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329B1 -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329B1
KR930011329B1 KR1019910019428A KR910019428A KR930011329B1 KR 930011329 B1 KR930011329 B1 KR 930011329B1 KR 1019910019428 A KR1019910019428 A KR 1019910019428A KR 910019428 A KR910019428 A KR 910019428A KR 930011329 B1 KR930011329 B1 KR 930011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ngth
yarn
polyamide
elongation
utilization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251A (ko
Inventor
김홍균
김학묵
김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10019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329B1/ko
Publication of KR93001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강력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의 제조방법은 고분자량의 폴리머를 사용하여 저속방사로 미연신사를 만든 다음 고배율 연신 및 열처리한 후에 연사 및 디핑처리하는 것이었다.(일본특개 소 59-9209)
즉, 종래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아미드 연신사의 강도는 9.5g/d 이상, 절단신도는 약 19% 정도였는 바, 이러한 원사를 연사하면 연신사자체의 신도가 낮으므로 연신사 강도가 저하되어 강도는 8.0g/d(강도이용율 약 85%), 신도는 25%가 되며, 이와 같이 연사된 것을 다시 디핑하면 강도는 7.6g/d(강도이용율 80%), 신도는 22%가 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통상의 고강력 폴리아미드사는 절단신도가 낮고 모듈러스가 크므로 연사공정이나 디프공정에서 강력이용율이 저하되어 고강력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디프코드는 인성(Toughness)이 낮으므로 내충격강도가 약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서 강도이용율 및 절단신도가 우수한 고강도, 고인성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이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를 제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분자쇄의 전체 반복단위의 85몰% 이상이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 아미드) 또는 폴리(ε-카프로아미드){poly(ε-caproamide)}로 되어 있으며, 황산상대점도(96% 황산 1% 용액, 25℃)가 3.1이상인 나일론-66 폴리머 또는 나일론-6 폴리머를 사용하여, 방사온도 500~800mpm으로 방사한 다음에 2단 이상, 좋기로는 3단으로 연신, 열처리하여 절단신도 30% 이상, 강도 7.5g/d 이상, 결정화도 15~30%인 나일론-66, 또는 나일론-6 필라멘트사를 만든 다음, 디프공정의 긴장열처리 구간에서 5% 이상의 긴장을 주어 절단신도 20% 이상, 강도 8.0g/d 이상, 결정화도가 40% 이상인, 나이론 디프코드사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황산상대점도가 3.1미만의 폴리머를 사용하면 형태안정성 측면에서는 양호하나 강도저하 및 인성(Toughness) 저하가 심하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디프코드사의 강도 이용율을 95% 이상으로 하기 위하여 절단신도가 30% 이상, 강도가 7.5g/d 이상, 결정화도가 15~30%인 연신사를 사용하였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사용된 원사는 절단신도가 높고 모듈러스가 낮아서 유연하기 때문에 연사할 때 강도의 저하를 별로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연신사의 절단신도가 30% 미만이면 연사공정에서 강도 이용율의 저하가 심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며, 또 강도가 7.5g/d 미만의 연신사를 사용하면, 디프코드사의 강도를 8.0g/d 이상으로 만들기 힘들다.
또한 결정화도가 15~30%인 연신사를 사용하면 디프공정의 열처리구간에서 결정화도를 유도하여 타이체인을 형성시켜서 강도이용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신사의 결정화도가 15% 미만인 것을 사용하면 디프공정의 열처리구간에서 결정화의 메카니즘이 체인 폴딩(chain folding)에 의해서 주로 이루어져 타이 체인(Tie chain)의 형성을 방해하므로 강도 이용율이 낮아지고, 결정화도가 30%를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면 연사시에 강도이용율이 낮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디프공정 중 열처리구간의 긴장율 5% 이상을 주어야 한다.
그 이유는 디프공정 중의 긴장 열처리구간에서도 높은 장력하에서 결정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타이 체인(Tie chain)의 형성을 유도하여 원사보다 디프코드사가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으로 제조한 디프코드는 높은 절단신도를 가지므로 고인성이며 내충격강도가 우수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5% 미만의 긴장을 줄 경우에는, 타이 체인(Tie chain)의 형성을 유도하지 못하므로 강도 이용율이 낮아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강력이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고강력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의 제조방법이므로 기존의 고모듈러스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충격강도,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본 발명으로 제조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는 타이어코드용 소재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3, 비교예 1~2]
황산상대점도 3.3(96% 황산 1% 용액, 25℃)인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중합체를 297℃로 용융하여 직경 0.25mm, L/D 2.5인 구금홀을 210개 가지는 스핀너렛드로 압출하였다. 구금직하부에는 길이 120mm이고 온도가 320℃인 가열통을 설치하였으며 가열통 밑에는 16℃ 냉각풍 분위기로 하였다.
원사는 3단 연신 및 열처리하였으며 방사속도와 총연신배율은 표 1에 명시되었다. 최종원사의 심도는 1260데니어가 되도록 토출량을 조절하였다.
상기 조건으로 제조된 연신사를 Z방향으로 35회/10cm 하연, S방향으로 35회/10cm 상연 2합으로 연사하여 RFL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침지한 후 160℃×20초 건조하였다.
실시예 1~3은 7% 긴장하에서 240℃×40초 열처리하였으며, 비교예 1~2는 3% 긴장하에서 240℃×40초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1.5% 이완상태에서 240℃×20초 노멀라이징하였다. 비교예 1~2에 따라 제조하되 열처리 구간에서 4% 이상의 긴장을 주었을 때는 열처리구간에서 사절이 일어나서 제조가 불가능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Claims (2)

  1. 상대점도(95% 황산 1% 용액, 25℃)가 3.1 이상인 폴리아미드를 용융방사한 후에 2단 이상으로 연신 열처리하여 절단신도가 30% 이상, 강도 7.5g/d 이상, 결정화도가 15~30%인 폴리아미드 필라멘트 연신사를 만든 다음, 연사 후 디프공정 중의 열처리구간에서 5% 이상의 긴장을 주어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의 제조방법.
  2.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로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
    다음
    i) 강도 8.0g.d이상
    ii) 절단신도 20% 이상
    iii) 결정화도 40% 이상
    iv) 디프코드사 강도이용율 95% 이상
    단,
KR1019910019428A 1991-11-01 1991-11-01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 및 그 제조방법 KR930011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428A KR930011329B1 (ko) 1991-11-01 1991-11-01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428A KR930011329B1 (ko) 1991-11-01 1991-11-01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51A KR930010251A (ko) 1993-06-22
KR930011329B1 true KR930011329B1 (ko) 1993-11-30

Family

ID=1932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428A KR930011329B1 (ko) 1991-11-01 1991-11-01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3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51A (ko) 199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702096A (ko) 연신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사(絲)제조공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다중 필라멘트사
US5234651A (en) Dry-jet wet spinning of fibers including two steps of stretching before complete coagulation
KR100412178B1 (ko) 산업용 폴리에스터 멀티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KR930011329B1 (ko)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 및 그 제조방법
US20050161854A1 (en) Dimensionally stable yarns
US20230076788A1 (en) Polyamide 46 multifilament
KR930010797B1 (ko)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디프코드사의 제조방법
KR930010802B1 (ko) 폴리에스테르 타이어코드 및 타이어코드사의 제조방법
KR100616809B1 (ko) 고강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940005487B1 (ko) 폴리에스터 디프코드 및 그 제조방법
KR0160464B1 (ko) 폴리에스터 산업용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H0144810B2 (ko)
KR0166479B1 (ko) 저수축 폴리에스터 산업용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930010798B1 (ko) 고강력 폴리에스터 디프코드사의 제조방법
KR960002887B1 (ko) 고강력 저수축 폴리에스테르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007331B1 (ko)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사 및 이를 포함하는폴리에스테르 타이어 코오드
KR940011538B1 (ko) 고강도 나이론 6섬유
KR100602282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 제조방법 및 처리 코드
EP0399528A2 (en) Polyvinyl alcohol monofilament yar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390742B1 (ko) 폴리에스터 산업용 원사의 제조방법
KR950007806B1 (ko) 고강력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KR0169530B1 (ko) 고수축 나이론 66 고강력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930005101B1 (ko) 고강도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
KR940011313B1 (ko)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연신, 열처리방법
KR100603078B1 (ko) 열치수 안정성 및 강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멀티필라멘트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