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655B1 - 니트로페네톨(Nitrophenetole)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니트로페네톨(Nitrophenetole)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655B1
KR940000655B1 KR1019900022131A KR900022131A KR940000655B1 KR 940000655 B1 KR940000655 B1 KR 940000655B1 KR 1019900022131 A KR1019900022131 A KR 1019900022131A KR 900022131 A KR900022131 A KR 900022131A KR 940000655 B1 KR940000655 B1 KR 940000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chlorobenzene
reaction
parts
ethanol
nitrophenet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755A (ko
Inventor
제임스 데이 리챠드
반크로프트 할로우 해리
클라아크 오우슬레이 데니스
Original Assignee
몬산토 캄파니
아놀드 하비 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산토 캄파니, 아놀드 하비 콜 filed Critical 몬산토 캄파니
Publication of KR91001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6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5/00Compounds containing nitr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5/39Compounds containing nitr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esterified hydroxy groups
    • C07C205/42Compounds containing nitr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esterified hydroxy groups having nitro groups or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1/00Preparation of esters of nitric or nitrous acid or of compounds containing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1/06Preparation of nitro compounds
    • C07C201/12Preparation of nitro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nitro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니트로페네톨(Nitrophenetole)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니트로페네톨의 신규하고, 개량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p-니트로클로로벤젠을 에톡실화반응시켜서, 니트로페네톨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에서 본 반응은 부산물인 아조화합물과 아족시화합물등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산소의 존재하에서 수행되며, 그 때문에 니트로페네톨은 더 많이 전환되며 더 높은 수율로 생성된다.
다양한 유기합성을 위해 p-니트로페네톨은 중요한 화학적 중간물질이다. p-니트로페네톨의 중요한 상업적 용도중의 하나는 p-페네티딘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중간체 화학물질로서 쓰인다는 것이다. p-페네피딘은 통상명 2,2,4-트리-메틸-6-에톡시-1-H-디하이드로 퀴놀린인, 에톡시퀸의 제조시에 중요한 중간물질이다. 에톡시퀸은 동물들의 사료와 이와 유사한 경우에서 오일의 산화를 억제시키거나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과적인 산화방지량의 에톡시퀸을 갖는 동물사료들은 이를 갖지 못한 사료들보다 상당히 긴 저장기간을 갖는다. p-페네티딘은 페나세틴, 페노콜, p-페네틸-우레아와 여러가지의 염료중간물질의 제조시에 중요한 중간체 화합물로서 사용된다.
p-니트로페네톨을 제조하는 잘 알려진 방법은 다음의 화학반응식에서와 같이, 가성소다와 같은 알카리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에탄올성 용액내에서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에톡실화 반응을 포함한다.
불행히도, 이 공지된 반응은 바람지하지 못한 부산물로서 아조화합물과 아족시화합물들을 생성하는 것이 단점이다. 이들 부산물들은 정상적으로 사용된 반응조건하에서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부반응인 발열반응의 결과이다. 부산물들은 4,4-디클로로아족시벤젠과, 4,4'-디클로로아조벤젠이다. p-니트로클로로벤젠이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의 수용액 존재하에서 에탄올과 함께 반응될 때, 아조와 아족시 부산물들은 40몰%나 그 이상의 수율로 얻어진다. 따라서, p-니트로페네톨의 상업적인 생산에서는, 아조와 아족시 부산물들의 생성을 초래케하는 발열반응을 최소화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조치들이 취해지게 된다. 아조와 아족시 부산물들의 생성을 조절하는 효과적인 방법중의 하나는 p-니트로클로로벤젠, 에탄올과 수성 수산화나트륨으로 된 액체반응 혼합물내에 분자산소를 도입시키는 것이다. 부산물들의 생성조절을 최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반응혼합물상의 상부 공간내에 산소함량이 15몰%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에탄올과 함께, 이렇게 고량의 산소가 존재하면 잠재적인 가연성과 폭발위험성을 야기하게 된다.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바람직한 한도는 아조와 아족시 부산물들의 생성을 조절하는 동안에 상부 공간내에 산소함량이 낮게끔 하여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조와 아족시 화합물들의 생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상부 공간내에 산소의 함량을 상당히 감소된 수준으로 하여 알칼리금속 수산화물과 함께 p-니트로클로로벤젠과 에탄을 반응시켜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해 준다.
미국특허 제3,085,113호는 바람직하지 못한 아조와 아족시 화합물들의 생성을 초래케하는 부반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공기존재하에서 p-니트로페네톨을 제조하기 위해 p-니트로클로로벤젠을 에톡실화하는 반응을 설명해준다. 이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공기의 양은 아조와 아족시 화합물들을 생성하는 부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주의하여서 조절되어야만 한다.
루마니아특허 제62,677호는 염화에틸과 함께 p-니트로페놀의 에틸화반응이 극성의 비프로톤 용매내에서 수행되는 제조방법을 설명해준다. 이 공지된 방법에서, p-니트롤페놀은 반응중에 소모됨에 따라서, 기체상의 염화에틸의 도입과 함께 무수의 소듐염 형태로서 사용된다. N,N-디메틸 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N-메틸-피롤리돈은 적당한 극성의 비프로톤용매로서 본 특허에서 언급된다.
독일특허 제2,639,700호는 디메틸 술폭사이드 용매내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의 존재하에서 에탄올과 함께 p-니트로클로로벤젠을 반응시켜서 p-니트로페네톨을 합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공지된 방법은 아조와 아족시 부산물들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기의 다공분산(Sparge)과는 아무 관계도 없다.
미국특허 제4,782,190호는 4차 유기 암모늄염과 같은 상전이 촉매의 존재하에서 알카리금속 수산화물과 에탄올과 함께 p-니트로클로로벤젠을 반응시켜서 p-니트로페네톨을 제조하는 것을 설명해 준다.
본 발명은 p-니트로페네톨의 개량된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p-니트로클로로벤젠은 알카리금속수산화물의 수용액 존재하에서 에탄올과 함께 고온에서 반응되며, 반응혼합물은 아조와 아족시 화합물들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들로서 다공분산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아조와 아족시 부산물들의 생성을 계속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산소를 감소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산소가 감소된 수준에서는, 반응용기의 상부 공간내에 있는 에탄올증기의 잠재적인 가연성과 폭발위험성은 상당히 감소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의 농도가 73%인 고농도 대신에, 단지 50%인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농도에서 합리적인 반응속도로 고수율의 p-니트로페네톨이 얻어진다. 실온에서 액체이고 더 저농도인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이롭다. 이는 실온에서 고체이고 더 고농도인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을 사용하기 위해서 용해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개선은 니트로클로로벤젠, 알가알콜과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용액, N-알킬-피롤리돈, 바람직하게는 N-메틸 피롤리돈 공용매(cosolvent) 등으로 된 반응혼합물내에서 혼화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알킬치환체는 탄소원자수 1-8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법에서 p-니트로클로로벤젠과 에탄올과 같은 저급 일가알콜은 과량의 수용성 알카리금속 수산화물,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함계 밀폐된 반응용기내에서 반응성 있는 접촉을 할 수가 있으며, 반응혼합물이 12% 미만의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 바람직하게는 나머지는 질소와 같은 비활성기체이고 산소는 10% 미만인 기체를 다중분산시키는 동안 가열해 준다. 반응혼합물내에서, N-알킬-피롤리돈은 에탄올과 함께 공용매로서 존재한다. 에톡실화 반응이 완결된 후에, 최종적으로 얻어진 p-니트로페네톨은 반응혼합물로 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이 근본적으로 니트로페네톨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법은 p-니트로아니솔과 O-니트로아니솔을 제조하는데도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O-니트로-아니솔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메탄올과 O-니트로클로로벤젠을 반응시켜야 하며 O-니트로클로로벤젠과 에탄올로 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니트로클로로벤젠, 수산화나트륨, 에탄올을 니트로페네톨을 만들기 위하여 반응시킨다. 니트로클로로벤젠은 정상적으로 적어도 99%가 n-니트로클로로벤젠이며 나머지는 O-니트로클로로벤젠과 n-니트로클로로벤젠이다. p-니트로클로로벤젠을 에탄올과 N-메틸 피롤리돈 중에 용해한다. 양호한 결과를 위하여, 에탄올을 화학론적인 양보다 과량으로 사용한다. 에탈올 대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몰비율은 5:1-1:1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바람직한 것은 약 4:1-1:1이다. 에탄올은 순수한 형태의 것이나 또는 95% 에탄올과 5%몰인 공업용도 사용될 수가 있다. N-메틸피롤리돈 대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몰비율은 대개 4:1-1:1이지만, 바람직한 비율은 2.5:1이다. 에탄올, p-니트로클로로벤젠과 N-메틸-피롤리돈을 포하하는 용액을 적어도 50℃로, 바람직하게는 약 55-80℃ 정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65-75℃로 가열한다. 이 가열된 용액에, 수성 수산화나트륨을 서서히 가하고, 바람직하게는, 시간당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몰당 수산화나트륨을 0.2-1.0몰의 속도로 가해주면서 이 시간동안에 걸쳐서 교반한다. 가성용액은 약 40-75중량%의 수산화나트륨을 포함한다. 영호한 결과와 가장 편리한 작업을 위해서 수산화물의 농도는 약 45-55%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용기는 최초에 비활성 기체 블랭킷이 제공된다. 반응동안에, 반응혼합물은 약 12% 미만의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 바람직하게는 약 10%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로서 다공분산시키고, 약 1-5의 대기압하에서 유지한다. 다공분산된 기체는 공기와 질소로 된 혼합물일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두 기체들은 미리 혼합되며, 따라서 산소함량은 요하는 감소된 수준으로 된다. 기체 혼합물의 다공분산은 반응용기의 상부 공간내에서 산소함량이 체적비로 5%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3%로 제공되게끔 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반응동안에도 계속된다. 90-99%에 이르는 p-니트로클로로벤젠이 니트로페네톨이 오르소이성질체와 니트로페네톨과 니트로페놀등과 마찬가지로 아조와 아족시 부산물을 최소량 가지며 p-니트로페놀을 중량비로 4% 정도 포함하는 p-니트로페네톨로 전환된다.
p-니트로페네톨 생성물은 최종적으로 얻어진 반응혼합물로 부터 분리된다. 이는 반응혼합물을 50-70℃ 정도로 냉각시키고, 과량의 가성화물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HCl과 같은 강산을 가하는 동안에도 이 같은 냉온상태로 유지시키므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화반응에 따라서, 남아있는 알칼리금속 이온들은 염화물로서 침전되며, 여과에 의하여 제거된다. 여과는 반응혼합물로 부터 증류에 의하여 물과 에틸알콜을 제거하기 전이나 후에 할 수 있다. 에탄올과 물을 제거한 후에, N-메틸리롤리돈이 제거되며, 바람직하게는 진공하에서 분리 증류공정에 의하여 제거된다.
p-니트로페놀은 수용성 알카리로 세척하므로서 p-니트로페네톨로 부터 분리된다. 이는 3-5%의 수용성 가성소다 용액인, 희석 알카리 용액으로 증류처리된 물, 에탄올과 N-메틸피롤리돈으로 부터 이 물질은 접촉시켜줌으로서 가능하다. p-니트로페놀은 알카리 용액중에서는 용해하나, p-니트로페네톨은 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성상에서 용해되는 p-니트로페놀과 비수성상을 포함하는 p-니트로페네톨로 된 두가지상으로 된 이상계(two-phase system)가 결과적으로 생긴다. 알카리로서 세척하고 상분리를 하는 동안에 온도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며, 따라서 p-니트로페네톨은 액체로 된다. 결과적으로 액체 p-니트로페네톨은 고체의 p-니트로페네톨을 만들기 위하여 실온으로 냉각된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여기에 사용된 부품(parts)은, 달리 설명이 없는 한 중량부이다.
[실시예 1]
반응요기를 새로 만든 p-니트로클로로벤젠 97.45부, 새로 만들거나 재순환된 에탄올 98.61부, 새로 만든 N-메틸피롤리돈(NMP) 0.05부, 재순환된 p-니트로페네톨 10.98부를 포함하는 재순환 NMP 163.59부, 재순환된 p-니트로클로로벤젠 5.92부, 재순환된 물 3.56부로서 채운다. 이들 물질이외에도, 새로 만든 p-니트로클로로벤젠은 O-니트로클로로벤젠 0.78부를 포함하며, 재순환된 NMP는 O-니트로클로로벤젠 0.03부와 재순환된 O-니트로페네톨 0.09부를 포함한다. 회수된 에탄올은 또 소량의 p-니트로클로로벤젠과 O-니트로클로로벤젠을 포함한다. 반응용기는 p-니트로클로로벤젠을 약 900ml/hr-g-mol로서 질소중에 산소 12%를 포함하는 기체혼합물로서 다공 분산처리하고, 산소를 3% 미만 포함하는 대기압하에서 74℃로 가열한다. 물중에 50% NaOH 78.77부인 전체를 3.4 시간에 걸쳐서 침지관을 통하여 반응용기내로 가한다. 반응이 끝날즈음에, 반응용기를 부가적으로 4.6시간동안 74℃로 유지하고, 전체 반응시간이 8시간이 되게 한다. 반응혼합물을 60℃로 냉온하고, 28% HCl 47분으로서 중화한다.
중화를 우리하여 필요한 HCl은 반응용기내에 남아 있는 알칼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최종적정으로 부터 계산한다. 중화된 반응물 덩어리는 에탄올을 회수하기 위하여 스틸포트로 보내진다. 두가지의 재순환 스트림을 스틸 포트에 가한다. 이들 스트림은 다음의 염세척(71.76부)으로 부터 에탄올을 회수하며, 고체 p-니트로페놀의 분리와 p-니트로페네톨(48.46부)의 탈수반응 으로부터 물이 회수된다. 스트림은 p-니트로페네톨 116.26부, p-니트로클로로벤젠 6.82부, p-니트로페놀 4.16부, NMP 148.55부, NaCl 59.82부, 에탄올 119.48부, 물 153.56부, 다른 유기물들(O-니트로클로로벤젠, O-니트로페네톨, O-니트로페놀)0.99부를 포함한다. 에탄올은 스틸포트온도 116℃에서, 상부층에서 92% 에탄올 스트림(130.2분)으로 회수된다. 증류는 대기압에서 진행된다.
스틸포트바닥 찌꺼기들은 p-니트로페네톨 116.24부, p-니트로클로로벤젠 6.80부, p-니트로페놀 4.16부, NMP 148.55부, NaCl 59.52부, 에탄올 0.30부, 물 142.58부, 기타 다른 유기물(O-니트로클로로벤젠, O-니트로페네톨, O-니트로페놀)0.99부를 포함한다. 증류된 바닥 찌꺼기들은 물 세척스틸로 옮겨진다.
물 세척 컬럼공정은 콘덴서에서는 100℃에서 행하여지며, 스틸포트에서는 194℃에서 진행된다. 상층에서 제거된 수분(139.38부)은 에탄올 0.30부, NMP 0.04부, O-니트로페놀 0.03부를 포함한다. 상층부를 모두 버린다.
스틸포트내에 있는 잔류물을 고체 NaCl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기로 보낸다. 여과기상에 남아있는 NaCl을 95% 에탄올로서 세척하고, 에탄올 세척액은 에탄올 회수 스틸포트로 보내 재순환 회수 사용한다.
염여과 공정으로 부터 얻어진 모액(267.61부)은 용매 전체 스틸포트로 보내진다. 용매 스트립핑 스틸컬럼 공정은 81℃온도, 50mmHg 압력, 콘덴서내에서 진행된다. 스틸포트내의 온도와 압력은 각기 192℃와 576mmHg이다. 이 스트립핑 스틸로 부터 상층부(163.59부)를 반응용기로 다시 보낸다. 이 상층분은 p-니트로페네톨 1098부, p-니트로클로로벤젠 5.92부, NMP 143부, 물 3.56부, O-니트로클로로벤젠 0.03부, O-니트로페네톨 0.09부를 포함한다.
용매 스트립핑 스틸포트내에 있는 잔류물을 65℃로 냉온시키고, 추출기로 보낸다. 이 잔류물은 p-니트로페네톨 98.67부, p-니트로클로로벤젠 0.57부, p-니트로페놀 3.98부, O-니트로클로로벤젠 0.02부, O-니트로페네톨 0.77부, NMP 0.01부를 포함한다. 추출기는 65℃에서 작동되며, 따라서 p-니트로페네톨은 액체로 남는다. 4% NaOH 용액(31.19부)을 가하고, 층을 분리한다. 유기층을 깨끗한 물 12부로서 세척한다.
추출기로 부터 얻어진 유기층(101.97부)을 p-니트로페네톨 탈수 스틸포트로 보낸다. 탈수스틸은 포트온도 150℃, 압력 350mmHg에서 행하여 진다. 탈수기로 부터 얻어진 상층 스트림은(1.97부) 아래에서 설명된 바와같은 방법의 p-니트로페놀회수 섹션으로 부터 얻어진 회수된 물과 함께 혼합시킨다. 탈수기 스틸포트로 부터 회수된 생성물(100.0부)은 p-니트로페네톨 98.64부, p-니트로클로로벤젠 0.57부, O-니트로페네톨 0.77부를 포함한다.
10% 정도의 농도로 p-니트로페네톨의 소듐염을 포함하고 있는 추출기로 부터 얻어진 물 세척액과 알카리로 결합된 것을 28% HCl(3.91부)로서 pH 5.5-6.0으로 산성화시킨다. 이용액을 30-35℃로 냉온하면 고체의 p-니트로페놀이 침전된다.이 고체(3.97부)는 작은 여과기 상에서 분리된다. 이 작업으로 얻어진 모액을 탈수기의 상층분과 함께 혼합하고, 에탄올 회수 스틸포트로 다시 보낸다(48.46부).
[실시예 2]
반응이 85℃에서 진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따르며 교반된 반응용액에 공급하기 위하여 73% NaOH가 사용되며, 다공 분삭기체로서는 공기가 사용되었으며, 공용매로서는 N-메틸피롤리딘이 사용되지 않는다. 반응용기상부는 15몰% 이상의 산소를 포함한다.
실시예 1에서,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전환은 8시간내에 94.7%이며, 반면에 실시예 2에서는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전환이 8시간내에 단지 70%이다. 실시예 1에서 p-니트로페네톨의 수율은 95.3%인 반면에, 실시예 2에서 p-니트로페네톨의 수율은 93.5%이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생성된 p-니트로페네톨 매 100부당, 부산물인 p-니트로페놀 3.5부가 생성됐다. 반면에, 실시예 2에서 생성된 p-니트로페네톨 매 100부당에는 부산물 p-니트로페놀이 4.0부가 생성된다.
[실시예 3]
60% NaOH 65.64부를 3.0시간에 걸쳐서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방법을 따른다.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전환은 96.5%이며, p-니트로페네톨의 수율은 94.4%이다. 생성된 p-니트로페네톨 매 100분당 대하여 부산물 p-니트로페놀 4.9부가 생성됐다.
[실시예 4]
75% NaOH 53.95부를 2.0시간에 걸쳐서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방법을 따른다.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전환은 99.6%이며, p-니트로페네톨의 수율은 93.9%이다. 생성된 p-니트로페네톨 매 100부당 대하여 부산물 p-니트로페놀 5.4부가 생성됐다.
[실시예 5]
73% NaOH 43.16부를 2.0시간에 걸쳐서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방법을 따른다.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전환은 97.5%이며, p-니트로페네톨의 수율은 95.5%이다. 생성된 p-니트로페네톨 매 100부에 대하여 부산물 p-니트로페놀 3.9부가 생성됐다.
[실시예 6]
73% NaOH 43.16분를 2.0시간에 걸쳐서 가하는 것과 반응온도를 74℃대신에 65℃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방법을 따른다.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전환은 93.4%이며, p-니트로페네톨의 수율은 97.5%이다. 생성된 p-니트로페네톨 매 100부에 대하여 부산물 p-니트로페놀 2.1부가 생성됐다.
[실시예 7]
73% NaOH 43.16부를 2.0시간에 걸쳐서 가하고, 반응온도를 74℃대신에 60℃로 하고, 다공분산기체를 질소중에 5% 산소로 하고, 분산속도를 150mL/g-몰-hr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방법을 따른다.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전환은 91.48%이고, p-니트로페네톨의 수율은 98.2%이다. 생성된 p-니트로페네톨 매 100부에 대하여 부산물 p-니트로페놀 1.5부가 생성됐다.
[실시예 8]
73% NaOH 43.16부를 2.0시간에 걸쳐서 가하고, 반응온도를 74℃대신에 55℃로 하고, 다공분산기체를 질소로 하고, 분산속도를 150mL/g-몰-hr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방법을 따른다. 생성된 p-니트로페네톨 매 100부에 대하여 부산물 p-니트로페놀 1.1부가 생성됐다.
[실시예 9]
100% 에탄올 128부를 사용하고, 73% NaOH를 2.0시간에 걸쳐서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을 따른다(N-메틸피롤리돈이 사용되지 않음). 반응온도는 55℃이다. 반응용기는 질소로서 다공분산처리되며, 분산속도는 150mL/g-몰-시간이다. 반응은 2.0시간후에 종결되며,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전환율은 77%이며, 부산물 p,p'-디클로로아족시벤젠과 p,p'-디클로로아족시벤젠과 p,p'-디클로로아조벤젠으로 된다(혼합수율 88%). p-니트로페네톨의 수율은 단지 11%이다.
다음의 표는 실시예 1-9의 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공정효율은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전환율%와 p-니트로페네톨의 수율%를 곱한값(積)으로서 계산된다.
* 반응이 2시간후 종결.
위의 표에서 보아서 알 수 있듯이, 저온에서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개량된 전환은 본 발명을 실시하므로서 얻어진다. p-니트로페네톨의 개량된 수율과 부산물인 p-니트로페놀의 생성감소도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므로서 얻어진다. 이는 당기술 분야에서 상당한 기술적 개량(진보)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는, 부산물인 4,4'-디클로로아족시벤젠과 4,4'-디클로로아조젠의 생성을 만족할 수 있는 정도로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아주 소량의 산소(12% 이하)를 포함하는 다공분산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이롭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 수준의 산소에서는, 에탄올과 산소로 된 잠재적 폭발혼합물을 생산할 가망은 거의 없게 된다.

Claims (17)

  1. p-니트로클로로벤젠을 아조아 아족시 부산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산소를 포함하는 다공분산기체를 사용하여 수성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인 일가 알콜용액내에서 반응시켜서 p-니트로페네톨을 제조함에 있어서, 알킬치환체가 탄소원자수 1-8인 N-알킬피롤리돈 효과량 존재하에서 반응을 수행하므로서 반응을 개선하는 p-니트로페네톨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피롤리돈 첨가제는 N-메틸피롤리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은 수산화나트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은 수산화칼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일가 알콜은 에탄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N-알킬 피롤리돈 대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몰비는 4:1-1:1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알콜 대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몰비는 5:1-1:1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다공분산기체는 체적비로서 12% 미만의 산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은 55℃-80℃ 사이의 온도에서 행하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하기 (a)(b)(c)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니트로페네톨 제조방법 : (a) p-니트로페네톨을 만들기 위하여, p-니트로클로로벤젠을 에톡실화하기 위해 에탄올, 물과 N-메틸피롤리돈으로 된 용매를 포함하는 공용매 액체계내에서 p-니트로클로로벤젠, 에탄올, 수산화나트륨을 고온에서 반응성 있는 접촉을 이루게 하는 단계 (b) 아조와 아족시 부산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체적비로 12% 미만의 산소 함량을 갖는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로서 반응혼합물을 다공분산처리하는 단계 (c) 최종적으로 얻어진 반응생성물로 부터 생성된 p-니트로페네톨을 분리하는 단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에탄올 대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몰비는 4:1-1:1이며, N-메틸피롤리돈 대 p-니트로클로로벤젠의 몰비는 2.5:1-1:1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수산화나트륨은 40-75% 수용액으로서 반응에 도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반응온도는 50-8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반응온도는 65-75℃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반응용기의 상층부내에 있는 산소 함량은 체적비로 5%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반응용기는 1-5 atm 하에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반응용기는 p-니트로클로로벤젠, 에탄올과 N-메틸피롤리돈으로 채워지며, 산소를 포함하는 기체로서 반응혼합물을 다공분산처리하는 동안에 40-75%의 수산화나트륨을 서서히 가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00022131A 1989-12-29 1990-12-28 니트로페네톨(Nitrophenetole)의 제조방법 KR940000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59,016 1989-12-29
US07/459,016 US4987266A (en) 1989-12-29 1989-12-29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nitrophenetole
US07/459.016 1989-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755A KR910011755A (ko) 1991-08-07
KR940000655B1 true KR940000655B1 (ko) 1994-01-26

Family

ID=2382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131A KR940000655B1 (ko) 1989-12-29 1990-12-28 니트로페네톨(Nitrophenetole)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87266A (ko)
EP (1) EP0440010A3 (ko)
JP (1) JPH03294247A (ko)
KR (1) KR940000655B1 (ko)
IL (1) IL96824A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7168A (zh) * 2019-12-12 2020-05-22 中卫市鑫三元化工有限公司 一种使用硝基卤代苯生产硝基苯烷氧基醚的清洁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5113A (en) * 1961-05-10 1963-04-09 Monsanto Chemicals Method of preparing nitrophenetoles
DE1768680C3 (de) * 1968-06-15 1974-04-18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olefinischer Verbindungen aus Aldehyden oder Ketonen und Phosphoniumhalogeniden
DE2304762A1 (de) * 1973-02-01 1974-08-15 Degussa Herstellung von formaldehyd in einer wirbelschicht mit einem bestimmten temperaturgradienten
DE2639700A1 (de) * 1976-09-03 1978-03-09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nitrophenetol
US4377712A (en) * 1979-04-09 1983-03-22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Preparation of meta-substituted diaryl ethers
FR2459792A1 (fr) * 1979-06-27 1981-01-16 Rhone Poulenc Ind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benzeniques par reaction d'un halogenobenzene active avec un reactif organique anionique oxygene ou soufre
DE3120912A1 (de) * 1981-05-26 1982-12-16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nitrophenetol
IL65154A (en) * 1982-03-03 1986-10-31 Gadot Petrochemical Ind 1974 L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nitro-phenetoles
US4469893A (en) * 1982-03-22 1984-09-04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nitrodiphenyl ethers
JPS62145047A (ja) * 1985-12-17 1987-06-29 New Japan Chem Co Ltd ジニトロジフエニルエ−テル類の製造方法
DE3610707A1 (de) * 1986-03-29 1987-10-08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nitrophenetol
US4740330A (en) * 1986-09-03 1988-04-26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allylating aromatic hydroxyl-containing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94247A (ja) 1991-12-25
KR910011755A (ko) 1991-08-07
IL96824A0 (en) 1991-09-16
US4987266A (en) 1991-01-22
EP0440010A3 (en) 1992-03-25
EP0440010A2 (en) 199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9875B1 (en) Process for producing perfluoroalkanesulfinic acid salt
RU264129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льфонимид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и его солей
CN109942539B (zh) 一种2-氟-1,3-丙磺酸内酯的制备方法
JPS6121211B2 (ko)
DK170156B1 (d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0-methallyloxyphenol
US509158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6-difluoroaniline
KR940000655B1 (ko) 니트로페네톨(Nitrophenetole)의 제조방법
JPH0329780B2 (ko)
US5081288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bstituted 3,5-dichloro-2,4-difluoro-benzenes
DE69826845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rylsulfonylchlorid
US6150528A (en) Method for producing 5-aminomethyl-2-chloropyridines
CA1041542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 n-diallyldichloroacetamide
EP0270221B1 (en) Method of preparation of 3,5-dichloro-2,4,6-trifluoropyridine
EP0092117A1 (en) Process for producing chloronicotinic acid compounds
EP0101625B1 (en) Process for preparing the 2',4'-difluoro-4-hydroxy-(1,1'-diphenyl)-3-carboxylic acid
US20230103507A1 (en) Method for preparing 3,6-dichloropyrazine-2-carbonitrile
KR20010102956A (ko) 폴리할로겐화 파라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의 제조 방법
US4215227A (en) Recovery of para-nitrosodium phenolate
KR100210561B1 (ko) 디알킬아미노프로판디올의 제조방법
US6127577A (en) Method of making 3,5-difluoroaniline from 1,3,5-trichlorobenzene
CA2337620A1 (en) Manufacture of a cyclic acid
US611113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rifluoromethyl containing derivatives
FR2751963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lactames n-substitues
DK148116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n,n-diethyl-2-(alfa-naphthoxy)-propionamid
EP0531936B1 (en) Method for producing 2,2-dibromo-2-nitroethan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