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533Y1 -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개폐 힌지 기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개폐 힌지 기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533Y1
KR940001533Y1 KR2019910009883U KR910009883U KR940001533Y1 KR 940001533 Y1 KR940001533 Y1 KR 940001533Y1 KR 2019910009883 U KR2019910009883 U KR 2019910009883U KR 910009883 U KR910009883 U KR 910009883U KR 940001533 Y1 KR940001533 Y1 KR 940001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cument feeder
automatic document
shaf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290U (ko
Inventor
장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2019910009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533Y1/ko
Publication of KR930001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2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5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개폐 힌지 기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로서, 2a도는 완전히 열림상태의 작용상태도, 2b도는 반 열림상태의 작용상태도, 2c도는 완전히 닫힘상태의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상부 2 : 자동 원고 이송장치
3 : 힌지암 4 : 인장스프링
5 : 힌지 베이스 6 : 힌지 축
7 : 가이드판 8 : 미끄럼 측
9 : 토션 스프링 10 : 힌지 베이스홀
11 : 돌출편 12 : 슬롯
13 : 암 힌지핀 14 : 지지판
본 고안은 복사기에 있어서, 복사하고자 하는 수매의 낱장 원고를 자동적으로 분리, 이송시켜 복사후에 원고를 자동 배출 적재하는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개폐 힌지 기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복사기 상판 개폐시에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만을 사용함으로써 반 열림상태 이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열림상태로의 위치유지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복사기 상판대신에 자동원고 이송장치를 설치하여닫는 경우에, 반 열림상태 이하의 위치에서는 스프링의 지지력이 장치의 자중을 잘 견디지 못하고 자동원고이송장치를 급격히 낙하시켜 자동 원고 이송 장치에 손상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원고 이송장치를 열고 닫음에 있어 반 열림상태 이하의 위치에서 자동 원고 이송장치가 급격히 낙하하는 현상을 없애고, 반 열림상태 이하의 임의의 위치에서도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개폐 힌지 기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1은 몸체 상부, 2는 자동 원고 이송장치, 3은 힌지암, 4는 인장스프링, 5는 힌지베이스, 6은 힌지 축, 7은 가이드 판, 8은 미끄럼축, 9는 토션 스프링, 10은 힌지베이스홀, 11은 돌출편, 12는 슬롯, 13은 암 힌지핀, 14는 지지판을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사기의 몸체 상부(1)에 고정 설치되어 받침대 기능을 담당하며 홀(10)이 형성된 힌지 베이스(5)와, 상기 힌지베이스(5)에 고정설치된 지지판(14)과, 상기 지지판(14)의 절곡되어진 양측편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축(6)과, 양측부가 절곡되어 절곡된 양측 편을 상기 힌지축(6)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양측편의 일부에 슬롯(12)이 형성되어 미끄럼 축(8)이 걸쳐지도록 하고, 일측편에는 돌출부(11)를 형성하여 자동 원고 이송장치(2)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판(7)과, 상기 힌지축(6)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미끄럼축(8)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 스프링(4)과, 상기 지지판(14)의 다른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된 암 힌지핀(13)과, 상기 가이드 판(7)의 슬롯(12)에 걸쳐진 미끄럼 축(8)을 연결하는 힌지암 (3)과, 상기 힌지축(6)에 감겨져 설치되며 일측은 힌지베이스 홀(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판(7)의 돌출부(11)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9)으로 구성되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에도로서, 2a도는 완전히 열림상태의 작용상태도, 2b도는 반 열림상태의 작용상태도, 2c도는 완전히 닫힘상태의 작용상태도이다.
2a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완전히 열림상태에서는 인장스프링(4)이 응축되어 슬롯(12)에 걸쳐있는 미끄럼축(8)을 힌지축(6) 쪽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이고, 토션스프링(9)는 하중을 받지않고 있는 상태이다.
자동 원고 이송장치(2)를 복사기에 세트시키기 위해 상기 자동 원고 이송장치를 힌지축(6)을 중심으로 하향회동시켜 반 열림상태가 되게 하면, 제2b도와 같이 미끄럼축 (8)이 슬롯(12)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인장스프링(4)이 늘어나면서 상기 인장스프링 (4)의 탄성력이 자동 원고 이송장치(2)의 하중을 지탱하며, 이때, 가이드판(7)의 돌출부(11)는 토션스프링(9)의 일단과 접촉하게 된다.
자동 원고 이송장치(2)를 계속 하향 이동시켜 제2c도와 같이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게 하면, 인장 스프링(4)은 미끄럼축(8)의 슬롯 내에서의 최대 이동으로 최대로 늘어난 상태가 되지만 제2b도의 상태를 지나면서 부터는 자동 원고 이송장치(2)의 하중을 실질적으로 담당하지 못하고, 가이드 판(7)의 돌출부(11)에 눌려 응축된 토션 스프링(9)의 탄성력이 자동 원고 이송장치(2)의 하중을 담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반 열림 상태 이하의 열림상태에서는 토션스프링(9)에 의해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하향 회동이 지지되므로 급격하지 않고 순탄하게 복사기 상에 자동 원고 이송장치를 세팅시킬 수 있다. 또한, 복사기 상에 세팅되어 있는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상향 회동시에도 적은 힘을 이용하여 상향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힌지베이스(5)는 어떠한 규격의 복사기에도 자동 원고 이송 장치(2)가 적절하게 세팅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고안은 자동 원고 이송장치(2)를 복사기상에 세팅시키기 위해 열고 닫을 때 급격한 하향회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 원고 이송장치(2)의 파손 및 복사기 상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사기의 상부에 장착된 자동원고 이송장치를 개폐하는 힌지 기구장치에 있어서, 복사기의 몸체 상부(1)에 고정 설치되어 받침대 기능을 담당하며 홀(10)이 형성된 힌지 베이스(5)와, 상기 힌지베이스(5)에 고정설치된 지지판(14)과, 상기 지지판(14)의 절곡되어진 양측편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축(6)과, 양측부가 절곡되어 양측 편을 상기 힌지축(6)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양측편의 일부에 슬롯(12)이 형성되어 미끄럼측(8)이 걸쳐지도록 하고, 일측편에는 돌출부(11)를 형성하여 자동 원고 이송장치(2)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판(7)과, 상기 힌지축(6)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미끄럼축(8)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스프링 (4)과, 상기 지지판(14)의 다른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된 암 힌지핀(13)과, 상기 가이드 판(7)의 슬롯(12)에 걸쳐진 미끄럼 축(8)을 연결하는 힌지암(3)과, 상기 힌지축(6)에 감겨져 설치되며 일측은 힌지베이스 홀(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판(7)의 돌출부(11)에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개폐 힌지 지구장치.
KR2019910009883U 1991-06-29 1991-06-29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개폐 힌지 기구장치 KR940001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883U KR940001533Y1 (ko) 1991-06-29 1991-06-29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개폐 힌지 기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883U KR940001533Y1 (ko) 1991-06-29 1991-06-29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개폐 힌지 기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290U KR930001290U (ko) 1993-01-21
KR940001533Y1 true KR940001533Y1 (ko) 1994-03-18

Family

ID=1931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883U KR940001533Y1 (ko) 1991-06-29 1991-06-29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개폐 힌지 기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5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290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0959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KR100303219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US20060099007A1 (en)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including original cover closer
JPS60157115A (ja) 接触子装置
JPH08110600A (ja) 複写機の原稿押え装置
KR10027457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US6100963A (en) Original-cover closer
KR940001533Y1 (ko) 자동 원고 이송장치의 개폐 힌지 기구장치
KR20110118089A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H0510123Y2 (ko)
JPH0252248B2 (ko)
KR0125530Y1 (ko) 원고압착판의 개폐장치
JP3273417B2 (ja)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JP3056132U (ja) ウイング用開閉器
JPS6144206Y2 (ko)
JP3194632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948108B2 (ja) 画像読取装置
KR950008422Y1 (ko) 자동원고 이송장치의 개폐장치
JPH0449630Y2 (ko)
KR930004157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상부커버 개폐장치
KR930003704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안전장치
KR890004951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카세트 커버 해제장치
KR910001740A (ko) 도어 개폐장치
JP4218910B2 (ja) 案内装置
KR930001689Y1 (ko) 보급형 팩시밀리의 톱카바 탄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