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085B1 - 자동차 리어스포일러 - Google Patents

자동차 리어스포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085B1
KR940002085B1 KR1019900021134A KR900021134A KR940002085B1 KR 940002085 B1 KR940002085 B1 KR 940002085B1 KR 1019900021134 A KR1019900021134 A KR 1019900021134A KR 900021134 A KR900021134 A KR 900021134A KR 940002085 B1 KR940002085 B1 KR 940002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p lamp
vehicle
rear spoiler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857A (ko
Inventor
스스므 나가이
코지 미즈다
Original Assignee
오오사카 후지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오시마 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사카 후지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오시마 이찌로 filed Critical 오오사카 후지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0002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085B1/ko
Publication of KR92001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리어스포일러
제1도는 본 발명 자동차 리어스포일러의 좌측반쪽 평면도.
제2도는 뒷쪽에서 본 리어스포일러의 평면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개폐단부착부의 상세도로서,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X-X'선 일부수직단면도.
제4도는 일부 내부평면도.
제5도는 뒷쪽으로부터 본 일부 수직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스포일러 3 : 솔레노이드
4 : 에어뎀퍼 5 : 개폐판
6 : 스톱램프 7 : 본체
7c : 상부판 8 : 피스톤로드
13 : 코일부 14 : 에어흡입구멍
15 : 에어밸브 15a : 작은구멍
본 발명은 자동차의 뒷부위에 부착되는 리어스포일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공기에 의한 부양력(浮揚力)이 발생해서 자동차의 구동력이 타이어를 거쳐 유효하게 지면에 전달되지 않게 되고, 그 때문에 자동차의 뒷부위인 예컨대 트렁크 윗면에 리어스포일러를 부착해서 억지력을 발생시켜 상기 부양력을 소멸시키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 리어스포일러의 뒷쪽에 스톱램프를 매립해서 운전자가 제동페달을 밟으면 스톱램프가 점등되어, 자동차가 제동상태에 있음을 후속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추돌사고방지를 기하는 기능을 함께 하도록 된 것도 있다.
이 경우 스톱램프는 주간의 태양광이 있는 상태에서도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스포일러날개 아래에 배치하게 되고, 그 때문에 후속차량이 대형트럭 등과 같은 것일 때에는 그 운전자가 스톱램프의 비임광이 스포일러에 차폐되어 운전석의 운전자에게 도달하지 않아 추돌사고방지효과가 없게 되는 경우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후속차량 운전자가 운전석의 높이에 불구하고 스톱램프의 비임광을 볼 수 있는 자동차 리어스포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차 리어스포일러는, 본체의 상부판 일부가 자유로이 개폐되도록 되면서 이 개폐판의 뒷쪽에 스톱램프가 조립되어, 자동차의 제동장치와 연동해서 상기 개폐판이 개폐됨과 더불어 상기 스톱램프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된 특징으로 되어 있다.
또 개폐판이 열려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솔레노이드와 이 솔레노이드의 복원력을 완충하는 뎀퍼수단이 구비된 것도 한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동차 리어스포일러에 의하면, 자동차의 족답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이에 연동되어져 있는 개폐판이 열려짐과 더불어 스톱램프가 점등되고, 그에 따라 스톱램프가 리어스포일러위로 출현하여 비임광을 뒷쪽으로 방사하게 된다. 여기서 스톱램프의 비임광은 리어스포일러에 의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운전석위치가 높은 후속차량의 운전자에게도 도달해서 추돌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더구나 개폐판에 의해 태양광이 그늘지게 되므로 주간의 태양광 아래에서도 스톱램프를 보기가 쉬워지게 된다.
또 개폐판이 솔레노이드의 전기적 구동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열고 닫겨질 때에는 뎀퍼수단의 완충작용으로 완만해지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 자동차 리어스포일러의 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리어스포일러(1)의 좌측반쪽분을 도시한 것으로, 이 리어스포일러(1)는 중심선(A-A')에 대해 좌우대칭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1도는 리어스포일러(1)의 평면도이고, 제2도는 이 리어스포일러(1)를 뒷쪽에서 본 도면인바, 이 리어스포일러(1)는 중공체로 이루어진 본체(7)로서 날개형상으로 되어 있고, 개폐판(5)이 이 본체(7)의 상부판(7c)에 설치되어 리어스포일러(1)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리어스포일러(1)는 제1도의 윗쪽이 자동차의 앞쪽방향으로 일치되도록 틀(7)의 다리부위(7a, 7b)가 자동차 트렁크표면에 위치해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도는 개폐판(5)이 열려진 상태를 뒷쪽에서 본 도면으로서, 여러개의 스톱램프(6)가 개폐판(5)의 뒷쪽에 일렬로 배치되어 렌즈(12)와 조합되어 부착되어져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개폐판(5)이 부착시켜지는 부분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제3도 및 제4도의 윗쪽이 자동차의 앞쪽방향으로서, 이 개폐판(5) 부착부분에는 솔레노이드(3)와 에어뎀퍼(4), 개폐판(5) 및 스톱램프(6)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3)는 개폐판(5) 아랫쪽에 본체(7)에 고정된 것으로, 이는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로드(8)와 복귀스프링(도시되지 않음) 및 코일부(13)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족답브레이크와 연동되도록 되어 있는바, 그 연동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족답브레이크에 연동되어 있는 자동차의 후미램프 신호선을 분기해서, 이 분기선을 코일부(13)의 입력단자에다 접속시키는 등의 방법을 쓰면 된다. 또 코일부(13)는 몸통부에서 저항값이 다른 2개의 코일을 2단으로 감아 절환시킴으로써 강약 2가지의 자력을 얻는 구조를 채용하면 된다.
또 에어뎀퍼(4)는 탄성을 가진 벨로즈(25)와 덮개부재(26, 27)를 이루어지면서 한 덮개부재(26)는 피스톤로드(8)의 앞끝에 연결되고, 다른 덮개부재(27)의 틀(7)의 내벽면에 고정되어져 있는바, 상기 한 덮개부재(26)에는 공기흡입구멍(26a)이 형성되어 이 공기흡입구멍(26a)을 덮도록 유연성재료로 만들어진 에어밸브(15)가 뎀퍼내벽에 부착되어 있고, 또 이 에어밸브(15)에는 공기흡입구멍(26a)과 마주보는 위치에 이 공기흡입구멍(26a)보다 작은 작은구멍(1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에어밸브(15)는 제3도중 윗반쪽분만이 덮개부재(26)의 내벽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어서, 뎀퍼(4)내에 공기가 들어갈 때에는 공기흡입구멍(26a)을 열고, 반대로 뎀퍼(4)내의 공기를 토출할 때에는 공기흡입구멍(26a)를 닫아 작은구멍(15a)으로부터 조금씩 공기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피스톤로드(8)와 개폐판(5)은 아암(9)과 레버(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바, 여기서 상기 아암(9)은 수평부(9b)와 돌출편(9c)으로 구성되어 이 돌출편(9c)에 형성된 장공(9d)이 피스톤로드(8)의 몸통부에 돌출형성된 핀(8a)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피스톤로드(8)와 연결되어져 있다.
또 상기 아암(9)의 수평부(9b)는 고정판(20a, 20b)를 매개로 개폐판(5)의 안쪽면에 고정되고, 레버(10)는 본체(7)에 대해 위치결정된 지지축(11)을 지지점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고정판(21a, 21b)를 매개로 개폐판(5)의 안쪽면에 고정되어져 있다.
또 상기 스톱램프(6)는 개폐판(5) 뒷쪽에 조합되어 부착되어 있는바, 이 스톱램프(6)도 솔레노이드(3)와 마찬가지방법으로 족답브레이크와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톱램프(6)에는 응답속도를 빨리하고 보기기 쉬우며 소비전력이 적도록 LED(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게 된다. 단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톱램프(6)는 LE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는 개폐판(5) 및 스톱램프(6)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자동차가 통상적인 주행을 하고 있을 때는 개폐판(5)에 제3도중 실선위치로 위치해서 본체(7)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어 운전자가 제동페달을 밟게 되면 족답브레이크에 연동된 솔레노이드(3)의 코일부(13)의 2가지 코일중 처음에는 저항값이 작은쪽 코일에 전류가 흘러 강한 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자력이 정지상태에 있는 피스톤로드(8)를 제1도중 화살표(f)방향으로 되며, 그에 따라 순간적으로 개폐판의 닫힘동작이 시작된다.
이어 피스톤로드(8)가 미리 결정된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면 전류가 저항값이 작은쪽 코일로부터 저항값이 큰쪽 코일로 절환되어 흐르도록 되어 있어서, 저항값이 큰쪽 코일은 약한 자력밖에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피스톤로드(8)가 감속되어 정지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로드(8)의 몸통부에 설치된 핀(8a)이 제3도에 도시된 8a'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수반해서 아암(9) 및 레버(10)가 지지축(1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개폐판(5)이 2점쇄선위치까지 열려지게 된다.
여기서 개폐판(5) 뒷쪽에 부착된 스톱램프(6)에도 솔레노이드(3)에 전류가 흐름과 동시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스톱램프(6)가 점등되어, 그 비임광(16)이 렌즈(12)를 통해 뒷쪽으로 방사되게 되고 그에 따라 자동차가 제동상태에 있음을 후속차량의 운전자가 보도록 한다.
이러한 동안에 피스톤로드(8)의 앞끝에 고정된 에어뎀퍼(4)는 공기흡입구멍(26a)을 통해 벨로즈(26)내로 공기를 들여보내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제동페달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개폐판(5)의 닫힘동작이 시작되는바, 즉 스톱램프(6)가 소등되고, 족답브레이크에 연동된 솔레노이드(3)의 코일부(13)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피스톤로드(8)가 내장되어져 있는 복귀스프링에 의해 화살표(f)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뎀퍼(4)내에 들어가 있는 공기는 에어밸브(15)에 형성된 작은구멍(15a)을 통해 서서히 빠져나가게 되기 때문에, 피스톤로드(8)가 본래의 위치로 되돌려지는 동작이 완만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개폐판(5)이 완만하게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지기 때문에 스톱램프(6) 등과 같은 부품에 쓸데없는 충격력이 부여되지 않고 닫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자동차 리어스포일러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는바, 예컨대 개폐판(5)을 개폐하는 기구로서 솔레노이드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실린더 또는 모우터 등으로 개폐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톱램프를 리어스포일러의 상부판에 설치된 개폐판의 뒷쪽에 부착시키고 브레이크에 연동시켜, 스톱램프가 리어스포일러위에 출현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톱램프의 비임광이 리어스포일러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항상 후속차량 운전자가 볼 수 있는 리어스포일러를 제공할 수 있고, 더구나 개폐판에 의해 태양광이 가려질 수 있기 때문에 주간의 태양광 아래에서도 보기가 쉬워지게 된다.
또 개폐판이 출현됨에 따른 의외성으로 후속차량 운전자의 강렬한 주의를 끌기 때문에 스톱램프의 비임광과의 상승작용에 따라 후속차량 운전자가 보다 빨리 안전동작을 취할 수가 있어 추돌방지효과를 높힐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리어스포일러는 공기저항을 적게하기 위해 날개를 얇게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매립형 스톱램프인 경우 그 크기나 배치 등에 제한이 있어 발광면적이 작은 것 밖에 실현할 수 없었는데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개폐판의 뒷쪽에 스톱램프가 부착되기 때문에, 그러한 제약에서 해당되어 자유도가 높은 스톱램프를 설계할 수도 있게 된다.

Claims (2)

  1. 본체(7)의 상부판(7c) 일부가 자유로이 개폐되도록 된 개폐판(5)의 뒷쪽에 스톱램프(6)가 부착되어, 자동차의 족답브레이크에 연동해서 상기 개폐판(5)이 개폐시켜지게 됨과 더불어 상기 스톱램프(6)가 점등·소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어스포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5)을 개폐시키는 기구가 개폐판(5)을 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솔레노이드(3)와 이 솔레노이드(3)의 복원력을 완충하는 에어뎀퍼(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어스포일러.
KR1019900021134A 1990-12-20 1990-12-20 자동차 리어스포일러 KR940002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1134A KR940002085B1 (ko) 1990-12-20 1990-12-20 자동차 리어스포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1134A KR940002085B1 (ko) 1990-12-20 1990-12-20 자동차 리어스포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857A KR920011857A (ko) 1992-07-25
KR940002085B1 true KR940002085B1 (ko) 1994-03-17

Family

ID=1930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134A KR940002085B1 (ko) 1990-12-20 1990-12-20 자동차 리어스포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0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857A (ko) 199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9068A (en) Rear spoiler for use in automobile
US20070182207A1 (en) Aerodynamic device for vehicle
US10359168B2 (en) Bi-functional headlamp for vehicle
KR940002085B1 (ko) 자동차 리어스포일러
US11143377B1 (en) High-low beam switching device
US4738190A (en) Fan casing with cover
JPH03121944A (ja) 自動車のリアスポイラー
US5842774A (en) Device for adjusting brightness of brake lamps
US2657757A (en) Throttle safety attachment
KR100194648B1 (ko)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KR100320965B1 (ko) 자동차용 범퍼 그릴 장착구조
KR200214970Y1 (ko) 자동차 액셀레이터조작패달어셈블리
KR910006272Y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점등장치
KR10176613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모듈
KR0119374B1 (ko) 엔진 부압을 이용한 음압 가변 경음기
CN108662544B (zh) 一种防光型抖动的挡板装置
KR100197497B1 (ko) 자동차의 가속페달 구속장치
US2873407A (en) Pedal and switch structure for vehicles
KR100506358B1 (ko) 차량용 히터 컨트롤러 어셈블리
KR900009003B1 (ko) 항력판을 겸하도록된 자동차의 후진시스템 및 그 장치
KR20050031609A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장치
KR101251271B1 (ko) 차량의 스톱 램프 스위치
JPH0659843B2 (ja) リヤスポイラ装置
JPH08142921A (ja) 車両のアンダーガードの構造
JPS61432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