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571B1 -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0571B1 KR940000571B1 KR1019910020830A KR910020830A KR940000571B1 KR 940000571 B1 KR940000571 B1 KR 940000571B1 KR 1019910020830 A KR1019910020830 A KR 1019910020830A KR 910020830 A KR910020830 A KR 910020830A KR 940000571 B1 KR940000571 B1 KR 940000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arn
- minutes
- shrinkage
- weaving
- shrink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피감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직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호부공정과 제직공정에서의 작업이 원활하고 후가공 공정조건의 용이함과 아울러 직, 편성후 뛰어난 이수축효과가 발현되어 풍부한 부피감과 우수한 드레이프성,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이수축 혼섬사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공정은 고수축부가 호부공정에서의 열처리로 인해 수축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부공정에서 저온 저속으로 진행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호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제직공정중 개구불량의 원인이 되어 제직성이 까다롭고 후가공공정에서는 최대한 저장력으로 진행되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 종래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혼섬에 있어서도 연신조건을 달리한 고수축사와 저수축사의 조합이므로 저수축부를 구성하는 원사가 열처리를 하여도 잔류수축률이 남아있어 정련, 축소, 예비세트, 염색 등의 후가공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수축되어 최종가공지 상에서의 고수축사와의 수축차가 좁혀져 이수축효과가 미흡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연신사와 고배향 미연신사를 혼섬하여 호부공정 또는 연지공정을 통하여 고배향 미연신사의 자발신장특성을 잠재화시킨 후 통상의 후가공공정에서 고수축사의 수축력과 고배향 미연신사의 자발신장성을 발현시킨 부피감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심사(芯絲)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연신사(이하 연신사라 함)는 rs1이 5% 이상이고, 40%≥rs2≥10%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단, rs1과 rs2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10는 0.1g/d의 하중하에서 측정한 시료의 길이이고, 11은 시료를 정장(定長)으로 100℃ 건열중 15분간 처리한 후 다시 100℃ 열수중에서 무장력상태로 15분간 수축시킨 후 10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길이임)
(여기서 12는 11측정한 시료를 상온에서 24시간 방치건조후 160℃ 건열중 15분간 무장력으로 수축시킨 후 10와 같은 방법으로 시료의 길이를 측정한 것임)
만약 rs1이 5% 미만인 경우 고배향 미연신사와의 수축자가 감소하여 이수축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며, rs2가 10% 미만인 경우 잔류수축율이 낮아 이수축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40%를 초과하면 과수축되어 수축처리후 수축반 등의 발생으로 인하여 최종가공지 상의 결점으로 남게된다.
연신사에 있어서 rs2는 25%≥rs2≥15%의 범위가 가장 적정하며 고온연신하였거나 고배향 구조를 취하고 있어 정장 열처리후 수축변화율이 적은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초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고배향 미연신사(이하 미연신사라 함)는 rs1이 0% 이하이고, 0%≥rs2≥-10%의 특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rs1과 rs2가 0%를 초과하면 본 발명에서의 열처리나 연지처리를 하여도 잔류열수축률이 남아있어 정련등 비교적 저온에서도 수축하게 되므로 연신사와의 수축차가 감소하여 이수축효과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게 된다. 미연신사의 rs2는 -3∼-7%가 가장 적정하며 열에 민감하고 열세트성이 앙효하며 열수축응력이 작은 것이 좋다.
본 발명자들이 여러가지 조건으로 제조된 다종의 원사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폴리에스터 고배향 미연신사가 적합한 것을 발견하게 되었고, 특히 그중에서도 2000∼4000m/min의 속도로 방사된 원사가 본 발명에 최적이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니는 두 원사를 30∼100개/m의 교락수를 갖도록 유체혼섬한다. 교락수가 30개 이하이면 이수축효과가 고르게 나타나지 않아 루프가 직물표면으로 돌출되어 균일한 표면효과를 발현시킬수 없게 되며, 100개 이상의 교락수를 갖게 되면 교락반, 얼룩(스트리키)등이 발생한다.
혼섬처리방법은 통상의 인터레이스 노즐이나 타스란 노즐처리로 가능하다. 인터레이스터리를 하면 실크라이크한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으며 타스란 처리로는 스펀라이크한 효과발현이 가능하다.
이렇게 만들어진 혼섬사를 80∼140℃의 온도로 제직전 정장(定長) 열처리하거나 또는 선연(先撚)후 70∼90℃로 20분이상 연지(撚止)함으로써 두 원사의 수축자에 의한 이수축효과를 잠재화시킨 후 후가공공정에서 이수축효과를 발현시켜 부피감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를 완성한다.
정장(定長) 열처리공정과 연지(撚止)공정의 목적은 원사상태에서 20% 이상의 높은 비등수 수축률을 갖는 고배향 미연신사를 열처리하여 자발신장성을 잠재화시키는데 있다.
정장열처리의 경우 80℃ 미만의 온도에서는 정장열처리시간이 길어야하고 사발신장 정도로 미흡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140℃보다 높은 온도로 열처리할 경우에는 연신사 잔류수출률이 크게 감소되어 미연신사와 연신사와의 수축차발현이 불가하다. 연신사의 수축력은 유지시키고 미연신사의 자발신장성을 부여하기 위한 최적의 열처리 조건은 90∼120℃의 온도에서 0.1∼2초간 정장열처리하는 것이 좋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다.
정장열처리의 방법으로는 혼섬교락후 별도로 히터를 통과시키면서 열처리하는 방법등이 모색될 수 있으나 호부공정에서 행하면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호부공정이 고온고속으로 진행될 수 있어 생선성도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직성도 양호하고 본 발명에서 얻고자하는 이수축효과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어 더욱 좋다.
또한 연지공정을 통하여 이수축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서 70∼90℃의 온도로 20분이상 처리하여 주어야한다. 20분이하의 열처리는 처리시간이 미흡하여 열처리가 실린더 내외층간에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수축불균일이 발생하며, 연지온도가 70℃ 미만이면 연지시간이 길어야 하고 미연신사의 자발신장 정도도 미흡하게 되므로 연신사와 미연신사의 효과적인 수축차발현이 불가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제조한 이수축 혼섬사를 직, 편성후 통상의 후가공조건을 거치게 되면 원단상에서 연신사는 수축하여 고수축사 역할을 하고, 반대로 미연신사는 정련축소, 예비세트, 염색 등 후가공공정이 진행되어짐에 따라 자발신장하여 최종가공지상에서 부피감이 있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풍부한 드레이프성을 지니는 이수축 혼섬사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제조되는 이수축 혼섬사 직물은 후가공공정에서 장력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으므로 공정조건이 용이하고 공정통과성이 매우 양호한 장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rs1과 rs2가 각각 -0.9%, -4.2%인 고배향 미연신사 65D/36F(방사속도 : 3,000m/min)와 1,300m/min으로 방사후 3.2배 연신하여 rs1이 8.9%, rs2가 18.3%인 연신사 40D/24F를 유체혼섬하여 미터당 75∼85개의 교락수를 갖도록 한 후 표1과 같은 조건으로 사이징하여 평직으로 제직하고 통상의 조건으로 정련축소, 예비세트, 감량, 염색, 마무리세트 등의 후가공을 하였다.
[표 1]
이렇게 하여 제조한 결과 최종가공지 상태에서 부피감이 우수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풍부한 드레이프성을 지닌 이수축 혼섬사 직물을 얻었다.
[비교예 1]
방사속도 1,300m/min이고 2.5배 연신하여 rs1,rs2가 각각 3.2%,8.7%인 연신사 35D/24F와 실시예 1의 고배향 미연신사를 60∼80개/m의 교락수를 갖도록 유체혼섬하여 표 1의 조건으로 호부공정을 거친 후 평직으로 제직하여 통상의 조건으로 후가공 한 결과 가공지상의 이수축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직물표면상에 염반과 염차가 많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2]
방사속도 1,500m/min이고 연신비 3.0배인 연신사 50D/48F(rs1: 6.5%, rs2: 14.2%)와 실시예 1의 고배향 미연신사를 50∼70개/m의 교락수를 갖도록 유체혼섬하여 표 2의 조건으로 호부공정을 거친 후 평직으로 제직하여 통상의 조건으로 후가공을 하였다.
[표 2]
이렇게 하여 제조한 결과 정련후 고배향 미연신사가 과수축되어 이수축효과가 발현되지 않으며 후가공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밀도가 감소되면서 최공가공지상에서 밀도빠짐, 모우등의 결점이 나타났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원사를 혼섬교락처리하여 65∼78개/m의 교락수를 갖게한 후 미터당 300회 Z방향으로 연(撚)을 주어 80℃ 온도의 진공세트기내에서 40분간 연지공정을 거친 후 호부공정을 거치지 않고 5배 주자직으로 제직한 다음 통상의 정련축소, 예비세트, 감량, 염색, 마무리세트 등의 후가공공정을 하였다. 그 결과 표면이 유연하면서 이수축효과가 뛰어난 부피감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직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같은 원사를 70∼85개/m의 교락수를 갖도록 유체혼섬 교락처리한 후 미터당 450회 Z방향으로 연(撚)을 주어 60℃ 온도로 진공세트기 내에서 40분간 연지공정을 거친 후 호부공정을 거치지 않고 5매 주자직으로 제직한 다음 통상의 정련축소, 예비세트, 감량, 염색, 마무리세트 등의 후가공공정을 하였다. 그 결과 표면에 고배향 미연신사의 과수축으로 인한 수축반이 발생되고 이수축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연신사와 방사속도 5,500m/min이고 rs1과 rs2가 각각 -1.2%, 3.4%인 고배향 미연신사 75D/36F를 70∼80개/m의 교락수를 갖도록 유체혼섬처리하여 Z방향으로 미터당 183회의 연(撚)을 주어 표 1의 조건으로 호부공정을 거쳐 후가공을 하였다. 그 결과 우수한 드레이프성과 살아있는 듯한 탄반발성, 풍부한 부피감을 갖는 직물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3)
- rs1이 5% 이상이고, 40%≥rs2≥10%인 폴리에스터 연신사와 rs1이 0% 이하이고, 0%≥rs2≥-10%인 폴리에스터 고배향 미연신사를 30∼100개/m의 교락수를 갖도록 유체혼섬처리하여 80∼140℃의 온도로 제직전(前) 정장(定長) 열처리하거나 또는 선연(先撚)후 70∼90℃로 20분 이상 연지(撚止)하여 제직한 후 통상의 후가공조건을 거쳐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피감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단, rs1과 rs2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한다.(여기서, 10는 0.1g/d의 하중하에서 측정한 시료의 길이이고, 11은 시료를 정장(定長)으로 100℃ 건열(乾熱)중 15분간 처리한 후 다시 100℃ 열수(熱水)중에서 무장력상태로 15분간 수축시킨 후 10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길이임)(여기서, 12는 11측정한 시료를 상온에서 24시간 방치 건조후 160℃ 건열중 15분간 무장력 상태로 수축시킨 후 10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길이임)
- 제1항에 있어서, 고배향 미연신사는 2,000∼4,000m/min의 속도로 방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피감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제직전 정장(定長) 열처리는 통상의 호부(糊附)공정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피감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20830A KR940000571B1 (ko) | 1991-11-21 | 1991-11-21 |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20830A KR940000571B1 (ko) | 1991-11-21 | 1991-11-21 |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0269A KR930010269A (ko) | 1993-06-22 |
KR940000571B1 true KR940000571B1 (ko) | 1994-01-24 |
Family
ID=1932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20830A KR940000571B1 (ko) | 1991-11-21 | 1991-11-21 |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057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6271B1 (ko) * | 1997-06-18 | 2005-09-0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보호수지막용조성물및이를이용한음극선관용형광막의제조방법 |
-
1991
- 1991-11-21 KR KR1019910020830A patent/KR9400005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0269A (ko) | 1993-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3915945B4 (de) | Potentiell voluminöses Polyestergarn für Web- und Wirkwar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gewebe | |
KR940000571B1 (ko) |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 |
US3161011A (en) | Bulky textile yarn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 |
JPS583064B2 (ja) | シルキ−調ポリエステル織物の製造方法 | |
JP3793288B2 (ja) | ポリエステル系仮撚加工糸の製造方法 | |
JP4123646B2 (ja) | ポリエステル繊維糸条および布帛 | |
JPH0335412B2 (ko) | ||
JPS64491B2 (ko) | ||
KR940010037B1 (ko) | 이수축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 |
KR950004080B1 (ko) |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
KR101555098B1 (ko) |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 |
JPS6119730B2 (ko) | ||
KR20020078701A (ko) |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폴리에스테르 직물 | |
JP2828448B2 (ja) | ポリエステル異収縮混繊糸からなる織編物 | |
JPS601427B2 (ja) | ポリエステル系織編物の製造法 | |
JPS6030392B2 (ja) | ポリエステル系繊維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0248430A (ja) | 潜在捲縮発現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製造方法 | |
JPS591810B2 (ja) | 強ネン織編物の製造法 | |
KR930011949B1 (ko) | 이수축복합사직물의 제조방법 | |
KR930011948B1 (ko) |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제조방법 | |
JPS6125826B2 (ko) | ||
JP2543540B2 (ja) | 高反撥性ポリエステル織物 | |
JP2823597B2 (ja) | 長手方向に染着差を有するワーキングウェア用制電性仮撚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S6335740B2 (ko) | ||
JPH08176933A (ja) | シボ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