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101B1 - 고강도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101B1
KR930005101B1 KR1019910007676A KR910007676A KR930005101B1 KR 930005101 B1 KR930005101 B1 KR 930005101B1 KR 1019910007676 A KR1019910007676 A KR 1019910007676A KR 910007676 A KR910007676 A KR 910007676A KR 930005101 B1 KR930005101 B1 KR 930005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stretching
fiber
roller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754A (ko
Inventor
김인한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1000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101B1/ko
Publication of KR92002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강도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사구금 2 : 스팀실링(Steam Sealing) 장치
3 : 방사통 4 : 나이론 6사
5 : 오일링로울러 6,6′ : 피드로울러
7,7′ : 프리드래프트로울러 8,8′ : 1단 연신로울러
9,9′ : 2단 연신로울러 10,10′ : 3단 연신로울러
11,11′ : 4단 로울러 12 : 고온스팀노즐
본 발명은 타이어코드 혹은 동력전달용 벨트보강재 등 산업용자재로 사용되는 고강도이며 내열성, 내피로성이 우수한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강력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으로는 나이론 6 미연신사를 피드로울러(Feed Roller) 프리-드래프트 로울러(Pre-draft Roller)사이에서 프리 드래프트(Pre-draft)를 시킨뒤, 피드로울러와 저온의 제1연신로울러에 의하여 연신배율 3.0∼4.0배로 1단 연신을 하고, 이어서 제1연신 로울러와 고온(160℃∼220℃)의 제2연신로울러로 전연신배율이 4.3∼4.8배 정도가 되게 2단 연신을 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조된 나이론 6사는 강도가 약 9.5g/d정도 밖에는 되지 않았다 .
또 근래의 나이론 타이어코드의 발전추세는 고강도특성을 더욱 향상시켜서 타이어 1본에 소요되는 타이어코드지의 중량을 낮추고 타이어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나이론 6사에 비하여 절단강도를 5% 이상 향상시켜 10.0g/d이 되도록 하므로서 타이어코드지의 소모량을 5% 이상 절감시킬 수 있고 동시에 조업성이 우수한 고강력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는 25℃, 96% 농황산 용액중에서 폴리머농도 10 ㎎/㎖에서 측정된 상대점도가 3.4이상 4.0미만의 것이다.
이와같은 폴리머를 사용하는 이유는 고강도의 원사를 얻을 수 있으며 타이어코드 및 고무보강재로 사용할 경우 내열성과 내피로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머의 상대점도가 3.4미만인 경우 후술하는 본발명의 연신공정에서 절사를 일으키게 되며 상대점도가 4.0이 넘는 경우는 용융방사가 곤란해진다.
또 본 발명은 방사구금(1) 직하에서 미연신사와 구금하부 주위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여 미연신사의 불균일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1200 ㎜ H2O 이하의 압력으로 분사된 스팀으로 실링(Sealing)한 후 폴리아미드 방출사를 균일하게 배향시키고 연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켄칭(Quenching)을 실시한 후 다음 공정에서 연신 및 열처리를 실시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피드로울러(6)(6′)에 권취되는 미연신사의 배향도를 낮추고 고연신을 실시하기 위하여 방사속도를 350∼600 m/min 정도로 낮게 설정하여 권취한다.
만일 본 발명에서 권취속도가 600 m/min을 초과하면 미연신사의 배향도가 높아 방출장력이 높게되고 연신성이 저하되며, 350 m/min 미만이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피드로울러(6)(6′)와 프리-드래프트로울러(7)(7′)에서 1.05배 이하의 연신배율로 프리-드래프트를 실시한다.
만약 프리-드래프트를 실시하지 않으면 미연신사 필라멘트 상호간의 배열의 균일성 유지 및 안정적인 연신성확보가 곤란하고, 프리-드래프트를 심하게하면 미연신사의 소성변형이 일어나기 쉬우며 그 결과 연신이 불안정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1단 연신은 연신로울러(8)(8′)의 온도를 100℃ 이상 150℃ 이하로 하여야 한다.
만약 100℃ 미만일 경우 연신로울러(8)(8′) 출구에서의 사조의 연신변형이 일어나지 않아서 전연신 배율을 높이는 것이 곤란하며, 온도가 150℃를 초과할 경우 다음 단계에서의 연신이 불안정해진다.
또 제1단 연신에서는 연신배율을 2.5∼3.8배로 하는 것이 좋다.
만약 1단 연신배율이 2.5배 미만인 경우 고강도의 사를 만들 수 없게되며, 3.8배를 초과할 경우 제2단 연신에서 절사를 많이 유발시키게 된다. 또 제2단 연신에서는 연신로울러(9)(9′) 온도를 130℃∼200℃로 하는 것이 좋다.
온도가 130℃ 미만이면 히트셋팅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되어서 제2단 연신이 불안정해지며, 200℃를 초과해서 나이론의 융점을 초과하면 로울러상에서 사조의 융해사절이 일어나거나, 사조의 융착, 편평화를 일으켜 사조의 물성저하가 발생한다.
또 제2단 연신에서는 연신배율을 1.3∼1.8배로 하여야 한다. 연신배율이 1.8배를 초과하면 절사를 많이 유발시키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2단 연신 중 주행사조에 250℃∼350℃, 압력 1.5 ㎏f/㎠이하의 스팀을 스팀노즐(12)로 분사한다.
이렇게 하면 고연신배율로 연신할 때 사조의 연신장력을 감소시켜서 멀티 필라멘트의 연신성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또 제3단 연신에서는 연신로울러(10)(10′)의 온도를 180℃∼융점미만까지로 유지시켜야 한다.
그 이유는 히트셋팅효과가 충분하도록 가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며, 특히 200℃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술한 이유때문에 그 온도가 융점을 초과해서는 않된다. 또 본 발명은 3단 연신까지의 전연신배율은 4.5배∼5.5배로 하여야 한다.
전연신배율이 4.5배 미만인 경우 본 발명의 목적하는 바와같은 고강도 나이론 6사를 얻을 수 없고 5.5배를 초과하면 3단연신시에 절사가 다량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최종연신을 마친 후 4단로울러(11)(11′)에서 40℃ 이상 150℃ 미만의 온도로 이완열처리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처리를 하면 분자쇄의 배열도가 균일화되고 섬유의 초기 모듈러스(Modulus)가 높아지면 치수안정성이 향상된다.
또 이완열처리시 이완율을 3% 이상 10% 미만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완율이 너무 낮으면 이완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너무 높으면 약간의 강도저하 및 조업성이 불안정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조업성으로 강도가 10.0 g/d 이상인 나이론 6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으로 제조된 사는 타이어코드, 벨트보강재, 기타 산업자재용사로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단, ①건열수축율조건 : 150℃ 오븐 중에서 30분처리 ②Dip. Cord 물성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조건으로 제조된 1260 데니어의 원사를 2합하여 RFL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침지하여 측정함.
* 비교예 중에서, #비교예 1∼2는 점도가 낮은 것을 사용하였으므로 원사의 강도가 낮았음.
#비교예 3은 총 연신비가 너무 높아 절사가 일어나 조업성이 좋지 않았다.
#비교예 4는 3단 연신로울러의 온도가 너무 높아 사조의 융해사절이 발생되어 조업성이 좋지 않았다.
#비교예 5는 3단 연신로울러의 온도가 낮아 열고정이 되지 않았으므로 Dip. Cord의 물성이 저하되었다.(원사의 강도에 비하여 디프코오드의 강도저하가 심함)

Claims (1)

  1. 상대점도(25℃. 96% 농황산용액, 폴리머농도 10 ㎎/㎖에서 측정)가 3.4 이상 4.0 미만인 나이론 6칩을 사용하여 아래의 조건으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
KR1019910007676A 1991-05-13 1991-05-13 고강도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 KR930005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676A KR930005101B1 (ko) 1991-05-13 1991-05-13 고강도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676A KR930005101B1 (ko) 1991-05-13 1991-05-13 고강도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754A KR920021754A (ko) 1992-12-18
KR930005101B1 true KR930005101B1 (ko) 1993-06-15

Family

ID=1931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676A KR930005101B1 (ko) 1991-05-13 1991-05-13 고강도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1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754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96611A1 (en) Polyester multifilament yarn for rubber reinforc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4140844A (en) Polyacrylonitrile filament yarns
US6764623B2 (en) Process of making polyester filamentary yarn for tire cords
KR100412178B1 (ko) 산업용 폴리에스터 멀티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KR930005101B1 (ko) 고강도 나이론 6사의 제조방법
US5049339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industrial yarn
EP4119705A1 (en) Polyamide multifilament
JP3130683B2 (ja) 寸法安定性の改善された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法
KR950002808B1 (ko) 고강력 나일론 66 섬유의 제조방법
KR100415183B1 (ko) 고무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보강재용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제조방법
JP2000154423A (ja) 牽切用ポリパラフェニレンテレフタルアミド繊維トウ
KR0160463B1 (ko) 고무제품 보강재용 폴리아미드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58850A (ko) 고무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한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2839817B2 (ja) 熱寸法安定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法
KR960002887B1 (ko) 고강력 저수축 폴리에스테르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930010802B1 (ko) 폴리에스테르 타이어코드 및 타이어코드사의 제조방법
JP3234295B2 (ja) ポリヘキサメチレンアジパミド繊維の製造方法
KR950000717B1 (ko)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제조방법
JPH0144810B2 (ko)
KR930000247B1 (ko)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940011538B1 (ko) 고강도 나이론 6섬유
KR950007806B1 (ko) 고강력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KR930011329B1 (ko) 강도이용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디프코드사 및 그 제조방법
KR940011313B1 (ko)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연신, 열처리방법
KR930010803B1 (ko) 폴리에스테르 타이어코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