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719B1 - 벨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1719B1 KR950001719B1 KR1019910024811A KR910024811A KR950001719B1 KR 950001719 B1 KR950001719 B1 KR 950001719B1 KR 1019910024811 A KR1019910024811 A KR 1019910024811A KR 910024811 A KR910024811 A KR 910024811A KR 950001719 B1 KR950001719 B1 KR 9500017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 shaft
- belt
- driven
- dri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U자걸기 벨트를 도시한 참고사시도.
제2도 내지 제7도는 종래의 U자걸기 벨트에 의한 구동장치에 사용되는 벨트 및 구동장치의 예시도.
제8도는 종래의 U자걸기벨트에 의한 본 발명장치의 참고분해사시도.
제9도는 종래의 U자걸기벨트를 적용한 본 발명전달장치의 참고외형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부분횡당면도 확대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일부생략 참고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동축 2, 3, 5, 6 : 풀리
3', 6' : 키이 4 : 종동축
7 : 벨트 106 : 스프라인기어
107 : 클러치 회전자 118 : 마찰라이닝
본 발명은 일반생산기계장치를 위시하여 산업전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벨트, 체인등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원동축과 종동축의 위치와 방향성에 관계없이 그 구동을 밸트에 의해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벨트에 의한 구동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반적을 사용되어 온 벨트, 체인등에 의한 감아걸이 전달장치는 주동축과 종동축이 서로 평행하게 하여 두 축간의 거리가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소음등이 없이 그 회전운동을 전달할 수 있어 다른 어느 전동기구보다 우수한 잇점이 있으나 주동축과 종동축의 위치각도 (α)가 0。<α90°의 상태를 유지할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전동축과 종동축이 서로 직교 (α=90°)하는 경우에는 베벨기어 또는 나사기어등을 부합하여 사용하였고, 필요에 따라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하여 그 구동위치를 변경시켜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어의 사용은 부대적으로 동력전달장치의 복잡화, 중량화, 대형화를 초래했고, 기어의 사용은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소음과 윤활을 위하여 기어박스형태로 밀폐하거나 하는 방법에 의해 윤활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력을 전달하거나 동력의 정지 및 정, 역회전을 유도하는 위치결정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클러치/브레이크에 의한 위치결정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바, 예를 들면 스태커레인에 있어서의 위치결정구동기구는 전동기와 클러치 및 상기 전동기축에 연결된 평기어상에 다수의 평기어를 치합시키되 상기 평기어의 연결축상에 클러치를 다시 장착하여 필요에 따라 기어감속기를 구성한 다음 브레이크를 장착하여 그 동축상에 스프라켓휘일을 장착하여 사용하여 왔고, 인덱스와 클러치/브레이크의 조합에 의한 직진위치결정에 사용하는 구종기구는 전동기와 클러치의 동축상에 브레이크 장착하고, 다시 브레이크 동축상에 인텍스를 연결하여, 인텍스의 출력축에 스프로켓휘일을 연결구성하여 체인컨베이어를 구동시켜 베어직 패츠를 로버트가 작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클러치/브레이크 구성에 의한 위치결정기구는 각종 기어장치, 감속장치 및 인텍스장치와의 복합화 구성에 의존하게 되므로 해서 그 장치의 대형화 현상을 제거할 수 없었고 다수의 부속기구와의 복합사용에 의한 고장율이 높고, 특히 정, 역회전을 유도하는 위치결정에 있어서는, 정회전후 역회전을 유도하거나 그 반대로 작동시킬때에는 원동축의 기회전관성 때문에 전동기구등에 따른 정, 역회전의 응답이 즉시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잦은 정,역회전의 반복은 결국 전동기의 많은 부하를 야기시키는 것이 되므로 수명을 짧게 하거나 고장율을 높이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소63-96356에서는 비록 무단변속기를 제공하고는 있으나 풀리간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U자걸기 벨트를 이용하는 것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U자걸기벨트 구동전달방식을 응용하면 구동축에 선택적으로 구동축상에서 공회전과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공회전풀리와 회전구동풀리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의 위치각도(α)가 0°<α90°로 이루어진 종동축에는 종동축상에서 공회전하는 공회전풀리와 회전구동풀리를 설치하여 상기 풀리에 벨트를 서로 U자형으로 일체로 걸어주는 방법을 취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것을 첨부한 도면 제1도는 내지 제7도에 의거하여 U자형걸기밸트방식에 의해 실시될 수 있는 그 실시형태를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즉, 첨부한 도면 제1도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동축(1)상에서 공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2')에 장착된 풀리(2)와 풀리(3)을 키이(3')로 고정하고, 상기 주동축(1)과 각도(α)가 0°<α<90°로 위치한 종동축(4)상에는 풀리(5)를 베어링(5')상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하되 동축상에 키이(6')로 풀리(6)를 고정하여, 상기 풀리(2), (3), (5) 및 (6)상에 감착되도록 밸트(7)를 U자형태로 감아걸어주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상기한 풀리(2), (3), (5) 및 (6)에는 벨트(7)의 형상에 따라 첨부한 도면 제1도를 비롯한 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벨트(7)가 단면이 원형의 형상을 가진 밸트(7)일때에는 반원형의 요홈(7')을 형성시키되 V벨트(8)일때에는 V벨트(8)에 적합한 V형 요홈(8')을 마찰면이 타임밸트(9)일때에는 타임벨트(9)에 적합한 톱니형상을 지닌 요홈(9')을 형성하여 주면 될 것이며 이는 상기한 벨트(7), (8) 및 (9)의 마찰면의 형상에 따라 풀리(2). (3), (5) 및 (6)도 변경사용될수 있다.
또한 벨트구성을 다수의 볼(10)을 벨트(11)에 연결구성한 볼타입벨트(12) 경우에 있어서는 물론 상기 풀리(2), (3), (5) 및 (6)상에 반구형의 요홈 (13)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사용되어질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 구동력을 어떻게 하여 전달하는지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축(1)을 전동기(미도시)에 연결하여 주동축(1)을 회전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주동축(1)의 회전은 키이(3')를 통하여 풀리(3)을 회전시키는 반면 풀리(2)는 베어링(2')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공회전 하게된다.
다시 상기한 풀리(3)의 회전은 이에 감착된 벨트(7)를 통하여 상기 주동축(1)과 각도(α)가 0°<α90°로 위치한 종동축(4)에 전달하게 하는 바, 이는 상기한 풀리(3)의 회전구동력을 벨트(7)가 상기 종동축(4)상에서 키이(6')로 장착하고 있는 풀리(6)를 회동구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종동축(4)가 회전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주동축(1)과 종동축(4)이 위치하는 각도(α)가 0°<α90°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주동축(1)의 회전구동력을 종동축(4)에 전달가능한 것은 결국 벨트(7)를 풀리(2),(3), (5) 및 (6)에 걸어줌에 있어 U타입으로 걸어주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주동축(1)에 장착된 풀리(3)의 회전구동력을 밸트(7)에 의해 풀리(6)를 회전시켜서 종동축(4)를 회전시켜 줄 때 상기한 풀리(2)와 (5)는 베어링(2'), (5')에 의해 공회전하게 된다
다시말해 주동축(1)이 정회전 하면 풀리(3)도 정회전하게 되므로 풀리(3)에 감착된 벨브(7)역시 정회전하여 종동축(4)에 장착된 풀리(6)를 상기한 벨트(7)이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구동시키므로 결국 종동축(4)은 주동축(4)에서 보면 역회전하는 것이 된다.
이때, 상기한 풀리(2), (5)는 베어링(2'), (5')에 의해 단지 공회전하면서 벨트(7)의 회전구동을 보조하게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에서 종동축(4)을 정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주동축(1)을 역회전시키면 가능할 것이나 이는 결국 전동기를 정, 역으로 그 회전을 변경시키는 것이 되므로 전동기에 많은 부하를 줄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주동축(1)에 장착된 풀리(3)를 베어링을 장착하여 공회전시키되 풀리(2)는 키이동을 이용하여 주동축(1)의 회전운동전달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풀리(2), (3), (5) 및 (6)에 벨트(7)를 U자형으로 걸어준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전동기에 의해서 주동축(1)을 정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 주게 되면 풀리(2)의 정회전은 이에 감착된 벨트(7)가 상기한 풀리(2)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면서 풀리(5)에서는 공회전하게 되므로 종동축(4)을 회전구동력을 전달하지 못하면서 다시 풀리(3)를 공회전시키면서 그 방향이 변경되어 풀리(7)에서는 그 회전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상기한 벨트(7)의 회전방향에 따라 풀리(7)로 회전하게 되고 또한 종동축(4) 역시 상기풀리(7)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는 상기한 주동축(1)의 정방향회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동축에 선택적으로 주동축상에서 공회전과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공회전풀리와 회전구동풀리를 설치하고, 상기 주동축의 회전구동에 따라 구동하는 종동축에는 종동축상에서 공회전하는 공회전풀리와 회전구동풀리를 장착하여 상기 풀리에 감착하도록 벨트를 서로 U자형으로 일체로 걸어주는 방법에 의해 상기 종동축과 주동축이 설치되는 각도(α)가 0°<α90°에서도 주동축의 구동회전력을 종동축에 전달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것은 그 실시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바 첨부한 도면 제5도의 경우에는 주동축과 종동축의 속도비를 변경하여 사용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동축(1)상에서 베어링(2')에 의해 장착되는 풀리(2) 및 키이(3')에 의해 고정장착되는 풀리(3)와, 종동축(4)상에서 베어링(5')에 의해 장착되는 풀리(5) 및 키이(6')에 의해 고정장착되는 풀리(6)를 다단 형태로 구성한 다단풀리(20)로 형성하되 이 역시 상기한 풀리(2), (3)와 동일한 상태로 주동축(1)에 선택적으로 베어링 또는 키이로서 공회전 시키거나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종동축(4)에 역시 공회전하는 다단풀리(20) 또한 회전구동하는 다단풀리(20)를 장착하여 상기한 주동축(1)에 장착되는 공회전 및 회전구동하는 다단폴리(20)와 종동축(4)에 장착되는 공회전 및 회전구동하는 다단폴리(20)에 상기한 바와 같이 벨트(7)를 U자형으로 걸어주면 주동축(1)과 종동축(4)의 회전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된다.
물론 종동축(4)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작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다단폴리(20)에 최하단(최소직경의 풀리)상에 벨트(7)를 감착하되 주동축(1)에는 다단폴리(20)의 최상단(최대직경의 풀리)에 감착하여 주면 될 것이다.
이러한 것은 첨부한 도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할 수도 있는데, 주동축(1)상에 다수의 구동풀리(50)와 베어링(57)에 장착된 공회전풀리(51)을 교호로 장착하고, 상기 주동축(1)의 위치에 사로 직교하도록 다수의 종동출력축 (53)(54)를 서로 대향하여 설치하되 상기 종동출력축(53),(54)상에 각각구동폴리(55), (56)를 설치하여 상기한 구동폴리(50), 공회전풀리(51), 구동폴리(55) 및 구동폴리(56)상에 밸트(7)을 서로 U자형으로 일체로 걸어주되 이를 다수개 계속하여 구성함으로해서 상기한 다수의 종동출력축(53)의 회전방향 또한 상기한 다수의 종동출력축(53)의 회전방향 또는 상기한 다수의 종동출력부(54)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력원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한 종동출력부(53),(54)자체가 이송컨베이어의 구동로울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몸체의 이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이러한 것은 첨부한 도면 제7도에서와 같이 출력축(200)의 끝단에 평기어(201)를 치합시켜 주므로서 주동축(1)을 통한 출력동력축(202)와의 회전비 차이에 따른 출력토오크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U자걸기 벨트 구동장치는 하나의 입력축에 하나의 출력축만으로 동력전달을 취할수 있는 것에 불과하여 동력을 전달하고자 하는 이용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써, 회전동력을 압력하는 하나의 입력축에 의해 다수의 동력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에 의한 내용효율을 극대히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한 도면 제8도 내지 제11도에 의거하여 살펴보기로 하되, 첨부한 도면 제8도에 의하면, 출력축인 주동축(1)상에 구동풀리(30)를 장착하고, 상기 주동축(1)과 동축선상 또는 그 상, 하방에서 평행하는 위치에 구동풀리(31)를 장착한 출력축인 종동출력축(34)을 구성하고, 상기 주동축(1)과 위치하는 위치각도(α)가 0°<α90°의 위치상에 위치한 종동출력축(35)에 구동풀리(32)를 구성하되, 상기 종동출력축(35)와 동축선상 또는 그 동축선상 또는 그 상, 하방에서 평행하는 위치에 구동풀리(33)을 장착한 종동출력축(36)를 대향설치 한 다음. 상기한 구동풀리(30), (32), (31), (33)상에 벨트(7)를 서로 U자형태로 걸어주는 것에 의해서 가능하게 된다.
이의 작동상태는 첨부한 도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향에 따라 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주동축(1)의 회전구동력을 풀리(30)이 받아 밸트(7)에 의해 구동풀리(33)를 회전구동시키게 되므로 구동풀리(33) 결착된 종동출력축(36)이 회전되게 되고, 다시 상기 구동풀리(33)을 회전구동시킨 밸트(7)는 다시 구동풀리(31)를 회전구동시키게 되므로 종동출력축(34)을 회전구동시키고, 다시 구동풀리(32)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종동출력축(35)을 회전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입력된 입력축에 의하여 밸트를 통해서 다수의 종동출력축(34), (35), (36)을 회전구동시킬수 있게 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40내지 제43은 상기한 주동축(1)과 종동출력축(36), (34) 및 (35)이 삽입되어 회전이 원할하도록 유도하는 베어링을 지지한 플랜지 몸체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자밸브작동에 의한 전자클러치를 적용하여 주동축은 정방향으로 구동하되 주동축과 위치하는 각도(α)가 0°<α90°로 위치한 출력축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자유자재로 구동케 하거나 또는 출력축 자체를 공회전 시킬 수 있고, 또한 원하는 위치에서의 정확한 장치를 위해 브레이크모터를 이용할 수 있고, 출력축 끝단부에 기어박스를 설치하므로 회전비에 따른 출력 토오크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바,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결국 본 발명에서 구가하는 밸트의 U자걸기에 의하여 가능한 바 이를 첨부한 도면 제9도 및 제10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전자클러치의 이용에 의하여 출력축의 정, 역회전 밸트에 의한 구동전동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출력축 끝단부에 기어박스를 설치하므로서 회전비에 따른 출력토오크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겠다.
즉, 브레이크모터(100)의 출력축과 연결된 주동축(101)상에 장착된 베어링(102), (103)에 구동풀리(104),(105)를 각각 장착하되, 상기 구동축(101)의 중앙에는 원주방향으로 스프라인기어(106)를 형성하여 외주면에 마찰라이닝(118)이 형성된 클러치회전자(107)의 저면과 치합되도록 하고, 상기 주동축(101)과 위치하는 각도 (α)가 0°<α90°의 상태를 유지하는 출력축(108)에는 구동풀리(109)와 공회전풀리(114)가 착설되어 상기 구동풀리(9)와 구동풀리(104), (105) 및 공회전풀리(114)가 밸트(7)에 이해 서로 U자형태로 걸어지도록 구성되어진다.
미설명 부호 111과 112는 전자밸브리고 113은 케이싱이다.
140은 상기 분리된 클러치회전자(107)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자로서 클러치회저자(107)에 나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하면, 브레이크모터(100)을 회전구동시켜 주게되면 이에 연결된 주동축(101)이 회전하면서 스프라인기어(106)가 회전하게 되므로 이에 치합된 클러치회전자(107)는 스프라인기어(106)에 따라 공회전하게 되고, 또한 구동풀리(104),(105)역시 주동축(101)에 장착되어 있기는 하나 베어링(102),(103)에 장착되어 있어 공회전하게 되므로 이에 감착된 벨트(7)은 회전구동하지 않게 되므로 출력축(108)은 회전구동하지 않게 되고 이는 곧 상기한 전자밸브(111)(112)가 클러치회전자(107)의중앙 즉 중립위치는 곧 출력축(108)을 회전시키지 아니하는 것이 되거나 회전구동중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브레이크모더(100)를 어느 일방향으로 구동시켜 주게 되면 주동축(101)역시 상기한 브레이크모터(100)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자밸브(111)를 작동시켜 주게되면 전자밸브(111)에 형성된 자화에 의하여 클러치회전자(107)가 스프라인기어(106)의 안내를 받으면서 내측일측면이 전자밸브(11)에 접지되는 반면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클러치회전자(107)의 외주면에 형성된 마찰라이닝(118)은 풀리(104)의 측면을 압압하면서 면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주동축(101)의 회전구동력이 스프라인기어(106)를 통하여 클러치회전자(107)에서 마찰라이링(118)을 통해 풀리(104)에 전달하는 것이 되므로 결국 구동풀리(104)는 주동축(101)의 회전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게 되어 이에 감착된 벨트(7)역시 상기 풀리(104)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다시 상기 밸트(7)에 감착된 구동풀리(109)에 그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지므로 결국 출력축(108)은 벨트(7)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주동축(101)에 장착된 구동풀리(105)는 물론 베어링(103)에 이해공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구동하는 출력축(108)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물론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모터(100)는 계속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방향으로 회전작동은 시키는 상태에서 기 작동된 잔자벨트(111)은 오프(OFF)시키면서 전자밸브(112)를 작동 온(ON)시켜준다.
이와 같은 상태는 결국 클러치회전자(107)가 중립의 상태에서 상기한 전자밸브(112)에 자화의 형성에 의해 상기 클러치회전자(107)의 내측면이 상이 전자밸브(112)와 접지하는 상태로 변경되어지는 것이 되므로 결국 상기 클러치회전자(107)의 외주면에 형성된 마찰라이닝(107)은 구동풀리(104)에서 떨어져 나와 구동풀리(105)의 측면에 강하게 압압하면서 면접촉하게 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한 풀리(104)는 주공축(101)상에서 베어링(102)에 의해 공회전하게되는 반면 상기한 구동풀리(105)는 상기한 주동축(10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밸트(7)역시 상기 구동풀리(105)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풀리(105)의 회전방향은 곧 상기한 밸트(7)가 공회전 당시의 구동풀리(105)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되므로 결국 상기한 밸트(7)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구동풀리(109)를 회전시켜 주게되므로 출력축(108)은 기회전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공회전풀리(114)는 단지 벨트(7)의 회전방향에 따라 보조 역할만을 하면서 공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모터(100)를 공회전 또는 역회전시키지 아니하고 단지 전자밸브(111) 또는 (112)의 조작에 의해서 출력축(108)의 회전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것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주동축(101)에 장착되는 풀리(104), (105)와 출력축 (108)에 장착되는 구동풀리(109)와 공회전풀리(114)에 서로 U자형태로 밸트(7)를 걸어주는 것에 의하여 결국 주동축(101)과 출력축(108)의 위치각도(α)가 0°<α90°의로 설치되어도 그 회전구동력을 전달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인데, 이에 의하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동축(1)상에 주동풀리(300)을 장착하고 상기 주동축(1)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종동축(301)을 설치하여 종동풀리(302)를 설치하고, 상기 주동풀리(300)와 종동풀리(302)사이에는 다수의 출력축(305)를 설치하여 상기 출력축(305)에는 공회전풀리(306)와 구동풀리(307)을 착설하되 상기 공회전풀리(306)와 구동풀리(307)가 다수의 출력축(305)상에서 서로 교호로 각기 설치되어져서 상기 주동풀리(300)와 종동폴리(302)에 감착되는 벨트(7)에 의해 상기 고오히전풀리(306)와 구동풀리(307)가 서로 교대로 상,하부에서 그 열을 유지하는 상태로 감착되어지도록 걸려지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한 주동축(1)의 회전에 의해 밸트(9)가 회전하면서 공회전풀리(306)에서는 공회전하게 될 것이나 종동축(301)에서 회전하는 밸트(7)에 감착되는 구동풀리(307)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출력축(305)을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다음번의 출력축(305)에서는 상기 주동축(1)에서 출력되는 벨트(7)가 구동풀리(307)에 감착되므로 출력축(305)를 상기의 출력축(305)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될 것 이나 종동축(301)로부터 출력되는 밸트(7)에 감착된 공회전풀리(306)은 회전하게될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상기한 다수의 출력축(305)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 역시 상기 출력축(305)에 의하여 콘베이어 이송로울러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출력축(305)에 착설되는 공회전풀리(306)와 구동풀리(307)을 단지 일직선 상태로 착설하여 벨트(7)을 걸어주게 되면 상기한 다수의 출력축(305)의 회전방향은 서로 근접하는 출력축(305)에서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동축과 종동축이 평행으로 유지하지 아니하여도 밸트등에 의하여 원동축의 구동을 종동축에 전달 할 수 있도록 하여 구동위치 변경을 위해 종래 필히 사용되었던 베벨기어 또는 나사기어등의 사용을 배제하여 소형 및 경량화 가능하도록 하되 소량기능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되 하나의 입력축에 의한 동력을 다수의 종동출력축에 전달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클러치/브레이크 전동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정,역회전의 위치결정에 있어서는 주동축의 좌우에 전자밸브를 설치하여 전동기를 정, 역회전시키지 아니하여도 종동축의 정, 역회전을 가능하도록 하여 그 실시형태에 따라 모든 산업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4)
- 주동축(101)상에 장착된 베어링(102), (103)에 구동풀리(104),(105)를 각각 장착하되 상기 주동축(101)의 중앙에는 원주방향으로 스프라인기어(106)를 형성하여 외주면에 마찰라이닝(118)이 형성된 클러치회전자(107)의 지면과 치합되도록 하고, 상기 주동축(101)과 위치하는 위치각도(α)가 0°<α90°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출력축(108)에는 구동풀리(109)와 공회전풀리(114)를 착설하여 상기 구동풀리(104),(105) 및 구동풀리(109)와 공회전풀리(114)에 밸트(7)를 서로 U자형으로 걸어지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104), (105), (109), 공회전풀리(114)와 풀리(2), (3), (5), (6)가 다단풀리(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축(101),(1)상에 구동풀리(30)을 장착하고 상기 주동축(101),(1)과 동축선상 또는 그 상, 하방에서 평행하는 위치에 구동풀리(31)를 장착한 종동출력축(34)와, 상기 구동축(101), (1)과 위치하는 위치각도 (α)가 0°<α90°의 위치상에 위치한 종동출력축(35)에 구동풀리(32)를 구성하되, 상기 종동출력축(35)와 동축선상 또는 그 상, 하방에서 평행하는 위치에 구동풀리(33)를 장착한 종동출력축(36)을 대향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 상에 주동풀리(300)을 장착하고 상기 주동축(1)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종동축(301)을 설치하여 종동풀리(302)를 설치하고, 상기 주동풀리(300)와 종동풀리(302)사이에는 다수의 출력축(305)를 설치하여 상기출력축(305)에는 공회전풀리(306)와 구동풀리(307)을 착설하되 상기 공회전풀리(306)와 구동풀리(307)가 다수의 출력축(305)상에서 서로 교호로 각기 설치되어져서 상기 주동풀리(300)와 종동풀리(302)에 감착되는 밸트(7)에 의해 상기 공회전풀리(306)와 구동풀리(307)가 서로 교대로 상, 하부에서 그 열을 유지하는 상태로 감착되어지도록 걸려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24811A KR950001719B1 (ko) | 1991-12-28 | 1991-12-28 | 벨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24811A KR950001719B1 (ko) | 1991-12-28 | 1991-12-28 | 벨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3522A KR930013522A (ko) | 1993-07-22 |
KR950001719B1 true KR950001719B1 (ko) | 1995-02-28 |
Family
ID=1932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24811A KR950001719B1 (ko) | 1991-12-28 | 1991-12-28 | 벨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17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07296A (zh) * | 2021-04-27 | 2021-06-22 | 林锋 | 一种力矩调节合道器 |
-
1991
- 1991-12-28 KR KR1019910024811A patent/KR9500017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3522A (ko) | 1993-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22682B2 (en) | Chain drive system | |
US3804370A (en) | Reciprocating pulley drum cable drive | |
KR20200016913A (ko) | 역회전 방향 휠 시스템에 따른 댐핑 발생을 방지하는 양방향 회전 입력 및 고정 방향 회전 출력용 휠 시스템 | |
EP0681669B1 (en) | Pipe tractor | |
KR950001719B1 (ko) | 벨트에 의한 구동전달장치 | |
JP3240147B2 (ja) | ベルト駆動差動装置 | |
DE60109453D1 (de) | Verbindungsvorrichtung für stufenlose riemengetriebe mit antriebsringen | |
US4409862A (en) | Variable speed rotary power transmission | |
KR100361929B1 (ko) | 무단 변속장치 | |
US3600977A (en) | Shaft-mounted reduction drive mechanism | |
JP2616872B2 (ja) | モータ内蔵ローラおよびローラコンベア装置 | |
WO2021189636A1 (zh) | 钢带传动机构及其带轮 | |
KR20030038242A (ko) | 영구자석 기어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 |
KR100586631B1 (ko) |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 |
US20240110614A1 (en) | Orbital tensile drive | |
CA2395780C (en) | Rotating drive apparatus | |
US2321960A (en) | Drive control mechanism | |
KR200345753Y1 (ko) |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 |
SU963925A1 (ru) | Привод ленточного конвейера М.П.Шишкарева | |
KR200159580Y1 (ko) | 로보트 리스트 | |
KR200244067Y1 (ko) | 휴대형 소형 스쿠터의 기어비를 원터치 선택가능한동력전달 장치 | |
AU724967C (en) | Belt drive differential | |
KR20190002904U (ko) | 배관 주행 장치 | |
KR940004616Y1 (ko) | 텐터기의 메인 구동장치 | |
KR0126951Y1 (ko) | 로봇용 직동기구의 배속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8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