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079B1 -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2079B1 KR940002079B1 KR1019900700329A KR900700329A KR940002079B1 KR 940002079 B1 KR940002079 B1 KR 940002079B1 KR 1019900700329 A KR1019900700329 A KR 1019900700329A KR 900700329 A KR900700329 A KR 900700329A KR 940002079 B1 KR940002079 B1 KR 940002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cam
- drive
- slide plate
- drive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9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driving condition of record carrier, e.g. travel, tape tens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판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구동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구동장치의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되감기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빨리보내기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판 및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에 형성된 아이들 아암의 스톱퍼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스톱퍼 기구의 정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녹음 재생 작동 상태로 이동하는 도중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녹음 재생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판의 중간 위치에서 스톱퍼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스톱퍼 기구의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14a도, 제14b도, 제14c도는 구동장치의 작동 전류를 나타낸 도표.
제15도는 본 발명의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와 캠 및 아이들 아암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기헤드와 핀치로울러를 지지하는 슬라이드판을 자기 테이프 카세트에 대하여 구동함과 동시에,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리일에 대하여 녹음 재생을 위하여 보내고, 빨리보냄 및 되감기를 위한 구동을 부여 할 수가 있는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 세트의 공급측 및 감기측의 테이프 리일축에 걸어맞춤 하도록 붙임 고정되고, 자기헤드 및 핀치 로울러를 지지하는 슬라이드판이, 이 테이프 카세트에 대하여 작동위치와 후퇴 위치와의 사이를 가동 되도록 붙임 고정된다.
작동 위치에 있어서는, 핀치 로울러는 캡스턴 과의 사이에 테이프를 끼운 상태로 유지하여, 자기헤드는 자기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송출되는 테이프에 접촉 하도록 유지된다.
후퇴 위치에서는, 핀치 로울러와 자기헤드는 테이프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유지된다.
슬라이드판은 후퇴 위치로 향하여서 스프링에 의하여 힘을 더하게 되어있다.
되감기 및 빨리 보내기 위해서는, 슬라이드판은 후퇴 위치 그대로 테이프 리일로 요구되는바의 회전이 부여된다.
녹음 재생 작동을 위해서는, 슬라이드판은 작동위치로 놓여 테이프 리일은 녹음 재생 속도로 구동된다.
종래의,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는, 슬라이드판을 후퇴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구동하기 위해서, 전자솔레노이드 수단이 형성되어 테이프 레코오더의 녹음 재생 작동중, 이 솔레노이드 수단을 여자하여 슬라이드판을 작동 위치로 유지한다.
이 종래의 배치는, 녹음 재생의 작동중, 항상 솔레노이드 수단을 여자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력의 소비량이 큰 문제가 있다.
또한, 슬라이드판의 구동을 위한 전자 솔레노이드 수단은, 크기가 커서, 장치의 소형화에 장해가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자기 헤드 및 핀치 로울러를 지지하는 슬라이드판을 구동하기 위한 전자 솔레노이드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 또는 소형으로 전력 소비가 적은 테이트 레코오더용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판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캠(cam)수단을 형성한다.
이 캠 수단으로는 캠 구동 수단이 형성되고, 녹음재생 작동시에 이 캠 구동수단이 소정량 만큼 캠 수단을 한쪽방향으로 회전 시키어, 캠 수단의 이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드판이 작동 위치로 밀어넣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빨리보내기와 되감기를 위한 수단이 형성된다.
빨리보내기의 방향은 녹음 재생 작동에 있어서의 보내기 방향과 동일하기 때문에, 빨리 보내기에 있어서는, 슬라이드판이 작동 위치로 밀어 넣어 지지않고, 녹음 재생시에만 밀어넣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캠 구동 수단은, 슬라이드판을 작동위치로 밀어넣기 위한 캠 수단의 회전을, 녹음 재생 작동에 있어서만 부여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장치는, 구동원에 연결되어 이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캡스턴을 가지며, 이 캡스턴의 축에 고정된 구동기어로써, 리일축의 구동제가 구성된다.
각 리일축에는 피 구동기어가 형성되며, 이들 피 구동기어는, 각각 아이들 기어를 통하여 구동기어에 연결된다.
아이들 기어의 각각은, 캡스턴 축에 요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아이들 아암의 각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아이들 아암이 증탑위치에 있을때에는, 어느 아이들 기어도 피 구동기어에 이맞물림하지 않으나, 아이들 아암이 한쪽방향으로 요동하였을 때 한쪽의 아이들 기어가 한쪽의 리일축상의 피 구동기에 이맞물림하고, 아이들 아암이 다른 방향으로 요동 하였을때 다른쪽의 아이들 기어가 다른쪽의 리일축상의 피 구동기어에 이맞물림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이들 아암이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한쪽 방향으로 요동 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를 슬라이드판에 형성한다.
이 스톱퍼는, 슬라이드판이 후퇴위치로부터 소정량만큼 작동위치 방향으로 이동 하였을 때, 아이들 아암을 해방한다.
이 해방 상태에서는 아이들 아암은, 구동기어의 구동력의 영향으로 상기 한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상기 한쪽의 아이들 기어를 상기 한쪽의 리일축상의 피 구동기어에 이맞물림 시킨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드판을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량만큼 작동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캠 수단을 사용한다.
즉, 캠 수단에 회전이 부여되어, 이 캠 수단이 슬라이드판에 걸어맞춤하여 이 슬라이드판을 이동 시킨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캠 구동 수단으로서, 2개의 이빨이 없는 부분을 가지는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를 형성함과 동시에, 구동원으로 부터의 연결 구동력이 부여되는 구동기어에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를 이맞물림 시킨다.
이 구동기어는, 상술한 리일축상의 피구동 기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어와 동일 하거나 또는 달라도 좋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는, 이 제2의 구동기어는, 제1의 구동기어와 동축으로 형성되며, 동시에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에는,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할 때 캠 수단으로 걸어맞춤하여 이 캠 수단을 회전시키는 돌기 수단이 형성된다.
캠 수단은 이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드판에 걸어맞춤하여 이 슬라이드판을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량만큼 작동 위치 방향으로 이동 시킨다.
캠 수단이 소정량 만큼 회전 하였을 때,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의 제1의 이빨이 없는 부분이 구동기어에 면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와의 사이의 이맞물림이 중단되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에는, 아이들 아암의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쪽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가 형성된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가 상기 한쪽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상의 스톱퍼가 떨어져, 아이들 아암은 상기 다른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상기 다른쪽의 아이들 기어가 다른쪽의 리일축상의 피구동기어에 이 맞물림 한다.
이 상태로 되었을때,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의 제2의 이빨이 없는 부분이 구동기어와의 이맞물림 위치로 도달하여,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의 회전이 정지한다.
구동원으로 부터의 연결 구동력이 부여되는 피 구동기어에 대하여 마찰수단을 통하여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를 연결한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에는, 이 기어가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한쪽 방향으로 앞에 설명한 소정량보다 작은 제2의 소정량 만큼 회전할 때, 슬라이드판에 걸어맞춤하여, 이 슬라이드판을 후퇴 위치와 작동위치와의 사이의 중간 위치로 밀어넣는 돌기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녹음 재생때에는, 먼저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를 상기 한쪽 방향으로 회전 시키어 슬라이드판을 후퇴 위치와 작동 위치와의 사이의 상기 중간 위치에 놓는다.
이어서,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에는, 이 방향의 회전시에 캠 수단에 걸어맞춤하여 이 캠 수단을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의 돌기에 의하여 캠 수단이 회전하고, 슬라이드판에 걸어맞춤하여 이 슬라이드판을 작동 위치로 밀어넣는다.
슬라이드판이 작동 위치로 밀어넣어진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의 제1의 이빨이 없는 부분이 구동기어와의 이 맞물림 위치로 도달하여,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의 회전이 정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드판을 작동 위치로 밀어넣는 상태까지 캠 수단이 회전하였을때 이 캠 수단을 축 방향으로 변위시켜서 이 캠 수단을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에 걸어맞춤 시키는 수단이 형성된다.
이 수단은, 정지시에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가 원래 위치까지 회전 복귀 시키게 될 때, 캠 수단을 동시에 원래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캠 수단이 원래위치로 복귀할 때, 이 캠 수단은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축 방향위치로 되돌아가,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와의 걸어맞춤이 떨어진다.
[발명의 실시 하기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적인 구성]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시한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장치는, 베이스(1)와 베이스(1)위에 배치된 슬라이드판(2)을 갖는다. 슬라이드판(2)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L"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긴구멍(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구멍(2a)이 베이스(1)위에 형성된 핀(1a)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도록 걸어맞춤 되어있고 슬라이드판(2)은 베이스(1) 위에서 제2도에 화살표(A)로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다.
슬라이드판(2)위에는, 자기 헤드(3)가 브라켓트(4)에 의해 붙임고정 되어있다.
또한, 슬라이드판(2)위에는, 핀치로울러 아암(5)이 축(6)에 의하여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도록 붙임고정되고, 이 핀치로울러 아암의 자유끝단에는 핀치로울러(7)가 회전할 수 있도록 붙임고정 된다.
축(6)의 둘레에는 스프링(8)이 감겨져 있고, 이 스프링(8)의 한끝단(8a)는 핀치로울러 아암(5)상에 형성된 핀(9)에 접촉하고 있다.
스프링(8)의 다른끝단(8b)은 자유로운 상태로 있다.
또한, 슬라이드판(2)위에는 핀치로울러 아암(5)의 제2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스톱퍼(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위에는 전동 모우터(1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전동 모우터(10)의 출력축(10a)은 베이스(1)의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이 출력축(10a)에 구동 풀리(11)가 붙임고정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에는, 테이프 카세트의 감기 리일에 걸어맞춤하는 감기 리일축(12) 및 테이프 카세트의 공급 리일에 걸어맞춤하는 공급 리일 축(13)이 주지의 실시예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리일축(12), (13)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캡스턴(14)이 배치되어 있다.
캡스턴(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아래쪽으로 뻗은 캡스턴 축(14a)은 베이스(1)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있고, 아래끝단부에 피 구동풀리(15)가 고정되어 있다.
구동 풀리(11)와 피 구동풀리(15)와의 사이에는 벨트(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벨트(16)를 통하여 피 구동풀리(15) 및 캡스턴(14)이 모우터(10)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캡스턴축(14a)에는, 풀리(15)보다 위쪽의 위치에서, 큰 구동기어(17) 및 작은 구동기어(18)의 2개의 구동기어가 고정되어 있다.
큰 구동기어(17)에는 한쪽면에서, 아이들 기어(19)가, 반대쪽에서 아이들 기어(20)가 각각 이맞물림하고 있다.
아이들 기어(19), (20)는, 큰 구동기어(17)에 대하여 방사 방향으로 뻗은 아이들 아암(21)의 양쪽 끝단부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도록 붙임고정 되어 있다.
감기 리울축(12)에는 피 구동기어(22)가, 공급 리일축(13)에는 피 구동기어(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아이들 아암(21)은 캡스턴 축(14a)의 둘레를 요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아이들 아암(21)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때에, 아이들 기어(20)가 기어(23)에 이맞물림하여, 아이들 아암(21)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때에, 아이들 기어(19)가 기어(22)에 이맞물림한다.
큰 구동기어(17)가 제1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아이들아암(21)에 반시계 방향의 요동력이 부여되어 큰 구동기어(1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아이들 아암에 시계 방향의 요동력이 부여된다.
다시 제2도로 되돌아가면, 슬라이드판(2)은 스프링(24)에 의하여 앞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있고, 핀치 로울러(7)는 캡스턴(14)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를 슬라이드판(2)의 후퇴 위치라고 부른다.
녹음 재생에 있어서는, 핀치 로울러(7)를 캡스턴(14)방향으로 이동 시키어 테이프 카세트로부터의 테이프를 이 캡스턴(14)과 핀치 로울러(7)와의 사이에 끼워서, 이 테이프에 보내는 힘을 부여한다.
이 상태를 슬라이드판(2)의 작동 위치라고 부른다.
또한, 빨리보내기 및 되감기에 있어서는, 핀치 로울러(7)를 캡스턴(14)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핀치 로울러(7)의 위치의 제어는 슬라이드판(2)의 이동에 의하여 행한다.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스턴(14)보다 앞쪽 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에 축(25)이 형성된다.
이 축(25)의 아래부분에는 작은 피 구동기어(26)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되고, 이 작은 피 구동기어(26)의 위쪽에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있다.
작은 피 구동기어(26)와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와의 사이에는 펠트와 같은 마찰재료에로써 형성된 마찰판(28)이 배치되어 있다.
축(25)위에는,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보다 위쪽의 위치에, 캠(29)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있다.
캠(29)의 위쪽에서, 축(25)위에는 정지판(30)이 형성되어, 이 캠(29)이 위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베이스(1)의 아래쪽에는 지지판(31)이 배치되어 있고, 이 지지판(31)과 작은 피 구동기어(26)와의 사이에 스프링(32)이 배치되어, 이 기어(26)를 기어(27)를 향해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
또한, 캠(29)과 기어(27)와의 사이에 스프링(33)이 배치되어 기어(27)를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피구동기어(26)는 큰 구동기어(17)에 이맞물림하고,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는 작은 구동기어(18)에 이맞물림한다.
제15도에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 및 캠(29)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는 외치차로써, 윗면에 축(25)에 동축인 원호형상의 돌기(27a)를 갖는다.
돌기(27a)는 180°보다 약간 큰 각도 범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한쪽 끝단을 건넌 외치차를 제거한 이빨이 없는 부분(27b)을 갖는다.
또한, 돌기(27a) 다른쪽 끝단에서 떨어진 위치에 제2의 이빨 없는 부분(27)을 갖는다.
또한 이빨이 없는 부분(27b), (27c)의 사이에는 돌기(27d)가 형성되고, 원호 형상 돌기(27a)의 바깥쪽의 위치에 돌기(27e)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7d)와 돌기(27e)와의 동일의 반경 위치에 있다.
또한, 원호형상돌기(27a)의 안쪽에는 돌기(27f)가 형성되어 있고, 이빨이 없는 부분(27b)과 돌기(27e)의 사이에는 개구(27g)가 형성되어 있다.
캠(29)은,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캠 돌기(29a)와 제2캠돌기(29b)를 가지며, 또한 캠 돌기(29a), (29b)의 사이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뻗은 아암(29c)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29c)의 앞끝단에는 아래방향으로 돌출하는 핀(29d)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29d)은,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회전할 때 돌기(27d) 또는 돌기(27e)에 걸어맞춤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캠 돌기(29a), (29b)은 슬라이드판(2)의 테두리에 걸어맞춤 할 수 있는 높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작은 구동기어(18)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었을 때, 그 회전 방향에 따라서, 돌기(27d) 또는 돌기(27e)가 캠(29)의 아암(29c)위의 핀(29d)에 걸어맞춤하여, 이 캠(29)을 회전시킨다.
이 캠(29)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방향을 따라서 캠(29)의 돌기(29a), (29b)의 어느 것이나 슬라이드판(2)의 테두리에 걸어맞춤하고, 이 슬라이드판(2)을 스프링(24)의 작용에 대향하여 제1도에서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위의 돌기(27f)는, 위쪽에 슬라이드판(2)의 높이까지 뻗어,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제1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하였을 때 이 슬라이드판(2)을 스프링(24)의 작용에 대하여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돌기(27f)에 의한 슬라이드판(2)의 이동량은, 후퇴 위치와 작동 위치와의 사이의 중간 위치까지인 것이다.
캠(29)에는,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캠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술의 돌기(27f)를 받아넣는 홈(27h)이 형성되어 있다.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이들 아암(21)에는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기어(27)의 방향으로 뻗어진 연장부(21a)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21a)의 앞끝단부에 아래방향으로 돌출하는 핀(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21b)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기어(27)상의 원호형상돌기(27a)에 걸어맞춤하여, 아이들 아암(21)이 제15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제1도, 제2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2)에는 아이들 아암(21)상의 아이들 기어(20)의 축(20a)에 걸어맞춤하여 아이들 아암(2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2c)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위에는, 슬라이드판(2)을 상술의 중간위치에 유지하는 로크기구(35)가 형성된다.
이 로크기구(35)를 상세하게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낸다. 로크기구(35)는, 슬라이드판(2)의 측면부분 아래쪽에서 베이스(1)위에 핀(36)에 의하여 요동이 자유롭도록 붙임고정된 로크판(37)을 가지며, 이 로크판(37)은 스프링(38)에 의하여 제11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있다.
로크판(37)은 측면 테두리에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로크네일(37a)을 가지며, 이 로크네일(37a)의 뒤에는 경사면(3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네일의 측면 연장부(37c)가 형성되어, 이 연장부(37c)의 앞끝단은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39)는 로크판(37)의 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스톱퍼이다.
슬라이드판(2)에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으로 돌출하는 핀(40)이 형성되고, 이 핀(40)은 슬라이드판(2)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1도에서 (40a)로써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판(37)의 경사면(37b)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그리고, 로크판(37)은 스프링(38)의 힘을 가하는 힘에 의하여 제11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다.
슬라이드판(2)이 스프링(24)의 작용에 대항하여 작동 위치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핀(40)은 경사면(37b)에 닿아서 이 경사면(37b)의 캠 작용에 의하여 로크(37)를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 시키면서 제11도의 화살(B)방향으로 이동한다.
핀(40)이 로크판(37)의 네일(37a)을 통과하면, 핀(40)은 제11도에서 (40b)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네일(37b)에 로크 걸어맞춤하는 상태로 된다.
이 위치가, 슬라이드판(2)의 상술한 중간 위치이다.
이 중간 위치에서는, 슬라이드판(2)은 핀(40)이 로크판(37)의 로크네일(37a)에 걸어맞춤하기 때문에, 이 중간위치에 로크된다.
로크판(37)은 제11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 위치로 유지된다.
슬라이드판(2)이 작동 위치에 도달하면, 핀(40)은 제11도에(40c)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판(37)의 연장부(37c)로부터 어긋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서 로크판(37)은 제11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복귀한다.
이 상태로서 슬라이드판(2)이 스프링(24)의 작용에 의하여 화살표(B)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되돌아갈 때, 핀(40)은 로크판(37)의 연장부(37c)의 경사면에 닿아서, 이 로크판(37)을 점선(37d)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져 로크판(37)의 위쪽을 통과한다.
[제어회로]
제13도에 이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모우터(10)의 제어회로를 나타낸다.
모우터(10)에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등으로써, 구성되는 제어회로(41)의 출력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41)의 입력은 되감기 스위치(42), 빨리보내기 스위치(43), 녹음 재생 스위치(44) 및 정지 스위치(45)가 접속되어 있다.
되감기 작동 할 때에 스위치(42)를 접속하면, 모우터(10)에는 제14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감기 방향의 전류가 공급된다.
되감기 작동으로부터 정지 스위치(45)를 접속하면, 소정기간 만큼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른후, 전류의 공급이 끊어지게 된다.
다음에 빨리보내기 스위치(43)를 접속하면, 모우터(10)에는 제1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내기 방향으로 전류가 공급된다.
이어서, 정지 스위치(45)를 접속하면, 반대방향으로 소정시간 만큼 전류가 공급된후, 전류가 끊어지게 된다.
녹음 재생 스위치(44)를 접속하면, 제14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회전 방향으로 소정기간 만큼 전류가 흐른후 정회전 방향으로 전류가 공급된다.
정지 스위치(45)를 접속하면 역회전 방향으로 소정기간 만큼 전류가 흐른 후, 전류 공급이 끊어진다.
[작동(되감기)]
되감기 작동시에 있어서, 풀리(15)가 제1도에 나타낸 정지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이 풀리(15)의 회전에 의하여 기어(17), (18)가 동일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26), (27)를 시계방향으로 구동한다.
기어(2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기어(27)의 돌기(27f)가 먼저 슬라이드판(2)의 테두리에 걸어맞춤하여 이 슬라이드판(2)을 약간 스프링(24)의 작용에 대항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돌기(27d)가 캠(29)의 아암(29c)위의 핀(29d)에 걸어맞춤하여 이 캠(29)을 시계방향을 회전시킨다.
캠(29)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캠(29)위의 캠 돌기(29a)가 슬라이드판(2)의 테두기에 걸어맞춤하여, 이 슬라이드판(2)을 스프링(24)의 작용에 대항하여 이동시킨다.
이 상태를 제5도에 나타낸다.
이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제1의 이빨이 없는 부분(27b)이 기어(18)와의 이맞물림 위치로 도달하고, 기어(27), (18) 사이의 이맞물림이 떨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회전은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큰 구동기어(17)의 회전이 아이들 기어(20)에 전달되고, 그 반력에 의하여 아이들 아암(21)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어, 아암(21)이 요동하여 기어(20)가 공급쪽 리일축의 기어(23)에 이맞물림한다.
따라서, 기어(17)로부터 기어(20)를 통하여 기어(23)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테이프의 되감기가 행해진다.
이 되감기 작동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판(2)은 작동 위치까지는, 이동하지 않고, 핀치로울러(7)는 캡스턴(14)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감기 작동 상태에서는, 캠(29)의 돌기(29a)가, 슬라이드판(2)을 최대 스크록크 위치까지 밀어 넣는 시점위치를 통과하여 더욱 약간 회전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판(2)에 작용하는 스프링(24)의 힘에 의하며 캠(29)이 반시계 방향으로 밀어되돌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위치에서는, 캠(28)의 아암(29c)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의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스톱퍼(1b)에 닿기 때문에, 캠(29)의 시계 방향의 회전도 저지된다.
되감기 작동 상태에서 정지 스위치(45)가 접속되면, 제14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우터(10)에는 역방향의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모우터(10)는 기어(17)를 제1도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어, 그 기어(17)의 회전은 피구동기어(26)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한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는 마찰판(28)을 통하여 기어(26)에 마찰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기어(26)의 회전은 마찰력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에 전달되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회전한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소량만큼 회전하였을때에,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와 구동기어(18)와의 이맞물림한다.
구동기어(18)는 기어(17)와 동일하게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는 구동기어(18)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된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회전에 따라서,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위의 돌기(27f)가 캠(29)에 걸어맞춤하여 이 캠(29)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캠(29)의 회전에 의하여 캠(29)의 돌기(29a)가 슬라이드판(2)의 테두리로부터 벗어나, 슬라이드판(2)는 스프링(24)의 작용에 의하여, 후퇴위치로 복귀한다.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제1도에 나타낸 위치로 복귀하였을때에, 모우터(10)가 정지한다.
캠(29)은 아암(29c)에 대하여 직경 방향의 반대쪽에 형성된 직선 테두리(29i)가 슬라이드판(2)의 테두리에 걸어맞춤하여 밀기 때문에,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직선 테두리(29i)가 슬라이드판(2)의 테두리를 따르는 위치가지 회전시키게 된다.
[작동(빨리 보내기)]
빨리 보내기 작동에 있어서는, 모우터(10)는 테이프 공급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모우터(10)의 회전에 의하여, 기어(17), (18)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는 기어(18)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때에, 캠(29)은 그 직선테두리(29i)가 슬라이드판(2)의 테두리에 걸어맞춤한 상태로 있기 때문에, 회전이 저지된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제7도의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6도의 위치에 도달하면, 슬라이드 아암(21)의 연장부(21a)위의 핀(21b)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돌기(27a)와의 걸어맞춤으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아이들 아암(21)은 요동이 자유롭게 되며, 기어(17)로부터 부여되는 구동력의 반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들 기어(19)를 감기 리일축상의 기어(22)에 걸어맞춤시킨다.
그후는, 기어(17)로부터 아이들 기어(19)를 통하여 기어(22)가 구동되어 테이프가 감기리일에 고속으로 감기게 된다.
이 위치에서는,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제2의 이빨이 없는 부분(27c)이 구동기어(18)와의 이맞물림 위치에 있고,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은 구동기어(18)와의 이맞물림이 벗어나기 때문에, 정지한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돌기(27e)가 캠(29)의 아암(29c)상의 핀(29d)에 걸어맞춤하고 있고, 캠(29)은 테두리(29i)가 슬라이드판(2)의 테두리에 걸어맞춤하여 회전이 구속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는, 기어(26)으로부터 마찰판(28)을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일은 없다.
보내기 작동 상태에서 정지 스위치(45)를 접속하면, 모우터(10)에는 제1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회전 방향의 전류가 공급된다.
모우터(10)의 회전에 의하여, 기어(17), (18)가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어 기어(17)에 의하여 피 구동기어(26)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이 피 구동기어(26)의 회전은 마찰판(28)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에 전달되어,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소량만큼 회전하였을 때,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구동기어(18)에 이맞물림하고, 이후는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는 기어(18)에 의하여 구동된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제1도에 나타낸 위치까지 복귀하였을때, 모우터(10)의 작동이 정지된다.
[작동(녹음재생)]
녹음재생 작동에 있어서는 제14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우터(10)에는 먼저 역회전 방향의 전류가 공급된다.
이 모우터(10)의 회전에 의해, 기어(17), (18)가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 결과,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제9도에 화살표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회전에 따라,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위의 돌기(27f)가 슬라이드판(2)의 테두리에 걸어맞춤하여, 이 슬라이드판(2)을 스프링(24)의 작용에 대항하여 작동위치의 방향으로 민다.
슬라이드판(2)이 상술한 중간 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 이 슬라이드판(2)위의 핀(40)이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로크기구(35)의 로크판(37)에 형성한 로크네일(37a)에 걸어맞춤하여, 제11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된다.
슬라이드판(2)이 이 위치에 있는 상태를 제9도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모우터(10)에 정회전 방향의 전류를 공급한다.
이 모우터(10)의 회전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는 기어(18)를 통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고,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돌기(27e)가 캠(29)의 아암(29c)상의 핀(29d)에 걸어맞춤하여, 이 캠(29)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캠(29)의 이 회전에 따라, 캠 돌기(29b)가 슬라이드판(2)의 테두리에 걸어맞춤하여 이 슬라이드판(2)을 중간위치에 더욱 작동위치로 구동한다.
슬라이드판(2)이 작동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제1의 이빨이 없는 부분(27a)이 기어(18)와의 이맞물림 위치로 온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회전은 정지한다.
이 상태를 제10도로 나타낸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29)의 돌기(29b)의 앞끝단부는 위쪽에 돌출하는 핀 형상으로써, 이 위치에서 캠(29)은 핀치로울러 아암(5)의 스프링(8)에 걸어맞춤하여 이 스프링(8)을 캡스턴(14)의 방향으로 밀고, 그 작용에서 아암(5) 및 핀치로울러(7)를 캡스턴(14)에 향하여 힘을 가한다.
따라서, 핀치로울러(7) 사이에 테이프를 끼운 상태에서 캡스턴(14)으로 누르게 되어, 캡스턴(14)에 부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테이프가 전송된다.
베이스(1)의 아랫면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29)이 제10도에 나타낸 작동 위치에 도달하기전에, 이 캠(29)의 아암(29c)의 끝단부에는 걸어맞춤하여 이 캠을 축방향 아래쪽으로 밀어내는 경사면(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1c)의 작용에 의하여, 캠(29)은 제10도에 나타낸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서, 축방향 아래쪽으로 밀어내리게 되어, 아암(29c)의 앞끝단의 핀(29d)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에 형성한 개구(27g)에 걸어맞춤 한다.
제10도에 나타낸 위치에서는, 캠(29)의 아암(29c)의 앞끝단부가, 베이스(1)의 아랫면에 돌출 형성한 제3도, 제4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톱퍼(1d)에 걸어맞춤하여, 회전이 저지된다.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는, 그 개구(27g)가 캠(29)의 아암(28)상의 핀(29d)에 걸어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도, 기어(17)로부터 마찰판(28)을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일은 없다.
녹음 재생 작동 상태에서 정지 스위치(45)를 접속하면, 모우터(10)에 역회전 방향의 전류가 공급된다.
모우터(10)의 회전으로, 큰 구동기어(17)를 통하여 작은 피 구동기어(26)가 회전 구동되어, 이 기어(26)의 회전은 마찰판(28)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에 전달된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제10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가 구동기어(18)와 이맞물림 상태로 된다.
그 이하는,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는 구동기어(18)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캠(29)은 핀(29d)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개구(27g)에 걸어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적으로 이빨이 없는 기어(27)의 회전에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캠(29)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드판(2)이 스프링(24)의 작용에 의하여 후퇴 위치로 향하여 이동된다.
이 슬라이드판(2)의 이동에 있어서는, 이 슬라이드판(2)위의 핀(40)은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기구(35)의 위치에서 로크판(37)의 연장부(37c)위의 경사면의 위를 통과하여 후퇴 위치로 복귀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헤드와 핀치로울러를 지지하는 슬라이드판이, 녹음재생 작동시에 있어 캠의 작용에 의하여 작동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에서와 같이 슬라이드판을 후퇴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자기 솔레노이드 수단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장치가 전체로서 소형 또는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녹음 재생중에 항상 솔레노이드 수단을 여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력의 소비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Claims (16)
-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캡스턴(14)수단과, 공급리일 축(13) 및 감기리일 축(12)을 포함하는 리일축수단과, 자기헤드(3) 및 핀치로울러(7)수단을 지지하는 슬라이드판(2)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판(2)은 상기 핀치로울러(7)수단을 상기 캡스턴(14)수단과 협동하는 작동위치와, 상기 핀치로울러(7)수단이 상기 캡스턴(14)수단으로부터 떨어져서 유지되는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가동되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녹음재생 작동 및 되감기 작동을 위해서 상기 구동원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녹음재생 작동이 행하게 될 때의 작동 개시 초기에 소정량 만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슬라이드판(2)을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 캠(29)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캡스턴(14)수단과, 공급리일축(13)에 형성된 공급축 기어 및 감기리일 축(12)에 형성된 감기축 기어와, 자기헤드(3) 및 핀치로울러(7)수단을 지지하는 슬라이드판(2)과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판(2)은 상기 핀치로울러(7)수단이, 상기 캡스턴(14)수단과 협동하는 작동위치와 상기 핀치로울러(7)수단이 상기 캡스턴(14)수단으로부터 떨어져 유지되는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가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구동기어 수단과, 녹음재생 작동, 빨리보내기 작동 및 되감기 작동을 위해 상기 구동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녹음재생 작동, 빨리보내기 작동 및 되감기 작동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기어 수단을 상기 공급축 기어 및 상기 감기축 기어의 어느것인가가 구동 결합하는 구동결합 수단과, 소정량만큼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슬라이드판(2)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슬라이드판(2)을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캠(29)수단과, 상기 녹음재생 작동의 초기에, 상기 캠(29)수단을 상기 소정방향 회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캠(29)수단을 상기 구동기어 수단에 연결하는 캠(29)구동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캠(29)구동수단은, 상기 캠(29)수단과 동축에 배치된 피 구동기어(22), (23)수단을 가지며, 상기 피 구동기어(22), (23)수단은 상기 구동기어 수단과 이맞물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피 구동수단(22), (23)수단에는 상기 캠(29)수단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캠(29)수단을 회전구동하는 돌기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녹음재생 작동의 초기에 상기 구동기어 수단에 의하여 구동되었을 때 상기 돌기수단이 상기 캠(29)수단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캠(29)수단을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피 구동기어(22), (23)수단에는 상기 캠(29)수단에 상기 소정량의 회전을 하였을 때 상기 캠(29)수단의 구동을 정지하는 캠구동 정지수단이 형성된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피 구동기어(22), (23)수단은, 상기 구동기어 수단과 항상 이맞물림하는 제1피 구동기어(22)와, 상기 제1피 구동기어(22)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피 구동기어(22)에 마찰 접촉하는 제2피 구동기어(23)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는 상기 구동기어 수단과 이맞물림 되었고, 상기 캠구동 정지수단은, 상기 캠(29)수단이 상기 소정량만큼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와 상기 구동기어 수단과의 이맞물림을 떼는 수단인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이맞물림 떼는 수단은, 상기 캠(29)수단이 상기 소정량 만큼 회전하였을 때, 상기 구동기어 수단과의 이맞물림 위치에 오도록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에 형성한 이빨이 없는 부분(27c)인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상기 녹음재생 작동의 정지시에 상기 구동원을 녹음재생 작동시의 보내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어, 상기 제1피 구동기어(22)와의 마찰접촉에 의하여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를 상기 구동기어 수단과의 이맞물림이 발생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고, 또한, 소정량 만큼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의 회전을 계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와 상기 캠(29)수단과의 사이에는 상기 역방향의 회전시에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을 상기 캠(29)수단에 걸어맞춤시키어 상기 캠(29)수단을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걸어맞춤 수단이 형성된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6항에 있어서, 걸어맞춤 수단은, 상기 캠(29)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를 향해 뻗도록 상기 캠(29)수단에 형성된 핀수단과, 상기 핀수단에 걸어맞춤할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에 형성된 개구(27g)로써 구성되고, 상기 캠(29)수단이 상기 소정량만큼 회전한 위치의 근방의 영역에서 상기 캠(29)수단을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핀을 상기 개구(27g)에 걸어맞춤시키는 캠(29)이동수단이 형성된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2항에 있어서, 구동결합수단은 요동 가능한 아이들 아암(21)의 양쪽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1쌍의 아이들 기어(19), (20)로써 구성되고, 상기 1쌍의 아이들 기어(19), (20)는 상기 구동기어 수단에 이맞물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아이들 아암(21)은 상기 아이들 기어(19), (20)의 어느 것이나, 상기 공급축 기어와 상기 감기축 기어의 어느것에도 걸어맞춤하지 않은 중립위치와, 상기 아이들 기어(19), (20)의 한쪽의 상기 공급축 기어와 상기 감기축 기어의 한쪽에 이맞물림하는 제1위치와, 상기 아이들 기어(19), (20)의 다른쪽이 상기 공급축 기어와 상기 감기축 기어의 다른쪽에 이맞물림하는 제2위치에 요동 가능한 것이며, 상기 슬라이드판(2)에는 상기 아이들 아암(21)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를 향해 요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가 형성되고, 상기 캠(29)구동수단은, 상기 빨리보내기 작동 및 상기 되감기 작동의 어느 것이나 한쪽의 작동시에 상기 캠(29)수단을 회전시키어 상기 슬라이드판(2)을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위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톱퍼를 상기 아이들 아암(21)으로부터 떨어뜨려 상기 아이들 아암(21)을 해방하도록 구성한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아이들 아암(21)이 상기 제2위치를 향해 요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2스톱퍼(1d)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톱퍼(1d)는 상기 빨리보내기 작동 및 상기 되감기 작동의 어느것이나 다른쪽의 작동시에 해제되도록 구성된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캡스턴(14)수단과, 공급리일 축(13)에 형성된 공급축 기어 및 감기 리일축(12)에 형성된 감기축 기어와, 자기헤드(3) 및 핀치로울러(7)수단을 지지하는 슬라이드판(2)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판(2)은 상기 핀치로울러(7)수단이 상기 캡스턴(14)수단과 협동하는 작동위치와 상기 핀치로울러(7)수단이 상기 캡스턴(14)수단으로부터 떨어져 유지되는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가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캡스턴(14)수단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 수단과, 녹음재생 작동, 빨리보내기 작동 및 되감기 작동을 위하여, 상기 구동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캡스턴(14)수단의 축(6), (10a), (14a), (20a), (25)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양쪽끝단에 상기 구동기어 수단으로 이맞물림하는 1쌍의 아이들 기어(19), (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이들 아암(21)이 형성되고, 상기 아이들 아암(21)은, 상기 1쌍의 아이들 기어(19), (20)의 어느것이나 상기 공급축 기어 및 상기 감기축 기어의 어느것에도, 이맞물림하지 않은 중립위치와, 상기 아이들 기어(19), (20)의 한쪽이 상기 공급축 기어 및 상기 감기축 기어의 한쪽에 이맞물림하는 제1위치와, 상기 아이들 기어(19), (20)의 다른쪽이 상기 공급축 기어 및 상기 감기축 기어의 다른쪽에 이맞물림하는 제2위치와의 요동 가능한 것이며, 상기 구동기어 수단에 이맞물림하는 제1피 구동기어(22)와, 상기 제1피 구동기어(22)와 동축에서 상기 제1피 구동기어(22)에 마찰접촉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 수단에 이맞물림하도록 배치된 제2피 구동기어(23)와,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에 면하도록 상기 제1, 제2피 구동기어(22), (23)에 동축으로 배치된 캠(29)이 또한 형성되고,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는, 상기 녹음재생 작동의 초기에 상기 캠(29)을 소정량만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걸어맞춤 수단을 가지며, 상기 캠(29)은 상기 회전을 하였을때에 상기 슬라이드판(2)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슬라이드판(2)을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에 배치된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상기 녹음재생 작동 상태에서, 정지할때에 상기 구동원을 녹음재생 작동의 때의 보내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에는 상기 역방향의 회전시에 상기 캠(29)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캠(29)을 회전시키어 상기 슬라이드판(2)이 상기 작동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위치로 되돌려 지도록 하는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판(2)에는 상기 아이들 아암(21)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를 향해 요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1스톱퍼(1b)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에는, 상기 되감기 작동시에 상기 캠(29)수단을 회전시키어 상기 슬라이드판(2)을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위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스톱퍼(1b)를 상기 아이들 아암(21)으로부터 떨어뜨려 상기 아이들 아암(21)을 해방하도록 구성된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에는 상기 아이들 아암(21)이 상기 제2위치를 향해 요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2스톱퍼(1d)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톱퍼(1d)는 상기 빨리보내기 작동시에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가 회전할 때 해제되도록 구성된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10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녹음재생 작동시에 상기 구동원을 녹음재생 작동에 있어서의 보내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소정량만큼 회전시키고, 그 다음에 상기 보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된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제2피 구동기어(23)에는, 상기 제1스톱퍼(1b)가 상기 아이들 아암(21)으로부터 떨어지는 위치까지 상기 캠(29)수단이 회전하였을 때 상기 구동기어 수단에 면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상기 구동기어 수단과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의 사이의 이맞물림 때는 제1이빨이 없는 부분(27b)을 가지는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제2피 구동기어(23)에는 상기 제2스톱퍼(1d)가 해제되는 위치까지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가 회전하였을 때 상기 구동기어 수단에 면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상기 구동기어 수단과 상기 제2피 구동기어(23)와의 사이의 이맞물림때는 제2이빨이 없는 부분(27c)을 가지는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1988/001012 WO1990004250A1 (en) | 1988-10-04 | 1988-10-04 | Driving mechanism of tape recor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702523A KR900702523A (ko) | 1990-12-07 |
KR940002079B1 true KR940002079B1 (ko) | 1994-03-16 |
Family
ID=1393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700329A KR940002079B1 (ko) | 1988-10-04 | 1988-10-04 |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214551A (ko) |
KR (1) | KR940002079B1 (ko) |
GB (1) | GB2229853B (ko) |
WO (1) | WO199000425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395490B (de) * | 1991-03-01 | 1993-01-25 | Philips Nv | Taschendiktiergeraet |
KR940007424B1 (ko) * | 1992-01-30 | 1994-08-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테이프 레코더의 릴 구동 장치 |
JP2689206B2 (ja) * | 1992-10-16 | 1997-12-10 |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 テープレコーダ |
DE4404056C2 (de) * | 1994-02-09 | 1996-03-14 | Grundig Emv | Elektromechanisch gesteuertes Kassetten-Laufwerk |
JP3234849B2 (ja) * | 1995-03-08 | 2001-12-04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テーププレーヤのモード切換装置 |
KR0179247B1 (ko) * | 1996-02-22 | 1999-04-15 | 구자홍 | 비디오기기의 핀치롤러 장치 |
US5729402A (en) * | 1996-03-13 | 1998-03-17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Logic controlled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
JPH09259486A (ja) * | 1996-03-22 | 1997-10-03 | Asahi Corp:Kk | カセットテープの駆動装置 |
JP3805155B2 (ja) * | 1999-12-14 | 2006-08-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56166B2 (ja) * | 1976-12-27 | 1983-12-1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テ−プレコ−ダ |
JPS55139650A (en) * | 1979-04-15 | 1980-10-31 | Giken Eng Kk | Operation change-over unit of tape recorder |
JPS58146047A (ja) * | 1982-02-23 | 1983-08-3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テ−プレコ−ダの駆動装置 |
JPS61172141U (ko) * | 1985-04-11 | 1986-10-25 | ||
JPS6482353A (en) * | 1987-09-24 | 1989-03-28 | Sankyo Seiki Seisakusho Kk | Mode switching mechanism for tape recorder |
KR910005104B1 (ko) * | 1987-11-19 | 1991-07-22 | 알프스뎅키 가부시키가이샤 | 테이프 플레이어 |
JP2936545B2 (ja) * | 1988-06-24 | 1999-08-2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走査プローブ顕微鏡 |
DE68926983T2 (de) * | 1988-06-09 | 1997-03-27 | Sanyo Electric Co | Magnetisches Band-Aufnahme und -Wiedergabegerät |
JP2691193B2 (ja) * | 1988-08-10 | 1997-12-17 |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 テープレコーダの動作切換機構 |
US5005094A (en) * | 1988-12-12 | 1991-04-02 | Alps Electric Co., Ltd. | Mode changeover mechanism with flat cam surface for a tape player |
-
1988
- 1988-10-04 WO PCT/JP1988/001012 patent/WO1990004250A1/ja unknown
- 1988-10-04 US US07/938,587 patent/US5214551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8-10-04 KR KR1019900700329A patent/KR9400020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
- 1990-04-30 GB GB9009698A patent/GB2229853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1990004250A1 (en) | 1990-04-19 |
GB2229853A (en) | 1990-10-03 |
US5214551A (en) | 1993-05-25 |
KR900702523A (ko) | 1990-12-07 |
GB9009698D0 (en) | 1990-07-18 |
GB2229853B (en) | 1993-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46436A (en) | Automatic shutoff mechanism for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 |
KR940002079B1 (ko) | 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장치 | |
US4964589A (en) | Mode changing mechanism for a tape player | |
US3582013A (en) | Tape recorder/reproducer deactivating device | |
KR930001875B1 (ko) | 테이프 레코더 동작 절환기구 | |
JPH0535461Y2 (ko) | ||
JPS58137156A (ja) | テ−プ終端検出装置 | |
US4599662A (en) | Mechanism for driving a tape recorder | |
JP3336616B2 (ja) | テープ駆動装置 | |
US3666208A (en) | Automatic tape transducer mechanism | |
JP2727338B2 (ja) | テープレコーダの駆動装置 | |
WO1984003789A1 (en) |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 |
JPS6144293Y2 (ko) | ||
CA1334770C (en) |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with single drive source | |
JPH0379781B2 (ko) | ||
KR900002379B1 (ko) |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감기 종료 검출장치 | |
JPH0514343Y2 (ko) | ||
JPH0430676Y2 (ko) | ||
KR910005800B1 (ko) |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변환 기구 | |
JPH082821Y2 (ja) | テーププレーヤ | |
JPS5935879Y2 (ja) | フライホイ−ル装置 | |
KR820000893B1 (ko) |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시동장치 | |
JP2548139B2 (ja) | テ−プレコ−ダ | |
JPH0533469B2 (ko) | ||
JPH0814905B2 (ja) | テ−プレコ−ダの動作モ−ド選択切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119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