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343B1 - 복합 단열판넬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단열판넬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343B1
KR930011343B1 KR1019900020886A KR900020886A KR930011343B1 KR 930011343 B1 KR930011343 B1 KR 930011343B1 KR 1019900020886 A KR1019900020886 A KR 1019900020886A KR 900020886 A KR900020886 A KR 900020886A KR 930011343 B1 KR930011343 B1 KR 930011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polyurethane
polystyrene
composite
lowe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686A (ko
Inventor
정태연
Original Assignee
혜송실업 주식회사
홍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송실업 주식회사, 홍태훈 filed Critical 혜송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2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343B1/ko
Publication of KR92001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 단열판넬과,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도포장치부에 의해 하부강판으로 폴리우레탄 수지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복합판넬이 접합장치에 의해 압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지붕판재 복합판넬이 접합장치에 의해 압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5a도, 5b도는 종래의 복합판넬을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강판 20 : 상부강판
30 : 단열판재부 40 : 단열채움부
130 : 도포장치부 150 : 접착장치부
본 발명은 내부에는 발포성 합성수지재로 채워지고 외부는 강판재들이 일체로 덮여지는 복합 단열판넬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공장, 냉동창고나 방가로등 큰 하중을 받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의 구조적 강도가 요구되면서 우수한 단열성능을 필요로 하는 간이 건축물들의 벽체 또는 지붕 판넬로는, 그 내부에 폴리스치렌 수지가 채워지고 외부는 강판들로 피복된 복합 단열판넬, 또는 그 내부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채워지고 외부는 강판들로 피복된 복합 단열판넬들이 사용되고 있다.
내부가 폴리우레탄으로 되는 복합 단열판넬은 제3, 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쪽매이음부 또는 돌출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판넬들로 만들어져서 유통되는데 반하여; 내부가 폴리스치렌으로 되는 복합 단열판넬은 제5a, b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쪽매이음부 또는 돌출리브가 일체로 형성되지 못하고 별도의 이음철물들이 연결되는 형태로 단위 판넬들이 만들어져서 유통되고 있다.
이는, 내부가 폴리우레탄으로 되는 복합 단열판넬은 폴리우레탄이 외부의 강판들 사이에서 발포되는 제조공정을 거치는 제조장치를 통하여 만들어지므로 판넬의 전체적인 형태가 자유자재로 성형될 수 있는 반면에; 내부가 폴리스치렌으로 되는 복합 단열판넬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폴리스치렌 판재의 외부에 강판들이 열접합되는 제조공정을 거치는 제조장치를 통하여 만들어지므로 판넬의 전체적인 형태가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제조되어, 쪽매이음부 또는 돌출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폴리우레탄의 판넬들은 별도의 이음철물의 접합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바로 수평 지지부재로서 직접 지지되므로 현장에서 판넬들을 조립할 때 그 조립시공이 간편하며, 구조적 강도가 견고하여지는 반면에; 그 양측연부에 쪽매이음부 또는 그 일측연부에 돌출리브가 일체로 형성되지 아니한 상태로 만들어지는 폴리스치렌의 판넬들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현장에서 판넬들을 조립시공이 번거로워지거나 구조적 강도가 약하여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수지의 가격은 폴리스치렌 수지의 가격에 비하여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폴리우레탄의 복합 단열판넬은 폴리스치렌의 단열판넬에 비하여 값이 비쌀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건축현장에서는 오히려 조립하기 번거롭고 그 연결철물의 존재로 인하여 전체적인 단열효과가 저하되며 상대적으로 구조적 강도가 약한 폴리스치렌의 복합 단열판넬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쪽매이음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폴리우레탄의 복합 단열판넬과 같이 현장에서 조립시공 하기에 간편하면서도 폴리스치렌의 복합 단열판넬과 같이 그 제조원가가 저렴하게 되는 복합 단열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복합 단열판넬은, 제조과정에서 하부에 놓여지는 하부 강판부(10)와, 상부에 놓여지는 상부 강판부(20)들 사이의 중간부에 배치 접착되는 폴리스치렌 수지판과, 상기 상, 하부 강판부(10)(20)들보다 그 폭이 작게 되어 상, 하부 강판부(10)(20)들 사이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폴리우레탄 수지액을 채워 경화되는 폴리우레탄 쪽매이음부로 구성된다.
하부 강판부(10) 또는 상부 강판부(20)는 제조과정에서 하부 또는 상부에 놓여지는 강판들을 위치적으로 지칭하는 것외에 서로 구분되어야 할 특별한 이유는 없으며, 중간부에 놓여지는 단열판재부(30)와 접합상태를 견고히 하기 위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접합 요철부(11)(12)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판넬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리브들이 형성되는 지붕판재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리브들의 외부경계부가 되는 돌출 꺽임부(12)들은 하부 강판부(10)에 형성되어야 한다.
단열판재부(30)는 필요로 하는 두께를 가지되 그 폭은 상기 강판들보다는 작게 되어 그 양측연부에 상기 강판부들 사이에 양측 공간부(31)(32)들 또는 상기 하부 강판부의 돌출 꺽임부(12)들과의 사이에 돌출 공간부(33)들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폴리스치렌 판재를 지칭한다.
단열채움부(40)는 상기 양측 공간부(31)(32)들 및 돌출 공간부(33)들에 액체상태로 채워져서 발포되어 상기 단열판재부에 일체로 경화되는 폴리우레탄 수지부이다.
양측 공간부들(31)(32)에 채워져서 이음을 간편하게 하여 주는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경화되는 부분을 일측 및 타측 쪽매이음부(41)(42)라고 칭하고, 돌출 공간부(33)에 채워져서 경화되는 부분을 돌출리브부(43)라고 칭한다.
종래 폴리스치렌 복합 단열판넬은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강판부들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언코일링 장치부(110), 상기 강판부들의 단면을 필요한 형태로 프레싱 가공하는 프레싱 장치부(120), 상부 및 하부 강판들의 내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장치부(130), 상부 및 하부 강판들 사이에 폴리스치렌 판재를 공급하는 단열판재 공급 장치부(140), 상기 강판들과 단열판재가 일체로 접착되도록 하여주는 복합판넬 접착장치부(150) 및, 성형된 복합판넬을 필요로 하는 길이로 잘라주는 절단장치부(160), 완성된 복합판넬을 이송하는 콘베이어장치(179), 그리고 도포장치부(130)에 이어 공급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발포토록 강판에 접하여 왕복운동을 반복작동하는 발포활성부(180)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일련의 장치들을 거쳐서 만들어져 왔다.
한편,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폴리우레탄 판넬의 제조장치는 폴리스치렌 판넬의 제조장치에 비하여, 언코일링 장치부(110)가 배치되는 위치, 단열재가 공급되는 장치부분의 구조 및, 복합판넬의 접착 장치부분의 구조들에 있어서 차이점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종래의 폴리스치렌 복합판넬의 제조장치를 기본 골격으로 하되, 상, 하부 강판부(10)(20)들과 단열판재부(30) 사이의 양측 공간부들(31)(32) 및 돌출 공간부들(33)에 폴리우레탄 수지액이 채워져 경화되어 상기 단열판재부와 일체가 되는 복합 단열판넬을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판넬의 제조장치에서 필요한 부분들이 채택되어 개량된 것이며, 그러므로, 종래 폴리스치렌 판넬의 제조장치에서 개량되는 부분만을 설명한다.
첫째, 폴리스치렌 복합판넬 제조장치의 도포장치(130)부분을 개량하여, 하부 강판(10)이 소정의 형태로 프레싱되어 형성되는 돌출 공간부들 및 그 양측연부에 일정비율의 경화제와 발포제로 되는 폴리우레탄 액이 일정량씩 공급되는 폴리우레탄액 주입수단(131)이 폴리스치렌 판재를 공급하는 단열판재 공급 장치부(140) 바로전에 위치되도록 부가된다.
둘째, 폴리스치렌 복합판넬 제조장치의 접착장치(150)부분을 개량하여, 상부 열압 로울러부(151)와 하부 열압 로울러부(152)의 양측연부에 캐터필러의 구조를 가지는 일측 및 타측 캐터필러부(152),(154)들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일측 및 타측 캐터필러부들은 일직선 상태에서 서로 밀실하게 연결되어 폴리우레탄 수지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 내측 단면형상들은 본 발명의 복합단열판넬의 쪽매이음부(41)(42)들의 단면형상들과 상응하게 된다. 또, 상부 및 하부의 열압 로울러(151)(152)들도 폴리우레탄 복합판넬의 제조장치에서와 같이 캐터필러의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폴리스치렌 판재와 상부 및 하부 강판들과의 접착작업이 보다 견고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단열판넬은, 전반적으로 폴리스치렌 판넬과 유사한 제조공정을 통하여 제작되지만, 폴리우레탄 수지가 혼용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제조공정이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달라지는 부분들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폴리스치렌 복합판넬 제조공정들 중에서 하부 강판(10)이 소정의 형태로 프레싱되는 공정다음에, 폴리스치렌 판재가 공급되는 공정이전에, 하부 강판(10)의 돌출 공간부들 및 그 양측연부에 일정비율의 경화제와 발포제로 되는 폴리우레탄 액이 일정량씩 공급되는 폴리우레탄액 주입공정이 삽입되는 것이다.
둘째, 그 다음에 경유하게 되는 접착공정은 상부 열압 로울러부(151), 하부 열압 로울러부(52), 그 양측 연부에 배치되는 일측 및 타측 캐터필러부(153),(154)들로 이루어지는 접착장치부(150)를 통하도록 함으로써, 폴리우레탄 수지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복합 단열판넬의 쪽매이음부(41),(42)들이 폴리스치렌 판재와 일체로 경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 하부 강판부들 사이의 중간부는 값이 저렴한 폴리스치렌 수지판으로 주변부에는 값이 비싸지만 쪽매이음부의 형성이 가능한 폴리우레탄 수지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폴리스치렌의 복합 단열판넬과 같이 값이 저렴하게 생산을 할 수 있으면서도, 복합단열판넬과 같이 쪽매이음부를 일체로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주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제조장치 및 제조공정은 폴리스치렌의 것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의 복합 단열판넬과 같이 현장에서 조립시공하기에 간편하면서도 폴리스치렌의 복합 단열판넬과 같이 그 제조원가가 저렴하게 되는 복합 단열판넬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제조과정에서 하부에 놓여지는 하부 강판부와, 상부에 놓여지는 상부 강판부와, 상기 상, 하부 강판부들 사이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접착되는 폴리스치렌 수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강판부보다 그 폭이 작게 되어 상, 하부 강판부들 사이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폴리우레탄 수지액을 채워 경화되는 폴리우레탄 쪽매이음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열판넬.
  2. 종래의 폴리스치렌 복합판넬 제조공정을 개량하여; 하부 강판이 소정의 형태로 프레싱되는 공정다음에, 폴리스치렌 판재가 공급되는 공정이전에, 하부 강판의 양측연부에 일정비율의 경화제와 발포제로 되는 폴리우레탄 액이 일정량씩 공급되는 폴리우레탄액 주입공정이 삽입되며; 그 다음에 경유하게 되는 접착공정은 상부 열압 로울러부, 하부 열압 로울러부, 그 양측연부에 배치되는 일측 및 타측 캐터필러부들로 이루어지는 접착장치부를 통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경화되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쪽매이음부들이 폴리스치렌 판재와 일체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열판넬의 제조방법.
KR1019900020886A 1990-12-18 1990-12-18 복합 단열판넬과, 그 제조방법 KR930011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886A KR930011343B1 (ko) 1990-12-18 1990-12-18 복합 단열판넬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886A KR930011343B1 (ko) 1990-12-18 1990-12-18 복합 단열판넬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686A KR920012686A (ko) 1992-07-27
KR930011343B1 true KR930011343B1 (ko) 1993-11-30

Family

ID=1930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886A KR930011343B1 (ko) 1990-12-18 1990-12-18 복합 단열판넬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3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86B1 (ko) * 2014-05-21 2015-01-15 주식회사기린산업 단열패널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58B1 (ko) * 2010-07-15 2012-05-30 엔케이에스주식회사 수지복합강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86B1 (ko) * 2014-05-21 2015-01-15 주식회사기린산업 단열패널 제조장치
WO2015178527A1 (ko) * 2014-05-21 2015-11-26 주식회사기린산업 단열패널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686A (ko) 199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90845A (en) Prefabricated insulated panel system
US4409768A (en) Prefabricated wall panel
US6148586A (en) Panel-shaped building element
US3336713A (en) Prefabricated sandwich panel for the construction of walls and partitions
US3643394A (en) Insulated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
US3282613A (en) Panel connector
KR930011343B1 (ko) 복합 단열판넬과, 그 제조방법
US3974612A (en) Structural element
KR950703686A (ko) 개선된 절연구조판넬 및 그 제조방법과 그 판넬을 이용한 건축방법
KR100495287B1 (ko) 저장탱크를 형성하는 보온수단이 형성된 합성수지패널
JPH0580334B2 (ko)
JPS6017444Y2 (ja) 断熱パネル
KR200210548Y1 (ko) 건축용 패널
CN219196528U (zh) 集成式保温板材及屋顶保温体系
KR100378042B1 (ko)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S6035696Y2 (ja) 建築用板
JPH11256746A (ja) 屋根用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85447Y1 (ko) 에프.알.피.제 물탱크용 코너부재
JPH01263041A (ja) 断熱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59659B2 (ko)
KR200325115Y1 (ko) 저장탱크를 형성하는 보온수단이 형성된 합성수지패널
JPS597274Y2 (ja) パネル式蓄熱槽等の側壁角部接合装置
JPH0621487B2 (ja) パネル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3526A (ja) 断熱パネル
FI63462B (fi) Takelement oc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detsam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