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141B1 -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141B1
KR940002141B1 KR1019860007549A KR860007549A KR940002141B1 KR 940002141 B1 KR940002141 B1 KR 940002141B1 KR 1019860007549 A KR1019860007549 A KR 1019860007549A KR 860007549 A KR860007549 A KR 860007549A KR 940002141 B1 KR940002141 B1 KR 94000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aceplate
multiplier
conductiv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548A (ko
Inventor
라이오넬 엠버슨 데이비드
캐플 아드리안
Original Assignee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filed Critical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7000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2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제1도는 플랫 음극선 표시관의 주 부품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음극선 표시관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를 나타내는 제2도의 선Ⅲ-Ⅲ를 따라 절단한 음극선 표시관의 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극선 표시관 12 : 엔벨로프
14 : 면판 16 : 인광성 물질
18 : 알루미늄 스크린 전극 20 : 중앙 분리판
28 : 후면벽 30 : 전자총
32 : 저 에너지 전자 비임 34 : 편향 전극
36 : 역 렌즈 42 : 전극
44 : 전자 증배기
본 발명은 유리 면판으로된 엔벨로프, 인광성 물질 및 스크린 전극을 포함하는 면판의 내부 표면상에 위치한 스크린, 스크린을 향하여 출력을 갖는 스크린에 인접하여 위치한 전자 증배기 및 엔벨로프의 외부로부터 스크린 전극 및 전자 증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종단 수단을 구비하는 음극선 표시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일반적으로 영국 공개 특허원 2101396 A호에 기술된 유형의 소위 "플랫"음극선 표시관이라 불리우는 음극선 표시관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유형의 음극선관에 있어서, 저 에너지 전자비임은 스크린에 평행한 경로를 따라 주사되며, 반대방향으로 비임이 주사되도록 약 180°회전된다. 전자비임은 비임이 전자 증배를 하는 곳에서 전자 증배기의 입력 표면상에 연속적으로 편향되며, 그때 전류 증배된 비임은 증배기와 인광성 물질을 여기시키는 스크린상의 스크린 전극사이에 설정된 필드에 의해 가속된다. 이러한 표시관의 한 인지된 설명에 있어서, 비록 앞에 언급한 명세서내에 기술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증배기는 그것의 입력 및 출력 표면상에 전극을 갖는 유리 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 증배기를 구비한다. 인광성 물질상에 위치한 알루미늄 층을 포함하는 스크린 전극 및 전자 증배기의 외부 표면 전극과의 엔벨로프 외부로부터의 전기적 상호연결은 전극의 접촉 영역에 연결되는 면판에 인접한 엔벨로프 벽내에 밀폐된 리드 인(lead-in)슬리브를 통하여 연장하는 절연 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한 상호연결이 전기적으로 만족스럽게 실행됨에도 불구하고, 와이어와 엔벨로프 벽사이의 적당한 진공-밀집(vaccum-tight) 밀폐(seal)를 안전하게 해야 하는 문제점이 야기되며, 특히 그러한 상호연결은 비교적 큰 부피를 차지한다. 플랫 표시관의 주 목적이 부피를 최소화시키는데 있기 때문에, 엔벨로프 내에 유용한 공간의 양은 귀중하며, 내부 부품은 상호가깝게 위치되며, 상호연결은 특히, 표시관의 조립동안 다른 부품에 저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부 부품에 의해 점유된 부피의 감소는 유익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 및 증배기 전극과 엔벨로프의 외부간의 상호연결에 있어서, 작은 부피를 점유하는 상호연결을 제공하는 종단장치의 형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 면판으로 된 엔벨로프, 인광성 물질 및 스크린 전극을 포함하는 면판의 내부 표면상에 위치한 스크린, 스크린을 향하여 출력을 갖는 스크린에 인접하여 위치한 전자 증배기 및 엔벨로프의 외부로부터 스크린 전극 및 전자 증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종단 수단을 구비하는 음극선 표시관에 있어서, 스크린 전극 및 전자 증배기 전극용 종단 수단이 면판의 내부 표면상에 위치한 각각의 전도성 토랙을 구비하며, 각각의 전도성 트랙은 그것의 한 단부가 스크린 전극 및 전자 증배기 전극에 연결되며, 그것의 다른 단부가 면판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각각의 전도체 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종단 장치는 매우 작은 프로필을 가지며 엔벨로프 내에서 최소의 공간을 차지한다. 그러므로, 음극선 표시관의 다른 내부 부품의 조정은 부당하게 저해되지 않으며, 엔벨로프 내의 다른 부품들의 조립은 용이하게 되며, 음극선 표시관의 조립동안 종단 장치에 의한 간섭을 덜 받게 된다.
전도성 트랙은 편리하게, 소망의 패턴으로 실크스크리링함으로써 면판의 표면상에 직접 용이하게 인가될 수도 있는 두꺼운 필름 전도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 증배기 전극와 연관된 전도성 트랙은 증배기와, 증배기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면판 사이의 전도성 스패이싱 소자를 통하여 증배기 전극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패이싱 소자는 증배기의 원주 주위와 증배기 및 면판 사이에 연장하는 금속 프레임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프레임을 갖는 면판과 프레임 중간의 면판의 표면상에 연장하는 연관된 전도성 트랙은 트랙과 맞물려 접촉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스패이싱 소자는 스크린으로부터 증배기의 정확한 스패이싱을 확실하게 하여, 스크린과 평행한 관계로 증배기 출력 표면을 유지시키며, 큰 영역에 걸친 전도성 트랙과 프레임간의 확실한 상호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스크린 전극과 연관된 다른 전도성 트랙은 직접 스크린 전극과 접촉할 수도 있으며, 스크린 전극은 전도성 트랙상에 연장되도록 위치되며, 전도성 트랙과 접촉한다. 상기 전도송 트랙은 양호하게 스크린을 에워싸며, 스크린 전극은 실제적으로 완전하게 트랙과 접촉하여 확실한 상호연결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특히, 두 전도성 트랙이 스크린을 에워싸는 경우에 있어서, 예를들어 크로뮴 산화물인 저항성 물질의 층은 두 전도성 트랙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트랙사이의 면판의 표면 영역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러한 층은 동작중 면판상의 전하 증강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면판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각 전도체 수단은 양호하게 전도성 에폭시 물질을 포함한다. 그러한 물질은 면판내의 구멍을 통하는 간단한 전도성 경로를 제공한다. 면판의 각 구멍내부에 대한 입구는 연관된 전도성 트랙과 접촉하며, 구멍주위 면판에 결속되는 구멍에 대한 입구위에 위치한 중앙 돔을 갖는 디스크의 형태로 금속부재로 밀폐될 수도 있다. 결과로써, 적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진공-밀집 밀폐의 구멍이 얻어진다.
증배기 전극과 그것과 연관된 전도체 수단사이의 저 임피던스 상호연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얇은 금속 테이프의 길이인 전도성 소자는 양호하게 스패이싱소자와 그것과 연관된 구멍 밀폐 금속부재 사이에 직접 연결되며, 연결을 보충하는 전도성 소자는 증배기 전극과 연관된 전도성 트랙에 의해 제공된다.
엔벨로프의 외부에 있어서, 절연된 전도체는 면판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전도체 수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양호하게 절연된 전도체는 실제적으로 절연성 물질로 덮여진 플랫 테이프 전도체를 포함하며, 전도체의 단부는 구멍내의 전도성 에폭시 물질로 캡슐형태로 보호 노출된다. 그러한 테이프 전도체는 평탄하게 약간의 높이로 면판의 외부 표면을 덮을수 있으며, 면판의 평면성에 반대됨이 없이 면판의 외부표면과 적합시킬수 있다. 이러한 절연 전도체의 원격 단부를 적절한 소오스에 연결시키므로써, 전기적 전위는 종단장치를 통하여 음극선 표시관의 엔벨로프 내의 스크린 전극 및 전자 증배기에 인가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음극선 표시관은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제1도에 관해 논하면, 표시관(10)은 평편하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면판(14)과 금속 합금 또는 연강을 압착하므로써 형성되는 나머지 벽들을 포함하는 평편한 벽으로 된 직사각형의 엔벨로프(12)를 구비한다. 면판의 내부에 위치한 스크린은 알루미늄 스크린 전극(18)으로 완전하게 덮인 인광성-물질(16)의 층을 포함한다. 전자총(30)은 엔벨로프의 후면벽(28) 및 면판(14)에 평행하게 주사되는 저 에너지 전자 비임(32)을 중앙 분리판(20) 주위로 약 180°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엔벨로프의 상단부에 위치한 역 렌즈(36)를 향하여 발생하여, 비임이 또한 면판(14)에 평행한 경로를 따라 반대방향으로 주사되게 한다. 라인 주사는 전자총(30)에 인접하여 위치한 편향 전극(34)에 의해 이루어진다. 프레임 편향은 분리판(20)상에 위치한 다수의 전극(42)에 의해 인광성 스크린(16)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전자 증배기(44)의 입력 표면을 향해 편향되어질 비임에 기인하여 그것으로부터의 선택된 하나로 적절한 저위를 인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증배기(44)내에서 전자 증배된 후, 비임은 그것으로부터의 출력 표면으로부터 인광성 스크린(16)상으로 스크린 전극(18)과 증배기 사이에 설정된 필드에 의해 가속화되며, 상기 필드 양단의 전위차는 약 15kv이다.
상기 표시관은 일반적으로 참조로 본원과 합체되는 영국 공개 특허원 제2101396 A호(PHB 32794)에 기술된 표시관과 유사하다. 표시관의 구성 및 동작의 완전한 설명을 위하여, 상기 언급한 출원에 대해 참조로 기술한다.
상기 특수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증배기는 12㎛의 직경 및 15㎛ 피치의 수백만개의 채널행렬과 그것의 입출력 표면을 덮고 있는 전극을 갖는 유리 마이크로 채널 판 증배기를 구비한다. 유리행렬 전자 증배기의 조립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어 본원에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점에 대한 또 다른 정보를 위한 참조사항은 예를 들어 1971년 4월 발행된 엑타 일렉트로니카 제14권 제2호에 기술되어 있다.
제2도는 특히 인광성 스크린(16)의 내부표면 영역에 걸쳐 연장하는 전면 유리 면판(14)을 나타내는 표시관의 평면도이다. 제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16)은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체 형태의 스크린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은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 유리 면판(14)은 예를 들어, 유리 원료를 사용하여 진공 밀집 방식으로 엔벨로프의 측벽부에 대하여 그것의 원주 둘레에 밀폐된다.
제3도는 증배기(44)의 스크린 전극(18) 및 출력 표면 전극(50)용 종단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인광성 스크린은 면판(14)의 내부 표면상에 직접 위치한 스크린 프린트된 두꺼운 필름 전도성 트랙(46)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상기 트랙은 처음에 연속적으로 서서히 후진하는 두꺼운 필름 매개자를 갖는 유리 파우더의 은 입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로 형성된다. 스크린 전극(18)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의 얇은층은 인광성 물질 및 그것의 단부의 표면상에 증착되어 부분적으로 트랙(46)을 완전하게 그 주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면판(14)상에 직접 위치한 유사 물질의 또 다른 스크린 프린트된 두꺼운 필름 전도성 트랙(45)은 트랙(46)주위에 완전하게 연장하며, 트랙(46)의 부분이 트랙(45)의 경계부 외부를 통과하는 작은 부분을 제외하고는 트랙(46)으로부터 선정된 거리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트랙(45) 및 (46)중간의 면판(14)의 표면 영역은 상기 영역을 완전하게 덮는 트랙(45) 및 (46)의 증착후 크로뮴 산화물층(52)으로 덮여지며, 전기적으로 트랙(45) 및 (46)과 접촉한다. 크로뮴 산화 물질은 누설 저항성을 가지며, 층(52)은 고 표면 저항을 가지며, 표시관의 동작중 유리 면판(14)상의 전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트랙사이에 균일한 전위 그레디언트를 나타낸다.
전자 증배기(44)는 스탬프된 금속 스패이싱 프레임(48)에 의해 스크린(16)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떨어져 유지되며, 프레임의 면판을 향한 단부는 트랙(45)상에 위치된 형태로 있으며, 전자 증배기(44)는 증배기의 출력면의 주변 단부 주위에 완전하게 연장되며, 프레임과 맞물려 있다. 증배기(44)는 프레임(48)에 대하여 죄어지며 차례로, 프레임(48)은 제3도에 있어서 (49)로 일부분이 도시된 엔벨로프 내의 또다른 구조적 부재에 의해 면판(14)상의 트랙(45)에 대해 클램프된다. 프레임(48) 및 구조적 부재(49)의 평면표면은 각각 증배기(44)의 출력 및 입력 표면 전극(50) 및 (51)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이들 부품을 통하여 전극에 인가되어질 전기적 전위를 허용한다. 도면의 간단화를 위하여, 트랙(46) 및 스패이싱 프레임(48)은 제1도로부터 생략되었다.
트랙(46) 및 (45)의 한쌍의 스패이스된 리드-인 부분(53) 및 (54)(제3도에서는 하나만이 도시됨)는 트랙(45) 및 (46)과 동시에 형성되며, 스크린으로부터 떨어져 면판(14)의 내부 표면상에 연장한다. 스패이싱 프레임(48)은 프레임의 트랙부(53)에 걸쳐 교차하는 영역에서 변형되어 물리적 접촉없이 트랙(53)을 브리지 하도록 한다.
각각의 트랙 리드-인 부분(53) 및 (54)의 단부는 면판을 통하여 연장하는 각각의 구멍(56)을 에워싸는 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진다. 중앙돔을 갖는 금속 디스크(55)는 구멍(56)내로 트랙부를 통하여 통과하는 그것의 돔을 갖는 잉크의 베이킹 이전에 각각의 전도성 잉크 트랙부의 노출된 표면상에 위치된다. 디스크(55)의 트랙-맞물림 표면은 전도성 잉크의 유리 파우더를 용해시키는 트랙의 점화에 의해 전도성 유리 연료 물질로 덮여지며, 디스크(55)는 면판(14)에 결속되며, 확실한 진공 밀접방식으로 구멍(56)의 내부 단부를 밀폐시킨다. 구멍(56)은 연속하여 전도성 에폭시(57)로 채워져 있어, 전기적 연결이 디스크(55)를 갖는 면판(14)을 통하여 트랙부(53) 및 (54)에 연결되도록 한다.
각 구멍(56)내에서 전도성 에폭시(57)와의 전기적 연결은 절연성 물질로 덮힌 플랫 리본형 전도체를 구비하여 면판(14)의 외부 표면에 결속된 절연성 테이프 전도체(60), (61)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것의 단부에 인접한 테이프 전도체의 한 면상의 절연부는 제거되며, 노출된 전도체는 그것과 연관된 구멍내로 급어지며 전도성 에폭시로 캡슐화된다. 테이프 전도체는 실제적으로 면판의 외부 표면상에 평편하게 위치한다.
테이프 전도체의 멀리 떨어진 단부에 적절한 소오스를 연결시킴에 의해, 적절한 전위(약 15kv 및 1kv)는 구멍(56), 디스크(55), 전도성 트랙(56) 및 (45)를 통하여 스크린 전극(18)에, 프레임(48)을 통하여 증배기 전극(50)에 인가된다 표시관의 동작에 있어서, 출력 전극(50)에 대하여 선정된 전위로 증배기(44)의 입력 표면 전극(51)이 부분(49)를 통하여 인가되면, 전극(42)의 증배기(44)의 채널내로 편향된 저 에너지 전자 비임은 전류 증가를 나타내며, 그후 표시를 나타내도록 스크린 전극(18)에 의해 스크린(16)상에 가속된다.
짧은 길이의 얇은 금속 테이프 전도체(63)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랙(45)에 의해 제공된 전도성 경로를 보충하도록 전도성 트랙부(54)와 연관된 디스크(55)와 프레임(48)사이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엔벨로프(12)내의 종단장치의 부분은 저 프로필이며, 엔벨로프 용량내로 최소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종단장치가 조립이 실제적으로 피해지는 동안 표시관의 내부 부품을 간섭함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장치와 비교하여, 더 많은 공간이 다른 부품에 편의를 도모하도록 종단장치의 영역내에 유용하게 만들어진다.

Claims (11)

  1. 유리 면판으로 된 엔벨로프, 인광성 물질 및 스크린 전극을 포함하는 면판의 내부 표면상에 위치한 스크린, 스크린을 향하여 출력을 갖는 스크린에 인접하여 위치한 전자 증배기 및 엔벨로프 외부로부터 스크린 전극 및 전자 증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종단 수단을 구비하는 음극선 표시관에 있어서, 스크린 전극 및 전자 증배기 전극용 종단수단이 면판의 내부 표면상에 위치한 각각의 전도성 트랙을 구비하며, 각각의 전도성 트랙은 그것의 한단부가 스크린 전극 및 전자 증배기 전극에 연결되며, 그것의 다른 단부가 면판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각각의 전도체 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트랙은 두꺼운 필름 전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전자 증배기와 연관된 전도성 트랙은 증배기와 증배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면판 사이의 전도성 스패이싱 소자를 통하여 증배기 전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스패이싱 소자는 증배기 및 면판과 증배기의 원주 둘레사이에 연장하는 금속 프레임 형태이며, 연관된 전도성 트랙은 프레임 중간의 면판의 표면상에 연장되며, 프레임을 갖는 면판은 트랙과 맞물려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5.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스크린 전극과 연관된 전도성 트랙은 전도성 트랙상에 연장하는 스크린 전극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스크린 전극과 연관된 전도성 트랙은 스크린을 에워싸도록 배열되며, 스크린 전극은 실제적으로 완전하게 스크린을 에워싸는 트랙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저항성 물질의 층은 두 개의 전도성 트랙과 두 개의 전도성 트랙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것 사이의 면판의 표면 영역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8.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면판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전도체 수단은 전도성 에폭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종단 수단은 면판의 외부 표면상에 연장하는 절연 플랫 테이프 전도체를 포함하며, 전도체의 단부는 구멍내의 전도성 에폭시 물질로 노출, 캡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면판의 내부로 향하는 각 구멍에 대한 입구는 입구위에 놓여지는 금속부재로 밀폐되며, 연관된 전도성 트랙과 접촉하며, 구멍 둘레의 면판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전도체 소자는 스패이싱 소자와, 스패이싱 소자와 연관된 구멍 밀폐 금속부재 사이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KR1019860007549A 1985-09-11 1986-09-09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KR940002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8522540A GB2180393A (en) 1985-09-11 1985-09-11 Termination arrangement for cathode ray display tube
GB8522540 1985-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548A KR870003548A (ko) 1987-04-18
KR940002141B1 true KR940002141B1 (ko) 1994-03-18

Family

ID=1058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549A KR940002141B1 (ko) 1985-09-11 1986-09-09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54192A (ko)
EP (1) EP0214697B1 (ko)
JP (1) JPS6261249A (ko)
KR (1) KR940002141B1 (ko)
DE (1) DE3667572D1 (ko)
GB (1) GB21803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63Y2 (ja) * 1988-01-22 1994-06-01 ソニー株式会社 2次電子増倍型螢光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19895A (ko) * 1952-05-14
US3205391A (en) * 1957-11-18 1965-09-07 Multi Tron Lab Inc Negative-lens type deflection magnifying means for electron beam in cathode ray tubes
US3099762A (en) * 1962-01-15 1963-07-30 Hertz Michael Cathode ray tube using replaceable cathode
JPS562346Y2 (ko) * 1974-05-23 1981-01-20
NL7514975A (nl) * 1975-12-23 1977-06-27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voor het weergeven van gekleurde beelden.
NL7613806A (nl) * 1976-12-13 1978-06-15 Philips Nv Kleurentelevisiebeeldbuis.
US4188564A (en) * 1976-12-13 1980-02-12 U.S. Philip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having low resistance contact area beneath high voltage contact spring
JPS5426657A (en) * 1977-07-30 1979-02-28 Sony Corp Cathode ray tube
NL7806822A (nl) * 1978-06-24 1979-12-28 Philips Nv Elektrische ontladingsbuis voorzien van een met glas afgedichte elektrische doorvoer en werkwijze ter ver- vaardiging van een dergelijke elektrische doorvoer.
US4232248A (en) * 1978-10-30 1980-11-04 Rca Corporation Internal metal stripe on conductive layer
JPS6324615Y2 (ko) * 1980-04-30 1988-07-06
JPS56168325A (en) * 1980-05-30 1981-12-24 Sony Corp Flat type cathode-ray tube
GB2101396B (en) * 1981-07-08 1985-05-22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Flat display tube
JPS58209852A (ja) * 1982-05-31 1983-12-06 Futaba Corp 表示管の導体
US4528477A (en) * 1982-12-10 1985-07-09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CRT with optical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80393A (en) 1987-03-25
US4754192A (en) 1988-06-28
GB8522540D0 (en) 1985-10-16
KR870003548A (ko) 1987-04-18
DE3667572D1 (de) 1990-01-18
JPS6261249A (ja) 1987-03-17
EP0214697B1 (en) 1989-12-13
EP0214697A3 (en) 1987-12-23
EP0214697A2 (en) 1987-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2456B1 (en) Field emission display
EP0025221B1 (en) Flat display device
US4472658A (en) Fluorescent display device
US45500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electric connections into a compliant sealed package
US3582978A (en) Rivet-shaped electrical lead-through contact
GB1142407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thode ray tubes comprising a post-acceleration and/or post-focusing grid electrode
KR940002141B1 (ko) 음극선 표시관용 종단장치
US4295073A (en) Microchannel plate-in-wall structure
US6051923A (en) Miniature electron emitter and related vacuum electronic devices
US4100456A (en) Luminescent display panel comprising a sealing mass for eliminating slow leaks along leads
US4737686A (en) Gas plasma dot matrix display panel
US4039888A (en) Image pick-up tub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n the face-plate
US3849686A (en)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first external electrode for each digit and a second external electrode for each segment
JPS5913138B2 (ja) 表示装置
US4742267A (en) Cathode ray tubes provided with flexible connectors
EP0105408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JP2778080B2 (ja) 蛍光表示装置
US4315185A (en) Vacuum-tight, electrical connection for the photocathode in an image intensifier tube
US3564680A (en) Process for fabricating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940007250B1 (ko) 형광표시판 제조방법
JPS6344937Y2 (ko)
US3213309A (en) Electrostatic printing tube
JP285592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021860A (ja) フィールド・エミッション・ディスプレイ
JP3136542B2 (ja) 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