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717Y1 -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 - Google Patents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717Y1
KR940002717Y1 KR2019900017098U KR900017098U KR940002717Y1 KR 940002717 Y1 KR940002717 Y1 KR 940002717Y1 KR 2019900017098 U KR2019900017098 U KR 2019900017098U KR 900017098 U KR900017098 U KR 900017098U KR 940002717 Y1 KR940002717 Y1 KR 940002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bolt
cylindrical body
opening
lock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697U (ko
Inventor
도시오미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도시오미 하야시
박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오미 하야시, 박준욱 filed Critical 도시오미 하야시
Publication of KR9200096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6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7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Dow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
제 1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의 정면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화살선 A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걸게부재의 소판(素板)의 전개도이다.
제 4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별개 양태의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용 소판의 전개도이다.
제 5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별개 양태의 로크 볼트의 걸개부재의 정면도이다.
제 6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별개 양태의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의 측면도이다.
제 7 도는 종래의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나틈공법(NATN工法)등으로 턴넬을 굴삭할 때에 사용하는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나틈공법 등으로 턴넬을 굴삭하는 경우, 굴삭된 턴넬내부로부터 천정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다수의 구멍을 뚫고, 구멍속으로 로크 볼트를 삽입한 다음, 로크 볼트와 구멍 사이의 간격에 몰타르 등을 충전시켜, 삽입된 로크 볼트를 고정시키고 있다.
당해 공급에 있어서, 로크 볼트를 위를 향하는 구멍속에 삽입하는 경우, 로크 볼트가 구멍속으로부터 낙하하는 문제와 로크 볼트가 구멍속의 중심부에 고정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하려는 각종 로크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이하, 걸개부재라고 함)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소)58-134499호에는 슬리트가 있는 원통상 본체와 당해 원통상 본체의 한쪽 끝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선단이 방사상으로 넓어지는 복수개의 걸게편으로 이루어진 걸게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형상이 상기 형상과 거의 동일한, 제 7 도에 도시한 걸게부재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걸게부재(21)는 원통상 본체(22)에 형성된 슬리트(23)와 좌우 양단부(24, 25)의 중앙에 바깥쪽으로 팽출된 소정길이의 팽출부(26, 27)가 있으며, 또한 당해 팽출부(26, 27)의 중앙, 슬리트(23)를 형성하는 좌우 양변을 걸쳐서 형성된 원형구멍(28, 29)이 있는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30)은 원통상 본체(22)의 한쪽 끝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선단이 방사상으로 넓어지는 복수개의 걸개편이다.
이들 원통상 본체에 슬리트가 있는 걸게부재는 걸게편을 아래로 하여 외부 직경이 원통상 본체의 내부 직경보다 큰 로크 볼트에 슬리트를 가압 개방시켜 삽입시키고 고정위치까지 이동시킨 지점에서 슬리트를 가압 개방시킴으로써 로크 볼트에 끼워져서 사용되며 로크 볼트가 텐넬 속으로 뚤린 구멍으로 타설된 후에 걸게편이 구멍의 내주면을 파고들어 로크 볼트가 구멍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로크 볼트를 구멍내부중심부에 고정시키는 기능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원통상 본체에 슬리트가 있는 걸게부재에 있어서, 걸게부재를 로크 볼트에 끼우는 때의 걸게부재의 이동과 끼운 후의 위치 조정을 위한 걸게부재의 이동을 걸게부재의 슬리트를 원통상 본체의 탄력에 대항하여 가압 개방시켜 행하거나, 이동 작업시 걸게부재의 슬리트 좌우 양변이 거의 평행한 변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행한 변을 좌우 방향으로 가압 개방하기 위해 축용(軸用)스냅링 플라이어를 사용하는 등, 이러한 유형의 현장에서는 종래 그다지 사용되지 않았던 공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숙련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나빴다. 또한, 걸게부재의 로크 볼트로의 끼워넣기와 로크 볼트상에서의 이동 작업을 텐넬 속에서 행하는 경우는 긴 로크 볼트와 걸게부재를 개별적으로 운반하여 넣을 수 있으므로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반면, 어둡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역으로 턴넬 밖에서 수행하는 경우는 작업은 용이하게 되지만 걸게부재가 로크 볼트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운반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로크 볼트의 소망위치에사람의 힘으로 탈착할 수 있는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는, 개구부가 있는 원통상 본체와 당해 원통상 본체의 한쪽끝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선단이 방사상으로 넓어지는 복수개의 걸게편으로 이루어진 로크볼트의 걸게부재에 있어서, 원통상 본체의 개구부에 대항하는 부위에 소정 길이의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구성의 걸게부재는 로크 볼트의 걸개부재의 고정 위치에 걸게부재의 개구부를 맞추고 옆쪽으로부터 손 등으로 밀어넣어 장착하는 것이므로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긴 로크 볼트에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장착위치가 나쁜 경우에는 원통상 본체의 개구부에 대항하는 부위의 걸게편의 옆으로부터 들어올려서 로크 볼트로부터 떼어놓고 적절한 위치에 재장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약간 어두운 텐넬 속에서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걸게부재와 로브 볼트를 따로따로 턴넬속으로 운반하여 턴넬속의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더구나 원통상 본체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소정 길이의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당해 돌출부에 의해 탄력이 유지되고 로크 볼트에 대한 파지력이 증가하여 로크 볼트의 소정 위치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걸게부재의 원통상 본체의 개구부와 소정 길이의 돌출부 사이의 상하방향 중간부위에 안쪽방향 돌출부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쪽 방향 돌출부가 로크 볼트의 표면의 오목부에 들어가기 때문에 로크 볼트의 소정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게부재에 있어서, 원통상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간격을 원통상 본체의 내부 직경의 0.6내지 0.85배로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걸게부재의 로크 볼트에 효율적으로 장착된다. 만약 개구 간격이 원통상 본체의 내부 직경의 0.6배 미만이며, 개구 간격이 좁기 때문에 손으로 눌러넣기가 곤란하여 햄머등으로 확실하게 두들겨 넣어야만 하며, 또한 0.85배를 초과하면 손으로 용이하게 밀어넣을 수 있는 반면, 원통상 본체가 로크 볼트를 둘러싸는 양이 적어지며 탄력도 관계하여 위치에서 쉽게 벗어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근거로 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의 정면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의 화살선 A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1)은 걸게부재로서, 얇은 강판을 제 3 도에 도시한 전개 형상으로 펀칭하고 이것을 구부려 가공하여 제조한 것이다.
(2)는 원통상 본체로서, 당해 원통상 본체(2)의 개구부(3)의 좌우 양단부(4, 5)에는 바깥쪽에 반전가공된 칼날(6, 7)이, 또한 개구부(3)에 대향하는 부위(8)에는 팽출가공된 돌출부(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상 본체(2)의 하단에는 거의 같은 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된 3매의 동일 형상의 걸게편(10, 11, 12)이 있다.
상기 구성의 걸게부재(1)를 로크 볼트(1a; 제 1 도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함)에 밀어서 끼우기 위해서는 걸게부재(1)의 개구부(3)를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크 볼트(1a)에 밀어서 맞추고, 걸게부재(1)의 칼날(6, 7)을 안내로 하여 개구부(3)를 원통상 본체(2)의 탄력에 대항하여 좌우로 밀어열면서 로크 볼트(1a)에 밀어끼운다. 또한, 밀어끼운 위치가 부적절하여 위치를 변경시키는 경우에는, 개구부(3)에 대향하는 부위(8)쪽의 하단 〔걸게편(11)이 부착되어 있음〕쪽으로부터 사람의 힘 또는 드라이버 등으로 잡아당겨서 떨어뜨리고, 상기 요령으로 적절한 위치에 재장착할 수 있다.
또한, 원통상 본체(1)의 개구부(3)의 개구 간격(L)이 16㎜이고 원통상 본체(2)의 내부 직경(D)이 25㎜(L/D=0.64)인 걸게부재(1)를 사용하여 외부 직경이 30㎜인 로크 볼트(1a)에 밀어끼운 결과, 상기한 바와같이 탈착되며 더구나 탄력에 의해 로크 볼트(1a)를 파지하여 위치가 간단히 이탈하는 경우도 없었다.
제 4 도에 도시한 소판은 특히 직경이 큰 로크 볼트(1a)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걸게부재(1)용이므로, 걸게부재(1)의 개구부(3)가 크게 열려도 걸게편(10, 11, 12)의 선단이 거의 등간격으로 되도록 고안한 것이다.
제 5 도에 도시한 각각의 양태의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1)는 원통상 본체(2)의 개구부(3)와 돌출부(9)사이의 상하방향 중간부위에 안쪽방향 돌출부(13)를 설치한 것이며, 그 밖의 구성은 제 1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당해 걸게부재(1)에 의하면, 로크 볼트(1a)에 장착한 경우, 안쪽 방향 돌출부(13)가 로크 볼트(1a)의 표면의 오목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로크 볼트(1a)가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턴넬 속에서 로크(볼트(1a)를 구멍속으로 삽입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 6 도에 도시한 각각의 양태를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1)는 원통상 본체(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게편(10, 11, 12)의 끝이 원통상 본체(2)와 접하는 부분에 돌출부(14)를 팽출 가공하여 설치한 것이며, 그 밖의 구성은 제 1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당해 걸게부재(1)에 의하면, 걸게편(10, 11, 12)의 탄력이 확실히 수득되며, 운반등의 취급 도중에 걸게편(10, 11, 12)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6 도에 도시한 걸게부재(1)의 원통상 본체(2)에 상기한 제 5 도에 도시한 안쪽방향 돌출부(13)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걸게편(10, 11, 12)이 3매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2매 이상으로, 가격면에서는 6매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상 본체(2)의 돌출부(9)가 1개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2내지 3개라도 상관없으며, 또한 돌출부(9, 14)는 모두 바깥쪽으로 팽출가공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안쪽으로 팽출가공되어도 상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관한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에 의하면 당해 걸게부재를 로크 볼트에 장착하는데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로크 볼트를 소망하는 위치에 인력으로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작업성이 양호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약간 어두운 턴넬 속에서라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더구나 걸게부재와 로크 볼트를 따로따로 턴넬 속으로 운반하여 턴넬 속의 현장에서 장착 작업을 행할 수 있다.

Claims (3)

  1. 개구부가 있는 원통상 본체와 당해 원통상 본체의 한쪽 끝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선단이 방사상으로 넓어지는 복수개의 걸게편으로 이루어진 로크 볼트이 걸게부재에 있어서, 원통상 본체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소정 길이의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원통상 본체의 개구부와 소정 길이의 돌출부 사이의 상하방향 중간부위에 안쪽방향 돌출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원통상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간격이 원통상 본체의 내부 직경의 0.6 내지 0.85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
KR2019900017098U 1989-11-14 1990-11-09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 KR94000271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132931U JPH067120Y2 (ja) 1989-11-14 1989-11-14 ロックボルトの掛止具
JP1-132931 1989-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697U KR920009697U (ko) 1992-06-16
KR940002717Y1 true KR940002717Y1 (ko) 1994-04-23

Family

ID=1509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098U KR940002717Y1 (ko) 1989-11-14 1990-11-09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7120Y2 (ko)
KR (1) KR9400027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4991B2 (ja) * 2009-02-02 2012-02-01 政和 山本 錆こぶ除去装置
KR101726933B1 (ko) * 2012-04-19 2017-04-13 이안 에이 나자리 로크 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7120Y2 (ja) 1994-02-23
KR920009697U (ko) 1992-06-16
JPH0372999U (ko) 199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2726A (en) Releasable fastening construction
US4719671A (en) Strap connector
US4033535A (en) Strain-relief bushing
CA2136139A1 (en) Clamping device for a cutting insert
GB2114642A (en) Lock striker anchor plate assembly
EP3050674B1 (en) Distortion-tolerant split ring pliers for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US3701303A (en) Stop ring
KR940002717Y1 (ko) 로크 볼트의 걸게부재
US5026233A (en) Locking nut insert in a screw-nut arrangement
DE1775813B1 (de) Doppelzinkige Verkuerzungsklaue fuer Ketten
JPH058391Y2 (ko)
ES294709U (es) Precinto de tipo de candado y grillete correspondiente
JPH1026263A (ja) 設備用配管支持金具
NZ220557A (en) Connector for attaching implements to vehicle boom
KR920007082Y1 (ko) 판넬의 멈춤구
EP0678472A2 (en) Universal hook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concrete products
JPH0635687Y2 (ja) タイヤチェーンの係止具案内装置
JP2767575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吊上げ治具
GB8722275D0 (en) Inserts
KR200431058Y1 (ko) 가위
JP3737147B2 (ja) ドアハンドル用丸座の組付け構造
US4159007A (en) Traveller device, particularly a sheet rail traveller
KR900011106Y1 (ko) 도어록의 걸쇠뭉치
IE20050099A1 (en) Keys
US2971234A (en) Rope side frame conveyor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