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876B1 -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 Google Patents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76B1
KR940001876B1 KR1019860700627A KR860700627A KR940001876B1 KR 940001876 B1 KR940001876 B1 KR 940001876B1 KR 1019860700627 A KR1019860700627 A KR 1019860700627A KR 860700627 A KR860700627 A KR 860700627A KR 940001876 B1 KR940001876 B1 KR 940001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adiation
time
emissivity
radiation d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141A (ko
Inventor
에이취 톰스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에이취 톰스 윌리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취 톰스 윌리암 filed Critical 에이취 톰스 윌리암
Publication of KR87070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01T7/12Provision for actuation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02Dosimeters
    • G01T1/026Semiconductor dose-rate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7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이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이 발명의 여러 구성부분의 상호동작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제3a도 및 제3b도는 이 발명에 근거한 전체 방사선 탐지장치의 다른 구성성분을 나타낸 도면.
제4, 5a, 5b, 6a-6e, 7a, 7b, 8a-8c, 9a, 9b 및 10a-10e도는 여러 사용 상황하에서 표시장치(30)(제2도)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외형을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남은시간 계산의 설명에 유용한 도면.
제13도는 예상 방사량 계산의 설명에 유용한 도면.
제14도는 최초호기 및 남은 쇠퇴시간 계산의 설명에 유용한 도면.
제15도는 제11도의 실시예에 대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이 발명은 개선된 방사선 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사율 및 총방사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양들을 이용한 계산으로 산출된 몇가지 다른 양들과 함께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방사선 레벨의 탐지는 2가지 다른 환경에서 중요한 분야이다. 핵발전소 산업에서는, 사람이 눈에 띄지 않는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은 건강보호를 위해 탐지되어야 한다. 정상가동시에, 이러한 문제는 비교적 간단하고 값싼 장치를 사용하여 해결되었다. 그밖에, 정화(clean-up) 작업을 요하는 방사선 누출의 경우와 같은 비상사태에서는, 이러한 정확작업 과정에서 방사선 레벨에 노출된 개개인은 자신들의 노출상태 역시 감시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후자의 상황에서는 더 복잡한 문제가 제기되는데, 이는 나타날 방사선 레벨의 예측이 쉽게 되지 않기 때문으로, 이 레벨은 통상 정상에 가까운 상황에서 나타나는 레벨보다 높다. 더 높은 방사선 레벨이라는 것은 개인의 노출상태가 빠르게 안전한계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방사율은 물론 방사선량을 실시간으로 지시해줄 수 있는 장치를 소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이 발명의 설계 목적으로 된 한가지 이용분야이다.
전혀 다른 상황으로 들어가서, 핵공격이나 핵무기의 우연한 폭발이 발생한 경우 더욱 심한 방사선 레벨하에서의 방사선 탐지가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방사선 레벨이 핵발전소 산업에서 나타나는 것의 수배나 높다. 따라서 방사선에 노출된 개인에게 그가 받고 있는 방사율은 물론 총방사선량을 즉시 지시해주는 능력은 한층 더 중요하다.
종래의 기술에서 이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들을 지적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에릭슨(Erickson)의 미합중국 특허 제3,878,496호; 마아샬(Marshall), Ⅲ 외의 미합중국 특허 제3,984,690호; 이스트(East)의 미합중국 특허 제4,103,164호; 미야가와 외의 미합중국 특허 제4,105,918호; 휴로트(Hulot) 외의 미합중국 특허 제4,284,892호; 엥달(Engdal)의 미합중국 특허 제4,320,393호; 폭스(Fox)의 미합중국 특허 제4,415,237호 및 마스테인(Mastain)의 미합중국 특허 제4,480,311호가 있다. 대체로 이 장치들은 휴대형이기도 하고, 총방사선량을 제공하도록 방사선을 적분할 수 있는 방사량계 또는 방사선 탐지장치로 되어 있다. 약간의 것들은, 사용자가 선택된 방사량 사전설정하여, 선택된 방사량 레벨이 초과되면 장치에서 어떤 경보가 나오게 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들에 설명된 일부 또는 전체의 기능들(휴대형 장치에서는 예외가 있을 수 있음)을 포함한 실제 시판된 장치들중에는 테크니컬 어소시에이츠(Technical Associates) 모델 PDR-1b 및 PDR-1c; 캐나디언 에스트로노틱스 리미티드(Canadian Astronautics Ltd.) 모델 SID 200; 파나소닉(Panasonic) 모델 ZP-120-01P와 도시미터 코포레이션(Dosimeter Corp.)의 수퍼 대드(Super Dad)가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 및 그밖의 유사 기술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잠재적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사용자에게 그가 미리 선택된 방사선량을 초과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지시하여 주는 것이 부적절한 경우가 있다. 가령, 사용자가 방사선방출 환경에서 즉시 빠져나갈 수 없는 경우에, 경보발생은 이미 더 늦어져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조사되는 방사량을 선택된 레벨 이하로 유지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따라 제공되는 방사선 탐지장치는, 사용자의 최대 희망 방사량을 나타나는 정보를 주면, 현재의 노출율로 그 방사량에 도달하는데 남은 시간을 사용자에게 지시하여 준다. 가령, 방사성 낙진과 같은 어떤 환경에서는 방사율이 일정하지 않고 통상적으로는 지수함수적으로 쇠퇴한다. 따라서, 이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방사선 탐지장치가 소정 감소율에 근거한 추정을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경보 방사량에 도달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진실성 있는 남은 시간의 지시를 하여준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 방사선 탐지장치가 특정 사용자 개인에 의해 유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받은 방사선 노출률을 계속적으로 적분하므로, 표시된 사용자의 방사량 레벨은 사용자의 방사량에 대한 진실성있는 지시가 된다는 것이다. 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탐지된 데이터를 조사할 수 있게 하여 주지만, 방사량을 리세트하거나 0으로 만들 수 없게 한다. 이 발명의 또 다른 중요 특징은, 이 장치가 소형화되어 평상시의 작업에 부담없이 사용자에 편리하게 착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 장치가 전자 인터페이스 포트를 포함하고 있어, 여러 사용자들이 받은 방사량의 기록들을 보존하기 위한 어떤 중앙설비에서 언제든지 "판독"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자에게 선택된 방사량 레벨의 도달에 남은 시간을 지시해주는 것은 물론, 이 장치는 방사율, 방사량 및 남은 시간에 대한 경보 레벨들도 처리한다. 이 장치는 방사율을 경보 방사율에 대해 계속적으로 탐지하여 현재의 방사율이 경보 방사율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일정 방사선량(통상 방사량한계 보다 낮음)을 설정하여 총방사량이 경보 방사량을 초과하는 경우 인식할 수 있는 신호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일정 남은 시간을 설정해주어 남은 시간이 경보 남은시간보다 적어지는 경우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핵폭발을 포함한 여러 상황에 있어서, 사용자는 어떤 피신처 안에서 노출되는 사람보다 더 높은 방사율을 받는다고 생각된다. 사용자는 가령 피신처 바깥의 방사율이 어떤 주어진 레벨에 있을 것을 예측하고 그 자신이 받는 특정 레벨이 예측가능한 선택된 경보 방사량을 초과하기전까지 얼마만큼의 시간이 남아있는지에 관심이 있게 된다. 사용자가 이미 받은 총 방사량은 물론 사용자가 입력하는 파라미터들에 근거하여, 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받는 방사량의 경보 레벨을 초과하지 않고 더 높은 방사율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을 표시해줄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이 계산에는 예상되는 방사선 쇠퇴율이 고려된다.
한편, 필요한 임무에 어떤 주어진 시간이 걸린다면, 사용자는 그 기간동안 어떤 주어진 방사율을 받는다고 하였을 때 그가 받게 되는 방사량이 어느정도인지를 알고자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이 장치는 사용자가 받게 될 최종 방사량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주는데, 이 계산에도 역시 예측되는 방사선 쇠퇴가 고려된다.
세 번째 상황에 있어서, 사용자가 어느 특정 임무기간과 어느 특정방사율 및 방사량 한계로 구속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들에 의해 사용자가 임무에 즉시 관계할 수 없으나, 그보다 사용자는 현재의 방사선 레벨이, 앞으로 어느 시점에서 예측 방사율, 방사량 레벨 및 임무기간 구속이 동시에 충족될 만큼 충분히 쇠퇴되는 데에는 얼마나 기다려야 되는지를 알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하에서, 이 장치는 사용자가 받은 현재 방사량에 관한 현상황을 고려하여 임무수행을 위한 지연시간 또는 최초 호기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
[발명의 개시]
이 발명은 상기 목적 및 그밖의 목적들을 충족하기 위해 방사선 탐지장치를 포함한 장치를 제공하여 탐지기가 받는 현재 방사율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준다. 디지틀 프로세서(가령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마련되어 방사선 탐지기의 출력에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디지틀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로 접속하는 표시장치가 마련되어 검출되고 계산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 이 방사선 탐지장치는 현재 입수가능한 다양한 장치들을 채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 탐지장치는 어떤 시간축으로 사상들(events)을 계수하고, 그 시간 간격동안 디지틀 프로세서에 총계수를 주기적으로 제공한다. 총계수 및 시간간격에 근거하여, 디지틀 프로세서는 어떤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이 계수, 또는 이 계수의 스케일링(scaling)된 값을 미리 누적된 계수에 가산함으로써, 이 계기가 받은 총 방사량을 지시하는 새로운 누적 총량이 유도된다. 프로장치는 이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
디지틀 프로세서에 적절한 프로그램과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가 들어 있어 앞서 말한 데이터에 대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계산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태로 출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끝으로, 디지틀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경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보는 동작되었을 때 가청경고 또는 그 밖의 인식할 수 있는 경고를 제공한다.
사용자에게 남은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서가 방사량 한계 정보를 필요로 한다. 디지틀 프로세서는 방사량 한계 정보를 가지고 총방사량과 방사량 한계 사이의 현재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차이값이 현행 방사율 값으로 나누어지면, 남은시간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남은 시간은 홀로 표시되거나 방사율 및/또는 총방사량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사용자 조작 건반과 이와 관련된 해독기 및 버퍼도 포함된다. 디지틀 프로세서는 건반을 통해 연결되는 방사량한계에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디지틀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전기 인터페이스 포트가 이용되어, 방사량 한계 정보가 이 전기 인터페이스 포트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 포트는 또한 이 장치에 경로 레벨, 및 쇠퇴율과 같은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고, 차례로 이 장치로부터 식별(ID)번호, 방사량과 같은 정보를 수신한다.
방사량 한계 정보에 근거한 남은시간 정보의 계산에 더불어, 이 장치는 또한 경보 방사율 정보, 경보 방사량 정보 및 경보 남은시간 정보에 응답한다. 이 경보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건반을 통해 제공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터페이스 포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정보가 제공되는 방식과는 상관없이, 이 장치는 본래 현재 방사율을 경보 방사율에 계속적으로 비교하고, 현재 방사율이 경보 방사율을 초과하는 사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 이러한 표시는 경보 및/또는 특정 표시상태 가령, 발광(flashing)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같은 식으로, 이 장치는 본래 경보 방사량을 총방사량 정보와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총방사량 정보가 경보 방사량 정보를 초과하는 어떠한 사태라도 역시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
마지막으로, 이 장치는 또한 본래 남은시간 정보를 경보 남은시간 정보와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경보 남은 시간 정보가 현재 남은시간 정보보다 적어질 때 같은 성격의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발광 표시장치는 경보를 기동(trigger)시킨 항목을 밝힌다. 둘이상의 사상이 경보를 기동시켰다면, 어느 항목이 발광 표시될 것인가를 정하기 위해 계층이 고려된다. 계층은 방사량위배, 남은시간 위배 및 방사율 위배이다.
방사선쇠퇴 정보를 예측 또는 추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방사선의 발생원인 핵폭발로부터 지체된 시간 간격을(통상 건반을 통해) 장치에 지시한다. 그 다음 이 장치는 지체시간을 증분한다. 현행 지체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이 장치는 현재 방사율 레벨에서 미래방사율 레벨을 예측할 수 있고, 이러한 예측된 방사율 레벨은 여러 형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예를들어 남은 쇠퇴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남은 쇠퇴시간은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방사량 레벨과 사용자 선택방사량 한계에 따른다. 이 정보로부터, 이 장치는 방사량 한계에 도달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여전히 유효한 방사량을 결정한다. 사용자는 또한 예상되는 방사율 즉, 대개는 사용자가 계속 노출을 받은 방사율이 아니고, 피신처 바깥에서 받게 될 어느 정도 더 높은 방사율 레벨을 입력시킬 수도 있다. 예상 방사율, 예측 쇠퇴율 및 유효 방사량에 근거하여, 이 장치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그의 방사량 한계에 도달하기 전까지 외부방사율을 받게 되는 남은 쇠퇴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간을 미리 정할 수 있는 특정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정상 방사율보다 높은 방사율에 노출되면 사용자는 그가 받게 될 총방사량을 알고자 할 것인바, 이 경우 또 다른 형태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계산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임무 기간과 예상 방사율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으로 주어진다. 그다음 이 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방사량, 사용자의 예상 방사율 및 예측 방사율 쇠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특정 임무를 수행하면서 받게되는 최종 방사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상황에 있어서, 사용자가, 방사율 쇠퇴 및 사용자의 현재 방사량을 고려하여, 현재 예상되는 방사율로 특정 임무(소정기간의)를 수행하면 어떠한 합리적 방사량 한계도 초과될 것으로 결정 또는 추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사용자가 보다 관심을 갖는 것은 특정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최초 호기를 갖기전에 얼마나 지체하여야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현재 예상되는 방사율 레벨, 임무기간)와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정보(사용자의 총방사량)에 근거하여, 미래 시간지연을 결정하기 위한 계산이 실시되는데, 이 시간지연의 만기에서 그때 존재하는(예측되는) 방사율 레벨에서 사용자의 방사량 한계를 초과하지 않고 소정 임무기간동안 임무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이 발명의 목적은, 방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방사선 검출기로서, 상기 방사선 검출기가 노출되는 실시간 방사선 노출율에 관한 방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방사선 검출기와, 상기 방사선 검출기에 응답하여 총방사량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방사율 정보를 적분하는 디지틀 프로세서와,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방사율과 총방사량 정보에 관한 표시를 제공하는 출력수단과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가, 상기 총방사량 정보와 방사량 한계 정보 사이의 차이에 관한 남은 방사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총방사량 정보를 방사량한계 정보에 비교하는 제1수단, 사용자가 상기 발사량한계에 도달하는데 남은 시간에 관한 남은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남은 방사량 정보를 상기 방사율 정보로 나누는 제2수단, 및 상기 남은시간 정보의 표시를 제공하는 상기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제3수단을 포함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방사선 검출기로서, 상기 방사선 검출기가 노출되는 실시간 방사선 노출율에 관한 방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방사선 검출기와, 상기 방사선 검출기에 응답하여 총방사량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방사율 정보를 적분하는 디지틀 프로세서와,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정보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방사율과 총방사량 정보에 관한 표시를 제공하는 출력수단과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가, 미래의 선택된 시간동안에 예측되는 방사선 노출율을 정하기 위해 선택된 방사율 정보로부터 추정하는 제1수단을 포함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방사선 검출기로서, 상기 방사선 검출기가 노출되는 실시간 방사선 노출율에 관한 방사율 정보를 제공하는 방사선 검출기와, 상기 방사선 검출기에 응답하여 총방사량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방사율 정보를 적분하는 디지틀 프로세서와,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방사율과 총방사량 정보에 관한 표시를 제공하는 출력수단과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가, 예측되는 방사선 노출율을 정하기 위해 선택된 방사율 정보로부터 추정하는 제1수단과, 선택된 시간 간격 정보, 경보 방사량 정보 및 상기 예측 방사선 노출을 정보로부터 상기 탐지장치 사용자가 상기 경보 방사량 정보와 일치하는 방사량을 초과하지 않고 상기 시간 간격동안 상기 예측 방사선 노출율에 견딜 수 있는 미래의 시간을 확인하는 기간을 정하는 제2수단을 포함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발명의 최선실시 형태]
제1도는 개인용 방사선 검출장치(10)를 구성하는 이 발명의 1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다. 사용자에 분명한 중요 요소들로는 16개의 건반(수자키(101)와 기능키(102-107)를 포함한 16개의 키), 영숫자표시장치(30) 및 2개의 3단 스위치가 있는데, 스위치(110)는 제1위치에서 표시를 불능화하고, 중간위치에서 표시를 가능화하며 제3위치에서 표시를 밝힌다. 제2의 3단 스위치(120)는 경보제어를 위한 것으로서, 한 위치에서 경보가 불능화되고 두 위치는 두가지의 경보 모우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1모우드에서 경보는 경보 한계가 위배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울림을 발한다. 제2모우드에서 경보는, 추가로, 감지된 방사율과 관련된 속도로 경적을 울린다. 종래의 집적 전자기술을 이용하면, 장치(10)는 소형으로 제조되고 샤쓰 주머니, 벨트등에 부착하는데 편리한 클립(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의 모범 사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제2도에 참조표시되어 구성부부들의 고레벨 블록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제2도는 표시장치(30)를 분명히 나타낸다.
건반(100)은 건반해독, 논리, 버퍼 엘레멘트(108) 및 건반래치(109)와 관련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이 엘레멘트는 건반의 상태를 해독하고 그 정보를 다른 엘레멘트들에 의해 사용되도록 버퍼처리한다. 보통, 어느 특정키가 눌러지면 눌러진 특정키를 식별하는 코드가 발생된다. 제1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장치(10)안에 들어 있는 종래의 방사선 검출기는 검출기(10) 또는 버퍼 엘레멘트(50)와, 연결되어 있다. 이 검출기는 가령 종래의 카드뮴 텔루라이드 검출기가 될 수도 있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래디에이션 모니터링 디바이시스(Radiation Monitoring Devices)에서 제공되는 검출기가 채용된다(울프(wolf)외의 기고로 핵과학에 관한 전기전자학회 보고서(IEEE Transactions on Nuclear Science), 1979년 2월, 제1호 Vol. NS-26의 페이지 777이하에 발표된 "신소형 개인용 방사선 경보기에서의 카드뮴 텔루라이드 검출기의 사용(Use of a Cadmium Telluride Detector in a New Tiny Personal Chirper)"를 참조하기 바란다).
버퍼 엘레멘트(50)는 자체 검출기 및 그에 관련된 전자장치에 더하여 이 검출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들로 증분되는 계수기(51)를 포함한다. 이후 설명되는 바와같이, 이 계수기가 읽혀지고 샘플기간에 걸쳐 누적된 방사량이 이 계수값과 이전의 계수값의 비교에 의해 계산된다. 클록(80)는 클록래치(81)를 세트시킨다. 샘플기간이 만료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래치(81)에 대한 인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만료된) 경우 방사선 계수기(51)가 읽혀지고 클록래치(81)가 리세트된다.
제2도의 엘레멘트들을 조정하는 것은 디지틀 프로세서(20)로서, 하나의 실시예에서 실지로 트랜스웨이브(Transwave) K-9001이 사용되었다. 디지틀 프로세서(20)에는 어드레스 해독기 선택논리(40)에 연결된 어드레스 버스(26) 및 동기펄스(26a)가 있다. 선택논리(40)는 선택된 어드레스들을 받고 선택신호들(41)-(45)을 제공하는데, 선택신호(41)는 건반 엘레멘트(108)의 샘플링을 가능화하고, 선택신호(42)는 검출기 계수기 버퍼(50)가 샘플되도록 가능화하고, 선택신호(43)는 표시장치(30)를 가능화하여 그에 제공된 정보에 응답하도록 하고, 선택신호(44)는 제어비트 래치(70)를 가능화하여 선택신호(45)는 제어스위치 버퍼(121)를 가능화한다. 방금 설명한 엘레멘트들은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버스(25)를 통해 디지틀 프로세서(20)에 연결되어 있다. 물론, 일반적으로, 건반 데이터는 디지틀 프로세서(20)로 흐르고, 방사율 계수들은 검출기 계수기 버퍼 엘레멘트(50)에서 디지틀 프로세서(20)로 흐르고, 표시장치(30)로 갖는 정보는 디지틀 프로세서(20)에서 표시장치로 흐르고, 경보제어 데이터는 스위치(121)에서 디지틀 프로세서(20)로 흐르고, 제어비트 래치(70)는 디지틀 프로세서(20)에 의해 데이터 버스(25)를 거쳐 제공되는 정보에 응답한다. 제어비트 래치(70)는 또한 가청신호를 발하는 경보(60)의 가능화 또는 불능화 상태를 제어한다. 대체로, 제어비트 래치(70)는 칩(chip) 선택을 발생하여 표시장치(30)에 신호들을 기록하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이 표시메이터 래치는 기록될 데이터를 유지(hold)한다. 데이터는 문자, 발광 명령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비트 래치(70)는 또한 래치들(109) 및 (81)에 리세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디지틀 프로세서(20)는 총방사량 정보(20-1), 방사율 정보(20-2), 방사량 한계 정보(20-3), 남은시간 정보(20-4), 경보 방사량 정보(ADOSE)(20-5), 경보 방사율 정보(ARATE)(20-6), 경보 남은 시간 정보(ATTG)(20-7), 및 지체된 시간정보(ELTIME)(20-9)를 위한 RAM 레지스터들을 유지한다. 이들 엘레멘트중에, 처음 두가지는 임의의 조작자 입력의 유무에 관계없이 계속 기능유지된다. 조작자 입력은 방사량 한계정보를 제공하는데 소요되고, 이 정보는 남은시간 정보의 계산에 필요하다. 조작자는 또한 경보 방사량, 경보 방사율 및 경보 남은시간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이때 경보 조건들중 어느것이라도 위배되었을 경우 즉, 방사율이나 총방사량이 경보 방사율이나 경보 방사량을 초과, 또는 경보 남은시간이 남은시간보다 적을 경우에 경보가 동작될 수 있다. 마지막 엘레멘트는 또한 미래의 쇠퇴되는 방사율에 대한 예측을 가능화하기 위해 조작자 입력을 제공한다. 조작자가 지체시간을 한번 입력시키면, 프로세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를 현행 유지한다.
제4도는 생략성(default) 표시를 나타내는데(이 표시는 어떤 다른 특수목적의 표시가 없을 때 제공됨)를 나타낸다. 이 표시에는 세가지 다른 부류의 정보를 위한 헤더 정보(31), (32), (33)가 포함된다. 제4도는 표시되는 전형적 정보를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현재방사율은 10R(뢴트겐)/hr 이고, 현재까지의 총방사량은 60R이고, 남은시간(사용자 선택 방사량 한계에 도달하는데 남은시간)은 6시간 30분이다. 사용자가 방사량 한계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장소(36)는 이 장치가 "불설정"되었음을 나타낸다.
제5a도 및 제5b도는 각기 방사량 한계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의 전형적 표시와, 사용자가 방사량 한계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선택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조언들을 나타낸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5a도에 보인 것과 같은 표시가 사용자에 제공되었다면, 그것은 사용자가 방사량 한계를 설정하지 않았음을 지시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사량 한계를 설정하고자 하면, 기능키(104)(제1도)를 누르면 된다. 그에 따른 표시가 제5b도에 나타나 있는데, 사용자에게 특정 방사량 한계를 선택할 것을 조언하고 있다. 이 선택은 숫자 0에서 9까지를 제공하는 키(key)들(101)로 구성된 수자 키패드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사용자가 방사량 한계를 나타내는 키들을 눌렀을 때, 그 내용이 장소(37)에 표시되고 또한 RAM 레지스터(20-3)(제2도)에 기억된다. 일단 방사량 한계가 선택된 다음, 표시는 제4도에 보인 형태를 취하게 된다.
사용자가 경보 레벨들을 설정하고자 하면, 경보 설정 기능키(103)(제1도)를 조작한다. 이 조작에 따라 표시가 제6a도로 복귀한다. 이 표시에는 내영역이 포함되는데, 헤더영역(61)(경보레벨들) 및 각 경보 파라미터들, 경보 방사량(62), 경보 방사율(63) 및 경보 남은시간(64)이 들어가는 영역이 있다. 경보들을 설정하기 전에, 이 장치들에는 생략성 경보들이 들어간다. 가령 방사율 및 방사량 경보에 대하여 IR/hr 및 1R이 되고 TTG(time-to-go) 경보에 대하여는 0시간이 된다. 명백하게, 다른 생략성 경보들이 선택될 수 있다. 이 표시가 제공된 후, 사용자가 경보 설정 기능키(103)를 다시 조작하면 표시가 자동적으로 제6b도에 보인 내용으로 바뀌어 사용자에게 방사량 경보 레벨을 입력시킬 것을 조언한다. 이 정보는 다수 수자 키패드를 구성하는 키들(101)을 사용하여 입력된다. 사용자가 방사량 경보레벨을 입력시키면, 그 내용이 제6b도의 지정된 장소에 표시된다. 일단 방사량 경보가 실정되고 사용자가 기능키(103)를 다시 조작하면, 표시가 제6c도에 보인 내용으로 바뀌어 사용자에게 방사율 경보를 입력시킬 것을 조언한다. 이 장소(37)에 표시되고 또한 RAM 레지스터(20-3)(제2도)에 기억된다. 일단 방사량 한계가 선택된 다음, 표시는 제4도에 보인 형태를 취하게 된다.
사용자가 경보 레벨들을 설정하고자 하면, 경보 설정 기능키(103)(제1도)를 조작한다. 이 조작에 따라 표시가 제6a도로 복귀한다. 이 표시에는 내영역이 포함되는데, 헤더영역(61)(경보레벨들) 및 각 경보 파라미터들, 경보 방사량(62), 경보 방사율(63) 및 경보 남은시간(64)이 들어가는 영역이 있다. 경보들을 설정하기 전에, 이 장소들에는 생략성 경보들이 들어간다. 가령 방사율 및 방사량 경보에 대하여는 1Rad/hr 및 1Rad가 되고 TTG(time-to-go) 경보에 대하여는 0시간이 된다. 명백하게, 다른 생략성 경보들이 선택될 수 있다. 이 표시가 제공된 후, 사용자가 경보 설정 기능키(103)를 다시 조작하면 표시가 자동적으로 제6b도에 보인 내용으로 바뀌어 사용자에게 방사량 경보레벨을 입력시킬 것을 조언한다. 이 정보는 다시 수자키패드를 구성하는 키들(101)을 사용하여 입력된다. 사용자가 방사량 경보레벨을 입력시키면, 그 내용이 제6b도의 지정된 장소에 표시된다. 일단 방사량 경보가 설정되고 사용자가 기능키(103)를 다시 조작하면, 표시가 제6c도에 보인 내용으로 바뀌어 사용자에게 방사율 경보를 입력시킬 것을 조언한다. 같은 절차가 이어져 사용자에 의해 정보가 제공되면, 표시는(기능키(103)의 조작후 제6d도에 보인 내용으로 바뀐다. 이 표시는 사용자에게 남은시간 경보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조언한다. 마지막으로, 경보 레벨들이 전부 입력되면, 표시는 제6e도에 보인 내용으로 바뀌어 사용자에게 그가 설정했던 경보 레벨들을 재조사할 수 있게 하여준다. 사용자가 이 경보레벨들을 인정하였을 때 다시 경보실정 키(103)를 누르면 이 값들이 입력되고 생략성 표시가 복귀한다. 사용자가 그 내용을 인정하지 않으면, 경보 레벨들을 변화시키도록 절차를 반복하면 된다.
어떤 절차에 대해서, 이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는 방사선 누출을 기동시킨 사태로부터 지체된 시간의 지시를 필요로 한다. 이 장치는 이 정보를 가지고 미래의 방사율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 미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기로 결정하면, 사용자는 제7a도에 보인 표시에 의해 사건 개시 시각을 설정하도록 조언받는다. 그다음 사용자가 기능키(102)를 조작하여 그가 이 정보를 설정할 것임을 지시한다. 이 조작의 결과로, 표시는 제7b도에 보인 내용으로 바뀐다. 이 시점에서, 사용자는 키들(101)로 구성된 수자 키패드를 조작하여 사건으로부터 지체된 시간을 입력시킬 수 있다. 이 조작에 따라 프로세서는 지체된 시간으로 현재값을 유지한다. 지체된 시간, 현재 방사율, 또는 입력 방사율을 알고, 이 장치(10)는 추정을 하여 미래의 방사율들을 예측한다.
이 추정 특성을 채용하는 한가지 기능으로는 남은 쇠퇴시간 추정기능이 있다. 이 기능은 장기간 노출선택의 평가, 또는 사태 직후의 노출계산에 있어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으로서, 이 두 상황에서는 방사능 붕괴가 주동요소로 될 수 있다. 이 모우드에서, 사용자의 현재 방사량, 현재 방사율(또는 선택된 방사율)과 임의의 방사율이 선택되는 방식이 시간의 함수로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최대 허용가능 방사량에 도달하는데 남은시간에 대한 정보가 유도된다. 사용자가 이 기능을 이용하고자 하면, 기능키(105)(제1도)를 조작한다. 이 조작에 따라 제8a도에 보인 표시가 제공된다. 제8a도의 표시는 현재 감지되는 방사율에 근거된 특정방사량 경보가 도달되는 미래의 어느 시간을 지시하는데, 여기서 이 예측은 현재의 지체된 시간값에 의해 결정되는 쇠퇴함수를 이용한다. 만일 사용자가 다양한 파라미터들에 근거될 남은 쇠퇴시간 예측을 원하면, 기능키(105)를 조작하여 제8b도의 표시를 산출하면 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파라미터들을 입력시킬 수 있다. 이 정보는 다시 건반(100)의 수자 키들(101)을 사용하여 입력된다. 일단 이 정보가 입력되고 계산이 완료되면, 제8c도에 보인 표시가 제공된다. 이 표시는 선택된 방사율(현재시간-현재 탐지되는 방사율 또는 사용자 선택 방사율)과 남은 쇠퇴시간은 물론 선택된 방사량 한계를 나타낸다.
방사능 쇠퇴에 근거한 미래 방사율들의 예측 능력을 채용하는 또다른 기능은 특정 시간간격에 걸쳐 예상되는 방사량 계산으로서, 계산의 기수로써 현재 감지되는 방사율이나 사용자 선택 방사율을 이용한다. 이 기능을 이용하려면, 사용자가 기능키(107)를 조작하고, 이에 따라 제9a도에 나타낸 표시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대기시간 및 예상방사율을 입력시킬 것을 조언한다. 이 표시는 입력커서(cursor)가 대기시간 영역에 위치된 채로 현재 감지되는 방사율에 따라 처리설정되고 현재 정보와 동시에 입력정보에 따라 제9b도에 보인 표시가 발생된다. 이 표시에서 대기시간 및 방사율은 선택된 대기시간(사용자에 의해 입력됨) 및 선택된 방사율 또는 현재 감지되는 방사율이다. 헤더 예상량은 예상 방사량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어떤 상황하에서 사용자는 특정 시간이 걸리는 특정 임무를 수행하고자 하고, 임무기간을 고려할 때 그 임무실시 장소에서의 방사선 레벨들에 따르면 총방사량이 사용자가 용인가능하다고 생각한 정도를 초과한 것으로 알고(어떤 식으로)있을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예측 방사량 기능의 결과로, 사용자는 예측 방사량이 그가 용인하고자 하는 정도를 초과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최초호기(FOP) 기능키(106)를 조작하게 된다. FOP 기능은 2가지 방사율(피신처 또는 대기 방사율과 작업장 또는 임무 방사율), 임무기간, 사용자의 현재 방사량 및 임무에 대해 용인가능한 추가 방사량을 고려하여, 용인가능한 추가 방사량과 총방사량 즉, 임무의 마지막에 임하여, 사용자의 현재 방사량, 임무개시에 대기하는 동안 누적될 방사량, 및 임무기간 동안 누적되는 방사량을 포함하는 총방사량을 초과하지 않고 임무가 수행될 수 있는 (미래의)시기를 결정한다. 특히, 임무가 즉시 수행되면, 임무 방사율이 너무 높아져서 최종 방사량이 사용자 용인가능한 레벨들을 초과하게 된다. 임무개시를 지연시키는 것은 공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갖는다. 공정적 측면에서는 임무 방사율이 (미래에)쇠퇴되어 있을 것이다. 한편, 이 지연시간 동안, 사용자가 피신처로부터 방사량으로(역시 쇠퇴하는 방사율로) 누적될 것이다. 이러한 구속들은 이 구속들이 변제될 수 있는 최초의 호기(FOP)를 찾음으로써 평정될 수 있다. 키(106)의 동작으로 제10a도에 보인 표시를 발생한다. 이 표시는 사용자에게 현재 작업장(또는 임무) 방사율을 입력시킬 것을 조언한다. 이 표시는 현재 감지되는 방사율에 따라 초기설정한다. 사용자가 그가 임무를 수행할 장소에 있으면, 감지되는 방사율은 현재의 작업장 방사율이고 다음 표시로 진행할 수 있다.
제10b도에 보인 다음 표시가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예상 피신처 방사율을 입력시킬 것을 조언한다. 다시, 표시는 현재 감지된 방사율에 따라 초기설정한다. 사용자가 임무를 수행하기까지 대기하게 될 지역(추측상 어떤 유형의 피신처)에 자리하였다면, 이것이 피신처 방사율이 되고 사용자는 다음 표시로 진행할 수 있다.
제10c도 및 제10d도의 표시들은 각기 사용자에게 임무기간과 용인 가능한 추가(임무)방사량을 입력시킬 것을 조언한다. 이 후자의 표시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최초호기 기능이 수행된다. 가령, 제10e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 호기로서 현재시간으로부터 2일 3시간을 기다리면, 사용자가 그때 존재하는 방사선 레벨들에서 소요 임무를 수행할 수 있고 추가로 용인가능한 방사량이 초과되지 않을 것임을 사용자에게 지시하여 준다. 더욱이, 제10e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무 완료 상태에서 사용자의 총방사량은 37R이 된다.
상술한 결과들을 산출하기 위한 프로세싱은 타이니 베이식(TINY BASIC)으로 쓰여져 있고, 페이지 39에서 62에 까지로 된 부록에 수록되어 있다. 이 분야의 기술자이면 이 프로세싱은 다수의 입수가능한 언어들로 씌어질 수 있고 이 BASIC 프로그램은 단지 예증일 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록 A의 프로그램은 다수의 모듈들로 분류되어 있고, 주 루우프(PWPINT)가 행 2에서 39를 포함한 행까지 걸쳐있다. 감시 루틴은 새 인터럽트가 검출되었을 때 실행되고, 이 감시는 행 90에서 96을 포함한 행까지 걸쳐있다. 키 인터럽트 프로세싱 루틴은 행 100에서 110까지 걸쳐있다. 표시제어는 물론 클록 인터럽트의 프로세싱은 행 120에서 198까지 걸쳐있다. 예상 방사량 기능에 대한 루틴들은 행 300에서 350까지 걸쳐있다. 최초 호기 기능 프로세싱은 행 400에서 455까지 걸쳐있다. 사건 개시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세싱은 행 500에서 354까지 걸쳐있다. 경보 설정 기능들을 행 600에서 641까지 걸쳐있다. 방사량 한계 설정 프로세싱은 행 700에서 728까지 걸쳐있다. 남은 쇠퇴시간 프로세싱은 행 800에서 852까지 걸쳐있다. 행 900에서 996까지 걸쳐있는 프로세싱은 이미 언급된 프로세싱에 의해 사용되는 기능들을 제공하는 시스템 서브루틴들로 구성되어 있다.
소프트웨어 프로세싱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그 이론적 배경의 설명과 사용된 알고리즘에 관한 설명이 필요하다. 제12도는 전형적인 방사선 곡선 C를 도시한 것으로서, 방사율이 시간의 함수로 감소한다.
방사율, 방사량 및 남은시간(TTG) 대체로, 우리가 처하게 되는 상황에 있어서, 사용자는 시간 t에서 방사량 Dt를 받고 방사율 R로 방사선에 노출된다. 사용자는 안전을 포함하는 여러 계수들에 따라 정해질 수 있는 관련 방사량 한계(DL)를 가진다.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특정 방사량 한계가 도달될 때까지 남은 시간(TTG)에 대한 실시간(연속적)계산이다. 이 계산이 가장 중요한 때는 한번의 임무 과정에서 일어나는 단기간 방사량 누적이 문제되는 경우이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방사능 붕괴는 단시간에 걸쳐서 현저하지 않게 되므로, 남은 시간의 계산은 간단한 선형 부분에 의해서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쇠퇴하는 방사율의 적분 계산을 수반한 것보다 빠른 계산이 된다는 추가 장점이 있다. 더욱이, 이 계산은 남은 시간을 다소 과소평가하게 된다는 점에서 신중하게 된다. 또한, 방사능에 있어서 전형적인 통계상의 변동들의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서, 계산에 실제로 사용되는 방사율은 현재 및 과거의 취득값 셋을 평균한 것이고 각 취득값은 약 2.5초의 샘플시간에 해당한다.
이제 제12도를 참조하면 t는 방사선 장(場)이 일어난 사건 개시 시각으로 부터 지체된 시간에 해당하고, t1은 남은 시간이고, R은 시각t(전술한 평균값)에서의 방사율이고, 방사량 D는 이미 누적된 Dt의 방사량 만큼 감한 사용자의 방사량 한계(DL)이다. 이 분야의 기술자이면 D는 실제로 곡선 C 아래쪽의 t와 t+t1으로 한정된 지역이라는 것을 알겠지만, 상술한 이유 때문에, 여기에서는 빗금친 지역을 방사량 D로 한다. △를 방사율 취득값들 사이의 시간으로 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kpo00001
이 장치는 분수방사량을 따라 가게 되어 있으므로,
Figure kpo00002
이 장치는 정수 시스템이므로, 배율(scaling factor)은
Figure kpo00003
와 관련된다. γ을 배율이라고 하여,
Figure kpo00004
TTG는 시간 및 분을 단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노출율은 시간당 뢴트겐(R/Hr)으로 측정되므로, 방사율이 R(R/Hr)이면, R/min으로 표시한 이 방사율은 R/60이 된다. 즉, R(R/Hr)=R/60(R/min)(여기에서는 감마 방사선에 대한 규칙을 따르고 있어서 기술적으로는, 방사량의 적절한 단위가 라드(rad)이지만, 실제로는 뢴트겐이라는 용어로 주어질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따라서,
Figure kpo00005
방사능은 계수기로부터 발생되는 계수들로 지시되는데, 이는 방사율에 비례한다. 따라서 배율 Y는 검출기의 보정을 고려한다. 샘플시간이 2.5초 이므로, Y는 시간당 R를 얻기 위해 인자 2.5를 역시 포함한다. (보정 배율은 개개의 장치에 따라 달라질 것이므로 부록 A의 소프트웨어에는 명백히 나타나 있지 않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보정을 위한 스케일링이 끝나면, 이 계수는 샘플시간을 위한 스케일링을 할 필요없이 현재 방사량(Dt)에 직접 더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DL을 입력시키기만 하면, 이 장치가 r을 측정하고, Dt를 (
Figure kpo00006
더하기
Figure kpo00007
의 형태로)기억하여 TTG가 즉시 계산될 수 있다. 일단 TTG가 분단위로 계산되면, 그 결과를 시간 및 분, 또는 일, 시간 및 분까지도 변환하는 것은 극히 쉬운 일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억 및 계산 속도의 제한 때문에, 유용한 값들로된 일련의 표들이 개발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내에 프로그램되어 있어 요구되었을 때 이 값들이 계산되기 보다는 보여지는 것이다. 다른 기능들을 기술하기에 앞서 이것들을 설명하는 것이 유용하다.
[표의 사용]
방사율(가령, 핵폭발에 기인한)이 쇠퇴하는 시간은,
R(t)=I1·t-1.2이다.
여기서, I1은 사건 개시 시각에서 1시간 후의 방사율이다.
시각 t에서 R이 알려졌다면, I1=Rt1.2.
시각 t와 t+t1사이의 간격에서 누적된 방사량은,
Figure kpo00008
t=사건 개시 시작으로부터 지체된 시간(시간 단위),
t1=누적 시간(시간 단위).
t1=at로 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a와 대응 A가 제표화 되면, D 또는 t1을 위한 해법에는 1차항들로된 기본연산들이 포함된다. 필요한 값의 열은 1바이트내에 기억될 수 있는 것보다 길기 때문에 별도의 배율들의 표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인수 10으로 스케일링하는 것이 유용하다. 기억된 수자들 a'와 M은, 다음의 규칙에 따라, a'*10=10*a이 되도록 설정된다 :
a<1→M=1, a'=10*a,
1
Figure kpo00011
a
Figure kpo00012
255→M+10, a'=a,
a>255→M=100, a'=a/10.
또한,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서, A자체 보다는, 스케일링된 양
B=100*A의 값들이 기억된다.
따라서 3개의 표 a', M 및 B가 나온다. 이제부터 프라임 부호들은 편리하게 기호에서 삭제된다.
최초 호기(FOP) 계산을 위해서는 또다른 순람표들의 세트를 포함하여야 한다:
Figure kpo00013
t1=at로 하면,
Figure kpo00014
이 FOP계산에서, a1.2이 풀어지고 이 표들을 거쳐 a로 변환된다. 전번에서와 같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곱셈표가 첨가된다. 따라서, 3개의 표가 필요하다 :
a1-표=a의 표
a12-표=대응 a1.2의 표, 및
M1-표=곱셈표.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예상 방사량(EXDOSE)
예상 방사량 계산에서는, 사용자가 다시 방사량 Dt를 받은 것으로 하고, 해결될 문제는, 사용자가 현재 방사율 R이 나타난 지역에 머무르고 있다면, 시간 t1동안에 그가 받게 될 총방사량은 어느 정도인가 하는 것이다. 이 계산에 있어서, 계산될 방사량은, 방사능이 시간 t1동안에 붕괴될 것을 고려한다. 따라서, 이 방사량은 장기간의 계산에 적합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파라미터들을 사용한다 :
R=현재 방사율,
t=사건 개시 시각에서 지체된 시간
t1=대기시간, 및
D=대기시간 t1동안 누적된 방사량.
대기시간(앞선 설명참조)에 누적된 방사량은 5atB/100로서, B는 a=t1/t의 값에 해당한다. 이 해답은 보간법에 의해 표들로부터 유도된다.
우선 다음과 같이 i를 구한다 :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정의 : (선형 보간법)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제한 :
정수 부분과 입력 데이터에 의해 B=0이 되면, 계산은 선형 근사값으로 복귀한다 :
EXDOSE=Rt1.
이는 t1/t<0.1일 때 나타난다.
남은 쇠퇴시간(DECTTG)
이 기능에 있어서, 다시 사용자가 방사량 Dt를 받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는 또한 자신의 안전을 보장하는 방사량 한계 DL을 지정하였다. 해결될 문제는 사용자의 총방사량이 현재 방사율 R에 의해 주어진 DL과 같아지기 전까지 얼마만한 시간이 지체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것이 남은 쇠퇴시간 모우드(DECTTG)라 불리우는 이유는, TTG 계산과는 달리 R이 쇠퇴되는 것으로 고려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XDOSE와 같이, 남은 쇠퇴 시간은 장기간 계산에 적합하다. 이제 제13도를 참조하면, 곡선 K는 시간에 따른 방사율을 나타낸다. 이 곡선은 가령 사건 개시 시각 이후의 시각 t에서의 특정 방사율 R로 정의된다. 시간 t1은 미지의 남은 쇠퇴 시간이다. 제13도의 곡선 아래 빗금친 지역 D는 DL과 Dt사이의 차이 즉, 허용되는 증분 방사량이다.
정의하기를 :
R=현재 방사율,
t=사건 개시 시각에서 지체된 시간
t1=DECTTG,
D=DL-Dt=DL에 도달하기 까지의 증분 방사량.
최초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Figure kpo00024
또한
Figure kpo00025
또는
B=100D/5Rt.
다시, 이 해답은 보간법에 의해 표들로 부터 유도된다.
다음과 같이 i를 구한다 :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정의 : (선형 보간법)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따라서 :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제한 :
정수부분과 입력 데이터에 의해 10*a=0이 되면, 계산은 선형 근사값으로 복귀한다 :
Figure kpo00033
이는 t1/t<0.1일 때 나타난다.
[최초 호기]
최초 호기 계산에서 사용자는 다시 방사량 Dt를 현재 받고 있다고 한다. 임무 실행과정에서 사용자는 추가 방사량 D2를 받게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방사율은 너무 높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무를 마칠 수 있을 때까지 사용자의 추가 방사량은 D2를 초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방사능이 붕괴될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해결될 문제는 사용자가 이 임무에 착수할 수 있고 특정 양 이하의 추가 방사량을 받게 되는 최초 시간이 언제인가 하는 것이다. 이 시간이 최초 호기(FOP)이다. 이제 제14도를 참조하여 :
R0는 현재 피신처 방사율(대기 기간중 받게되는 방사율),
R1은 임무지역내의 현재 방사율,
t는 사건 개시 시각에서 지체된 현재시간,
t1=t+FOP는 사건 개시 시각에서 임무 개시까지 지체된 시간,
FOP는 현재 시간 t와 시간 t1사이의 시간,
t2는 임무기간이다.
D1은 사용자가 임무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 시간 t와 시간 t1+t2사이에 피신처내에 누적되는 방사량,
D2는 임무기간중 누적될 용인가능한 추가 방사량이다.
이때 :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I1을 작업장의 H+1 방사율로 한다.
Figure kpo00036
R1'를 t1에서의 작업장 방사율로 한다.
Figure kpo00037
마찬가지로,
Figure kpo00038
방정식(33)은 선형 보간법에 의해 t1에 대해 풀어진다. t1이 t보다 작으면, D 이하의 추가 반사량으로 임무가 즉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 D1은 방사율 R0와 대기시간 t1+t2-t를 가지고 EXDOSE 계산으로부터 구해진다. 임무완료시의 최종 방사량은 D1+D이다. t1이 t보다 작으면, D가 허용값보다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t1에서, R0및 R1은 다음과 같이 감소된다.
Figure kpo00039
D2에서의 선형근사값
Figure kpo00040
Figure kpo00041
다음과 같이 i를 구한다.
Figure kpo00042
정의 : (선형보관법)
Figure kpo00043
Figure kpo00044
Figure kpo00045
Figure kpo00046
Figure kpo00047
Figure kpo00048
Figure kpo00049
D1은 개략에 기술된 바와 같이 구해진다.
임무완료시의 방사량=D1+D2.
[RAM 할당]
바로 아래 재현된 표 I은 RAM 할당을 지정하고, 부록의 프로그램 목록을 읽는데 보조 역할을 한다.
[표 Ia]
RAM 할당, 2K Local RAM
Figure kpo00050
[표 Ib]
Figure kpo00051
아래 재현된 표 Ⅱ는 부록에 사용될 여러 변수들의 의미와 그들이 기억된 장소를 나타낸다.
[표 II]
변수 할당, 2K Local RAM
Figure kpo00052
T=일시, 다른 루틴이 사용 및 재정의한다.
L=제한된 영속성, EXEC 및 CLKINT가 이를 재정의 할 수 없다.
P=영속성, 항상 동일 데이터 항목을 나타낸다.
[프로그램의 동작]
전원개시와 초기값 설정(행 2-39)이 끝나면, 장치는 대기 상태에 있게 되는데, 여기에서부터 클록 또는 키 인터럽트에 의해 장치가 일시 정지된다. 클록 인터럽트는 계수기를 통해 총방사량 및 방사율 읽기를 갱신하는데 이용되고 조작자가 시작하여 완료되지 않는 기능을 종결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결국, 장치는 조작자의 키 누름으로도 일시 정지된다.
우선 클록 인터럽트를 재검토 하면, 이것들은 행 92에서 검출되고 행 120으로의 점프를 일으킨다. 행 120 및 후속행에서, 계수기가 실행되고, 행 136에서 계수기가 분수방사량값에 가산된다. 이 합이 행 137에서 테스트되고 분수방사량값이 1을 넘으면, 총방사량이 증분되고 분수방사량은 리세트된다. 행 137은 3600으로 나눗셈을 실행하는데, 3600은 실제 제조된 실시예에 채용된 적절한 배율이다. 이 배율이 설명상 적절한 이유는 이 비율이 실연의 목적상 편리한 극히 약한 방사선 발생원으로 보통의 방사율, 방사량, 및 TTG 값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실제 관행에 있어서 배율은 표준 발생원을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정해진다. 행 138은 방사량 문자를 발생시키고, 다른 동작의 진행이 없으면, 행 160으로의 점프가 이루어진다. 행 160에서 방사율이 계산된다. 행 162는 제4도의 전형적(생략성) 표시를 구성한다. 행 162가 방사량 한계의 입력 여부를 검사하고, 방사량 한계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생략성 표시가 "한계불설정"을 나타내고 남은 시간 계산은 분명히 완료될 수 없다(따라서 행 178로의 점프가 있다). 한편, 방사량 한계가 입력되었다면, 행 165로의 점프가 있다. 이 지점에서 방사율 평균이 달성되고 행 166이 평균 남은 시간을 계산한다. 행 168-170은 남은 시간에 대한 분 및 시간 문자를 만들어낸다. 행 178에서 방사량 및 방사율 문자들이 표시장치를 동작시키는 레지스터로 이동된다. 행 188에서 양 F(계산된 현재 방사율)가 I(경보 방사율)에 비교된다. 현재 방사율이 경보 방사율을 초과하면 방사율 경보 상태가 나타난다.
방사량 한계가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행 194는 Z(행 168의 계산된 남은 시간과 동일하게 설정)를 J(경보 남은 시간)에 비교한다. 행 188에서 계산된 남은시간(Z)이 경보 남은 시간보다 적으면 경보 상태에 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행 196은 E(행 138에서 갱신된 총방사량)를 G(경보 방사량)에 비교한다. 총방사량이 경보 방사량 보다 크면, 방사량 경보 상태에 처하게 된다. 행 197은 임의의 경보 상태에 처하였는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L은 경보를 검사하기 전에 항상=64로 설정되고, 검사 진도의 끝에서 L≠64이면, 틀림없이 경보가 트리거된 것이다. 경보 상태가 전혀 없다면, 행 143으로의 점프가 이루어져 표시장치가 동작된다. 한편, 행 197에서의 테스트가 만족되지 않으면 행 198이 음향 경보 비트를 세트하고 표시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행 143으로의 점프가 이루어진다.
[예상 방사량]
위에서 지적된 대로, 이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중 하나는 사용자에게 방사율과 대기시간을 입력시키도록 하고 그 계산을 실시한 결과로, 예상되는 방사량을 지시하여 주는 능력이다. 사용자가 예상방사량 키(107)를 조작하면, 특정 키 누름을 식별하고 나서, 프로세싱이 행 300으로 뛴다. 행 301에서 사전 개시 시각이 설정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되고, 이것이 설정되지 않았으면, 행 970으로의 점프가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사건 개시 시각 정보 설정을 하도록 조언을 받는다. 사건개시 시각이 설정되었거나, 사건 개시 시각 설정기능(키 누름으로 개시된)으로부터의 리턴과정에 있으면, 행 303은 예상 대기 시간을 입력시킬 것을 사용자에게 조언한다. 방사율은 장치에 의해 감지된 방사율로 초기설정하지만, 사용자가 원한다면, 계산을 위해 교체 방사율을 입력시킬 수도 있다. 행 305-308(행 950으로의 점프를 포함)은 사용자에 의해 바로 입력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를 구성한다.
그 이후에, 프로세싱은 행 339로 점프한다. 행 339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가 검사되고 데이터가 전부 입력되지 않았으면 사용자에게 다시 조언해 주기위해 해 143으로 점프 후퇴한다. 모든 데이터가 올바르면 행 350이 계산을 시작한다. 실체계산은 실제로 행 910 및 후속행에 들어있는데, 여기에서 입력변수 H(누적시간) 및 U(예상방사량)가 이용되어 변수 A(누적방사량) 및 S(시간단위의 지체시간)를 계산한다. 이 값들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행 350으로의 리턴이 이루어져 누적 방사량(A)이 총방사량(E)에 의해 증분된다. 행 930의 서브루틴에서 이와 같이 계산된 값들이 문자연사로 변환되고, 리턴과정에서 프로세싱이 행 143으로 뛰어 결과적 정보를 표시한다.
[최초 호기]
사용자가 최초 호기 키(106)(제1도)를 조작하고 이것이 장치에 의해 검출되면, 프로세싱이 행 400으로 이동된다. 이 지점에서 사건 개시 시각이 설정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설정되지 않았다면, 행 970으로의 점프가 이루어져 사건 개시 시각을 입력시킬 것을 사용자에게 조언한다. 부록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작업장 방사율, 피신처 방사율(현재시간과 작업장에 들어가는 때 사이의 간격에서 사용자가 받게될 방사율), 임무기간, 및 임무의 과정에서 사용자가 허용하는 방사량을 입력시켜야 한다. 처음조작에서 사용자는 작업장 방사율을 요구하는 조언을 받는다. 일단 입력되면, 이 정보는 행 403에서 이용되어 현재 방사율을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장 방사율로 초기설정한다. 제2조작에서 사용자는 피신처 방사율을 입력시킬 것을 조언받는다. 이 정보는 행 407에서 사용되어 피신처 방사율을 초기설정한다. 이 두 번의 조작에서 한번의 조작이 끝날때마다 이 장치는 실제로 표시를 검출된 방사율로 초기설정한다. 이것이 실시되는 이유는 사용자가 문제되는 두 지역중 한곳에 있게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편 또는 양쪽 지역의 방사율에 대한 입력특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제3조작에서 사용되는 임무기간을 입력시킬 것을 조언받는다. 행 414에서 사용자는 허용하고자 하는 추가 임무방사량을 입력시킬 것을 조언받는다. 계산의 실체는 행 441 및 후속행에서 일어난다.
[남은 쇠퇴시간]
사용자가 남은 쇠퇴 시간 키(105)를 조작하면, 이 키 누름을 인식하고, 프로세싱이 행 800에서 시작한다. 이 지점에서 사건 개시시각이 설정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고, 설정되지 않았다면, 사용자는 사건 개시 시각을 설정할 것을 조언받는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계산이 즉시 진행되어 그 결과가 제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된다. 두 번째로 키를 조작하면, 사용자는 구하고자 하는 교체 방사율 및 방사량 한계를 요구하는 조언을 받는다. 행 803,805를 참조하기 바란다. 실체 계산은 행833에서 시작한다. 이 계산의 결과는 일(A)과 시간(Z)을 단위로한 남운 쇠퇴시간이다. 계산이 완료되면, 프로세싱은 행 143으로 돌아가서 사용자에게 표시를 제공한다.
제3a도 및 제3b도는 인텔리전트 방사선 탐지장치(10)(또는 후술되는 제2실시예의 방사선 탐지장치(200)가 방사선 탐지 관리시스템에 이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특히, 제3a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탐지장치(10) 또는 탐지장치(200)가 심문기 및 재충전 선반(제3b도에 더욱 상세히 도시됨)에 끼워질 수 있게 되어있다. 심문기 및 재충전선반은 두가지 기능을 제공하는데, 탐지장치(10) 또는 탐지장치(200)내의 RAM이 중앙탐지유니트(500)로부터 문의 받거나 기록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RAM으로의 기록은 주로 탐지장치(200)에 이용된다(자체 건반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한편, 탐지장치(10) 또는 (200)의 RAM으로부터의 읽기는 이 장치에 의해 현재까지 누적된 방사량 정보는 물론 특정 장치의 동류식별에 관한 정보를 누적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중앙탐지유니트(500)가 사용자들의 모집단을 상대로 한 누적 방사량 정보의 통계상 기록들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체재가 이루어진다.
제3b도는 심문기 및 재충전선반(300)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다. 제3b도는 심문기 및 재충전선반(300)의 슬롯(301)에 끼워진 전형적인 탐지장치(5)(10 또는 200)를 도시한다. 이 선반에는 이러한 슬롯(슬롯 (320)-(340)이 함께 도시됨)이 여러개 있을 수 있다. 선반(300)으로의 인터널(internal) RS-232 인터페이스(또는 등가물)는 정보를 탐지장치 및 중앙탐지유니트(500)로/로부터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선반(300)은 또한 탐지장치(10), (200)에 전원 인터널을 문의하여, 전지교체가 필요함을 지시(표시기들(315)중 하나에 의한)하여준다. 선반(300)에는 적합한 재충전 전지(325)의 공급을 위한 설비도 마련되어 있다. 표시기(315)가, 탐지장치의 전지가 소모되었음을 지시하면, 사용자는 재충전된 전지(325)를 쉽게 빼내어 소모된 전지를 교체할 수 있다. 다음에 소모된 전지가 선반(300)에 들어가서 장기간 충전될 수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탐지장치(10 또는 200)를 잠깐 선반의 슬롯에 맡기기만 하면 되고, 소모된 전지를 즉시 재충전된 전지로 교체할 수 있다. 선반에 들어있는 전지와 연결된 자동표시기는 전지가 충전완료 되었는지 충전중에 있는지에 지시한다.
[제2실시예]
제1도의 인텔리전트 방사선 탐지장치는 건반과 이와 관련되어 조작자 입력에 응답하는 건반해독 논리버퍼를 포함한다. 제11도에 보인 실시예에는 여러 면에서 제1도의 실시예와 비슷하나 단지 건반(100)( 및 관련된 건반해독 논리버퍼(108))를 생략하고 있다. 이 장치 대신에, 방사선 탐지장치(200)(제11도)는 정보(특히 경보레벨)를 이러한 정보의 외부 발생원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포트를 포함하고 있다.
방사선 탐지장치(200)의 블록다이어그램이 제15도에 도시되었다. 제15도의 동일 참조 문자는 제2도의 해당문자와 동일한 장치를 지시한다. 제2도와 제15도 사이의 분명한 차이는 건반해독 논리버퍼(108)가 없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건반해독 논리버퍼(108)를 통한 건반으로부터의 경보정보의 수여 대신에, 제11도의 실시예는 외부 발생원으로부터의 경보 정보(방사량, 방사율 및 남은시간)를 제공하는 RS-232포트(90)를 채용한다. 더욱이, 방사선 탐지장치(200)가, 건반(100)없이 실행할 수 없는 다른 기능으로는 특히, 남은 쇠퇴시간 FOP 및 예측 방사량이 계산이 있다. 다른 점에서는 제1도 및 제11도의 실시예가 동일하다. RS-232 포트(90)(제1도 및 제11도의 두 실시예의)는 디지틀 프로세서(20)의 어떤 RAM 위치를 문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이 포트는 총방사량 정보를 유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장기간에 걸쳐 방사량 정보를 유도함으로써, 특정 방사선 탐지장치(10), (200)를 지닌 사용자의 내력이 확립될 수 있다. 더욱이, 동일 기간에 걸쳐 이러한 다수의 방사선 탐지장치(10), (200)를 심문함으로써, 방사선 탐지장치(10), (200)의 전사용자에 대한 방사선 적용량에 관한 기록이 유지될 수 있다.
탐지장치(200)에 경보 정보(방사율, 방사량 및 남은시간)를 공급하는데 적합한 장치, 또는 탐지장치(10), (200)를 심문하는 장치는 전형적인 개인용 컴퓨터로 실현될 수 있는 중앙탐지유니트(500)이다.
[SMARTBADGE SOFTWARE DEVELOPMENT SBRTINES]
[루틴 명칭 : PWRINT]
요약 : 이 루틴은 전원상승에 따라 엑세스된다. 표시, RAM, 순람표 및 변수가 초기설정된다.
2 CLEAR : 6=999 : I=999 : N=0 : @#3BOC=1 : @#E002=#FF : cpu 리세트, ram 제로, ram 초기설정, 제어행 초기설정
: @#3B04=@#3AOO : #8B ; 인터럽트 초기설정, 표시 초기설정
4 @#3A01=#6A : @#3A02=#62 : @#3A03=#65 : @#3A04=#67 ; 표시 초기설정
: @#3A05=#68 : @#3A06=#8A;
6 @#3A07=#61 : @#3A08=#6D : B=#3A00 : C=9 : GOSUB900 ; 초기연사를 표시로
8 @#3AA0=0 : @#3AA1=3 : @3AA2=8 : @#3AA3=17 ; a표 세트업
: @#3AA4=30 : @#3AA5=49 : @#3AA6=76 ;
9 @#3AA7=142 : @#3AAB=211 : @#3AA9=31 : @#3AAA=67 ;
: @#3AAB=98 : @#3AAC=142 ;
10 @#3AAD=249 ;
11 @#3AAE=36 : @#3AAF=60 : @#3ABO=0 : @#3AB1=5 ; B표 세트업
: @#3AB2=11 : @#3AB3=18 : @#3AB4=24 ;
12 @#3AB5=30 : @#3AB6=35 : @#3AB7=42 : @#3ABB=46 ;
: @#3AB9=50 : @#3ABA=57 : @#3ABB=60 ;
14 @#3ABC=63 : @#3ABD=67 : @#3ABE=69 : @#3ABF=72 ;
: @#3ACE=100 : @#3ACF=100 ; M표 세트업
16 FORA=OTO8 : @(#3ACO+A)=1 : NEXTA : FORA=OTO4 ;
@(#3AC9+A)=10 : NEXTA ;
17 @#3AD0=10 : @#3AD1=20 : @#3AD2=30 : @#3AD3=50 ; a1표 세트업
: @#3AD4=80 : @#3AD5=130 : @#3AD6=21 ;
18 @#3AD7=34 : @#3AD8=55 : @#3AD9=89 : @#3ADA=14
: @#3ADB=23 : @#3ADC=37 : @#3ADD=40 ;
19 @#3AE0=10 : @#3AE1=23 : @#3AE2=37 : @#3AE3=69 ; a12표 세트업
: @#3AE4=121 : @#3AE5=217 ;
20 @#3AE7=69 : @#3AE8=123 : @#3AE9=218 : @#3AEA=39
: @#3AEB=69 : @#3AEC=122 ;
21 @#3AE6=39 : @#3AED=133 : FORA=OTO5 : @(#3AFO+A)=1 ; M1표 세트업
: NEXTA
22 FORA=OTO3 : @(#3AF6+A)=10 : @(#3AFA+A)=100
: NEXTA
23 FORA=OTO63 : @(#3B10=A)=#20 : NEXTA : FORA=OTO144 ; 문자값 초기설정
: @(#3B50+A)=#30 : NEXTA ;
38 @#386A=#31 : @#3B72=#31 : @#3B00=16 : @#3B05=0 ; opinpro 초기설정, 블립계수 초기설정
: @#3BOF=O : G=1=1 ; 표시갱신개시위치 초기설정
39 B=@#E001 : @#3B05=BAND#3F : @#3BOE=#6A ; 블립계수를 현재블립계수로 초기설정, 표시제어를 no 커서로 설정
[루틴명칭 : 실행]
요약 : 이 루틴은 클록 및 건반으로부터의 인터럽트에 대기상태이다.
90 B=@#E001 : A=BAND#CO : IFA=OG090 ; 인터럽트에 대해 테스트
91 IFA=S40@#3B04=A : G0100 ; 키이면, 인터럽트 플랙 설정, 점프
92 IFA=#BO@#3B04=A : G0120 ; 클록이면, 인터럽트 플랙 설정, 점프
93 IF@#3B04=#40@#3B04=O : G0120 ; 이중 인터럽트가 분명 !!!이미 키가 처리되었으면, 인터럽트 플랙 클리어, do clock
94 IF@#3B04=#80@#B04=O ; GO100 ; 이미 클록이 처리되었으면, 인터럽트 플랙 클리어, do key
95 IF@#3B04=0@#3B04=A ; G0121 ; 이것이 최초 프로세스이면, 인터럽트 플랙 설정, de clock
96 @#3B04=0 ; 둘째 프로세스가 분명 !!! 인터럽트 플랙 클리어, do key
[루틴명칭 : KEYINT]
요약 : 건반 인터럽트 프로세싱, 기능키와 수자키의 한번 및 다중 누름이 탐지됨. 현재(및 과거) 키누름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벡터링이 결정됨.
100 A=@#E003 : @#E002=#DF : @#E002=#FF : A=AAND#F ; 키부호 취득, 인터럽트 클리어
: B=@#3B00 : IFA< > BGO107 ; 키 프로세스 !!! 신구 키부호 취득, 같지 않으면 점프
102 M=M+1 : IF(A=#A)AND(M<2)GO300 ; 다중 누름 계수 증분, 예상량이면 점프
103 IF(A=#B)AND(M<5)G0400 ; 최초 호기이면 점프
104 IF(A=#F)AND(M<3)G0800 ; 남은 쇠퇴 시간이면 점프
105 IF(A=#D)AND(M<5)G0600 ; 설정 경보이면 점프
106 M=0 : @#3B00=16 : G090 ; 생략적으로 복귀, opinpro 리세트, 다중 누름계수 클리어
107 IF(A>9)AND(A<16)M=0 : GO(A*100-700) ; 최초 기능 누름이면, 다중 누름 계수 클리어, 점프
108 IF(@#3B00=16)OR(L>32)G090 ; opinpro나 수자 기입이 각하되지 않으면, 다른 인터럽트에 대기
110 GOSUB80 : GO(@#3B00*100-675) ; 키 데이터 세이브, 적절한 기능키 프로세싱으로 이동
[루틴명칭 : CLKINT, 표시]
요약 : 이 루틴은 블립 계수기를 샘플하고, 블립계수를 분수 RAD값에 가산한다. 블립은 1RAD의 1/3600이다. 이 분수 RAD계 수시가 3600이면, 총방사량이 증분된다. 다른 루틴이 진행중에 있으면 제어 전송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방사량 한계가 입력 되었을 때, 생략성 표시를 위해 방사율 및 남은 시간을 계산한다. 남은 시간은 현재 방사율과 이에 앞서 3개의 취득값의 평균임을 주의한다. 이 값들은 경보초과에 대해 검사되고, 초과되었으면, 경보가 울리고, 표시가 밝혀진다. 표시는 행 143에서 시작하는 루틴으로서, 명멸커서가 있거나 없이 표시한다.
120 @#E002=#DF : @#E002=#FF ; 인터럽트 클리어
121 B=BAND#3F ; isolate blip count
123 @#3BOC=@#3BOC+1 : @#3BOA=@#3BOA+1 ; 클록 인터럽트 계수 증분, 지체된 시간 증분
: IF@#3BOA=10@#3BOA=0 : @#3B09=@#3B09+1 ; 생략성 프로세싱은 2.5초 ergo 1440 사이클/시, 10사이클을 넘는가?
124 IF@#3B09=144@#3B09=0 : @#3B08=@#3B08+1 ; 144(곱하기 10) 사이클을 넘으면, 지체시간위치 증분
130 IF@#3BOC=25@#3BOC=1 ; 5번째의 블립계수 샘플이면, 포인터를 1로 설정
132 A=B : B=@#E001 : B=BAND#3F : IFA< > BG0132 ; 2개의 블립계수가 같아질때까지 샘플(틀린리딩 예방!)
134 A=64-@#B05+B : IFA>63A-64 ; 전번 리딩부터 계수 취득, 계수기 rolls over 기억
136 @#3BOB=A : @(#3A81+@#3BOC-1)=A : @#3B05=B : N=N+A ; 블립계수(방사율)를 filter bins에 세이브, 블립을 분수 rad값에 가산
137 IFA>3600E=E+1 : N=N-3600 ; 분수 rad값이 1을 넘으면, 총방사량 증분, 분수 rad값 리세트
138 A=E : B=#B50 : C=3 : GOSUB930 ; 방사량 문자 발생
140 IF@#3B00=16G0160 ; no opinpro 에 점프
141 W=W+1 : IFW>20@#3B00=16 : M=0 : GO160 ; 타임 아울 계수 증분, 타임 아울되면, opinpro 클리어, 생략성표시 공개
142 G090 ; 변화된 것 없으므로 표시 비갱신
143 B=##BOE : C=34 : GOSUB900 ; @#3A03=#61 : @#3A01=#6B ; 기능키 프로세싱에서 이곳으로 기입 !!! 제어로 표시데이터 송출
: @#3A02=#6D ; 표시모우드 데이터 세트업
148 @#3A00=L-1 : IFL=64@#3A03=#60 : @#3A01=#6A ; 이 커서위치=64이면, 커서비공개
@#3A00=0 ;
149 IF@#3B00=16@#3A02=#6C ; 생략성 표시중이면, 커서타이프를 블록이로 설정
150 B=#3A00 : C=4 : GOSUB900 : G090 ; 모우드 데이터를 표시로 송출, 인터럽트에 대기
160 A=@#3BOB*10/25 : F=A : C=3 : B=#3B58 : GOSUB930 ; 방사율 취득, 생략성 처리시간(L)으로 나눔, 방사율 문자발생
162 S#3B10="RATE R/H DOSETIME H M R" : 생략성표시 세트업 : IFK< >OG0165= ; 방사량 한계가 기입되었으면 점프
164 $#3B20="LIMITNOSET" : @#3B2B=#20 : GO178 ; 방사량 한계 불설정을 지시하고 남은 시간 계산을 스킵
165 S=(@#3AB1+@#3A82+@#3A83+@#3A84)*10/25 ; 블립 계수 4개 가산
: IFS=OS=5999 : GO168 ; 제로이면, 남은 시간을 최대로 설정하고 계산을 스킵
166 S=4*(60*(K-E)-N/60)/S : IPS<OS=0 ; 평균 남은 시간 취득, no negative times please
168 Z=S : A=MOD(S, 60) : S=S/60 : B=3B28 : C=2 : GOSUB930 ; 남은 시간 minutes 문자발생
170 A=S : B=#3B25 : C=2 : GOSUB930 ; 남은 시간 hours 문자발생
178 A=#3B50 : B=#3B2C : C=3 : GOSUB950 : A=#3B58 ; 방사량 문자를 표시문자로 이동
: B=#3B15 ; GOSUB950 ; 방사율 문자를 표시문자로 이동
188 L=64 : IFF>=IL=1 ; 비경보 상태로 초기 설정, 방사율 경보상태인가?
192 IFK=0GO196 ; 방사량 한계 불설정이면 점프
194 IFZ<=JL=17 ; 남은 시간 경보상태인가?
196 IFE>=GL=13 ; 방사량 경보상태인가?
197 IFL=64GO143 ; 경보상태가 아니면, 음향경보비트 클리어, 점프
198 @#E002=#EF : GO143 ; 음향경보비트 설정, 점프
[루틴명칭 : 예상량]
요약 : 이 루틴은 사용자가 방사율 및 누적기간(대기시간)을 입력하도록 허용하고, 다음에, 예상 방사량으로 복귀한다.
300 W=0 : @#3B00=10 : IFM< >0GO305 ; 타임아웃 클리어, opinpro 설정, 최초 누름이 아니면 점프
301 L=64 : A=#3B88 : C=4 : GOSUB955 : IFB=0GO970 ; no 커서 모우드 설정, 사건 개시 시각 취득, 사건 개시 시각=0이면, 점프
303 $#3B10="INPUT STAY TIME & EXPECTED RATE" ; 사용자에 조언
304 GO143 ; 표시
305 L=22 : U=F : A=#3B58 : B=#3BB0 : C=3 : GOSUB950 ; 커서 위치 설정, 방사율을 현재 방사율로 초기설정
306 $#3B10="RATE R/H XDOSSTAY D H R" ; 표시 세트업
: A=#3BB0 : B=#3B15 : C=3 ; 방사율 문자 발생
308 GOSUB950 : A=#3BB8 : B=#3B25 : C=GOSUB950 ; 대기시간 day 문자발생
: A=#3BBA : B=#3B28 : GOSUB950 ; 대기시간 hour 문자발생
310 GO339 ; 계산으로 점프
[루틴명칭 : 예상량 1]
요약 : 이 루틴은 예상 방사량 기능을 위해 사용자 데이터 입력을 처리한다.
325 IFL<9X=#3BB0+L-6 ; 방사율인가?
327 IF<L> 21)AND(L<24)X=#3BB8+L-22 ; 대기시간 day 인가?
328 IFL>24X=#3BB8+L-23 ; 대기시간 hour 인가?
329 GOSUB995 : C=3 : IF<10GO338 ; 키 입력 세이브, 커서 불능화, 문자 베이스 어드레스 취득, 커서 위치 증분
331 GOSUB955 : IFL<10GO338 ; 새 값 취득, 대기시간이 아니면 점프
333 Q=B*24 : A=#3BBA : C=2 : GOSUB955 : Q=Q+B ; days를 hours로 변환, 대기시간 hours 취득, total hours 취득
: IFL=24L=25 ; repo 커서
336 IFL=27L=6 ;
337 GO339 ; 계산으로 점프
338 U=B : IFL=9L=22 ; 방사율 설정, repo 커서
339 IF(L< >6)AND(L< >22)GO143 ; 부분적 데이터항목만 기입되었으면 점프
350 H=Q : GOSUB910 : A=A+E : B=#3B2C : C=3 : GOSUB930 ; 계산 서브루틴으로 점프, 총예상량 취득, 예상량 문자발생
: GO143 ; 표시
[루틴명칭 : 최초 호기]
요약 : 이 루틴은 작업장 방사율, 피신처 방사율, 임무기간, 및 임무중 추가로 받은 방사량의 사용자 입력을 인수하고, 다음에, 임무 완료시의 총방사량 가산 타스크를 실행하기 위해 최초 호기로 복귀한다.
400 @#3B00=11 : W=0 : A=#3B88 : C=4 : GOSUB955 ; opinpro 설정, 타임아울 클리어, 사건 개시 시각 취득
: IFB=0GO970 ; 사건 개시 시각=0이면 점프
401 GO(402+M*4) ; 누름횟수에 근거하여 점프
402 $#3B10="INPUT WORK AREA RATE R/HR" ; 작업장 방사율 요구하는 표시 조언 세트업
403 O=F : A=#3B58 : B=#3B90 : C=3 : GOSUB950 ; 작업장 방사율을 현재 방사율로 초기설정
404 L=26 : A=#3B90 : B=#3B29 : C=3 : GOSUB950 : GO143 ;
406 $#3B10="INPUT SHELTER RATE R/HR" ; 표시
407 R=F : A=#3B58 : B=#3BE0 : C=3 : GOSUB950 ; 피신처 방사율 요구하는 표시조언 세트업
408 L=26 : A=#3BE0 : B=#3B29 : C=3 : GOSUB950 : GO143 ; 피신처 방사율을 현재 방사율로 초기설정
410$#3B10="INPUT TASK DURATION HR" ;
411 L=29 : A=#3BAO : B=#3B2C : C=2 : GOSUB950 : GO143 ; 표시
414 $#3B10="INPUT ADDITIONAL TASK DOSE R" ; 임무기간 요구하는 표시조언 세트업
415 L=29 : A=#3B98 : B=#3B2C : C=3 : GOSUB950 : GO143 ; 전번 임무기간 기입으로 초기설정
418 $#3B10="FIRST OP D HFINAL DOSE R" ; 표시
: GO441 ; 임무과정에 받은 허용가능한 방사량 요구하는 표시조언 세트업
415 @#3B02=29 : A=#3B98 : B=#3B2C : C=3 : GOSUB950 ; 전번 임무방사량 기입으로 초기설정
:GO143 ; 표시
418 $#3B10="FIRST OPP D HFINAL DOSE R" ; 출력표시 초기설정
:GO441 ; 계산으로 점프
[루틴명칭 : 사건 개시 시각 설정]
요약 : 이 루틴은 사용자에게 사건 발생시각을 입력시킬 것을 조언하여 예언적인 계산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500 L=24 : @#3B00=12 : W=0 ; 커서위치 초기설정, opinpro 설정, 타임아웃 클리어
: $#3B10="INPUT TIME SINCEATTACK DAY HR" ; 표시초기 설정
501 A=#3B88 : C=2 : GOSUB955 : Z=B*24 : A=#3BBA : C=2 ; 부적절한 기입 정정
(01D25H →02D01H) ; day 문자 취득
: GOSUB955 : Z=Z+B : A=MOD(Z, 24) ; hour 문자 취득, 총시간 취득, A=days
504 B=#3B8A : C=2 : GOSUB930 : A=Z/24 : B=#3B88 ; A=hours
: GOSUB930 : A=#3B88 : B=#3B27 ; C=2 ;
506 GOSUB950 : A=#3B8A : B=#3B2C ; GOSUB950 ;
: GO143 ; 표시
[루틴명칭 : 사건 개시 시각 설정 1]
요약 : 이 루틴은 사건발생 시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한다.
525 IFL<26X=#3B88+L-24 : GO527 ; day 문자?
526 X=#3B8A+L-29 ; hour 문자?
527 GOSUB955 : C=2 : GOSUB955 : S=B : A=#3B8A : C=2 ; 키 기입 세이브, 커서 불능화, 문자 베이스 어드레스 취득 커서위치 증분
: GOSUB955 ; 일 취득, 시간 취득
531 @#3B08=S*24+B ; @#3B09=0 : @#3B0A=0 ; 지체시간 설정, 다른 지체시간 계수기 제로
532 IFL=26L=29 ; repo 커서
533 IFL=31L=24 ;
534 GO143 ; 표시
[루틴명칭 : 경보 설정]
요약 : 이 루틴은 방사량, 방사율, 및 남은 시간 경보값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한다.
600 @#3B00=13 : W=0 ; opinpro 설정, 타임아웃 클리어
601 IF(M< >0)AND(M< >4)$#3B10="INPUT ALRM LEVEL" : 입력표시이면, top 16 문자 세트 업, 점프
: GO608 ;
602 L=64 : $#3B10= ; 표시모드를 no 커서로 설정, 수자기입 불능화
"ALRM LEVELS R R/HR H M" : A=#3B70 ; 경보상태 표시 세트업
604 B=#3B20 : C=3 : GOSUB950 : A=#3B68 : B=#3B1C ; 방사율 경보 취득
: GOSUB950 : A=#3B78 : B=#3B2B ; 방사량 경보 취득
606 C=1 : GOSUB950 : A=#3B7A : B=#3S2D : C=2 : GOSUB950 : 남은 시간 경보 hours 취득, 남은 시간 경보 minutes 취득
: GO143 : 표시
608 IFM< >1GO611 ; 방사량 경보 조언 아니면 점프
609 $#3B20="DOSE R" : L=22 : A=#3B68 ; 표시 세트업, 커서 위치결정
: B=#3B25 : C=GOSUB950 : 방사량 취득
610 GO143 ; 표시
611 IFM< >2GO614 ; 방사율 경보 조언 아니면 점프
612 $#3B20="RATE R/HR" : L22 : A=#3B70 ; 표시 세트업, 커서 위치결정
: B=#3B25 : C=3 : GOSUB950 ; 방사율 취득
613 GO143 ; 표시
614 $#3B20="TIME=TO-GO H M" : A=MOD(J,60) ; 남은 시간 경보 표시 세트업, A=남은 시간
: B=#3B7A : C=2 : GOSUB930 : A=J/60 ; minutes 문자 발생, A=남은 시간 hours
616 B=#3B78 : C=1 : GOSUB930 : A=#3B78 : B=#3B2B : C=1 ; hours 문자 발생, 이는 부적절한 기입을 정정하기 위해 행해진 것임에 주의
: GOSUB950 : L=28 ; hours를 표시필드로 이동, 커서 위치결정
618 A=#3B7A : B=#3B2D : C=2 : GOSUB950 : GO143 ; minutes를 표시필드로 이동, 표시
[루틴명칭 : 경보 설정 1]
요약 : 이 루틴은 방사량, 방사율, 및 남은 시간 경보값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한다.
625 IFM=1X=#3B68+L-22 ; was it dose
626 IFM=2X=#3B70+S-22 ; was it rate
627 IF(M=3)AND(L<29)X=#3B78 ; was it ttg hours
628 IF(M=3)AND(L>29)X=#3B7A+L-30 ; was it ttg minutes
629 GOSUB995 : C=3 : IF(A=#3B78)C=1 ; 키 기입 세이브, 커서 불능화, 문자 베이스 어드레스 취득, 커서위치 증분
631 GOSUB955 : IFA>#3B70GO635 ; 새 값 취득, 방사량 아니면 점프
633 S=B : IFL=25L=22 ; 경보 방사량 설정, repo 커서
634 GO143 ; 표시
635 IFA>#3B78G638 ; 방사율 아니면 점프
636 I=B : IFL=25L=22 ; 경보방사율 설정, repo 커서
637 GO143 ; 표시
638 S=B : A=#3B7A : C=2 : GOSUB955 : IFL=29L=30 ; 남은 시간 hours 세이브, 남은 시간 minutes 취득
640 IFL=32L=28 ; repo 커서
641 J=60*S+B : GO143 ; 남은 시간 minutes 세이브
[루틴명 : 방사량 한계]
요약 : 이 루틴은 사용자에게 방사량 한계를 입력시킬 것을 조언한다. 이것은 생략성 표시에서 남은 시간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700 L=27 ; @#3B00=14 : W=0 ; 커서위치 설정, opinpro 설정, 타임아웃 클리어
: $#3B10="INPUT MAX ALLOW-ABLE DOSE R" ; 표시 초기설정
701 A=#2B80 : B=#3B2A : C=3 : GOSUB950 : GO143 ; 방사량 한계를 표시 장소로 이동
[루틴명칭 : 방사량 한계 1]
요약 : 이 루틴은 사용자 데이터 입력을 새 방사량 한계문자 및 값으로 처리한다.
725 X=L-27+#3B80 : GOSUB995 : C=3 : GOSUB955 : K=B ; 새 문자 세이브, 새 방사량한계 계산
: IFL=30L=27 ;
728 GO143 ; 방사량 한계 세이브, repo 커서
[루틴 명칭 : 남은 쇠퇴 시간]
요약 : 이 루틴은 사용자에게 방사율 및 방사량 한계를 요구하는 조언을 하고, 다음에 쇠퇴 방사율 남은 시간으로 복귀한다.
800 @#3B00=15 : W=0 : A=#3B88 : C=4 : GOSUB955 ; opinpro 설정, 타임 아웃 클리어, 사건 개시 시각 취득
: IFB=OGO970 ; 사건 개시 시각 불설정일 때 점프
801 IF M< >1GO805 ; 둘째 누름 아닐 때 점프
803 L=64 : $#3B10= ; 커서 오프 설정, 수자기입 불능화
"INPUT EXPECTED RATE & DOSELIMIT" : GO143 ; 조언 표시 세트업, 표시
805 $#3B10="RATE R/H DOSLDTTG D H R" ; 입력 및 계산에 대한 표시 세트업
: L=6 : U=F : V=K : A=#3B58 ; 커서 위치 결정, 방사율을 현재 방사율로 초기설정, 현재 방사량 한계로 초기설정
807 B=#3BC8 : C=3 : GOSUB950 : A=#3B80 : B=#BD0 ; 문자이동
: GOSUB950 : A=#3BC8 : B=#3B15 ; 문자를 표시 필드로 이동
809 GOSUB950 : A=#3BD0 : B=#3B2C : GOSUB950 ;
: IFV=OL=29 ; 방사량 한계=0이면, 방사량 한계에서 데이터 기입 초기설정
810 GO833 ; 계산으로 진행
[루틴 명칭 : 남은 쇠퇴시간 1]
요약 : 이 루틴은 남은 쇠퇴시간 기능을 위해 사용자 데이터 입력을 처리한다. 계산과정에서 변수 D는 승수로 이용된다. B(참)가 1보다 작으면, D는 10으로 설정하고 계산은 B 대신에 10*B를 이용한다.
825 IFL 9X=#3BC8+L-6 ; 방사율인가?
826 IFL 9X=#3BD0+L-29 ; 방사량인가?
827 GOSUB995 : C=3 ; 키 입력 세이브, 커서 불능화, 문자 베이스어드레스 취득, 커서위치 증분
: GOSUB955 : IFA<#BDOGO832 ; 새 값 취득, 방사량 한계 아니면 점프
830 V=B : IFL=32L=6 ; 방사량 한계 설정 repo 커서
831 GO833 ; 계산으로 점프
832 U=B : IFL=9L=29 ; 방사율 설정, repo 커서
833 IFV< >OGO838 ; 방사량 한계=0이면 계산스킵(점프없음)
834 FORB=OTO4 ; 루프
835 IF(#3B25+B)< >#3B27@(#3B25+B)=#2A ; 표시의 남은 시간에 * *삽입
836 NEXTB ; end 루프
837 GO143 ; 표시
838 IF(L< >6)AND(L< >29)GO143 ; 전 데이터 필드가 기입되지 않으면 계산 스킵
839 GOSUB975 : D=1 : X=0 : IFU=OT=2399 : GO851 ; 지체시간 취득, X를 0로 초기 설정, D를 1로 초기 설정, 방사율=0이면 남은 시간을 최대로 설정
841 Z=20*D*(V-E)/U/S : IF(Z=0)AND(D=1)D=10 : GO841 ; Z=참 B값, Z=1이면 D=10으로 다시 시도
843 DO : X=X+1 : Y=D*@(#3ABO+X) : UNTIL(Y>Z)OR(X=16) ; B 참이 어디 들어가는지 B 표의 어느 기입(X, X-1)을 발견
: IFX=16T=2399 : GO851 ; B 참이 최종 표기입 보다 크면, 남은 시간을 최대로 설정
844 A=D*@(#3ABO+X-1) : Z=Z-A : Y=Y-A ; A=B(X-1), Z=B(참)-B(X-1), Y=B(X)-B(X-1), A=a(X-1)
: A=@(#3AAO+X-1)*@(#3ACO+X-1) ; a 또는 M표로 곱해져서 10*a를 얻는 것에 주의
845 X=@(#3AAO+X)*@(#3ACO+X)-A ; X=a(X)-a(X-1) otherwise
846 A=A+X*Z/Y : T=A*S/10 : IFT=OT=(V-E)/U ; A=10*a(참), T=남은 시간 in hours, T=0 이면, 선형계산 이용
851 Z=MOD(T, 24) : A=T/24 ; Z=남은 시간 in hours, A=남은 시간 in days
852 B=#3B25 : C=2 : GOSUB930 : A=Z : B=#3B28 : C=2 ; 문자 발생하고 표시필드로 이동
: GOSUB930 : GO143 ; 표시
[루틴 명칭 : DSTRS]
요약 : 명령 연사를 표시로 보냄
변수 입력 : B=연사 어드레스
C=연사 길이
사용된 변수 : D
파괴된 변수 : D
900 @#E002=#BF ; CS를 low로 설정
901 FORD=OTOC-1 ;
902 @#E000=@(B+D) : @#F002=#3F : @#E002=#BF ; 루프
903 NEXTD ; 데이터를 표시로 발송, WR 토글
904 @#E002=#FF : RETURN ; CS를 high로 설정
[루틴 명칭 : XDOSESUB]
요약 : 현재 시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일정 기간에 걸쳐 누적된 방사량 계산, 방사율 및누적시간이 입력됨. 이 방법은 쇠퇴 프로세스를 모델하기 위해 테이블 색인 기술을 이용한다. 중요 항목이 10*a라는 것을 알고, a-테이블 값의 유용한 범위를 포함하기 위해서는 10*a=a(i)*M(i)가 되도록 M-표가 포함된다. 계산의 상세한 내용에 관한 주의사항 참조.
입력된 변수 : H=누적시간
U=방사율
사용된 변수 : B, C, X, Y, Z
출력 변수 : A=누적된 방사량
S=시간 단위의 지체 시간
파괴된 변수 : B, C, X, Y, Z
910 IF(H=0)OR(U=0)A=O : RETURN ; 누적시간 또는 방사율=0이면, 방사율=0이고 복귀
911 GOSUB975 : A=10*H : IF(A/S)=OA=O : GO913 ; 지체시간 취득, a(참)<.1이면 linear로 진행(간접적으로 : 10*a=0=>B=0)
912 A=A/S+2*MOD(A, S)/S : IFA=6000A=6000 : Y=6000 ; A=10*a(참), a(참)가 표를 넘어 있으면, 최대로 설정
: X=15 : GO914 ;
913 X=O : DO : Y=X+1 : Y=@(#3AAO+X)*@(#3ACO+X) ; a(참)가 어디 들어가는지 표색인(X, X-1)을 발견
: UNTIL(Y>A) ;
914 B=@(#3AAO+X-1)*@(#3ACO+X-1) : C=A-B : Y=Y-B ; B=a(X-1)*10, C=a(참)-a(X-1), Y=a(X)-a(X-1)
: B=@(#3ABO+X-1) ; B=B(X-1), Z=B(X)-B(X-1)
916 Z=@(#3ABO+X)-B : B=B+Z*C/Y : IFB=OA=H*U : RETURN ; B=B(참), B=O(표에서 어느 정보든 취득 가능)이면 선형 계산 이용
917 B=B*U : IFS>(32767/B)A=999 : RETURN ; 방사량이 최대를 넘으면, set=max
918 A=B*S/20 : RETURN ; A=누적된 방사량
[루틴 명칭 : INTCHAR]
요약 : 정수를 문자연사로 변환
입력된 변수 : A=정수
B=연사의 개시 어드레스
C=문자 개수
사용된 변수 : D, H
파괴된 변수 : A, D, H
출력 변수 : 없음
930 D=1 ; 최대값 초기설정
931 FORH=1TOC ; 루프
932 D=D*10 ; 최대값 취득
933 NEXTH ;
934 IF(A<0)OR(A>=D)A=D-1 ; 연사가 최대값보다 작아지게 강제, 마이너스이면 set=to max-1
936 H=B+C-1 ; init char add 세트업, 1's digit
937 FORD=HTOBSTEP-1 ; 루프
938 @D=MOD(A, 10)+48 : A=A/10 ; 문자 세이브
939 NEXTO ;
940 RETURN ;
[루틴 명칭 : MOVSTR]
요약 : 연사를 RAM으로 이동
입력된 변수 : A=소스의 개시 어드레스
B=행선지의 개시 어드레스
C=연사 길이
사용된 변수 : D
파괴된 변수 : D
출력변수 :없음
950 FORD=OTOC-1 ; 루프
951 @(B+D)=@(A+D) ; 문자이동
952 NEXTD ;
953 RETURN ;
[루틴 명칭 : CHARINT]
요약 : 문자 연사를 정수로 변환
입력된 변수 : A=연사의 개시 어드레스
C=문자의 개수
사용된 변수 : D, H
파괴된 변수 : A, C, D, H
출력 변수 : B=정수 결과
955 B=O : D=1 : IFC=1GO960 ; 정수 초기설정, 승수 초기설정, 단 하나의 문자이면 루프를 스킵
957 FORH=1TOC-1 ; 루프
958 D=D*10 ; 승수 취득
959 NEXTH ;
960 DO ; 루프
961 B=B+(@A-48)*D : A=A+1 : C=C-1 : D=D/10 ; 문자값*승수를 정수에 가산, 다음 문자, 다음 승수
962 UNTILC=0 ;
963 RETURN
[루틴 명칭 : SHHMSG]
요약 : 최초 호기, 예상량, 또는 남은 쇠퇴시간이 요구되면 설정 사건 개시 시각을 표시
* * * * * 이 루틴은 GOSUB가 아니라 GO에 의해 억세스되는 것에 주의한다* * * * *
입력된 변수 : 없음
사용된 변수 : W
파괴된 변수 : W
출력변수 : 없음
970 L=64 : @#3B00=17 ; 커서 및 수자 기입 불능화, opinpro 설정
: $#3B10="SET H-HOUR" ; 표시 세트업
974 W=O : GO143 : 타임 아웃 클리어, 표시
[루틴 명칭 : ELAPHR]
요약 : #3B06-#3B0A에서 지체된 시간으로 복귀
입력된 변수 : 없음
사용된 변수 : 없음
출력 변수 : S=지체된 시간
975 S=@#3B08 : IF@#3B09>72S=S+1 ; 지체 hours 취득, 사이클>720이면 지체 hours 증분
976 RETURN ; (주의 : 생략성 프로세싱은 2.5s, 걸림, #사이클/hours=1440)
[루틴 명칭 : KEYSAV]
요약 : 키 값을 DISPC와 FDISPC에 세이브
입력된 변수 : A=읽어들인 키 부호
사용된 변수 : 없음
파괴된 변수 : A
출력 변수 : 없음
980 @#B03=A : @(L-1+#3B10)=A+48 ; 건반기입을 표시장소에 세이브
981 RETURN ;
[루틴 명칭 : 키프로세스]
요약 : 키 기능 프로세싱에 관련된 몇가지 기능을 실행 : 구 수자를 신 수자로 RAM에 대체, 커서를 끄고 신 문자를 표시에 기입, 영향받은 데이터 값의 문자기억을 위해 RAM의 베이스(개시) 어드레스를 발견
입력된 변수 : X=영향받은 각개 문자의 RAM의 어드레스
@#3B03=최근 키 부호
사용된 변수 : B, C, D, W
파괴된 변수 : B, C, D, W
출력 변수 : A=영향받은 데이터 값의 문자기억을 위한 베이스 어드레스
995 @X=@#3B03+48 : @#3A00=#6A : #6A : @#3A01=#3A00 ; 문자 대체, 커서 불능화하고 새문자 표시
: C=2 : GOSUB900 ;
996 A=X/8*8 : W=O : L=L+1 : RETURN ; 베이스 어드레스 취득, 타임 아웃 클리어, 커서 위치 증분

Claims (22)

  1. 상기 방사선 검출기가 노출되는 실시간 방사선 노출율에 관련된 정보를 발생하는 방사선 검출기와, 상기 방사선 검출기에 응답하여 총방사량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방사율 정보를 적분하는 디지틀 프로세서와,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방사율과 총방사량 정보에 관한 표시를 제공하는 출력수단으로 구성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로서,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가, 상기 총방사량 정보와 한 개 방사량 정보와의 차에 관련된 남은 방사량 정보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총방사량 정보와 방사량 한계 정보를 반복적으로 비교하는 제1수단과, 사용자가 상기 한계 방사량에 도달하는데 남은 시간에 관련된 남은 시간 정보를 발생한 다음 갱신하기 위해 상기 남은 방사량 정보를 상기 방사율 정보로 반복적으로 나누는 제2수단과, 상기 갱신된 남은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제3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에 응답하여 그것을 지시하는 출력신호들을 발생하는 건반 수단을 아울러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한계 방사량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출력 신호들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남은시간 정보와 경보 남은시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남은시간 정보가 상기 경보 남은시간 정보 보다 적을 때 상기 출력수단에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제4수단을 아울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방사율, 총방사량 및 남은시간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가능케 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경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가청신호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경보 방사율을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방사율 정보와 상기 경보 방사율을 비교하고, 상기 방사율 정보가 상기 경보 방사율을 초과하면 가청신호 발생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출력수단에 반사율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제5수단을 아울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총방사량 정보가 경보 방사량 정보를 초과하면 가청 신호 발생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출력수단에 방사량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제5수단을 아울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정보발생원에 응답하여 그것을 지시하는 출력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에 응답하여 정보 신호들을 외부 정보 싱크(sink)로 송신하는 송수신기 수단을 아울러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가 상기 방사량 한계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출력신호들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남은시간 정보와 경보 남은시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남은시간 정보가 상기 경보 남은시간 정보보다 적을 때 상기 출력수단에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제4수단을 아울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탐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방사율, 총방사량, 및 남은시간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가능케 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경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가청신호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탐지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경보 방사율을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방사율 정보와 상기 경보 방사율을 비교하고, 상기 방사율 정보가 상기 경보 방사율을 초과하면 가청신호 발생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출력수단에 방사율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제5수단을 아울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총방사량 정보가 경보 방사량 정보를 초과하면, 가청 신호 발생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출력수단에 방사량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제5수단을 아울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12. 방사선 검출기가 노출되는 실시간 방사선 노출되는 실시간 방사선 노출율에 관련된 정보를 발생하는 방사선 검출기와, 시간 파라미터와 유효 방사선 쇠퇴율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제1수단과, 상기 기억시간 파라미터와 동일한 선택시간 동안 유효 방사선에 노출되는 사용자에게 누적될 수 있는 방사량을 나타내는 예측 방사량 정보를 상기 유효 방사선 쇠퇴율에 기초하여 미래의 선택시간동안 결정하는 제2수단과, 상기 총방사량 정보와 상기 예측 방사량 정보를 가산하는 수단도 아울러 포함하고, 상기 방사선 검출기에 응답하여 총방사량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방사율 정보를 감지 및 적분하는 디지틀 프로세서와,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예측방사량 정보와 상기 총방사량 정보의 합에 관한 표시를 제공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총방사량 정보와 한계 방사량 정보와의 차에 관련된 갱신된 남은 방사량 정보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총방사량 정보와 한계 방사량 정보를 반복적으로 비교하는 제3수단과, 사용자가 상기 한계 방사량에 도달하는데 남은 시간에 관련된 갱신된 남은시간 정보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갱신된 남은 방사량 정보를 상기 방사율 정보로 나누는 제4수단과, 상기 남은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제5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에 응답하여 그것을 지시하는 출력신호들을 발생하는 건반수단을 아울러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한계 방사량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출력신호들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남은시간 정보와 경보 남은시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남은시간 정보가 상기 경보 남은시간 정보보다 적을 때 상기 출력수단에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제6수단을 아울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탐지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외부 정보발생원에 응답하여 그것을 지시하는 출력신호들을 제공하는 수신기 수단을 아울러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한계 방사량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출력신호들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17. 상기 방사선 검출기가 노출되는 실시간 방사선 노출율에 관한 정보를 발생하는 방사선 검출기와, 상기 방사선 검출기에 응답하여 상기 방사율 정보를 감지 및 적분함으로써 총방사량 정보를 유지하는 디지틀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방사량 파라미터와 방사선 쇠퇴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제1수단과, 상기 기억된 한계 방사량 파라미터와 동일한 누적된 방사량에 도달될 예측시간을 예측가능한 방사선 쇠퇴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제2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한계 방사량 파라미터와 상기 총방사량 정보 사이의 차이를 구하고 상기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예측시간을 예측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예측시간정보에 관한 표시를 제공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응답하여 적어도 상기 방사율 및 총 방사량 정보에 관한 표시를 제공하는 선택성 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총방사량 정보와 한계 방사량 정보와의 차에 관련된 실시간 남은 방사량 정보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총방사량 정보와 한계 방사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는 제3수단과, 사용자가 상기 한계 방사량에 도달하는데 남은시간에 관련된 실시간, 남은시간 정보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실시간 남은 방사량 정보를 상기 방사율 정보로 나누는 제4수단과, 상기 실시간, 남은시간 정보의 표시를 제공하는 상기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제5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에 응답하여 그것을 지시하는 출력신호들을 발생하는 건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한계 방사량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출력신호들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외부 정보발생원에 응답하여 그것을 지시하는 출력신호들을 제공하는 수신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방사량 한계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출력신호들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21. 방사선 검출기가 노출되는 실시간 방사선 노출율에 관련된 정보를 발생하는 방사선 검출기와, 상기 방사선 검출기에 응답하여 상기 방사율 정보를 감지하는 디지틀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작업장 방사율 및 작업방사량 파라미터는 물론 시간 파라미터와 유효 방사선 쇠퇴율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제1수단과, a) 상기 유효 노출율과 쇠퇴율과 미지의 초기 시간 파라미터에 근거한 제1예측 방사량과, b) 상기 작업 방사량 파라미터의 합을 결정하는 제2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작업 방사량 파라미터를, 상기 기억 작업장 방사율과 동일하지만 상기 미지 시간에 의해 변화된 작업장 방사율과 상기 시간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계산된 방사량과 동식으로 함으로써 상기 미지의 시간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22. 제1, 13, 18 또는 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틀 프로세서는 상기 총방사량 정보를 조작자 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으로부터 보호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탐지장치.
KR1019860700627A 1985-01-11 1986-01-10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KR940001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690,547 US4642463A (en) 1985-01-11 1985-01-11 Intelligent radiation monitor
US690547 1985-01-11
USPUS86-00032 1986-01-10
PCT/US1986/000032 WO1986004153A1 (en) 1985-01-11 1986-01-10 Intelligent radiation moni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141A KR870700141A (ko) 1987-03-14
KR940001876B1 true KR940001876B1 (ko) 1994-03-10

Family

ID=2477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627A KR940001876B1 (ko) 1985-01-11 1986-01-10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42463A (ko)
EP (1) EP0208782A4 (ko)
JP (1) JPS62502143A (ko)
KR (1) KR940001876B1 (ko)
WO (1) WO19860041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8884A (en) * 1986-12-01 1989-04-04 Saubolle Malcolm C Low cost appliance for continuously monitoring levels of ionizing radiation in premises for human occupation
US4970391A (en) * 1987-01-27 1990-11-13 Medrad, Inc. Radiation detector with an ionizable gas atop an integrated circuit
US4804847A (en) * 1987-01-27 1989-02-14 Medrad, Inc. Radiation detector with an ionizable gas atop an integrated circuit
JP2555122B2 (ja) * 1987-02-02 1996-1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用線量計
US5045700A (en) * 1989-08-29 1991-09-03 Crowson Robert H Headgear-mounted indicator for ionizing radiation
FR2653566B1 (fr) * 1989-10-23 1994-07-2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ontroleur de contamination et procede pour sa mise en óoeuvre.
DE3941733A1 (de) * 1989-12-18 1991-06-20 Nokia Unterhaltungselektronik Elektronisches dosimeter
US5572027A (en) * 1995-01-12 1996-11-05 Saint-Gobain/Norton Industrial Ceramics Corp. Integrated dosimeter for simultaneous passive and active dosimetry
US5736930A (en) * 1995-07-21 1998-04-07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ation source failure prediction
DE19724742C2 (de) * 1997-06-12 1999-03-25 Georg Dieter Dr Mirow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zeige von statistisch auftretenden Ereignissen
US5939723A (en) * 1997-06-26 1999-08-17 Keck; Max L. Radiation counter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level of radiation in muscle tissue
US6031454A (en) * 1997-11-13 2000-02-29 Sandia Corporation Worker-specific exposure monitor and method for surveillance of workers
US6282410B1 (en) * 1999-01-29 2001-08-28 Southern California Edison Module pack for coordination of work within hazardous environments
US6539311B1 (en) * 2000-10-30 2003-03-25 The Mit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ncentrations of a chemical/biological/nuclear agent in an environment
JP3885520B2 (ja) * 2001-06-05 2007-0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式被曝線量計とそれを用いた放射線作業管理システム
US7557353B2 (en) 2001-11-30 2009-07-07 Sicel Technologies, Inc. Single-use external dosimeters for use in radiation therapies
US6765214B1 (en) * 2002-02-13 2004-07-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mart radiological dosimeter
KR100437864B1 (ko) * 2002-08-26 2004-06-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변위손상을 이용하는 반도체형 중성자 탐지소자의열화현상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US6897448B2 (en) * 2002-08-29 2005-05-24 Kno-Rad, Inc. Radiation detector
EP1606654A2 (en) * 2003-03-06 2005-12-21 Randolph & Baldwin Radiation detection and tracking with gps-enabl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95329B2 (en) * 2003-03-26 2006-08-22 Malcolm Saubolle Radiation monitor for ease of use
US7537560B2 (en) * 2003-09-30 2009-05-26 Don Powers Containment, shielding, information display, distribution and administration of radioactive pharmaceuticals
PT103081A (pt) 2004-02-23 2005-08-31 Flama Fabrica De Loucas E Elec Maquina de cafe
US7456405B1 (en) * 2004-03-08 2008-11-25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Portable radiation monitor methods and apparatus
ES2215490B1 (es) * 2004-04-19 2005-10-16 Jose Maria Rodriguez San Pedro Pico Soporte portadosimetros con alarma de radiacion incorporada.
WO2006086749A2 (en) * 2005-02-10 2006-08-17 Bushberg Jerrold T Dynamic emergency radiation monitor
US7592603B2 (en) * 2005-08-25 2009-09-22 Rae Systems, Inc. Combined radiation dosimeter and rate meter
US7491948B2 (en) * 2006-01-30 2009-0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detecting and transmitting radiation detection information to a network
US8289152B1 (en) 2006-07-24 2012-10-16 Upmc Emergency management system
WO2008051657A2 (en) * 2006-10-25 2008-05-02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Automated radiation dosimeters and methods of determining a maximum stay time
US7669883B2 (en) * 2007-03-29 2010-03-02 Newfrey Llc Air bag bracket/fastener
CN101680952B (zh) * 2007-05-07 2012-10-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工作人员剂量知晓指示
US8289817B1 (en) * 2009-03-20 2012-10-16 Bath Eugene R Single touch alarm clock
US20120268279A1 (en) * 2011-04-21 2012-10-25 Charles Terrance Hatch Methods and systems for use in monitoring radiation
US9470799B2 (en) 2011-05-13 2016-10-18 Unfors Raysafe Ab Radiation meter and method
US8686871B2 (en) 2011-05-13 2014-04-01 General Electric Compan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machines with same
JP5868256B2 (ja) * 2012-04-26 2016-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線量率測定装置
US9297907B1 (en) 2013-03-11 2016-03-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 Space Administration (NASA) Real time radiation monitoring using nanotechnology
WO2015044016A1 (en) 2013-09-30 2015-04-02 Koninklijke Philips N.V. A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radiation exposure and arrangement including a radiation source and the system
JP1521789S (ko) * 2014-10-27 2015-04-20
EP3256881B1 (en) * 2015-02-13 2024-05-15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thod of detecting and outputting radiation dose rate information
US10459227B2 (en) 2015-02-13 2019-10-29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thod of visually outputting to a worker during an operation a number of parameters pertaining to the operation, and associated apparatus
JP6466766B2 (ja) * 2015-04-10 2019-02-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除染評価方法
WO2017113894A1 (zh) * 2015-12-29 2017-07-06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放射线人体检查方法和放射线人体检查系统
US10580268B2 (en) 2016-06-14 2020-03-03 Mighty Oak Medic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ers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an emitter of ionizing energy
US9972189B1 (en) * 2016-11-15 2018-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 radiation dosimeter and ale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4312A (en) * 1953-04-16 1958-07-22 James M Mccampbell Radiation intensity dosage analogue computer
US3878496A (en) * 1971-06-14 1975-04-15 Us Energy Selectable level alarming personal dosimeter
US3984690A (en) * 1975-04-02 1976-10-05 Mdh Industries, Inc. Circuitry for use with an ionizing-radiation detector
JPS5242784A (en) * 1975-09-30 1977-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CA1041680A (en) * 1976-03-09 1978-10-31 Philip C. East Radiacmeter with null deflection system
CH620521A5 (ko) * 1978-06-07 1980-11-28 Jean Engdahl
FR2431138A1 (fr) * 1978-07-12 1980-02-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lecture automatique de la dose d'irradiation d'un dosimetre portatif a chambre d'ionisation et dispositif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US4301367A (en) * 1980-01-21 1981-11-17 Hsu Sam S Radiation dosimeter
FR2486248A1 (fr) * 1980-07-01 1982-01-08 Merlin Gerin Dosimetre numerique de mesure et de controle d'un rayonnement ionisant, equipe d'un dispositif de transmission a liaison opto-electronique
US4428050A (en) * 1981-04-02 1984-01-24 Frank Pellegrino Tanning aid
US4415237A (en) * 1981-09-01 1983-11-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Energy Radiation dosimeter
JPS59126980A (ja) * 1983-01-10 1984-07-21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線被曝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08782A1 (en) 1987-01-21
KR870700141A (ko) 1987-03-14
EP0208782A4 (en) 1989-05-30
US4642463A (en) 1987-02-10
WO1986004153A1 (en) 1986-07-17
JPS62502143A (ja) 1987-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876B1 (ko) 개인용 방사선 탐지장치
US47438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remaining battery life in a battery powered device
US6623616B1 (en) Corrosive environment monitor and methods regarding same
Hofer Sensitivity analysis in the context of uncertainty analysis for computationally intensive models
KR960010698B1 (ko) 휴대용 선량계 및 그의 선량계를 사용한 피폭집중관리장치
US4608655A (en) Wristwatch dosimeter
EP3004932B1 (en) Algorithm for wireless, motion and position-sensing, integrating radiation sensor for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dosimetry
Miller et al. Bayesian internal dosimetry calculations using Markov chain Monte Carlo
US5258926A (en) Method of measuring radiation for a radiation measuring device
US9063235B2 (en) Algorithm for a wireless, motion and position-sensing, integrating radiation sensor for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dosimetry
EP0209351A1 (en) Electronic timepiece having a radiation dose rate meter
JPH11190775A (ja) 携帯型線量計
Eappen et al. Estimation of radon progeny equilibrium factors and their uncertainty bounds using solid state nuclear track detectors
JP4972056B2 (ja) 放射線測定装置
Aarnio et al. Expert system for nuclide ide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gamma-spectrum analysis
Fisher Jr A model for estimating the inhalation exposure to radon-222 and daughter products from the accumulated lead-210 body burden
JPS61245076A (ja) 線量計
van Belle et al. Contributions to composite sampling
US20160011320A1 (en) Radiation probe system and method
Hewett et al. Some approximate simultaneous prediction intervals for reliability analysis
McCormick et al. A Microprocessor Based 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ing System
JPH02304388A (ja) デジタル式計数率計
JP2000009523A (ja) 環境負荷評価装置
Stevens et al. A Portable Neutron Counter for Determining Weights of Deposits of Uranium-fluorine Compounds
Fox A simple protocol for radiation dosimetry based on the order statistics from a poiss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