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561B1 -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561B1
KR970003561B1 KR1019950013544A KR19950013544A KR970003561B1 KR 970003561 B1 KR970003561 B1 KR 970003561B1 KR 1019950013544 A KR1019950013544 A KR 1019950013544A KR 19950013544 A KR19950013544 A KR 19950013544A KR 970003561 B1 KR970003561 B1 KR 97000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clutch
flywheel
transmission device
continuousl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790A (ko
Inventor
이흥원
Original Assignee
이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원 filed Critical 이흥원
Priority to KR101995001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561B1/ko
Publication of KR96004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24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conical friction surfaces cone clutches
    • F16D13/26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conical friction surfaces cone clutches in which the or each axially-movable member is pressed exclusively against an axially-loc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2013/581Securing means for transportation or sh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도의 A-A선 단면도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라이휠2 : 중립홈
3 : 마찰층10 : 마찰롤러
11 : 중공부13 : 돌출부
20 : 레귤레터21 : 안내홈
22 : 베어링1, 23 : 베어링
3, 24 : 연장부25 : 연결부재
30 : 이송로드31 : 모터
32 : 베어링9, 33 : 콘트롤러
40 : 연결너트41 : 관통공
1, 42 : 관통공 2
본 발명은 기관의 동력을 알맞은 구동이 되도록 적절히 감속하여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역방향 회전이 가능토록 하며 동력전달을 임의로 단속할 수 있는 새로운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에서 발생한 동력이 구동바퀴등에 그대로 연결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클러치, 변속기등의 파우어트레인을 거쳐서 전달되고 있다. 클러치는 기관을 시동하거나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때에 무부하상태로 하고, 발진할때에는 동력이 서서히 전달되도록 동력의 임의 단속장치이며, 변속기는 클러치와 추진축의 사이에 설치되어 부하에 따라 기관의 회전을 적절히 감속하여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역회전토록 하는 장치들로서 현재까지는 클러치를 원판형으로 하여 마찰력을 이용하고 있으며, 변속기는 자동유체변속기등 외에는 수동식의 경우 다수의 기어류를 적절히 맞물려 주므로서 구동력의 증감속 또는 방향 변환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이같은 변속기와 클러치는 우선 구조상 다수의 기어류와 이것을 적절히 맞물려 주기 위한 복잡한 제어장치가 필요하며 그결과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클뿐 아니라 조작 실수시 잔 고장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도 제공되고 있으나 그 복잡성은 특히 심하여 일단 고장이 난 경우 수리에 엄청난 노력이 소요됨은 물론 크기와 작동의 복잡에 따라 연료소모도 큰 것이다.
본 발명은 변속기와 클러치를 일체화하며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하면서도 1, 2, 3, 4단 등과 같은 단계별변속이 아닌 무단변속이 가능한 새로운 클러치겸 무단변속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차량경량화, 구조단순화, 고장발생저감, 수리용이 연비향상등의 각종 장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의 플라이휠의 대향면에 마찰룰러와 이것의 승강을 제어하는 레귤레터 등으로 구성되며, 제 2 도는 마찰롤러와 이것의 승강을 제어하는 레귤레터 등으로 구성되며, 제 2 도는 마찰룰러와 플라이휠간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제 3 도는 이것을 보다 구체화한 단면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크랭크축 선단에 부착설치된 플라이휠(1)과 대응되는 측에 마찰룰러(10)가 레귤레터(20)에 걸쳐서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되며, 마찰롤러(10)는 플라이휠의 마찰층(3)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레귤레터(20)와 이송로드(30)간은 연결너트(40)에 의하여 연결하되 이송로드(30)와 레귤레터(20)은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어져 회전가능하면서 레귤레터의 회전력은 연결부재의 외부로 전동되고, 이송로드는 콘트롤러와 모터로 회전이 제어토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중공부(11)가 있는 마찰롤러(10)는 강한 내구성과 고마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며, 레귤레터(20)쪽으로 결합돌기(12)가 돌출되어 안내홈(21)에 삽입되어져 있으며, 연결너트(40)쪽으로는 돌출측(13)이 있어 연결너트(40)에 삽입되어 연결너트 승강시 함께 이송하되 회전시에는 공회전토록 트러스트 베어링(26)를 매개로 일체화된다. 마찰롤러는 엔진의 종류에 따라 원주형 또는 기타 다른 여러가지의 회전 접촉가능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귤레터(2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긴 봉상체로서 그 양단이 베어링 1(22)와 베어링 2(23)로 외부케이스와 지지되며 일면 또는 원주면에 1 이상의 긴 안내홈(21)이 형성되어 마찰롤러(10)의 결합돌기(12)의 삽입으로 그 승강방향과 거리가 제어토록 한다. 또한 일측은 연장부(24)를 두어 연결부재(25)를 통하여 외부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필요시에는 냉각용 공기를 순환가능토록 냉각팬(27)을 부착하여 내부에 냉풍이 순환토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너트(40)는 일측부에 편심되어 이송로드가 이 맞물림된채 관통되도록 구성한 관통공 1(41)이 있고, 중앙에는 레귤레터(2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관통공 2(42)이 있고, 트러스트 베어링 3(25)은 관통공 2(42)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마찰롤러(10)와 일체화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송로드(30)는 일단에 감속기어가 내장된 모터(31)의 구동축이 직결되며 타단은 베어링 4(32)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연결너트(40)의 일측에 있는 관통공 2(42)와 이 맞물림되도록 구성되고, 모터(31)는 콘트롤(33)의 제어에 따라 회전수가 일정하게 제어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플라이휠(1)은 중앙에 중립홈(2)을 형상하였으며 표면에 마찰층(3)을 형성한다.
이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장치가 작동하는 관계를 설명하여 그 효과를 입증한다.
내연기관이 시동되면 크랭크축에 연결된 플라이휠(1)이 함께 회전되기 시작한다.
이 회전력은 제 1 도의 경우에 마찰롤러(10)→레귤레터(20)→연장부(24)→연결부재(25)를 거쳐 구동바퀴등에 전동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변속을 원하는 경우에는 클러치페달을 밟아주므로서 제 3 도의 은선 도시한것과 같이 화살표 A의 방향대로 플라이휠과 마찰롤러(10)간의 접합이 단절되어 동력의 전달이 끊어지는 것이다. 이때에 콘트롤러(33)에 신호가 주어지면 모터(31)이 인가 신호만큼 회전하므로 직결된 이송로드(30)도 회전하면서 관통공 2(42)에 이 맞물림된 연결너트(40)도 회전하면서 기어의 방향에 따라 제 1 도 화살표 B와 같이 연결너트(40) 그리고 이것에 일체화된 마찰롤러(10)가 승강하는 것이다. 제1도의 은선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한 경우 클러치페달을 놓으면 마찰롤러(10)와 플라이휠(1)간에 전동이 다시 개시되어 마찰롤러도 회전이 시작된다. 이 경우 플라이휠(1)의 중앙측보다 외측으로 갈수록 플라이휠의 회전반경이 크므로 그에 맞닿은 마찰롤러(10)도 빠르게 회전하여 구동력이 증속된 것이다.
즉, 마찰롤러(10)를 플라이휠(1)의 중앙에서 외주측으로 이송하여주는 동작만으로 변속이 가능하며, 마찰롤러와 플라이휠간의 접촉을 제어하므로서 동력전달이 단속될 수 있는 것이다.
후진의 경우에는 제 1 도의 C부분에 마찰롤러를 위치시키므로서 접촉한 마찰롤러가 역회전되어 후진도 무단변속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하듯이 본 발명은 어떠한 기어류나 복잡한 전자장치 또는 유압장치등이 없어도 클러치기능과 변속기능이 일체로 단순하면서도 확실하게 무단으로 제어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어, 구조간편화에 따른 생산비절감, 연료절감, 고장발생최소화, 수리신속정확등의 제반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내연기관의 동력을 전동하는 클러치 및 변속기장치에 있어서, 기관의 크랭크축 선단에 설치된 플라이휠(1)과 대응되는 측에 마찰롤러(10)가 레귤레터(20)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능토록 하면서 플라이휠(1)의 마찰층(30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레귤레터(20)와 이송로드(30)간은 연결너트(40)에 의하여 연결하되 레귤레터(20)의 일단은 연장부(24)를 구비하여 연결부재(25)에 의하여 외부 구동축과 연결되도록 하며 이송로드(30)는 콘트롤러(33)와 연결된 모터(31)에 의하여 회전수가 제어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중공부(11)가 있는 마찰롤러(10)는 레귤레터(20)쪽으로 결합돌기(12)가 돌출되어 안내홈(21)에 삽입되며, 연결너트(40)쪽으로는 돌출축(13)이 있어 연결너트(40)의 트러스트 베어링(26)에 압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레귤레터(20)는 다각형 단면구조를 갖는 봉상체로서 양단이 베어링 1(22)와 베어링 2(23)로 외부케이스와 회전가능토록 지지하며 냉각팬(2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너트(40)는 일측부에 편심되어 이송로드가 이 맞물림된채 1(41)을 관통하며, 중앙에는 레귤레터(2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관통공 2(41)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플라이휠(1)의 중앙에 중립홈(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KR1019950013544A 1995-05-27 1995-05-27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KR97000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544A KR970003561B1 (ko) 1995-05-27 1995-05-27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544A KR970003561B1 (ko) 1995-05-27 1995-05-27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790A KR960040790A (ko) 1996-12-17
KR970003561B1 true KR970003561B1 (ko) 1997-03-20

Family

ID=1941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544A KR970003561B1 (ko) 1995-05-27 1995-05-27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5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790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7221A (en) Variable gear transmission system
CA1273504A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US6450054B1 (en) Transmission mechanism
US4613318A (en) Drive system with wear compensator
KR970003561B1 (ko) 클러치 및 무단변속기 겸용장치
ATE258285T1 (de) Nutzfahrzeug getriebe mit zwei steuerbaren hydrostatischen motoren
JP3119174B2 (ja) 駆動力制御装置
KR100287537B1 (ko) 구동부재와피구동부재사이의회전속도를점진적으로변화시키는변속기구
EP0468107A1 (en) Transmission
JP3206391B2 (ja) 変速装置
US6790161B2 (en) Clutch for automobiles
EP0587273A1 (en) Dual ratio drives
KR100302770B1 (ko) 무단변속기
KR0168392B1 (ko)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KR100398332B1 (ko) 수동변속기용 동기장치
KR100273583B1 (ko) 자동차용 무단변속기의 오일쳄버구조
KR0168385B1 (ko)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KR100298751B1 (ko) 무단변속장치
JPH01238760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970002058B1 (ko) 마찰식 변속기
KR20020037819A (ko) 차량의 마찰 가변 변속장치
KR200198398Y1 (ko) 자동변속기의 마찰기구 작동장치
SU1320087A1 (ru)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KR0168390B1 (ko)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KR20030035111A (ko) 수동변속기의 백래시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