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743A -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743A
KR930012743A KR1019910023737A KR910023737A KR930012743A KR 930012743 A KR930012743 A KR 930012743A KR 1019910023737 A KR1019910023737 A KR 1019910023737A KR 910023737 A KR910023737 A KR 910023737A KR 930012743 A KR930012743 A KR 930012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noid
ginkgo biloba
methanol
dimer
stab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760B1 (ko
Inventor
하병조
부용출
박수남
전체옥
Original Assignee
한동근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근,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동근
Priority to KR1019910023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760B1/ko
Publication of KR930012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또는 의약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은행잎(ginkgo biloba)으로 부터 플라보노이드 이합체(dimeric flavonoids)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은행잎을 80∼100% 메탄올 또는 70∼95%에탄올 또는 클로로포름-메탄올 혼액(5:1∼1:2)으로 추출, 여과 및 증발 건조시킨 건조물을 다시 선택적으로 상기 용매에 녹인후 세파덱스 컬럼(Sephadex LH-20, Pharmacia)으로 옮기고 또 다시 선택적으로 상기 용매를 사용, 용리한 후 그 용리액 중 플라모노이드 이합체를 함유하는 분획만을 모아 증발 건조시켜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함량이 높은 정제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와같이 제조된 플라보노이드 이합체를 포화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장쇄 지방족 알콜, 또는 저급 알콜과 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에 녹여 보관함으로서 일광, 온도 등 경시 변화에 대해 산화적 분해와 변색이 없이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의 안정화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6)

  1. 은행잎을 80∼100% 메탄올 또는 70∼95%에탄올 또는 클로로포름-메탄올 혼액(5:1∼1:2)으로 추출한후, 여과하여 그 여과액을 증발 건조시킨 조추출물을 세파덱스 컬럼(Sephadex LH-20, Pharmacia)을 통과시켜 정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추출물을 세파덱스 컬럼(Sephadex LH-20, Pharmacia)을 통과시킬때 80∼100% 메탄올 또는 70∼95%에탄올 또는 클로로포름-메탄올 혼액(5:1∼1:1)을 사용하여 용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조추출물을 세파덱스 컬럼(직경 15cm, 높이 40cm, Sephadex LH-20, Pharmacia)으로 옮기고 80∼100% 메탄올 또는 70∼95%에탄올 또는 클로로포름-메탄올 혼액(5:1∼1:1)을 사용하여 용리하여 그 용리액중 불순물이 함유된 최초의 용리액 5∼10ℓ를 제거하고, 이어서 플라보노이드 이체의 함유하는 용리액 5∼20ℓ를 모아 증발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제조방법.
  4. 은행잎에서 추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에 포화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장쇄 지방족 알콜, 또는 저급 알콜의 포화 지방산 에스테르를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안정화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포화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가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린, 글리세릴트리옥타노에이트이고, 장쇄 지방족 알콜이 미리스틸옥틸도데칸올, 2-헥실데칸올 또는 2-옥틸도데칸올이고, 저급 알콜의 포화지방산에스테르가 2-에틸헥사노에이트, 디메틸옥탄산헤실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세틸옥타노에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또는 미리스틸산이소프로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안정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 이합체를 중량비로 0.01 내지 10%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안정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23737A 1991-12-21 1991-12-21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안정화 방법 KR950008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737A KR950008760B1 (ko) 1991-12-21 1991-12-21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안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737A KR950008760B1 (ko) 1991-12-21 1991-12-21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안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743A true KR930012743A (ko) 1993-07-21
KR950008760B1 KR950008760B1 (ko) 1995-08-08

Family

ID=1932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737A KR950008760B1 (ko) 1991-12-21 1991-12-21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7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778B1 (ko) * 1999-09-13 2002-04-09 남봉길 은행잎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그의 추출장치
KR100694643B1 (ko) * 2006-07-14 2007-03-14 바이오비즈(주) 은행나무 수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KR100783152B1 (ko) * 2005-05-20 2007-12-07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778B1 (ko) * 1999-09-13 2002-04-09 남봉길 은행잎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그의 추출장치
KR100783152B1 (ko) * 2005-05-20 2007-12-07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0694643B1 (ko) * 2006-07-14 2007-03-14 바이오비즈(주) 은행나무 수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760B1 (ko) 1995-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94801A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endermic application
Rabe et al. Phenolic metabolites from rooibos tea (Aspalathus linearis)
FI81830C (fi) Foerfarande foer att berika en blandning av fettsyror med 6-fettsyror.
Ochocka et al. Determination of coumarins from Chrysanthemum segetum L.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KR890701090A (ko) 뽕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900004347A (ko) 신규한 은행나무의 추출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Rudel et al. New ecdysteroids from Serratula tinctoria
JPH02204417A (ja) 甘草疎水性フラボノイド製剤
Wu et al. Isolation of three sesquiterpene lactones from the roots of Cichorium glandulosum Boiss. et Huet. by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KR930012743A (ko)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의 안정화 방법
Souliman et al. Phenolics from the bark ofTamarix aphylla
KR920011508A (ko) 펠로덴드론 아무렌스 루프레트 속에 속하는 식물의 나무 껍질과 크로톤 티그리엄(l)속에 속하는 식물의 탈지열매의 혼합물로 부터의 추출물
CN108997513A (zh) 改性环糊精及其应用
Jiratanakittiwat et al. The Influences of Extraction on the Quantity of Oxyresveratrol from Artocarpus lakoocha Roxb.
Giwa et al. Heartwood extractives of a western larch tree (Larix occidentalis Nutt.)
Roberts et al. The phenolic substances of manufactured tea. V.—Hydrolysis of gallic acid esters by Aspergillus Niger
Sütlüpinar et al. Alkaloids and Phenolics of Colchicum cilicicum1, 2
EP1567655A2 (de) Enzymatische herstellung von acylflavonoidderivaten
DE1569849C3 (de) Verfahren zur Gewinnung des im Johanniskraut vorkommenden, wasserlöslichen Hypericins in Form eines angereicherten Trockenproduktes oder als Reinsubstanz
Asres et al.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and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Melilotus elegans
Dini et al. Phenolic metabolites from Orobanche speciosa
UA26321C2 (uk) Спосіб отримаhhя речовиhи, яка має протипухлиhhу активhість, речовиhа, яка отримаhа цим способом та фармацевтичhа композиція hа її осhові
GB1008276A (en) Derivatives of dodecahydroazulenofuran
YAMADA et al. A Fat-Soluble Growth Factor of Silkworm
EP3555057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ocols and squal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