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538Y1 -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538Y1
KR940001538Y1 KR2019910006069U KR910006069U KR940001538Y1 KR 940001538 Y1 KR940001538 Y1 KR 940001538Y1 KR 2019910006069 U KR2019910006069 U KR 2019910006069U KR 910006069 U KR910006069 U KR 910006069U KR 940001538 Y1 KR940001538 Y1 KR 940001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leeve
pulley
magnetic roller
i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6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096U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2019910006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538Y1/ko
Publication of KR920020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5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의 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리브(Sleeve) 2 : 마그네틱 로울러(Magnetic Roller)
3 : 메인 모터(Main Motor) 8 : 더블기어(double Gear)
10 : 슬리브기어 13 : 마그네틱 풀리
본 고안은 복사기의 슬리브(Sleeve)및 마그네틱 로울러(Magnetic Roller)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그네틱 로울러를 별도의 구동원 없이 적절한 동력 배분 및 중속을 통해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메인 모터(Main Motor)의 감속축에서 나오는 동력을 이용하여 현상기내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를 구동시키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틱 로울러가 고속회전하는 형태의신 2 성분 현상기에 있어서, 모터 1개의구동력을 다수개의 벨트 및 기어로 속도비 및 회전방향을 조정하여 슬리브와 마그네틱 로울러를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한 동력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2성분 현상기는 슬리브의 회전수와 마그네틱 로울러의 회전수 비를 1 : 5~6으로 하고 회전방향도 역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고화질의 상을 얻는 현상방식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 같은 신2성분 현상기의 슬리브와 마그네틱 로울러의 회전비를 상이하게 하고 역방향의 회전력을 얻기위해 각각에 구동력을 전달해 주었다.
즉, 슬리브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마그네틱 로울러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각각 별개로 구성시킨 방식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기구적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방식과는 다르게 구동원은 1개를 이용, 동력원의 단순화를 꾀한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를 회동시키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메님모터축에 메인기어를 장착하여 플리기어의기어와 맞물리게 하고, 상기 플리기어의 풀리와 피동축의 일측에 설치된 풀리를 벨트로 연결하며, 상기 피동축의 타측에는 더블기어를 설치하여 아이들 축에 설치된 아이들 기어 및 아이들 풀리기어와 맞물리게 하되, 상기 아이들 기어는 슬리브에 결합된 슬리브기어와 맞물리게 하고 상기 아이들 풀리 기어는 마그네틱 로울러의 축에 설치된 마그네틱 로울러 풀리와 벨트로 연결한 구조로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부호중 1은 슬리브, 2는 마그네틱 로울러, 3은 메인모터, 8은 더블기어, 9는 아이들 기어, 10은 슬리브 기어, 11은 아이들 풀리기어, 13은 마그네틱 풀리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모터(3)의 축(3')에 메인기어(4)를 장착하여 풀리기어 (5)의 기어(5a)와 맞물리도록 하고, 그 일측에 형성돈 풀리(5b)와 피동축(15)의 일측에 설치된 풀리(7)를 벨트(6)로서 연결하여 메인모터(3)의 구동력이 피동축 (15)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피동축(15)의 타단에는 피치원 지름이 상이한 2개의 기어(8a) (8b)가 형성된 더블기어(8)을 장착하여 아이들축(15')에 장착된 아이들 기어(9)및 아이들 풀리기어(11)의 기어(11b)와 맞물리도록 한다.
이때, 더블기어(8)의 직경이 작은 기어(8a)는 아이들기어(9)와 맞물리도록 하고 직경이 큰기어(8b)는 아이들 풀리기어(11)의 기어(11b)와 맞물리도록 하며, 아이들 축(11)에 설치된 아이들 기어(9)및 아이들 풀리기어 (11)는 각각 별개의 회전운동이 되도록 아이들축(11)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 기어(9)는 슬리브(1)에 장착된 슬리브 기어(10)와 맞물리도록 설치하고, 상기 아이들 풀리기어(11)의 풀리(11a)는 마그네틱 로울러(2)의 축에 설치된 마그네틱 로울러 풀리(13)와 벨트(12)로서 연결하여 마그네틱 로울러 (2)가 상기 슬리브(1)이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14는 측판, 16은 베어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모터 (3)의 구동력이 메인기어(4)→풀리기어(5)→벨트(6)→풀리(7)→구동축(15)의 순서에 의해 더블기어(8)에 전달되면 더블기어(8)의 작은 직경기어(8a)에 치합된 아이들 기어(9)가 회동하고,이 구동력이 슬리브 기어(10)를 회동시키게 되므로 슬리브 (1)가 회전을 하게 된다. 슬리브(1)의 회전력은 작은 직경 기어(8a)와 슬리브 기어 (10)의 직경이 거의 동일하므로 피동축(15)의 회전수만큼 슬리브가 비교적 마그네틱 로울러(2)에 비해 저속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마그네틱 로울러(2)의 구동은 더블기어(8)의 큰 직경기어(8b)에 치합된 아이들 풀리기어의 기어(11b)가 회동하여 풀리(11a)를 회동시키고, 상기 풀리 (11a)에 벨트(12)로 마그네틱 풀리(1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마그네틱 로울러(2)가 상기 슬리브(1)와는 반대회전을 하게 된다.
또, 마그네틱 로울러(2)의 회전력을 더불기어(8)의 큰직경 기어(8)보다 마그네틱 풀리(13)의 직경이 작으므로 피동축(15)의 회전수가 그 직경비만큼 증속하여 상기슬리브(1)의 회전력보다 빠르게 된다. 이때, 각 풀리 및 기어의 직경비는 슬리브(1)와 마그네틱 로울러(2)의 회전력이 1; 5~6이 되도록 실시한다.
즉, 메인모터(3)의 구동력이 더불기어(8)까지 전달되면 슬리브(1)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작은 직경 기어(8a)→아이들 기어(9)→슬리브기어(10)→슬리브(1)의 순서로 되고,마그네틱 로울러(2)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은 큰 직경기어(8b)→아이들 풀리기어(11)→벨트(12)→마그네틱 풀리(13)→마그네틱 로울러(2)의 순서로 전달되어 회전수 및 회전방향이 각기 틀리게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가 구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모터 1개만을 가지고 슬리브 및 마그네틱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각기 틀리게 전달시킬수 있도록 함으로서 동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고화질을 얻을 수 있는 적용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를 회동시키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메인모터(3)축에 메인기어(4)를 장착하여 풀리기어(5)의 기어(5a)와 맞물리게 하고, 상기 풀리기어(5)의 풀리(5b)와 피동축(15)의 일측에 설치된 풀리(17)를 벨트(6)로 연결하며, 상기 피동축(15)의 타측에는 더블기어(8)를 설치하여 아이들 축(15')에 설치된 아이들 기어(9)및 아이들 풀리기어(11)와 맞물리게 하되, 상기 아이들 기어 (9)는 슬리브(1)에 결합된 슬리브기어(10)와 맞물리게 하고 상기 아이들 풀리기어 (11)는 마그네틱 로울러(2)의 축에 설치된 마그네틱 로울러 풀리(13)와 벨트(12)로 연결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의 구동장치.
KR2019910006069U 1991-04-30 1991-04-30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의 구동장치 KR940001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069U KR940001538Y1 (ko) 1991-04-30 1991-04-30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069U KR940001538Y1 (ko) 1991-04-30 1991-04-30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096U KR920020096U (ko) 1992-11-17
KR940001538Y1 true KR940001538Y1 (ko) 1994-03-18

Family

ID=1931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6069U KR940001538Y1 (ko) 1991-04-30 1991-04-30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5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23B1 (ko) * 2001-10-05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23B1 (ko) * 2001-10-05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096U (ko) 199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538Y1 (ko) 복사기의 슬리브 및 마그네틱 로울러의 구동장치
KR930010633A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동력전달 장치
EP0927316B1 (en) Belt drive differential
EP0061061A1 (en) Variable speed rotary power transmission
US4112788A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KR910005607Y1 (ko) 복사기의 현상 구동장치
SU1237826A1 (ru) Передача с гибкой св зью
JP4331326B2 (ja) Vベルトが用いられた無段変速機の変速装置
JP3008348B1 (ja) ヘリコプター玩具のテールロータ駆動装置
KR940004121A (ko) 지그염색기의 권취로울러 구동장치
KR950011877B1 (ko)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기 구동장치
US2321960A (en) Drive control mechanism
KR950001719B1 (ko) 벨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EP1024412A3 (en) Apparatus for driving squeegee roller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890006861Y1 (ko) 전자복사기의 광학계 구동장치
JP2004270802A (ja) ローラ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SU963925A1 (ru) Привод ленточного конвейера М.П.Шишкарева
SU158682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епрерывной намотки проволоки
KR100423053B1 (ko) 수동변속기의 후진변속기구
KR20050053473A (ko)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JP2849174B2 (ja) 駆動装置
KR0131091Y1 (ko)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부 구동장치
KR200345753Y1 (ko)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SU1298451A1 (ru) Вариатор
JPH06117505A (ja) 減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