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569Y1 -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569Y1
KR940002569Y1 KR2019910010878U KR910010878U KR940002569Y1 KR 940002569 Y1 KR940002569 Y1 KR 940002569Y1 KR 2019910010878 U KR2019910010878 U KR 2019910010878U KR 910010878 U KR910010878 U KR 910010878U KR 940002569 Y1 KR940002569 Y1 KR 940002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djustment
adjusting
liquid crystal
conver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0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008U (ko
Inventor
정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0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569Y1/ko
Publication of KR930004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5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제 1 도는 액정 프로젝터의 원리 및 광로도.
제 2 도는 종래 컨버젼스 조정장치의 평면도.
제 3 도는 종래 컨버젼스 조정장치의 설치 상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조정판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의해 조정판을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제 7 도는 본 고안에 의해 조정판을 좌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제 8 도는 본 고안에 의해 조정판을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정지지판 2 : 조정판
3 : 액정판넬 4 : 콘덴서 렌즈
5 : 편광필터 6 : 상하조정스프링
7 : 좌우조정스프링 8 : 조정판 고정판
9 : 콘덴서렌즈 고정판 10 : 액정판넬 고정판
11 : 편광필터 고정판 12 : 상하조정나사
13 : 좌우조정나사 14,15 : 장공
16 : 흑백액정 L : 램프
F : 다이크로밀러 M : 전반사 거울
본 고안은 세 개의 서로 다른 액정을 한점에 일치시켜 주기 위한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하조정판과 좌우조정판을 일체로 하여 하나의 조정판으로 상하좌우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메탈 할라이드 램프(MATAL HALIDE LAMP)에서 발생된 백색광을 다이크로 밀러를 통과하게 하여 적색, 녹색, 청색(R,G,B)의 3원색을 분리시키고 이 분리된 적색, 녹색, 청색을 흑백 액정판넬에 통과하게 하여 각각 적, 녹, 청색의 영상을 형성하게 한 다음 이를 다시 다이크로 밀러를 통하여 영상을 합성시킬 때 상하좌우조정이 가능한 일체형 조정판에 의해 액정의 컨버젼스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맞추도록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의 컨버젼스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장치는 제 2 도에서와 같이 고정판(30)에 상하조정판(31)과 좌우조정판(32)이 설치되며, 좌우조정나사(33)에 의해 좌우조정판(32)이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하조정판(31)에 좌상하조정나사(34)와 우상하조정나사(35) 및 좌우상하 조정연결판(36)(37)을 설치한다.
그리고 좌,우측에서 컨버젼스장치를 지지하는 좌,우고정판(38)(39)을 설치한 후 여기서 좌,우측 포커스 조정용 좌,우 포커스 조정봉(40)(41)을 구성시켜 영상을 합성시키게 되는 것으로 부품의 구성이 너무 복잡하고 수량이 많으므로 부품의 가공 및 조립오차에 의하여 액정의 위치가 서로 틀려지게 되므로 영상을 합성시키게 되면 컨버젼스는 더욱더 틀려져 맞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부품의 구성이 복잡하여 각 부품간의 허용간격에 의하여 좌,우,상,하 조정나사(34)(35)의 조정력이 곧바로 액정판넬의 이동에 전달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상의 결점때문에 상하조정판(31)과 좌우 조정판(32)이 일체로 될 수 없으며, 상하 조정을 하기 위해서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고 좌,우 상하 조정나사(34)(35)가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좌,우 상하 조정나사(34)(35)와 상하조정판(31)과의 연결구성이 복잡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좌우조정판과 상하조정판을 일체로 구성시켜 하나의 조정판으로 상하 좌우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조정판에 의해 상하 좌우 조정이 가능하므로 컨버젼스의 틀려짐을 방지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정지지판과 조정판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하 좌우 조정나사의 운동이 곧바로 액정 고정판에 전달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여 편리하게 그리고 정확한 컨버젼스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조정판으로 컨버젼스의 상하좌우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판에서 조정판에 스프링과 함께 나사식 연결시킴으로서 가능하도록 구성시킨다.
그리고 편광필터를 액정 패널 고정판에 고정시키는 편광필터 고정판과, 상기 편광필터를 고정시키며 액정 판넬을 조정판에 고정시키는 액정 판넬 고정판과, 상기 조정판의 후방에서 콘덴서 렌즈를 나사식 고정시키는 콘덴서 렌즈 고정판과, 상기 조정판의 후방에서 조정판 고정판에 의해 조정판을 조정지지판에 연결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편광필터(5)와 액정판넬(3) 및 콘덴서 렌즈(4)가 일체로 고정된 하나의 조정판(2)과, 상기 조정판(2)을 고정시킨 조정지지판(1)에서 하나의 조정판(2)을 상하좌우로 조정하는 조정수단으로 구성시키되 좌우측의 고정판에 고정되며 일측면과 상측으로 장공(14)(15)을 갖고 조정판(2)를 고정시키는 조정지지판(1)과, 상기 조정지지판(1)에 고정되어 컨버젼스를 조정하며 액정판넬(3)과 콘덴서 렌즈(4) 및 편광필터(5)를 고정시켜 상하좌우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의 조정판(2)과, 상기 조정지지판(1)의 일측에서 장공(14)을 통하여 조정판(2)을 고정시키며, 상기 조정지지판(1)과 조정판(2)사이에서 완충역활 및 조정역활을 하는 좌우조정 스프링(7)과 함께 조정판(2)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조정나사(13)와, 상기 조정지지판(1)과 조정판(2)의 사이에서 완충역활 및 조정역활을 하는 상하조정 스프링(6)과 함께 장공(15)을 통하여 조정판(2)을 양측에서 고정하며 상하조정하는 상하조정나사(12)와, 상기 조정판(2)에 양측에서 광원을 한점으로 모아주며 평광필터가 부착된 콘덴서렌즈(4)를 고정시키는 콘덴서 렌즈 고정판(9)과, 상기 조정판(2)에 화상이 생기는 액정 판넬(3)을 나사식 고정시키는 액정판넬 고정판(10)과, 상기 액정 판넬 고정판(10)에 액정 판넬(3)의 화상에 영향을 주는 편광필터(5)를 나사식 고정시키는 편광필터 고정판(11)을 구성시킨다.
그리고 조정판(2)의 조정이 끝난후 조정지지판(1)의 후방에서 상기 조정판(2)을 나사식 고정시키는 조정판 고정판(8)을 구성시킨다.
즉, 조정판(2)에 콘덴서 렌즈(4)와 액정 판넬(3) 및 편광필터(5)를 고정시켜 일체화한 후 조정지지판(1)의 측면에서 좌우조정스프링(7)과 좌우조정나사(3)에 의해 상측에서 상하조정 스프링(6)과 상하 조정 나사(12)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좌우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시킨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7은 프로젝션 렌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램프(L)에서 발생된 백색광을 다이크로 밀러(F)를 통과하게 하여 3원색(적색,녹색,청색)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3원색의 광로에 흑백액정(16)을 설치하여 3원색의 각각 영상을 형성하도록 한 다음 다시 다이크로 밀러를 통하여 영상을 합성시킬 때 서로 틀려진 액정의 컨버젼스를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편광필터(5)와 액정판넬(3) 및 콘덴서 렌즈(4)를 조정판(2)에 고정시켜 일체를 되도록 하여 조정지지판(1)에서 지지되어 상하 좌우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5 도에서와 같이 상하 조정나사(1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판(2)이 상하 조정나사(1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 6 도에서와 같이 상하 조정 나사(1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하 조정 나사(12)가 고정판(2)을 하측으로 밀게 되므로 하향이동된다.
이때 좌우 조정 나사(13)는 조정판(2)과 고정되어 있으며 장공(14)에서 조정판(2)과 함께 상하로 이송되며 가이드 역활을 하고, 상하 조정 스프링(6)은 조정판(2)의 상하이동시 상하조정 나사(12)에 의해 지지되고 조정지지판(1)과 조정판(2)에서 완충역활 및 조정역활을 하여 조정판(2)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하 조정 나사(12)의 한쪽만을 회전시키면 조정판(2)의 일측면만을 상하로 회전이동시키게 되므로 상하 조정나사(12)에 의해 조정판(2)의 상하 이동과 상하 좌우의 회전이동을 동시에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제 7 도에서와 같이 좌우 조정나사(1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정판(2)은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 8 도에서와 같이 좌우 조정 나사(1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정판(2)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좌우 조정 스프링(7)은 조정지지판(1)과 조정판(2)사이에서 완충역활 및 조정역활을 하게 되며, 상측의 상하조정나사(12)는 조정판(2)를 가이드하며 장공(15)에서 조정판(2)과 함께 좌우로 이동된다.
그리고 조정판(2)의 상하 좌우 조정에 의해 컨버젼스의 조정이 끝나면 조정지지판(1)의 후방에서 고정판 조정판(8)으로 조정판(2)을 조정지지판(1)에 나사식 고정시킨다.
따라서, 조정판(2)하나에서 좌우 상하 조정이 가능하므로 컨버젼스가 틀려지는 것을 방지하며, 조정지지판(1)과 조정판(2)사이에 좌우 조정 스프링(7)과 상하 조정 스프링(6)을 설치하여 좌우 조정 나사(13)와 상하조정나사(12)의 운동이 곧바로 조정판(2)에 전달되므로 구조가 간단해져 부품가공 및 조립에 의한 컨버젼스 오차 방지에 의해 조정이 간편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편광필터와 액정판넬 및 콘덴서 렌즈를 조정판에 일체화시켜 하나의 조정판으로 상하 좌우 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하나의 조정판에 의해 상하 좌우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오차에 의해 액정의 위치가 틀어져 영상을 합성시킬 때 맞지 않는 컨버젼스를 정확히 맞추고 컨버젼스의 근본적인 틀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조정지지판과 조정판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좌우 상하 조정나사의 운동이 직접 조정판에 전달되도록 하므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컨버젼스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세 개의 서로 다른 액정을 한점에 일치시키는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에 있어서, 편광필터(5)와 액정판넬(3) 및 콘덴서 렌즈(4)가 일체로 고정된 하나의 조정판(2)과, 상기 조정판(2)을 고정시킨 조정지지판(1)에서 하나의 조정판(2)을 상하 좌우로 조정하는 조정수단으로 구성시킨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판(2)은 액정 판넬 고정판(10)에 의해 액정판넬(3)이 나사식 고정되며 편광필터 고정판(11)에 의해 편광필터(5)가 나사식 고정되고 후방에서 콘덴서 렌즈 고정판(9)에 의해 콘덴서 렌즈(4)를 나사식 고정시키며 컨버젼스 조정이 끝난 후 조정판 고정판(8)에 의해 조정지지판(1)에 나사식 고정되도록 구성시킨 액정 프로젝터의 콘버젼스 조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수단은 조정지지판(1)과 조정판(2)사이에 연결되는 좌우 조정 스프링(7)과 함께 조정지지판(1)측면에서 조정판(2)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조정나사(13)와, 상기 조정지지판(1)과 조정판(2)의 사이에 연결되는 상하 조정스프링(6)과 함께 조정지지판(1)의 상측 양면에서 조정판(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조정 나사(12)로 구성된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KR2019910010878U 1991-07-11 1991-07-11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KR940002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878U KR940002569Y1 (ko) 1991-07-11 1991-07-11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878U KR940002569Y1 (ko) 1991-07-11 1991-07-11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008U KR930004008U (ko) 1993-02-26
KR940002569Y1 true KR940002569Y1 (ko) 1994-04-20

Family

ID=1931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0878U KR940002569Y1 (ko) 1991-07-11 1991-07-11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5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008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9702E1 (en) Projector
US7557868B2 (en) Liquid crystal projector device
EP0409246B1 (en) Liquid crystal projector
US5283599A (en) Apparatus for combining and projecting images
JP5084242B2 (ja) 光学素子調整機構、液晶表示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US5283602A (en) Optical system for projector
JP3163056B2 (ja) 投写装置
KR940002569Y1 (ko) 액정 프로젝터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JP2843720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の液晶モジュール位置調整機構
JPH04181938A (ja) 投写型表示装置
JP3180452B2 (ja) 液晶表示装置
JP4194256B2 (ja) 液晶投射型表示装置
JPH02195382A (ja) 液晶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
JP3301971B2 (ja) 集光ユニット及び該集光ユニットを具えた投写装置
JP2895908B2 (ja) 液晶パネル取付装置
JP3426759B2 (ja) プロジエクタ装置
JP2002162596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100347179B1 (ko) 액정 빔 프로젝터용 액정 얼라인 장치
JP3395964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3301956B2 (ja) 投写装置
JP2572468Y2 (ja) 液晶プロジェクタの液晶モジュール位置調整機構
KR0125900Y1 (ko) 액정 비디오 프로젝터의 위치조정장치
KR20030078216A (ko) 화면 조정이 용이한 광학엔진 어셈블리 및 이를 채용한프로젝션 시스템
KR970006585Y1 (ko) 키스톤 보정기능을 가지는 투사기
JPH04270338A (ja) 液晶カラー投射装置における液晶パネルの調整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