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251B1 - Tu pointer controlling gitter attenuator circuit of synchronous multiple equipment - Google Patents

Tu pointer controlling gitter attenuator circuit of synchronous multipl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251B1
KR930011251B1 KR1019910019365A KR910019365A KR930011251B1 KR 930011251 B1 KR930011251 B1 KR 930011251B1 KR 1019910019365 A KR1019910019365 A KR 1019910019365A KR 910019365 A KR910019365 A KR 910019365A KR 930011251 B1 KR930011251 B1 KR 930011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eaking
signal
stuffing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09280A (en
Inventor
이창기
고제수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주식회사
이해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주식회사, 이해욱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10019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251B1/en
Publication of KR93000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2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2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circuit decreases the tuning jit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 byte stuffing. The circuit comprises the elastic buffer unit which TUin and VCin receiving data can be written down or read; the first address generator unit (1) which generates a writting address by writting clock; the second address generator which provides a reading address by read clock; the buffering process unit which extracts out the bit leacking interval and calculates the stuffing generation span; and a frequency divider which provides various the divided frequency signals.

Description

동기식 다중장치의 TU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TU Pointer Adjustment Jitter Reduction Circuit in Synchronous Multiple Devices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TU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U pointer adjustment jitter redu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TUin 프레임의 구조도.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TUin fram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1도의 비트리킹 처리부의 세부 구성도.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it leaking processing unit in FIG.

제4도는 제3도의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의 세부 구성도.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of FIG.

제5도는 제3도의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기의 세부 구성도.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er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4 : 어드레스 발생기 2 : 탄생버퍼1,4 Address generator 2: Birth buffer

3 : 비트리킹 처리부 5 : 분주기3: bit leaking processing unit 5: divider

11 : 비트리킹 간격 발생기 12 : 비트리킹 간격 선택기11: bit leaking interval generator 12: bit leaking interval selector

13 : 비트리킹 간격 계수기 14 :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기13: bit leaking interval counter 14: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er

15 :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 31 : 스터핑 검출회로15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31 stuffing detection circuit

32 : 동종 및 이종 버스트 검출회로32: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detection circuit

33 : 버스트 및 리킹부호 변경 결정회로33: Burst and leaking code change determination circuit

41 : 연산기 제어회로 42 : 연산기41: operator control circuit 42: operator

43 : 계수기43: counter

본 발명은 동기식 다중장치에 있어서, TUin(Tributary Unit in : n=1, 2) 신호를 VCin(Virtual Continer in : n =1, 2) 신호로 역사상하기는 바이트 스터핑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포인터 조정치터를 감소시키는 TU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ynchronous multiplexing device, the TUin (Tributary Unit in: n = 1, 2) signal is converted into a VCin (Virtual Continer in: n = 1, 2) signal. TU pointer adjustment jitter reduction circuit for reducing

전송망 노드에서 초기 VCn 형성시의 STM-1 클럭과 새로운 STM-1 클럭이 상호 동기되지 않은 독립된 클럭으로 운용될 때 두 클럭간의 차는 바이트 단위로 계수되는 포인터 값의 조정에 의해 보상된다. 그러나 포인터 조정에 따른 지터성분이 발생하여 망간의 허용되는 1.5UI 출력지티를 만족치 못하게 된다.When the STM-1 clock and the new STM-1 clock at the time of initial VCn formation are operated as independent clocks that are not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at the network no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locks is compensated by adjusting the pointer value counted in bytes. However, the jitter component caused by the pointer adjustment does not satisfy the allowed 1.5 UI output jitter.

따라서 본 발명은 스터핑 발생시 탄성버퍼의 읽기클럭을 바이트단위로 처리함에 따라 발생되는 포인터 조정지터를 비트리킹(Bit Leaking)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1/8 비트단위로 64번 리킹시켜 스터핑을 처리함으로써 포인터 조정지터를 0.125UI 이하로 감소시켜 출력지터의 규격을 만족하도록 하는 TU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er adjustment jitter generated by processing the read clock of the elastic buffer in byte units when stuffing occurs, based on the bit leaking algorithm, 64 times in 1/8 bit units to handle the stuff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U pointer adjustment jitter reduction circuit which reduces the adjustment jitter to 0.125 UI or less to satisfy the specification of the output jit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TUin 신호를 VCin 신호로 역사상하는 바이트 스터핑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포인터 조정지터를 감소시키기 위한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에 있어서, TUin 수신데이터와 VCin 수신데이터를 읽고 쓸수 있도록 하는 탄성버퍼수단, 상기 탄성버퍼수단에 연결되어 쓰기클럭에 의해 쓰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 1 어드레스 발생수단, 상기 탄성버퍼수단에 연결되어 읽기클럭에 의해 읽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 2 어드레스 발생수단, 프레임 클럭, 정/부 스터핑 정보, 및 BLC 클럭을 입력으로 하여 스터핑 발생간격을 계산하고 비트리킹 간격을 추출하는 비트리킹 처리수단, 및 상기 비트리킹 처리수단과 어드레스 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비트리킹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위 클럭을 분주하여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에 공급하는 분주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inter adjustment jitter reduction circuit for reducing pointer adjustment jitter generated during the byte stuffing process in which a TUin signal is converted into a VCin signal, so that TUin received data and VCin received data can be read and written. An elastic buffer means, first address generating means connected to the elastic buffer means for generating a write address by a write clock, second address generating means connected to the elastic buffer means for generating a read address by a read clock, and a frame A bit leaking processing means for calculating a stuffing generation interval and extracting a bit leaking interval by inputting a clock, positive / negative stuffing information, and a BLC clock, and being connected to the bit leaking processing means and an address generating mean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address is divided by dividing an upper clock output from the trimming processing means To be supplied to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ns consists of a frequency divider.

아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TU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의 구성도로, 1,4는 어드레스 발생기, 2는 탄성버퍼, 3은 비트리킹 처리부, 5는 분주기를 각각 나타낸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U pointer adjustment jitter redu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1 and 4 represent an address generator, 2 an elastic buffer, 3 a bit leaking processor, and 5 a divider.

본 발명에 의한 TU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2개의 어드레스 발생기(1,4), 탄성버퍼(2), 비트리킹 처리부(3), 및 분주기(5)로 구성되고 TU 포인터 해석기(도면에 도시안함)와 VCin처리기(도면에 도시안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TU 포인터 해석기로부터 수신데이터 및 쓰기클럭, 정/부 스터핑 정보, 프레임 클럭을 공급받고, 상기 VCin처리기로 VCin 상위클럭, VCin분주클럭, VCin수신데이터를 공급한다.The TU pointer adjustment jitter redu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address generators (1, 4), an elastic buffer (2), a bit leaking processor (3), and a divider (5) as shown in FIG. A TU pointer interpreter (not shown) and a VCin processor (not shown) to receive data and write clocks, positive / boost stuffing information, and a frame clock from the TU pointer interpreter. It supplies VCin higher clock, VCin dispensing clock and VCin receiving data.

상기 어드레스 발생기(1)는 상기 탄성버퍼에 연결되어 288KHz(216KHz) 갭(Gapped) 클럭을 이용하여 쓰기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상기 어드레스 발생기(4)는 상기 분주기(5)로부터 출력되는 280KHz(208KHz) 클럭을 이용하여 읽기 어드레스를 발생한다.The address generator 1 is connected to the elastic buffer to generate a write address using a 288 KHz (216 KHz) gap clock, and the address generator 4 is 280 KHz (208 KHz) output from the divider 5. ) The read address is generated using the clock.

상기 탄성버퍼(2)는 상기 어드레스 발생기(1,4)에서 발생된 읽기 어드레스 및 쓰기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TUin 수신데이터와 VCin수신데이터를 읽고 쓸수 있도록 한다.The elastic buffer 2 reads and writes the TUin received data and the VCin received data by using the read address and the write address generated by the address generators 1 and 4.

상기 비트리킹 처리부(3)는 상기 TU 포인터 해석기로부터 BLC 클럭(Bit Leaking Control Clock) (TU12 사용시 17.920MHz, TU11사용시 13.312MHz)과 정/부 스터핑 정보, 및 프레임 클럭을 입력으로 스터핑 발생간격을 계산하고 비트리킹 간격을 추출하여 클럭을 조정한다.The bit leaking processor 3 inputs a BLC clock (17.920 MHz when using TU12, 13.312 MHz when using TU11), positive / boost stuffing information, and a frame clock from the TU pointer analyzer to input a stuffing interval. The clock is adjusted by calculating and extracting the bit leaking interval.

상기 분주기(5)는 상기 비트리킹 처리부(3)와 어드레스 발생기(4)에 연결되어 상기 비트리킹 처리부(3)로부터 출력되는 VCin 상위 클럭(TU12 사용시 4.408MHz, TU11 사용시3.328MHz)을 16분주하여 상기 어드레스 발생기(4)로 공급한다.The divider 5 is connected to the bit leaking processor 3 and the address generator 4 to output the VCin upper clock (4.408 MHz when using TU12 and 3.328 MHz when using TU11) output from the bit leaking processor 3. 16 divisions are supplied to the address generator 4.

상기 TU12(TU11) 수신데이터는 288KHz(216KHz) 갭드클럭을 이용하여 16바이트의 탄성버퍼(2)에 쓰여지고, 상기 비트리킹 처리부(3)에서 오는 클럭(TU12 사용시는 4.480MHz, TU11 사용시는 3.312MHz) 16분주한 클럭(TU12 사용시 280KHz, TU11 사용시 208KHz)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버퍼(2)로부터 데이터를 읽는다. 이때 만일 스터핑처리 요구가 상기 TU 포인터 해석기로부터 입력되면 BLC 클럭 (TU12인 경우, 17 .920MHz, TU11인 경우 13 .31MHz)을 수신한 상기 비트리킹 처리부(3)에서는 스터핑 발생간격을 계산한다. 그리고 바이트 스터핑 처리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 계산한 간격을 64등분한 비트리킹 간격을 추출하고 비트리킹 간격동안 1/8 비트단위로 64회 클럭을 당기거나(lead) 밀게(lag) 된다. 상기 비트리킹 처리부(3)에서 조정된 클럭(TU12 사용시 4.480MHz, TU11 사용시 3.328MHz) 상기 분주기(5)에서 16분주된 클럭으로 상기 어드레스 발생기(4)에 공급하여 상기 탄성버퍼(2)의 데이터를 읽게 돈다. 여기서 바이트 스터핑 처리되어 상기 탄성버퍼(2)에 쓰여진 데이터는 비트리킹 처리된 읽기클럭으로 데이터를 읽게 되므로 상기 탄성버퍼(2)에서의 데이터 손실이 없게 된다.The TU12 (TU11) received data is written to the 16-byte elastic buffer 2 using a 288 KHz (216 KHz) gap clock, and the clock coming from the bit leaking processing section 3 (4.480 MHz using TU12, 3.312 using TU11). MHz) The data is read from the elastic buffer 2 using a 16-minute clock (280 KHz when using TU12 and 208 KHz when using TU11). At this time, if a stuffing process request is input from the TU pointer analyzer, the bit leaking processing unit 3 that receives the BLC clock (17.920 MHz for TU12 and 13.31 MHz for TU11) calculates a stuffing generation interval. Then, the bit-leaking interval obtained by dividing the calculated interval by 64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byte stuffing process is extracted, and the clock is pulled or lags 64 times in 1 / 8-bit units during the bit-leaking interval. The clock adjusted by the bit-leaking processing section 3 (4.480 MHz when using TU12 and 3.328 MHz when using TU11) is supplied to the address generator 4 as a clock divided by 16 from the divider 5 to the elastic buffer 2. To read the data. In this case, the data written to the elastic buffer 2 by byte stuffing is read out by the bit leaking read clock, so that there is no data loss in the elastic buffer 2.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TUin 프레임의 구조도로, (가)는 TU11. (나)는 TU12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TUin fram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TU11. (B) shows the frame structure of TU12.

TU11 및 TU12 프레임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형성되어 있고, V1, V2 바이트에는 스터핑 관련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만일 정스터핑이 발생되면 V3바이트 다음 바이트에 더미(dummy) 데이터가 들어가고, 부스터핑 발생시에는 V3 바이트에 더미데이터가 들어가게 된다.The TU11 and TU12 frames are formed as shown in FIG. 2, and stuffing 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V1 and V2 bytes. If the normal stuffing occurs, dummy data is put in the byte following the V3 byte, and boosting is performed. When generated, dummy data is contained in V3 bytes.

제3도는 제1도의 비트리킹 처리부(3)의 세부 구성도로, 11은 비트리킹 간격 발생기, 12는 비트리킹 간격 선택기, 13은 비트리킹 간격 계수기, 14는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기, 15는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 16은 주계수기를 각각 나타낸다.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it leaking processing unit 3 of FIG. 1, 11 is a bit leaking interval generator, 12 is a bit leaking interval selector, 13 is a bit leaking interval counter, and 14 is a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er. 15 denotes a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and 16 denotes a main counter.

상기 비트리킹 처리부(3)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트리킹 간격 발생기(11), 비트리킹 간격 선택기(12), 비트리킹 간격 계수기(13),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기(14),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15), 및 주계수기(16)로 구성된다.The bit leaking processing section 3 includes a bit leaking interval generator 11, a bit leaking interval selector 12, a bit leaking interval counter 13, and a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er as shown in FIG. 14, a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15, and a main counter 16. As shown in FIG.

계수기와 로직회로로 구성된 상기 비트리킹 간격 발생기(11)는 프레임 클럭을 이용하여 스터핑 요구가 발생할 때까지 계수하여 비트리킹시켜야 할 간격을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얻어진 계수값은 상기 비트리킹 간격 선택기(12)에 공급한다. 산기 계수기의 최대 측정 간격은 8.192sec(220×500μsec) 이고 계수기의 출력값은 스터핑이 발생할 때마다 리셋된다.The bit leaking interval generator 11 composed of a counter and a logic circuit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n interval to be counted and bit-leaked until a stuffing request occurs using a frame clock. Supply to interval selector 12. The maximum measuring interval of the diffuser counter is 8.192 sec (2 20 × 500 μsec) and the counter's output is reset each time stuffing occurs.

상기 비트리킹 간격 선택기(12)는 비트리킹 간격을 비트리킹 간격 발생기에서 계산된 값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계산된 값중 한값은 선택하며 외부 선택신호에 따라 입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로직회로로 구성된다.The bit leaking interval selector 12 is configured as a logic circuit which selects one of the value calculated by the bit leaking interval generator or the value calculated by the software and selects and outputs an input according to an external selection signal. .

상기 비트리킹 간격 계수기(13)는 상기 비트리킹 간격 선택기(12)로부터 오는 비트리킹 간격값은 받아 128KHz 클럭으로 계수하여 비트리킹 요구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계수기와 로직회로로 구선되며 상기 비트리킹 간격 계수기(13)의 동작은 상기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15)의 계수시작 및 종료신호에 의해서 수행된다. 스터핑 요구가 발생치 않으면 상기 비트리킹 간격 계수기(13)는 동작하지 않지만, 스터핑 요구시 상기 비트리킹 간격 선택기(12)로부터 비트리킹 간격 계수값을 받아 버퍼에 일시 저장시키고, 프레임 클럭에 동기된 지연클럭에 의해서 하향계수를 시작한다. 이 계수값이 "0"상태가 되면 비트리킹 요구신호를 발생시킨 다음 저장된 비트리킹 간격 계수값을 재차 읽어 계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트리킹 가격 계수기(13)는 상기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15)에서 오는 종료신호에 의해서 계수가 중지된다.The bit leaking interval counter 13 receives a bit leaking interval value from the bit leaking interval selector 12 and counts the bit leaking interval signal with a 128 kHz clock to generate a bit leaking request signal. The operation of the bit leaking interval counter 13 is performed by counting start and end signals of 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15. If a stuffing request does not occur, the bit leaking interval counter 13 does not operate. However, when a stuffing request is made, the bit leaking interval count value is received from the bit leaking interval selector 12 and temporarily stored in a buffer. The down coefficient is started by the synchronized delay clock. When the count value becomes '0' state,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tored bit leaking interval count value is read and counted again. The bit leaking price counter 13 stops counting by an end signal from 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15.

상기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15)는 계수시작 빛 종료신호, +/- 부호신호를 발생하고, 동종 및 이종 버스트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15 has a function of generating a count start light end signal and a +/- sign signal and detecting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s.

상기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기(14)는 상기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15)와 비트리킹 간격 계수기(13)에서 출력되는 버스트 정보와 비트리킹 요구신호를 입력으로 비트리킹 수행의 완료를 검출하여 리킹 완료신호 및 캐리신호를 상기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15)로 출력한다.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er 14 inputs the burst information and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output from 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15 and the bit leaking interval counter 13 to complete the bit leaking. It detects and outputs a leaking completion signal and a carry signal to 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15.

상기 주계수기(16)는 비트리킹 요구신호와 +/- 부호신호를 이용해서 3∼5분주한 클럭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수신되는 BLC 클럭(TU12인 경우 17.920MHz, TU11인 경우 13.312MHz)을 사용하여 비트리킹 요구신호가 없을 때는 4분주한 클럭을 출력시킨다. 그러나 비트리킹 요구신호가 있으면 상기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15)에서 공급되는 +/- 부호신호에 따라 분주비가 결정되어 + 부호신호가 발생시는 5분주한 클럭을 출력시켜 1/8 비트를 미는 비트리킹이 이루어지고, 부호신호가 입력되어지면 리킹 요구신호에 따라 3분주를 수행케 해 1/8 비트를 당기는 비트리킹이 발생된다. 상기 주계수기(16)는 D타입 플립플롭과 로직회로로 구성된다.The main counter 16 functions to generate a clock divided by 3 to 5 by using a bit leaking request signal and a +/- code signal. The received BLC clock (17.920 MHz for TU12 and 13.312 for TU11) is received. MHz) outputs a clock divided by 4 when there is no bit leaking request signal. However, if there is a bit leaking request signal, the division ratio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 sign signal supplied from 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15. When a + sign signal is generated, a clock divided by 5 is output to push 1/8 bit. Bit-leaking is performed, and when a code signal is input, bit-leaking is performed to pull 1/8 bit by performing three divisions according to the leaking request signal. The main counter 16 is composed of a D-type flip-flop and a logic circuit.

제4도는 제3도의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15)의 세부 구성도로, 31은 스터핑 검출회로, 32는 동종 및 이종 버스트 검출회로, 33은 버스트 및 리킹 부호 변경 결정회로를 각각 나타낸다.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15 of FIG. 3, 31 is a stuffing detection circuit, 32 is a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detection circuit, and 33 is a burst and leaking code change determination circuit, respectively.

상기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15)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터핑 검출회로(31), 동종 및 이종 버스트 검출회로(32)로, 및 버스트 및 리킹부호 변경 결정회로(33)로 구성된다.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15 is composed of a stuffing detection circuit 31, a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detection circuit 32, and a burst and leaking code change determination circuit 33 as shown in FIG. .

상기 스터핑 검출회로(31)는 상기 비트리킹 간격 계수기(13)로 계수시작 및 종료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주계수기(16)로 +/- 부호신호를 출력하여 JK플립플롭, 및 로직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계수시작 및 종료신호가 "0"상태이면 계수종료 및 중지를 나타내고, "1"상태이면 계수시작과 계수인에이블을 나타낸다. 따라서 초기상태에서 이 신호는 "0"상태를 유지하다가 정 혹은 부스터핑의 발생에 따라 "0"상태에서 "1"상태로 바뀌어 출력된다. "1"상태는 리킹완료신호에 의해서 "0"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 부호신호는 정스터핑 발생기 "0"상태가 출력되어 상기 주계수기(16)의 5분주를 수행케하고, 부스터핑이 발생하면 "1"상태로 출력시켜 상기 주계수기(16)를 3분주하게 한다.The stuffing detection circuit 31 outputs counting start and end signals to the bit leaking interval counter 13, and outputs +/− sign signals to the main counter 16 to JK flip-flops and logic circuits. It is composed. When the counting start and end signals are in the '0' state, the counting end and stop are shown. In the '1' state, the counting start and counting enable are indicated. Therefore, in the initial state, this signal is maintained in the state of '0', and is output from the state of '0' to '1'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positive or boosting. The state of '1' is returned to the '0' state by the leaking completion signal. The +/- sign signal outputs the positive stuffing generator '0' state to perform 5 division of the main counter 16, and if boosting occurs, outputs the state of the main counter 16 by '1' state. Allow three minutes to dispense.

상기 동종 및 이종 버스트 검출회로는 동일한 극성이 버스트가 발생하면 동종버스트신호에 "1"상태를 출력하고, 다른 극성의 버스트이면 이종버스트신호에 "1"상태로 출력하여 동종 및 이종 버스트 발생을 알리게 된다. 또한 이 신호는 상기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기(14)의 리킹완료신호에 의해서 리셋된다. 상기 동종 및 이종 버스트 검출회로(32)는 D플립플롭과 로직회로로 구성한다.The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detection circuit outputs a " 1 " state to a homogeneous burst signal when a burst of the same polarity occurs, and outputs a " 1 " state to a heterogeneous burst signal when a burst of another polarity indicates a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occurrence. do. This signal is also reset by the leaking completion signal of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er 14. The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detection circuit 32 is composed of a D flip-flop and a logic circuit.

상기 버스트 및 리킹부호 변경 결정회로(33)는 +/- 부호신호, 동종버스트신호, 이종버스트 신호를 받아서 상기 캐리신호(Cn+1)에 따라 부호 및 극성변경이 요구되지 않으면 현 상태와 동일하게 출력시키고, 부호 및 극성변경 요구시에는 +/- 부호신호의 상태가 "0"상태이면 "1"상태로 "1"상태이면 "0"상태로 변경된후 +/- 부호신호로 출력시킨다. 또한 동종버스트 신호는 이종버스트 신호로, 이종버스트 신호는 동종버스트 신호로 바꾸어 출력하게 한다. 부호 및 극성변경 요구는 이종버스트 신호가 "1"이 되고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기로부터 오는 캐리신호(Cn+1)가 "1"상태로 될 때 발생된다. 상기 회로에 사용되는 출력값은 리킹완료신호에 의해 초기상태로 리셋된다. 상기 버스트 및 리킹부호 변경 결정회로(33)는 D타입 플립플롭과 로직회로로 구성된다.The burst and leaking code change determination circuit 33 receives the +/- code signal, the homogeneous burst signal, and the heterogeneous burst signal and performs the same as the current state unless the code and the polarity change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carry signal Cn + 1. When the code and polarity change request are made, the +/- code signal is changed to '1' state when the state of '0' state is '0' state and is changed to '0' state when it is '1' state and then output as +/- code signal. In addition, the homogeneous burst signal is a heterogeneous burst signal, and the heterogeneous burst signal is converted into a homogeneous burst signal and output. The sign and polarity change request are generated when the heterogeneous burst signal becomes " 1 " and the carry signal Cn + 1 coming from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er becomes " 1 " state. The output value used for the circuit is reset to the initial state by the leaking completion signal. The burst and leaking code change determination circuit 33 is composed of a D-type flip-flop and a logic circuit.

제5도는 제3도의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기(14)의 세부구성도로, 41은 연산기 제어회로, 42는 연산기, 43은 계수기를 각각 나타낸다.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er 14 of FIG. 3, where 41 is an operator control circuit, 42 is an operator, and 43 is a counter.

상기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기(14)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산기 제어회로(41), 연산기(42), 및 계수기(43)로 구성된다.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er 14 is composed of an operator control circuit 41, an operator 42, and a counter 43, as shown in FIG.

상기 연산기 제어회로(41)는 상기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회로(15)에서 오는 버스트 정보를 입력으로 상기 연산기(42)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된 연산기(42)는 상기 계수기(43)의 출력값과 고정값인 "64"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계산된 계수값은 상기 계수기(43)를 로딩시켜 비트리킹 간격 계수기에서 오는 비트리킹 요구신호에 의해서 하향계수되고, 그 값이 "0"상태가 되면 리킹완료신호를 발생시킨다.The operator control circuit 41 outputs an operato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42 by inputting burst information from 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circuit 15, and the controlled operator 42 outputs the operator. It calculates using the output value of the counter 43 and the fixed value # 64k. The calculated count value is counted down by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ming from the bit leaking interval counter by loading the counter 43, and generating a leaking completion signal when the value becomes '0' state.

제6도는 본 발명 적용에 따른 포인터 조정지터의 검출상태도로, (가)는 읽기쓰기 클럭의 차이를 나타내고 (나)는 비트리킹 처리된 포인터 조정지터를 나타낸 것으로, 비트리킹 처리에 따른 포인터 조정지터의 감소를 보여준다.6 is a detection state of the pointer adjustment j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d and write clock, and (B) shows the pointer adjustment jitter which has been bit-leaked. Shows a decrease in adjustment jitter.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8UI의 바이트 스터핑이 발생하면 강기된 비트리킹 동작에 따라 1/8 비트 단위로 스터핑을 처리하여 출력지터 규격을 만족케 하고 종래의 동기식 다중장치의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출원번호 90-11804)와 비교하여 PLL 삭제에 따른 난점제거 및 비용절감의 적용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when 8UI byte stuffing is generated, the stuffing is processed in units of 1/8 bits according to the enhanced bit-leaking operation to satisfy the output jitter specification and pointer adjustment of a conventional synchronous multi-device. Compared with the jitter reduction circuit (Application Nos. 90-11804),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difficulties and cost savings due to the elimination of the PLL.

Claims (4)

TUin(Tributary Unit in : n=1,2) 신호를 VCin(Virtual Container in : n=1,2) 신호로 역사상하는 바이트 스터핑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포인터 조정지터를 감소시키기 위한 TU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에 있어서 : TUin 수신데이터와 VCin 수신데이터를 읽고 쓸수 있도록 하는 탄성버퍼수단(2), 상기 탄성버퍼수단(2)에 연결되어 쓰기클럭에 의해 쓰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 1 어드레스 발생수단(1), 상기 탄성버퍼수단(2)에 연결되어 읽기클럭에 의해 읽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 2 어드레스 발생수단(4), 프레임 클럭, 정/부 스터핑 정보, 및 BLC(Bit Leaking Control Clock)을 입력으로 하여 스터핑 발생간격을 계산하고 비트리킹 간격을 추출하는 비트리킹 처리수단(3), 및 상기 비트리킹 처리수단(3)과 어드레스 발생수단(4)에 연결되어 상기 비트리킹 처리수단(3)으로부터 출력되는 상위클럭을 분주하여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4)에 공급하는 분주수단(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U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TU pointer adjustment jitter reduction circuit to reduce pointer adjustment jitter generated during byte stuffing process that converts TUin (Tributary Unit in: n = 1,2) signal into VCin (Virtual Container in: n = 1,2) signal In the: elastic buffer means (2) for reading and writing TUin received data and VCin received data, the first address generating means (1) connected to the elastic buffer means (2) for generating a write address by a write clock, The second address generating means 4 connected to the elastic buffer means 2 to generate a read address by a read clock, frame clock, positive / negative stuffing information, and BLC (Bit Leaking Control Clock) are inputted. Bit-leaking processing means (3) for calculating a generation interval and extracting a bit-leaking interval, and said bit-leaking processing means (3) connected to said bit-leaking processing means (3) and an address generating means (4). Output from That divides the clock consists of a frequency division means (5) to be supplied to the address generating means (4) decreases TU pointer adjustment, characterized jitter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리킹 처리수단(3)은 상기 클럭을 수신하여 비트리킹시켜야 할 간격을 발생하는 비트리킹 간격 발생수단(11), 상기 비트리킹 간격 발생수단(12)에 연결되어 비트리킹 간격을 결정하는 비트리킹 간격 선택수단(12), 상기 비트리킹 간격 선택수단(12)에 연결되어 상기 비트리킹 간격 선택수단(12)으로부터 수신되는 비트리킹 간격값을 받아 계수하고 비트리킹 요구신호를 발생하는 비트리킹 간격 계수수단(13), 상기 비트리킹 간격 계수수단(13)에 연결되어 정/부 스터핑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비트리킹 간격 계수수단(13)으로 계수시작 및 종료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비트리킹 간격 계수수단(13)을 제어하고 +/- 부호신호와 동종 및 이종 버스트 신호를 검출하는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수단(15), 상기 비트리킹 간격 계수수단(13)과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수단(15)에 연결되어 상기 비트리킹 요구신호와 버스트 정보를 입력으로 비트리킹 수행의 완료를 검출하여 리킹완료신호 및 캐리신호를 상기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수단(15)으로 출력하는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수단(14), 및 상기 비트리킹 간격 계수수단(13)과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수단(15)에 연결되어 상기 비트리킹 요구신호와 +/- 부호신호에 따라 분주한 클럭을 발생하는 주계수수단(1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U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The bit leaking interval generating means (11) and the bit leaking interval generating means (12)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bit leaking processing means (3) receives the clock to generate an interval to be bit leaked. A bit leaking interval selecting means 12 connected to the bit leaking interval selecting means 12 to determine a bit leaking interval, and a bit leaking interval received from the bit leaking interval selecting means 12. A bit leaking interval counting means 13 for receiving a value and counting a value and generating a bit leaking request signal;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means 15 for supplying a counting start and end signal to the counting means 13 to control the bit leaking interval counting means 13 and to detect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signals with +/- sign signals, Stuffing with the bit leaking interval counting means (13) And detecting the completion of the bit leaking operation by inputting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and the burst information to output the leaking completion signal and the carry signal to 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on means 15. It is connected to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ing means 14 and the bit leaking interval counting means 13 and 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ng means 15, and divided according to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and the +/- code signal. TU pointer adjustment jitter reduct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counting means (16) for generating a c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핑 및 버스트 검출수단(15)은 상기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수단(14)의 리킹완료신호와 상기 정/부 스터핑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비트리킹 간격 계수수단(13)으로 출력되는 계수시작 및 종료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 부호신호를 발생하는 스터핑 검출수단(31), 상기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수단(14)의 리킹완료신호와 상기 정/부 스터핑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동종 및 이종 버스트 신호를 검출하는 동종 및 이종 버스트 검출수단(32), 및 상기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수단(14)과 상기 스터핑 검출수단(31)과 동종 및 이종 버스트 검출수단(32)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신호와 상기 +/- 부호신호와 동종 및 이종 버스트 신호의 부호 및 극성을 변경하는 버스트 및 리킹부호 변경 결정수단(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U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uffing and burst detecting means (15) inputs the leaking completion signal of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ing means (14) and the positive / minus stuffing information to the bit leaking interval counting means ( 13) a stuffing detecting means 31 for generating the counting start and end signals outputted to the +/- sign signal and the biting completion request signal counting means 14 and the positive / sub stuffing;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detection means 32 for detecting the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signals by inputting information, and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detection with the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ing means 14 and the stuffing detection means 31. TU poi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means 32 and comprises burst and leaking code change determining means 33 for changing the sign and polarity of the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signals with the carry signal and the +/- code signal. Adjustable jitter reduction circu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리킹 요구신호 계수수단(14)은 상기 동종 및 이종 버스트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연산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연산기 제어수단(41), 상기 연산기 제어수단(41)에 연결되어 상기 연산기 제어수단(41)의 연산기 제어신호에 따라 고정값인 "64"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연산수단(42), 및 상기 연산수단(42)에 연결되어 상기 연산수단(42)의 출력에 의해 로딩되고 상기 비트리킹 요구신호에 의해 하향계수되고 그 값이 "0"상태가 되면 리킹완료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연산수단(42)으로 계수값을 출력하는 계수수단(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U 포인터 조정지터 감소회로.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bit leaking request signal counting means (14) is connected to said operator control means (41) and said operator control means (41) for outputting an operator control signal with said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burst information as inputs. And a calculation means 42 for calculating using a fixed value "64" according to the arithmetic control signal of the arithmetic controller control means 41, and the arithmetic means 42 to the output of the arithmetic means 42. And counting means 43 which outputs a leaking completion signal and outputs a counting value to the calculating means 42 when it is loaded by the bit-leaking request signal and down-counted by the bit-leaking request signal. TU pointer adjustment jitter reduction circuit.
KR1019910019365A 1991-10-31 1991-10-31 Tu pointer controlling gitter attenuator circuit of synchronous multiple equipment KR9300112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365A KR930011251B1 (en) 1991-10-31 1991-10-31 Tu pointer controlling gitter attenuator circuit of synchronous multipl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365A KR930011251B1 (en) 1991-10-31 1991-10-31 Tu pointer controlling gitter attenuator circuit of synchronous multiple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280A KR930009280A (en) 1993-05-22
KR930011251B1 true KR930011251B1 (en) 1993-11-29

Family

ID=1932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365A KR930011251B1 (en) 1991-10-31 1991-10-31 Tu pointer controlling gitter attenuator circuit of synchronous multiple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2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047B1 (en) * 1997-12-29 2005-04-13 고려화학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vinyl flooring with ocher added with deodorizing effect
KR100457722B1 (en) * 1998-06-10 2005-02-23 고려화학 주식회사 Flooring material with germanium-containing minerals
KR100524171B1 (en) * 1998-08-14 2006-02-01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Charcoal flooring
KR20000017684A (en) * 1999-04-02 2000-04-06 유경중 A manufacturing process of styrofoam panel contained a charc oal
KR20010038641A (en) * 1999-10-26 2001-05-15 이대구 The manufacture method of a plastic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280A (en) 199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6698A (en) Clock signal resynchronizing apparatus
US5263056A (en) Justification decision circuit for an arrangement for bit rate adjustment
WO1996026451A1 (en) Bit error measuring instrument
JPH0771064B2 (en) Data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nchronization circuit
KR930011251B1 (en) Tu pointer controlling gitter attenuator circuit of synchronous multiple equipment
US5486784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on of clock signals
JPH05160825A (en) Synchronizing circuit
US66580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clock signal of low order group signal
JPH08111685A (en) Clock recovery circuit of atm receiver
KR920010379B1 (en) Jitter decreasing device
US4611926A (en) Time interval measuring instrument
EP0707393A2 (en) Fractional bit-leaking clock signal resynchronizer for a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KR0126854B1 (en) Ait pointer jitter reduction system
US5548624A (en) Destuff circuit for asynchronous digital signals
KR20020016955A (en) Apparatus for parallel mapping of serial input data in SDH system
CA2090270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equalizing frequency and/or phase variations between an incoming and an outgoing signal
KR930001813B1 (en) Circuit for dealing burst
KR19980049361A (en) AU Pointer Adjustment Jitter Reduction Device in Synchronous Multiple Devices
KR100280203B1 (en) Bit leaking device
JP2952935B2 (en) Asynchronous data transmission system
KR940008107B1 (en) Data transmitting apparatus
KR0143124B1 (en) Video signal generator to be possible of timing control
KR100293931B1 (en) Phase detector of apparaus for data transmission
KR100222077B1 (en) Codec interface circuit
SU1188727A1 (en) Synchronizing unit for device to display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