DK3767 1984-08-03
PCT/DK1985/000073 WO1986001342A1 (en) 1984-08-03 1985-08-02 A current-carrying building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700316A KR860700316A (ko) 1986-08-01
KR940002995B1 true KR940002995B1 (ko) 1994-04-09

Family

ID=812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190A KR940002995B1 (ko) 1984-08-03 1985-08-02 전류를 통하게 하는 조립 요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743202A (ko)
EP (1) EP0193544B1 (ko)
JP (1) JPH06158B2 (ko)
KR (1) KR940002995B1 (ko)
AT (1) ATE41562T1 (ko)
AU (1) AU579888B2 (ko)
BR (1) BR8506861A (ko)
DE (1) DE3568914D1 (ko)
DK (1) DK156244C (ko)
ES (1) ES288861Y (ko)
WO (1) WO1986001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56503C (da) * 1984-08-03 1990-01-22 Lego As Stroemfoerende byggeelement
IN168303B (ko) * 1986-02-05 1991-03-09 Interlego Ag
US5167510A (en) * 1991-11-01 1992-12-01 General Signal Corporation Crosspoint switch module and matrix
US6129605A (en) * 1997-09-24 2000-10-10 Parvia Corporation Modular base units for a toy building set
US5951356A (en) * 1997-10-27 1999-09-14 Parvia Corporation Modular lattice substructure for a toy building set having columns and foundations
US5924905A (en) * 1997-09-24 1999-07-20 Parvia Corporation Modular terrain for a toy building set
US5947787A (en) * 1997-09-24 1999-09-07 Parvia Corporation Modular lattice substructure for a toy building set
US5993283A (en) * 1997-09-30 1999-11-30 Parvia Corporation Modular buildings for a toy building set
US6007401A (en) * 1997-10-03 1999-12-28 Parvia Corporation Optoelectric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guiding toy vehicles
US6102770A (en) * 1997-10-03 2000-08-15 Parvia Corporation Toy vehicular electromechanical guidance apparatus
US5865661A (en) * 1997-10-03 1999-02-02 Parvia Corporation Toy vehicular drive apparatus
US6012957A (en) * 1997-10-27 2000-01-11 Parvia Corporation Single beam optoelectric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 of toys
USD422035S (en) * 1998-12-11 2000-03-28 Parvia Corporation Toy lattice frame piece
US6443796B1 (en) * 2000-06-19 2002-09-03 Judith Ann Shackelford Smart blocks
US6805605B2 (en) * 2003-03-17 2004-10-19 Lynn E. Reining Electrically conductive block toy
DK200401612A (da) * 2004-10-20 2006-04-21 Lego As Legetöjsbyggesystem med funktionsklodser
US7846002B1 (en) 2005-05-06 2010-12-07 Mikesell Daniel G Lighted toy construction blocks
WO2007095082A2 (en) 2006-02-10 2007-08-23 Sternberg Aaron B Configurable manual controller
US8690631B2 (en) * 2008-09-12 2014-04-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oy building block with embedded integrated circuit
US8742814B2 (en) 2009-07-15 2014-06-03 Yehuda Binder Sequentially operated modules
US8602833B2 (en) 2009-08-06 2013-12-10 May Patents Ltd. Puzzle with conductive path
TW201226032A (en) * 2010-12-31 2012-07-01 Jia-Yan Lin Illuminating building block with electricity connection structure and power supply socket
US8991040B2 (en) 2011-06-17 2015-03-31 5eTek, LLC Reusable electronic circuit assembling and testing system and uses thereof
US11330714B2 (en) 2011-08-26 2022-05-10 Sphero, Inc.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019718B2 (en) 2011-08-26 2015-04-28 Littlebits Electronics Inc.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597607B2 (en) 2011-08-26 2017-03-21 Littlebits Electronics Inc.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8371894B1 (en) 2011-12-23 2013-02-12 LaRose Industries, LLC Illuminated toy construction kit
US20160296849A9 (en) * 2012-05-22 2016-10-13 Hasbro, Inc. Building Elements with Sonic Actuation
US20140349544A1 (en) * 2013-05-27 2014-11-27 Ta-Yi Chien Illuminable Building block
EP2818219A1 (en) * 2013-06-28 2014-12-31 Chia-Yen Lin Modularized contact type of conductive building block
CN105611975A (zh) * 2013-09-08 2016-05-25 博瑞克斯智能玩具有限公司 选择性导电玩具搭建元件
US8651913B1 (en) * 2013-09-11 2014-02-18 Chia-Yen Lin Modularized contact type of conductive building block
US9017132B2 (en) * 2013-09-11 2015-04-28 Chia-Yen Lin Simplified modularized contact type of conductive building block
CN203710704U (zh) * 2014-01-25 2014-07-16 杭州速泽电子科技有限公司 兼容型磁吸附式电子积木
US9817627B2 (en) 2014-08-04 2017-11-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US20170007938A1 (en) * 2015-02-13 2017-01-12 Playmonster, Llc Miniature Electronic Customizable Room Building Toy Components
CN104619117A (zh) * 2015-02-20 2015-05-13 王镇山 电路板和电路板间的磁性组合结构
CH711480A1 (de) * 2015-08-31 2017-03-15 Müller Stephan Kunststoff-Spielbaustein mit elektrischen Kontakten zur elektronischen Bestimmung seiner Lage im verbauten Zustand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11976483B2 (en) 2016-06-24 2024-05-07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post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306492B2 (en) * 2016-06-24 2022-04-19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Load bearing components and safety deck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DK179261B1 (da) * 2016-08-01 2018-03-12 Octavio Aps Legetøjsbyggeelement
US20190091596A1 (en) * 2017-09-26 2019-03-28 Elenco Electronics, Inc. Two-sided grid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s for a snap-together electronic toy set
US20190280421A1 (en) * 2018-03-07 2019-09-12 Xcelsis Corporation Configurable smart object system with grid or frame-based connectors
US11616844B2 (en) 2019-03-14 2023-03-28 Sphero, Inc. Modular electronic and digital building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7341A (en) * 1962-12-19 1966-03-01 Roger S Dybvig Base and stackable elements having cooperating electrical contact means
NL6615701A (ko) * 1966-01-11 1967-07-12
US3652976A (en) * 1970-12-21 1972-03-28 John Tymkewicz Thermocouple connector construction
US4340268A (en) * 1980-06-30 1982-07-2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neak current protector module
US4423465A (en) * 1981-09-30 1983-12-27 Teng Ching Weng Combination electronic circuit element with multidirectionally adjustable joints
ZA84690B (en) * 1983-02-14 1984-09-26 Interlego Ag Building blocks for construction models,especially toy building blocks
ZA84587B (en) * 1983-02-14 1984-09-26 Interlego Ag Building blocks for construction models,especially toy building blocks
US4589715A (en) * 1983-06-06 1986-05-2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kit
DK156503C (da) * 1984-08-03 1990-01-22 Lego As Stroemfoerende bygge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79888B2 (en) 1988-12-15
US4743202A (en) 1988-05-10
ES288861Y (es) 1987-01-16
AU4721585A (en) 1986-03-07
WO1986001342A1 (en) 1986-02-27
ES288861U (es) 1986-05-16
JPH06158B2 (ja) 1994-01-05
DK156244B (da) 1989-07-17
EP0193544A1 (en) 1986-09-10
DK376784D0 (da) 1984-08-03
KR860700316A (ko) 1986-08-01
DK156244C (da) 1989-12-04
BR8506861A (pt) 1986-09-23
JPS61502920A (ja) 1986-12-11
DE3568914D1 (en) 1989-04-20
ATE41562T1 (de) 1989-04-15
DK376784A (da) 1986-02-04
EP0193544B1 (en) 198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995B1 (ko) 전류를 통하게 하는 조립 요소
SU1637656A3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 строительных моделей, в особенности игрушечных типа "Конструктор"
KR940002996B1 (ko) 전류를 통하게 하는 요소
US4549158A (en) Inductance element
US3537061A (en) Telephone jack connector
JPH036830B2 (ko)
AU638740B2 (en) Connector block for injector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junction terminal for use with the same connector block
KR100883384B1 (ko)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US3519978A (en) Connector construction
JPH0294376A (ja) 電気コネクタ
US2724095A (en) Sub-miniature tube socket
US4671596A (en) Method of press-connecting multicore flat cable and electric connector for multicore flat cable
US3439313A (en) Supporting and contacting structure,especially for relays,constructed for mechanized and adjustment-free assembly thereof
KR100902755B1 (ko)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US4547030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KR890001470B1 (ko) 접편(接片)을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
JP2571806B2 (ja) 多極回転スイッチ
KR910005788Y1 (ko) 전선 결속용 콘넥터
US3434101A (en) Insulating support for electrical connectors
JPS6131464Y2 (ko)
KR920002765Y1 (ko) 병설회로차단기의 연동조작핸들장치
JPH0739148Y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S6320053Y2 (ko)
CN116453803A (zh) 磁性组件
JP3105228U (ja) 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