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825B1 - 경화 송출장치 - Google Patents

경화 송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825B1
KR940000825B1 KR1019890010624A KR890010624A KR940000825B1 KR 940000825 B1 KR940000825 B1 KR 940000825B1 KR 1019890010624 A KR1019890010624 A KR 1019890010624A KR 890010624 A KR890010624 A KR 890010624A KR 940000825 B1 KR940000825 B1 KR 940000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pensing
hardening
counterpart
hard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610A (ko
Inventor
히로시 아베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히로시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히로시 아베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화 송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경화 송출 방치를 제2도의 I-I선상에서 단면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경화 송출 장치의 경화 송출 원판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제4도의 Ⅲ-Ⅲ선상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경화 송출 원판의 정면도.
제5도는 종래의 경화 송출 장치의 전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퍼 2 : 회전축
3 : 경화 송출 원판 3a : 외측 원주부
4 : 중앙 원판 상대부 5 : 경화 송출부품
6 : 위쪽 출구부 7 : 경화 송출 가이드
8 : 출구 9 : 계수 롤러
12 : 캐리어 13 : 환합부재
14 : 안내 구멍
본 발명은 환전기, 게임기등에 쓰이며 경화 또는 메달을 호퍼내에 살포 상태로 수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호퍼내로 부터 소정수의 경화를 1개씩 송출하는 경화 송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경화 송출 장치로서 예컨대, 특공소 62-45588호 공보에 기술되어 있는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고, 그러한 형식의 경화 송출 장치는 제5도에 도시하듯이, 수평에 대해 경사진 위치에서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경화 송출 원판(3)을 호퍼(1)내부에 갖추며, 이 경화 송출 원판(3)의 중앙 원판 상대부(4)와 원판 외측원주부(3a)의 원주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원판 표면으로 부터 돌출하는 경화 송출부품(5)을 가지며, 경화 송출부품에 의해서 호퍼 하부에 위치하는 경화를 집어 올리고 경화 송출부품(5)과 중앙 원판 상대부(4)의 외측원주부(4a)에 의해서 경화를 지지하여 위쪽으로 보내고, 위쪽 출구부(6)에 있어서 경화 송출 원판(3)의 외측원주부(3a)를 가로질러서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경화 송출 가이드(7)에 의해서 경화를 중앙 원판 상대부(4)의 외측원주부(4a)상으로 부터 출구(8)로 안내하며, 이때, 경화의 상단에 의해서 계수 롤러(9)를 스프링력에 대항해 밀러올리는 것으로 송출 경화의 수를 계수하고, 희망하는 숫자의 경화 계수의 종료와 동시에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토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형태의 주화 송출 장치에 있어선 경화 송출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서 경화 송출 원판의 중앙 원판 상대부에 여러 가지 혼합 수단이 설치되고 있으며, 예컨대 복수개의 적정 길이의 혼합부재(10)을 경화 송출 원판의 중앙 원판 상대부의 표면을 따라서 그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해 설치하거나, 중앙 원판 상대부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적정 높이의 복수개의 돌기(11)를 돌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혼합 수단은 그 혼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혼합부의 길이 및 두께를 크게 해서 그 외단이 중앙 원판 상대부의 외측원주부 가까이에 까지 도달하는 길이로 하거나, 돌기를 높게 해서 중앙 원판 상대부의 외측원주가까이에 위치 시키는 경우, 경화 송출 원판의 회전에 의해서 위쪽 출구 부분에 위치하는 혼합 부재의 외측단부 또는 돌기가 경화를 계수 롤러에 대해 밀어올림으로써 계수 착오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위쪽 출구 부분에 있어서 혼합 부재 또는 경화를 계수 롤러에 대해 밀어붙이는 문제를 없애고, 게다가 호퍼내에 있는 경화에 대해서 충분한 혼합 작용을 부여할 수 있는 혼합 수단을 갖는 경화 송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듯이, 경화 송출 원판(3)의 이면측에서 캐리어(12)를 경화 송출 원판(3)에 대해서 경사된 위치에서 회전축(2)으로 경화 송출 원판(3)과 함께 회전되도록 지지해서 설치하고, 혼합부재(13)가 관통하는 안내구멍(14)를 중앙 원판 상대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혼합부재의 돌출량이 회전 축선의 아래쪽 위치에서 최대이며 위쪽 위치에서 영 또는 최소이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장치는 회전축(2)으로 경화 송출 원판(3)의 이면측에서 캐리어(12)도 경화 송출 원판(3)에 대해 경사진 위치에서 회전된다. 따라서 캐리어(12)상의 혼합부재(13)는 회전축(2)의 축선에서 아래쪽 위치에서 최대 돌출량으로 경화 송출 원판(3)의 중앙 원판 상대부(4)의 표면으로 부터 돌출되고, 이 위치로 부터 위쪽 출구부(6)를 향해 회전함에 따라 돌출량이 영 또는 최소량으로 된다. 위쪽 출구부(6)를 지나면 혼합부재(13)는 재차 중앙 원판 상대부(4)의 표면에서 돌출하기 시작하며 그 돌출량이 차차로 증대되어서 상술한 최대 돌출량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호퍼내의 하반부에 있어서의 경화는 최대 돌출량의 혼합부재(13)에 의해서 충분히 혼합되며 위쪽 출구부분(6)에 있어서의 혼합부재(13)에 의한 경화 밀어올리기 작용은 전혀 없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형식의 경화 송출 장치의 경화 송출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작용의 신뢰성을 높힐 수가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시의 예에선 호퍼(1)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적당한 지지틀에 의해서 수평에 대해 경사되게 지지된 고정지지판(20)에 부착되며, 이 고정지지판(20)에는 경화 송출 원판 지지면(21)과 이 지지면(21)에 대해 경사진 캐리어(12)의 지지면(22)이 설치되어 있다. 모터(23)에 의해서 구동되는 회전축(2)은 고정지지판(20)의 중심구멍(24)을 관통한다. 유지링(25)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복수개의 경화 송출 원판 지지볼(26)이 고정지지판(20)의 지지면(21)상의 환상 레이스(27)과 결합토록 위치 결정되어 설치되며, 동시에 유지링(30)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회전 자유롭게 유지된 복수개의 캐리어 지지볼(31)이 고정지지판(20)위에 있는 지지면(22)상의 환상 레이스(32)에 결합토록 위치 결정되어 설치되며, 캐리어(12) 및 경화 송출 원판(3)이 각각 회전축(2)에 회전자유롭게 부착되며, 캐리어(12)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경화 송출 원판(3)을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적당한 경도와 탄성을 가지는 우레탄 고무와 같은 탄성 중합체인 봉상의 혼합 부재(13)가 마찬가지로 경화 송출 원판(3)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관통된 동일한 복수개의 안내구멍(14)내에 각각 삽입되며, 경화 송출 원판(3)과 캐리어(12)과의 사이, 및 경화 송출 원판(3)의 표면측에서 회전축(2)상에 스프링(35,36)이 각각 부착되며, 스프링(35)의 상단에 결합하는 와셔(37)가 나사(38)로 회전축(2)의 축단에 단단히 체결되며, 이것에 의해서 경화 송출 원판(3) 및 캐리어(12)의 중앙 부분이 스프링(35,36)에 의해서 고정지지판(20)을 향해서 각각 눌리며, 경화 송출 원판(3) 및 캐리어(12)가 볼(26,31)을 거쳐서 고정지지판(20)상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2)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구동핀(40)이 설치되며 이와 구동 계합하는 핀(41)이 경화 송출 원판(3)의 하면으로 돌출되며, 이것으로 경화 송출 원판(3)이 회전축(2)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또, 나사핀(42)이 중앙 원판 상대부(4) 및 경화 송출 원판(3)에 관통된 나사 구멍에 비틀어 넣어진 나사핀(42)의 선단부가 캐리어(12)의 결합구멍(43)에 축받이(44)를 거쳐서 결합됨으로써 구동 연결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그 실시예에선 혼합 부재(13)를 우레탄 고무의 가늘고 긴 부품으로 형성하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해서 설치한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시의 예에선 경화 송출부품(5)을 캐리어(12)에 설치해 경화 송출 원판(3)의 외측원주부(3a)에 설치한 구멍(45)으로 부터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서 경화 송출 원판(3)이 회전될 때, 이 경화 송출 원판(3)의 이면측에서 캐리어(12)도 경화 송출 원판(3)과 함께 회전되며, 캐리어(12)는 경화 송출 원판(3)에 대해서 경사진 위치에서 회전되므로 캐리어(12)상의 경화 송출 가이드(7)의 위치와는 직경적 대향 위치, 예컨대 경화를 집어올리는 위치에 있어서 예컨대, 3개의 경화를 집어 올릴 수 있는 최대 돌출량으로 경화 송출 원판(3)의 외측원주부(3a)의 표면에서 돌출되며 이 위치로부터 출구(8)를 향해서 회전함에 따라 돌출량은 감소되며, 출구(8)의 바로 앞에선 1개의 경화만이 출구(8)를 향해 송출될 수 있는 돌출량으로 또한, 경화 송출 가이드(7)의 바로앞에선 경화 송출부품 구멍(45)내에 끌어들여서 경화 송출판(3)의 외측원주부(3a)의 표면에서 돌출하지 않게 된다. 경화 송출 가이드(7)의 부착 위치를 지나면 경화 송출부품(5)은 다시 경화 송출 원판(3)의 외측원주부(3a)의 표면에 나타나기 시작하며, 그 돌출량이 차례로 증대되어 최대 돌출량이 된다. 따라서, 경화 송출부품(5)으로 충분한 경화의 집어올림 또는 경화 송출 작용이 얻어지며, 게다가 출구 부분에선 1개의 경화만을 확실하게 출구로 송출하며, 출구 부분에서의 경화 또는 경화 송출 가이드와 경화 송출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문제점을 없앨 수 있다.
도시의 예에선 경화 송출 원판(3) 및 캐리어(12)를 드러스트 축받이의 볼(26,31)을 거쳐서 고정 지지판(20)의 지지면(21,22)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데 이것에 국한됨이 없고, 다른 적당한 축받이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 드러스트 하중이 작을 경우엔 경화 송출 원판(3) 및 캐리어(12)를 고정 지지판(20)의 지지면(21,22)상에 직접 지지케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퍼내의 경화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고 게다가 출구 부분에 있어서 혼합 부재에 의한 경화 밀어올림 작용에 의한 오동작을 없앨 수 있으므로 경화 송출 효율이 우수하며, 작동이 확실한 경화 송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경화를 살포 상태로 수용하는 호퍼(1)내에서 회전축(2)에 의해 회전되는 경화 송출 원판(3)을 구비하며, 상기 경화 송출 원판(3)이 중앙 원판 상대부(4)와 원판 외측원주부(3a)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원판 표면으로 부터 돌출하는 복수개의 경화 송출부품(5)을 가지며, 위쪽 출구부(6)에 경화 송출 가이드(7)의 경화 송출 원판(3)의 외측원주부(3a)를 가로질러서 소정 위치에 고착되고 중앙 원판 상대부(4)의 외측원주부(4a)로 부터 경화 송출 가이드상을 거쳐서 출구(8)로 안내되는 경화의 상단에 의해서 밀어올려져 작동되는 계수 롤러(9)를 구비하는 경화 송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화 송출 원판(3)의 이면측에, 캐리어(12)가 경화 송출 원판(3)에 대해 경사진 위치에서 회전축(2)에 의해 경화 송출 원판(3)과 함께 회전되도록 지지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12)에서 원주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복수개의 혼합부재(13)가 경화 송출 원판(3)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혼합부재(13)가 관통되는 안내구멍(14)을 중앙 원판 상대부(4)로부터 송출 원판(3)으로 관통 설치하여, 중앙 원판 상대부 표면으로 부터의 혼합부재의 돌출량이 회전축선의 아래쪽 위치에서 최대이며 회전축선의 위쪽 위치에서 영 또는 최소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송출 장치.
KR1019890010624A 1988-12-27 1989-07-27 경화 송출장치 KR940000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327535 1988-12-27
JP763-327535 1988-12-27
JP63327535A JP2578654B2 (ja) 1988-12-27 1988-12-27 硬貨送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10A KR900010610A (ko) 1990-07-09
KR940000825B1 true KR940000825B1 (ko) 1994-02-02

Family

ID=1820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624A KR940000825B1 (ko) 1988-12-27 1989-07-27 경화 송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78654B2 (ko)
KR (1) KR940000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9126A (ja) * 1991-12-02 1993-06-25 Asahi Seiko Kk 硬貨送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9497A1 (de) * 1985-08-17 1987-02-26 Boehringer Mannheim Gmbh N(pfeil hoch)6(pfeil hoch)-disubstituierte puri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73891A (ja) 1990-07-05
KR900010610A (ko) 1990-07-09
JP2578654B2 (ja) 1997-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9433A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EP0296875B1 (en) Device for transporting flat items e.g. coins or tokens
KR950014079B1 (ko) 코인 송출 장치
US5000718A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US3815567A (en) Coacting wheel ball projecting device
KR960001447B1 (ko) 경화 송출 장치
KR940000825B1 (ko) 경화 송출장치
AU1486900A (en) A coin dispensing apparatus
KR950003203B1 (ko)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장치
KR940000824B1 (ko) 경화 송출장치
US7497769B2 (en) Coin hopper
KR930007904Y1 (ko) 경화 송출 장치
WO2002058014A1 (fr) Distributeur de pieces
KR20170094224A (ko) 경화 일괄 투입 장치
JPH0573749A (ja) メダル投出機
US4065129A (en) Pin ball bumper mechanism with rotational drive
US5306206A (en) Coin feeding device
GB2323202A (en) Coin dispenser
JP3049198U (ja) ホッパー装置
KR930003894Y1 (ko) 주화 송출 장치
JP3174596B2 (ja) メダル投出装置
EP0146294B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JPH0110682Y2 (ko)
JP4042130B2 (ja) メダル類のホッパー装置
JP4526728B2 (ja) 遊技機の球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