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37B1 -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037B1
KR940000037B1 KR1019900013147A KR900013147A KR940000037B1 KR 940000037 B1 KR940000037 B1 KR 940000037B1 KR 1019900013147 A KR1019900013147 A KR 1019900013147A KR 900013147 A KR900013147 A KR 900013147A KR 940000037 B1 KR940000037 B1 KR 94000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key
transmission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199A (ko
Inventor
박상락
Original Assignee
박상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락 filed Critical 박상락
Priority to KR101990001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037B1/ko
Priority to JP2250434A priority patent/JPH04194436A/ja
Publication of KR920004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변속장치를 설치한 차량엔진의 변속부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어 어셈블리와 동력축 어셈블리를 구비한 기어 변속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변속장치를 결합한 상태로써 클러치 작용을 하지않는 중립위치를 보인 다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변속장치가 클러치 작용을 할때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변속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력발생부 2 : 크랭크축
4 : 입력축 5 : 입력축기어
7 : 추진축 100 : 변속기어장치
17 : 변속기어조립체 24 : 클러치핀 조립체
33 : 클러치링 46 : 동력축 동체,
52 : 이동간
본 발명은 모든 차량 또는 엔진을 이용하는 동력기기에 탑재되는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작동중에 클러치를 사용하고 변속기어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변속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엔진의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기어를 가변하여 변속할 수 있는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에 탑재되어 조작되는 변속기는 크게 나누어 수동변속기와 자동변 속기 2가지로 나눌수 있다.
수동변속기에 있어서는 시프트 레버에 의해 기어를 직접 움직여 변속하는 선택 기어식과 동력축과 출력축의 기어들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기어를 변속할 수 있는 기어맞물림식으로 세분화된다.
먼저 선택기어식을 보면 엔진 출력축에 클러치를 게재해서 연결되는 입력축과 이 입력축과 연동해서 회전하는 동력축과 상기 동력축에 평행으로 배치되어 차동장치를 자동차의 구동륜에 연결되는 추진축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동력축과 추진축과의 사이에 복수개의 연속용 기어열을 배설한 구성에서 이들 기어중의 하나를 시프트레버의 조작으로 선택하여 동력전달상태로 연결하므로서 선택된 기어열의 기어버에 대응하는 감속비를 추진축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선택 기어식은 기어를 직접 움직여 변속하므로서 변속조작이 크게 되고 따라서 가속성이 저하되며 직경이 서로 다른 2개의 기어를 맞물릴때 주속도를 잘맞추지 않으면 기어가 맞물리기 어려울 뿐만아니라 이로 인해 기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기어 맞물림식은 추진축과 동력축의 기어가 항상 맞물려 있고 추진축의 기어들이 공회전상태에서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추진축 둘레에서 공전하고 있는 기어 안쪽의 클러치 기어에 끼워지므로 추진축과 기어를 고정시켜 동력을 전달하게 되어 있다.
상기 기어 맞물림식 또한 회전상태에서 추진축기어와 클러치 기어가 끼워지게 되어 있어 기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수동변속기는 기어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러치를 밟아 동력을 차단하고 엔진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악세레이터에서 발을 떼어 기어를 변속한 다음 악세레이터를 발로 밟음과 동시에 클러치를 떼어주면서 동력을 전달해야 하므로 동력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을시에는 기어가 맞물리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기어의 손상을 주게되며 작은 기어변속작동으로 운전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있어 요즘에 와서는 수동 변속기의 구조와는 전혀 다르게 제작된 클러치와 변속기의 조작을 유압시스템이 하도록 하여 주행상태에 따라 기어가 자동으로 변속되도록된 자동 변속기가 등장하여 사용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 자동변속기는 구조가 복잡하여 값이 비싸고 모든 조작을 기계화 하므로 인해 연료 소비율이 많아지며 차의 부품이 비싸고 고장시 수리가 쉽지 않음은 물론 비상시 밀거나 끌어서 시동을 걸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사항을 해소시키도록한 것으로, 동력축과 추진축에 크기가 서로 다른 각 기어들이 맞물려 회전하도록 된 변속기에 있어, 동력축에 끼워져 공회전하는 동력전달기어에 클러치 대용의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작동편이 매몰된 동력축 내부에 돌출부가 구비된 이동간을 설치하여된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속기어를 선택하여 수동 변속 가능하고 주행시 엔진 속도를 검출하여 엔진 속도에 맞는 기어 변속을 자동적으로 유도하는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차량 변속기에 용이하게 적용되어도 수동 및 자동 변속을 하게하는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실린더 헤드로 구성되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되고 보조 클러치와 입력축기어가 설치되는 입력축과, 그의 단부에는 보조 커플러에 의하여 연결되고 후진 변속용 기어 및 다수의 변속용 추진기어를 개재시켜 상기의 후진 변속용 추진축 기어와 맞물린 후진 변속용기어와, 상기의 다수의 추진축 기어와 개별적으로 맞물리는 동력축 변속기어 어셈블리 및 상기 동력축기어와는 동시에 회전되고 그외의 기어들과는 공회전 상태로 설치되는 동력축들로 구성시킨 동력축 어셈블리들로 되는 변속기어 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동력축 변속기어 어셈블리는 추진축기어와 맞물리는 주기어부와, 주기어부의 중심부에서 소정거리 일체로 돌출되고, 그 내부로 다수이 요홈으로 되는 제2키이홈을 다수 형성한 연장부, 연장부내에 삽입될시 그의 상부에 상기 제1키이홈과 다소 어긋나게 형성한 다수의 제2키이홈이 형성되고 내부로는 내접키이가 형성된 클러치링과, 상기 제1키이홈에 삽입되는 제1키이 및 상기 제2키이홈에 삽입되는 제2키이와, 이들 키이를 상호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키이조립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축 어셈블리는 내부를 공동으로 하는 실린더형의 동체, 그의 외주면의 소정위치에 양측면 또는 다수의 측면상에 소정직경의 내부로 관통하는 핀홀 및 동체 두께부의 절반 정도의 깊이로 되는 다수의 장방형의 홈부와, 상기 핀홀내로 소정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핀 중단에 고정된 지지편이 지지편 양측에 탄성지지 하면서 클러치핀이 돌출되는 구멍을 가진 상기 홈부상에 고정되는 홈고정편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클러치핀 조립체와, 엔진 변속시 변속모터에 연결된 변속축상의 변속기어와 맞물려 회전하여 소정방향으로 소정거리 왕복이동하는 디스크, 이 디스크에 접속되고 다소의 소정거리 부위에 양측면 돌출한 클러치부를 가진 이동간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 작동시 입력축 동력은 클러치에 의하여 입력축기어를 구동시키고 동력기어가 회동되면서 동력축이 회전된다. 이때 입력축에는 다수의 추진축기어를 가진 추진축이 커플러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된다. 한편 동력축 내부의 이동간은 엔진의 변속선택에 따라, 소정 거리를 전후로 이동하게되며, 실예를 들어 1속일 경우 이동간의 최초 클러치부가 최초 클러치핀 조립체의 다수의 핀과 접촉되는 상태로되면서, 이들 클러치핀의 단부가 클러치링의 인접소정기어와 맞물리게 되어, 클러치링이 키이조립체의 스프링 탄성거리정도 공회전한 다음, 클러치링의 상부 키이홈에 삽입한 제2키이와 어느한 동력축 기어의 연장부에 키이홈에 삽입한 제1키이들이 동력축기어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추진축의 기어에는 입력축의 회전력이 입력축기어와 회전축기어수에 비례하는 변속비를 가진 변속회전력을 회전되게 한다. 마찬가지로 엔진속도가 전진속도로 빨라지거나 후진될 경우 엔진속도 검출에 따라 변속모터가 회전되게 되고, 이동간이 이동됨에 따라 클러치핀 조립체는 이동간에 형성한 소정변속비의 클러치부를 선택하게 되고, 클러치링이 소정의 동력축기어와 고정되므로 추진축에 변속회전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소정의 변속비를 가질 수 있는 변속기어를 구비한 추진축에 대하여 동력축의 변속모터에 연결된 디스크를 회전이동시킴에 따라 이동간의 소정 클러치부가 소정의 클러치핀 조립체와 접촉되고 동시에 클러치링이 동력축기어와 결합되게되고, 동력축기어가 회전되어 추진축에 대한 변속이 용이하고도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추진축의 구조에 대하여 본원의 동력축 어셈블리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동력발생부에는 하나의 실린더부(1)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수의 실린더가 크랭크축(2)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크랭크축(2)의 단부에는 클러치페탈(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수동조작시 이에 의해 동력을 단속시켜주는 보조클러치(3) 즉, 클러치페달과 연동된 피동판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판에 탄지되어 동력이 연결되고, 클러치페탈을 밟아 주면 피동판이 구동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동력차단되는 보조클러치(3)가 개재된 동력입력축 ( 4)이 설치된다.
입력축(4)은 그의 타측에 인접하여 입력축기어(5)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는 커플러(6)가 내삽되어 추진축(7)이 입력축(4)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추진축은 단순히 원통형의 커플러가 끼워져있는 상태로서 입력축(4)으로 부터 동력이 직접 전달되지 않게되어 있는 것이다. 이 추진축(7)상에는 소정수의 기어, 실시예를 들면 중간기어(9)에 의한 후진기어로되는 추진축후진기어, 변속수준에 따른 1속, 2속, 3속, 4속 및 5속 기어로 되어 기어(10)-(14)들이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어변속장치 (100)는 추진축 어셈블리와 병렬로 기어박스(A) 내에 적당히 설치된다. 이 기어변속장치(100)는 그 내부가 공동으로 되고, 그 내부에서 왕복이 가능하게 이동간(23)을 설치한 동력축어셈블리(15), 추진축기어(10)-(14)들과 개별적으로 맞물리는 동력축변속기어 어셈블리(17),(18),(19),(20),(21),(22), 이들 동력축 변속기어 어셈블리(17) ,(22)들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클러치핀조립체(24)들로 구성된다. 즉, 동력축어셈블리(15)에는 동력기어(16)가 입력기어(5)에 맞물려 있게 고정되고 기어비는 대략 1 : 1 정도로 된다.
동시에 동력축 어셈블리(15)상에는 중간기어(8)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후진변속기어로 작용하는 후진기어(17)와, 1속, 2속, 3속, 4속 및 5속 기어로 되는 다수의 추진축기어 (10)-(14)들과 소정의 변속비로 맞물릴 수 있는 다수의 동력축 변속기어 어셈블리(18),(19), (20), (21), (22)들이 엔진의 변속 이전에는 공회전 상태로 되도록 순서대로 설치된다. 이들 후진기어(17) 및 동력축기어(17)-(22)들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주기어부, 클러치링 및 키이조립체들을 구비한다. 더나아가 동력축(15)은 그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으며, 공동내부에는 이동간(23)이 배설된다. 이 이동간(23)은 그의 일측 단부에 이동핀(25)이 소정거리 왕복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되도록 고정된다. 이동판(25)은 변속을 유도하는 변속모터(26)에 축설된 나선기어를 가진 변속모터축 (26a)상에 왕복이동가능하고, 그의 상부가 안내봉(31)에 의하 안내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이들 이동판(25) 및 변속모터(6)와, 변속모터축(26a)들은 기어박스 (A)의 보조기능을 하도록하는 케이스(B)내에 설치되거나 적당히 고정된다. 변속모터 (26)는 프로그래머블 논리회로(27)(PLC : 일반적인 차량속도제어기)에 연결되어 있다. 이 프로그래머블 논리회로(27)는 추진축(7)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검출기(28)를 가지며, 이 검출기는 추진축(7)의 입력축기어(5)에 인접한 기어박스(A)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다.
또 프로그래머블 논리회로(27)는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외부의 키이보오드 또는 다수의 수동보튼 스위치군으로 되는 스위치부(29)를 구비하므로, 수동제어될 수 있다.
또, 이는 안내판(25)이 변속모터축(26a)상에서 이동하는 거리를 검출하도록 하는 다수의 검출위치, 실예를 들면, 리드스위치거나 포토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광학 스위치들로 되는 검출스위치부(30)를 구비하므로, 원판디스크(25)에 연결된 이동간(23)의 소정의 왕복 이동거리를 정확히 검출하고 이에 따라 변속모터(26)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미설명된 부호 C는 기어박스(A)의 그 내부를 설계상 필요에 설치된 구획벽으로, 도면에서는, 추진축(7)의 입력축기어(5) 및 후진기어(9)와 그의 다른 기어(10)-(14)들을 구획하도록 하고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변속기어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변속기어장치(100)는 변속기어셈블리(17), 동력축어셈블리(15)와 클러치 어셈블리(24)들로 구성된다.
변속기어 어셈블리(17)는 주기어부(32)와 클러치링(33)으로 이루어진다.
주기어부(32)는 추진축 기어(9)-(24)들중 어느 하나와의 소정의 변속비를 갖도록 하는 기어(34)가 형성되고, 그의 중앙부의 소정위치로 부터 일체로 돌출하는 슬리이브 또는 연장부(354)가 실린더형으로 형성된다. 연장부(35)의 내부의 원주 둘레로는 소정위치에 소정수의 제1의 키이홈(36)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35)의 내부로는 동일축의 클러치링(33)이 삽입되는데, 이 클러치링(33)은 그의 상부로는 제1키이홈 (36)과 삽입시 다소 어긋나도록 제2의 키이홈(37)들이 형성되며, 그 내부의 원주둘레는 내접기어(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키이홈(36)에 다소 돌출되게 하는 제1의 기어(39)가 제2키이홈(37)에서도 다소 돌출되게한 제2키이(40)와 소정탄력 및 강도를 가진 스프링(4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링(33)은 조립시 각 키이홈(36),(37)들에 제1키이(39) 및 제2키이(40)가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부(35)내에 삽입된다. 주입장치(42)는 이후 기술되는 동력축 조립체(15)내부에서 이동간(23)과 클러치핀 조립체(24)간의 작동을 원활히 하도록하는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주입구장치(42)는 동력축 어셈블리(1 5)의 소정위치에 끼워맞춤되면서 그 내부로 소정량의 윤활유를 보유하는 공동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로는 주입구(43)를 갖는다.
그러므로 주입장치(42)는 동력축어셈블리(15)의 소정위치에 원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다수의 주입구(44)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동력축 어셈블리(15)는 그 내부로 공동으로 되고, 다소 두께가 두터운 파이프형의 동체(46)로 이루어진다.
이 동력축 어셈블리(15)는 추진축(7)의 모든 기어와 개별적으로 맞물리는 변속기어 조립체(24)들의 연장부(35)가 위치되는 부위마다에 다수의 클러치홈부(45)들이 형성된다. 이 클러치홈부(45)들은 동력축 어셈블리(15)의 원주직경으로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그 수도 증가될 수 있다. 클러치홈부(45)는 장방형의 소정 넓이로 동체(46)의 중간부위까지의 깊이로 되며, 그 중간에는 이후 기술되는 클러치핀 조립체(24)의 클러치핀(48)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핀홀(47)이 중간에 천공된다.
클러치핀 조립체(24)는 클러치핀(48), 클러치핀(48)의 중단에 고정되어 그를 지지하는 지지편(49), 지지편(49)에 대향하여 양측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50)과, 이 스프링(50)를 지지하면서 클러치핀(48)의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구멍을 가진홈 고정편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간(23)은 막대형으로 되고, 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위치에 돌출되는 돌출부(52)들을 가진다. 이 돌출부(52)들은 첫번째 돌출부가 종으로 돌출되었다면 다음 돌출부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식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이동간(23)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들의 양측면은 다소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동력축어셈블리(15)의 동체(48)내에 이동간(23) 및 클러치핀어셈블리(24)를 동체커버(53)와 함께 조립한 후 변속기어 조립체(17)를 동력축 어셈블리(1 5)와 결합시킨 경우, 제3도에서와 같이된다.
즉, 동체(46)내에 이동간(23)이 삽입된 상태에서 클러치홈부(45)내에 클러치핀 조립체(24)가 삽입되는데, 클러치핀(48)의 일부가 핀홀(47)을 통과하여 지지편(4 9) 및 스프링(50)에 의하여 동체(46)내로 삽입되고, 고정편(51)에 의하여 위치 고정된다.
그 다음 클러치홈부(45)위로 클러치링(33)과 조립된 변속기어 어셈블리(17)가 위치된다. 그러므로 클러치링(33)의 제2키이홈(37)에 삽입된 제2키이(40)와 연장부 (36)의 제1키이홈(36)에 삽입된 제1키이(39)가 서로 어긋나도록 되며, 인접 키이들끼리는 스프링(41)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되며, 클러치링(33)의 내접 기어(38)들을 클러치(48)의 단부와 떨어져 대향하여 있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제3도의 조립상태가 변속작동을 수행하기전 즉 클러치핀 (48)이 이동간(23)의 돌출부(52)와 접촉되지 않은 통상 클러치의 중심상태와 동일한 중립상태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구동시 제4도에 도시와 같이된다. 즉, 동력발생부(1)의 동력은 크랭크축(2)에 의하여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고, 보조 클러치(3)를 경유하여 입력축(4)에 전달된다. 이때 입력축(4)에 고정된 입력축기어(5)가 회전되고, 이 회전력은 변속기어장치(100)에 전달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변속조작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기계적 변속장치를 조작하거나 속도 센서 보턴스위치부(29)중의 어느한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프로그래머블 논리회로(27)는 변속모터(26)를 제어하게 된다.
변속모터(26)는 소정의 시간 작동되면서, 그의 축(26a)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축 (26a)은 이동판(25)이 소정거리 이동되게 하는데, 스위치(30)부에서는 이동판 (2 5)의 이동거리를 검출하여 프로그래머블 논리회로(27)에 검출시점을 알리게되고, 다시 프로그래머블 논리회로(27)는 이동판(25)의 이동거리를 결정하여 이동판(25)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동판(25)의 이동에 따라 제5도의 점선과 같이 이동간(23)도 동시에 소정거리 이동되면서, 이동간(23)의 소정돌출부(52)가 소성수의 변속기어 어셈블리 (17)-(22)중 어느 한 변속기어 조립체 연장부상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클러치핀(48)이 연장부(52)위로 타고 오르게 되면서 클러치링(33)의 내접기어(37)에 접촉하여 고정된다.
그러므로 입력축기어(5)의 회전력을 변속기어장치(100)에 전달받는 상태에서 이 클러치링(33)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키이(40)를 회전시키고 스프링(41) 탄성범위가 지나서는 제1키이홈(36)에 삽입된 제1키이(39)를 당기게 되어 이제까지 공회전 상태의 주기어부(32)를 회전시키게 된다.
결국 이 변속기어장치(100)는 전체적으로 회전되면서 소정의 선택된 변속기어 어셈블리(17)-(22)중의 변속기어 어셈블리의 주기어부(32)와 그와 맞물린 추진축기어(9)-(14)와의 변속비에 따라 변속된 회전속도로 추진축(7)을 회전시키게 된다.
계속하여 동력발생부(1)의 동력이 증가되거나 관성등에 의하여 동력이 증가되게 되면, 추진축 회전속도검출기(28)는 그 신호를 프로그래머블 논리회로(27)에 공급하게 된다. 이후 프로그래머블 논리회로(27)는 현재속도를 산출하여 그에 알맞는 변속을 하도록 변속모터(26)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동간(23)을 소정거리 이동시켜 변속기어 어셈블리(17)-(22)중 현재 구동중인 어셈블리와의 다른 어셈블리를 선택하므로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조정하게되므로 안정적으로 동력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변속기어장치에 의하여 종래의 동력축에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 및 수동으로 엔진속도를 자유히 조절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Claims (3)

  1. 하나 이상의 실린들로 구성되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되고 보조클러치와 입력축기어가 설치되는 입력축과, 그의 단부에 커플러에 의하여 연결되고, 후진변속용 기어 및 다수의 변속용 추진기어를 가진 추진축으로 이루어진 차량기어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입력축기어와 맞물리는 동력축기어, 중간기어를 개재시켜 상기의 후진변속용 추진축기어와 맞물린 후진변속용기어와 상기의 다수의 추진축기어와 개별적으로 맞물리는 동력축 변속기어 어셈블리와, 상기 동력축기어와는 동시 회전되고 그외의 추진축기어들과는 공회전상태로 맞물려 설치되는 동체들로 되는 동력축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변속기어장치.
  2. 동력축 변속기어 어셈블리가 추진축기어와 맞물리는 주기어부와, 주기어부의 중심부에서 소정거리 일체로 돌출되고, 그 내부로 다수의 요홈으로 되는 제2키이홈을 다수 형성한 연장부, 연장부내에 삽입될시 그의 상부에 상기 제1키이홈과 다소 어긋나게 형성한 다수의 제2키이홈이 형성되고 내부로는 내접키이가 형성된 클러치링과, 상기 제1키이홈에 삽입되는 제1키이 및 상기 제2키이홈에 삽입되는 제2키이와, 이들 키이를 상호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키이조립체들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변속장치.
  3. 동력축 어셈블리가 내부를 공동으로하는 실린더형의 동체, 그의 외주면의 소정위치에 양측면 또는 다수의 측면상에 소정직경의 내부로 관통하는 핀홀 및 동체 두께부의 절반 정도의 깊이로 되는 다수의 장방형의 클러치 홈부와, 상기 핀홀내로 소정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핀 중단에 고정된 지지편이 지지편 양측에 탄성지지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탄성지지하면서 클러치핀이 돌출되는 구멍을 가진 상기 홈부상에 고정되는 홀고정편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클러치핀 조립체와, 엔진 변속시 변속모터에 연결된 변속 축상의 변속기어와 맞물려 회전하여 소정방향으로 소정거리 왕복이동하는 디스크, 이 디스크에 접속되고 다수의 소정거리 부위에 양측면 돌출한 클러치부를 가진 이동간들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변속장치.
KR1019900013147A 1990-08-24 1990-08-24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 KR94000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147A KR940000037B1 (ko) 1990-08-24 1990-08-24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
JP2250434A JPH04194436A (ja) 1990-08-24 1990-09-21 車輛用ギヤー変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147A KR940000037B1 (ko) 1990-08-24 1990-08-24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199A KR920004199A (ko) 1992-03-27
KR940000037B1 true KR940000037B1 (ko) 1994-01-05

Family

ID=1930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147A KR940000037B1 (ko) 1990-08-24 1990-08-24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194436A (ko)
KR (1) KR940000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58B1 (ko) * 2010-12-28 2011-07-14 오문근 기계식 자동 변속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58B1 (ko) * 2010-12-28 2011-07-14 오문근 기계식 자동 변속기
WO2012091439A2 (ko) * 2010-12-28 2012-07-05 Oh Moon Keun 기계식 자동 변속기
WO2012091439A3 (ko) * 2010-12-28 2012-12-06 Oh Moon Keun 기계식 자동 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199A (ko) 1992-03-27
JPH04194436A (ja) 199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5588B1 (ko) 변속기
US4920815A (en) Single shaft shifting mechanism
GB2207715B (en) Vehicle transmissions
US5992254A (en) Gear-shifting mechanism controlled and commanded by a governing unit in an automatic controlled way
CN88101331A (zh) 机械变速器及其控制方法
KR890701388A (ko) 전동장치
JPH0532622B2 (ko)
CA2025260C (en) Gear knocking sound preventing device for transmission
US6450054B1 (en) Transmission mechanism
US4889003A (en) Manual transmission gearset brake for synchronized engagement of a sliding gear
SE454763B (sv) Vexelveljarmekanism
KR940000037B1 (ko) 차량용 기어 변속장치
US51488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out the clutch of a manual transmission
WO2000071909A1 (en) A transmission
KR200210444Y1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JPH0583789B2 (ko)
JPH05340452A (ja) ベルト式無段変速装置
KR100218804B1 (ko) 수동 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의 록킹장치
SU1650984A1 (ru)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KR970002058B1 (ko) 마찰식 변속기
KR20230044639A (ko) 자동차용 변속기구
JP3266720B2 (ja) 走行車両の変速操作方法及び変速装置
KR950000046B1 (ko) 링 클러치식 변속기
SU1320087A1 (ru)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KR970003561B1 (ko)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