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63Y1 - 미늘판 - Google Patents
미늘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0063Y1 KR940000063Y1 KR2019910010485U KR910010485U KR940000063Y1 KR 940000063 Y1 KR940000063 Y1 KR 940000063Y1 KR 2019910010485 U KR2019910010485 U KR 2019910010485U KR 910010485 U KR910010485 U KR 910010485U KR 940000063 Y1 KR940000063 Y1 KR 94000006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edge
- barb
- body plate
- stepped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8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connecting using glu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판 2 : 표면장식판
3 : 상측 돌출부 4 : 하측 단턱부
5 : 하측 돌출부 6 : 상측 단턱부
7 : 미늘삽입홈 8 : 접착제층
본 고안은 흔히 "루버 보드"(Louver Board)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재의 입수가 용이하고 저렴하여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미장효과를 최대로 살릴 수 있도록 한 미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거운 하중을 받는 마루판(序板 : Flooring Board)과 달릴 벽지 대신 실내 벽면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얇은 미늘판은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 소나무, 참나무 등 주요 국내산 목재로 만들 경우 옹이빠짐, 뒤틀림, 갈라짐 등의 결함이 있어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결합이 적은 웨스턴 레드시더(Western Red Ceder)등 값비싼 외국산 목재로 제작 설치되고 있어 막대한 외화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9-164703호와 같이 집성재 또는 합판으로 되는 심재와 표리면에 집성재로 된 활엽수소재의 표단판과 활엽수 또는 칩엽수소재의 이단판을 접착하여 표단판의 표면에 도장처리한 것이 안출되어 있으나, 이 구조에서는 심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 형 돌출부와 ""형 요홈부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가공제작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국내산으로 용이하고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는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 소나무, 참나무 등 주용 국내산 목재를 본체판을 제작하고 그 위에 동일한 소재로 된 표면 미장판을 접착하여 미늘과 미늘이 삽입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소재의 입수가 용이하고 저렴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미장효과를 최대로 살릴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가공제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 미늘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판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측 돌출부와 하측 단턱구를 형성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하측 돌출부와 상측 단턱부를 형성하며, 이 본체판의 상면에는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하측 단턱부끝에 일치되고 타측 가장자리는 하측 돌출부 끝에 일치되는 표면장식판을 접착하여 일측의 상측 돌출부는 미늘을 형성하고 타측의 하측 돌출부와 표면장식판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는 미늘이 삽입되는 미늘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한 미늘판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의 일부 절개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미늘판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판(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측 돌출부(3)와 하측 단턱부(4)를 형성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하측 돌출부(5)와 상측 단턱부(6)를 형성하며, 이 본체판(1)의 상면에는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하측 단턱부(4)끝에 일치되고 타측 가장자리는 하측 돌출부(5)끝에 일치되는 표면장식판(2)을 접착하여 일측의 상측 돌출부(3)는 미늘을 형성하고 타측의 하측 돌출부(5)와 표면장식판(2)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는 미늘이 삽입되는 미늘삽입홈(7)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본체판(1)의 표면장식판(2)을 접착함에 있어서는 본체판(1)의 상면에 접착체층(8)을 도포하고 그 위에 표면장식판(2)을 올려놓은 다음 가압하여 접착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판(1)과 표면장식판(2)은 공히 국내산으로서 용이하고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는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 소나무, 참나무 등 주요 국내산 목재를 사용한다.
사용에 있어서는 본체판(1)의 일측에 형성된 상측 돌출부(3)에 의하여 형성되는 미늘을 타측의 하측 돌출부(5)와 표면장식판(2)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는 미늘삽입홈(7)에 끼워넣는 식으로 여러장의 미늘판을 끼워맞춰 실내 벽면에 마감재로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옹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미늘판은 그 제작에 있어서 본체판(1)의 양측에 ""형 돌출부와 ""형 요홈부를 형성하지 않고, 일측에는 상측 돌출부(3)와 하측 단턱부(4)를 가지는 "ㄱ"자형 단면으로 타측에는 하측 돌출부(5)와 상측 단턱부(6)를 가지는 "ㄴ"자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므로 그 본체판(1)의 가공제작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본체판(1)과 표면장식판(2)를 그 사이에 접착체층(8)을 도포하고 가압하여 접착하는 것이므로 본체판(1)이나 표면장식판(2)에 설령 옹이(9)가 있더라도 옹이빠짐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며, 뒤틀림이나 갈라짐등의 결함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미늘판으로서는 부적합하다고 여겨져오던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 소나무, 참나무 등 주요 국내산 목재를 사용하면서도 미장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목재에서 결함으로 알려져 있던 옹이빠짐, 뒤틀림, 갈라짐등의 결함을 배제할 수 있어 국내 자원의 활용과 외화낭비 방지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본체판(1)의 양측에 ""형 돌출부와 ""형 요홈부를 형성하지 않고, 일측에는 상측 돌출부(3)와 하측 단턱부(4)를 가지는 "ㄱ"자형 단면으로 타측에는 하측 돌출부(5)와 상측 단턱부(6)를 가지는 "ㄴ"자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므로 본체판의 가공제작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 본체판(1)과 표면장식판(2)이 접합되어 일측 가장자리에는 미늘이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미늘이 삽입되는 미늘삽입홈(7)이 형성된 통상의 미늘판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본체판(1)의 두께의 대략 절반이 되는 두께를 가지는 상측 돌출부(3)와 하측 단턱부(4)를 각각 형성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본체판(1) 두께의 대략 절반이 되는 두께를 가지는 하측 돌출부(5)와 상측 단턱부(6)를 형성하며, 상기 표면장식판(2)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하측 단턱부(4) 끝에 일치되고 타측 가장자리는 상기 상측 단턱부(6) 끝에 일치되게 접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0485U KR940000063Y1 (ko) | 1991-07-09 | 1991-07-09 | 미늘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0485U KR940000063Y1 (ko) | 1991-07-09 | 1991-07-09 | 미늘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2372U KR930002372U (ko) | 1993-02-25 |
KR940000063Y1 true KR940000063Y1 (ko) | 1994-01-10 |
Family
ID=1931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10010485U KR940000063Y1 (ko) | 1991-07-09 | 1991-07-09 | 미늘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006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4497A (ko) * | 1999-03-20 | 1999-08-05 | 김도진 | 소독용 약제 살포장치 |
KR20230002106U (ko) | 2022-04-26 | 2023-11-02 | 이태수 | 재생 플라스틱판을 바닥판으로 한 마루판 |
-
1991
- 1991-07-09 KR KR2019910010485U patent/KR94000006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4497A (ko) * | 1999-03-20 | 1999-08-05 | 김도진 | 소독용 약제 살포장치 |
KR20230002106U (ko) | 2022-04-26 | 2023-11-02 | 이태수 | 재생 플라스틱판을 바닥판으로 한 마루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2372U (ko) | 1993-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043373A1 (en) | Multi species laminated veneer lumber | |
US20220042321A1 (en) | Solid wood composite floor base material having fishbone-shaped core material | |
KR940000063Y1 (ko) | 미늘판 | |
CN112761497A (zh) | 一种消音抗变形门板及制作工艺 | |
CN106193523A (zh) | 一种防变形实木复合板及其加工方法 | |
JPH05325Y2 (ko) | ||
CN206982919U (zh) | 高强度竹制木工板材 | |
CN207513096U (zh) | 铝塑膜多层实木复合地板 | |
CN219096119U (zh) | 一种复合多层木板材 | |
CN219749103U (zh) | 一种超薄纤维板基装饰结构 | |
JPS5850975Y2 (ja) | 面取り銘木材 | |
KR200242631Y1 (ko) | 문틀 프레임과 그 문틀에 끼워져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 |
CN220840642U (zh) | 一种杨木芯板复合板 | |
CN214995553U (zh) | 一种三层实木复合地板用无缝隙芯板 | |
CN107009443B (zh) | 具有透气槽的芯材及芯材加工方法 | |
CN2401353Y (zh) | 一种竹木人造板 | |
CN2684650Y (zh) | 复合装饰板橱柜板 | |
KR20020015264A (ko) | 문틀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문틀과 그 문틀에 끼워져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 |
JPS5941209A (ja) | 化粧単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08155923A (ja) | 面取りを施した化粧板 | |
KR200362163Y1 (ko) | 엣지부위의 방습성을 향상시킨 강화마루 | |
JPH01247106A (ja) | 建築用部材 | |
JPH0351122Y2 (ko) | ||
CN2759739Y (zh) | 一种竹木结合板 | |
CN114525904A (zh) | 一种新型实木装饰板材及制作工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11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