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205B1 - 전화교환 시스템에서의 자동 다이얼링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교환 시스템에서의 자동 다이얼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205B1
KR930011205B1 KR1019860700508A KR860700508A KR930011205B1 KR 930011205 B1 KR930011205 B1 KR 930011205B1 KR 1019860700508 A KR1019860700508 A KR 1019860700508A KR 860700508 A KR860700508 A KR 860700508A KR 930011205 B1 KR930011205 B1 KR 930011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ed
communication device
line
digit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578A (ko
Inventor
죠지 프론드리치 글렌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모리스 제이. 코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모리스 제이. 코헨 filed Critical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70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60Semi-automatic systems, i.e. in which the numerical selection of the outgoing line is under the control of an oper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 H04M9/0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n exchang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화교환 시스템에서의 자동 다이얼링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전화 교환 시스템과, 시스템 프로세서 메모리의 일부인 대응하는 최종 다이얼된 번호 테이블도.
제2도는 전화 교환 시스템의 프로세서가 자동 재다이얼링 기능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단계별 흐름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다수의 트렁크 및 포트 회로와, 상기 트렁크 및 포트 회로를 상호 접속하는 교환망 및 자동 재다이얼링 장치를 포함하는 전화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수의 트렁크 및 포트 회로 각각은 관련하는 통신 장치를 상기 전화 교환 시스템에 인터페이스시키는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관련하는 통신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발명의 배경]
자동 재다이얼링 장치는 전화기에서는 일반적인 것이다. 이들 장치는 전화기가 시프트 레지스터 메모리를 구비하여 전화기의 터치톤 키패드로 다이얼된 최종 디지트 셋트를 기억하는 전화기마다 이용 가능하다. 다선 전화기의 경우,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 메모리는 가입자가 억세스하는 회선에는 관계없이 최종 다이얼된 번호를 기억한다. 가입자가 다른 호출을 하기 위해 다른 회선을 연속 억세스하고자 하면, 가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자동 재다이얼링 번호는 전화기의 터치-톤 키 패드로 최종 다이얼된 번호만이다. 이러한 것의 문제는 교환원 이 각 콘솔 루프 어피어런스(console loop apprearances) 각각으로 최종 다이얼된 번호를 손으로 기록을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상기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재다이얼링 장치를 포함한 전화 교환 시스템으로 해결되며, 상기 자동 재다이얼링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장치중 임의 장치 번호의 다이얼링에 응답하여 상기 번호가 다이얼된 통신 회선에 관련하는 메모리 위치에 다이얼된 번호를 기억하는 수단과, 통신 회선을 다음에 억세스하고 최종 다이얼된 번호의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통신 장치에 응답하여 다이얼된 번호에 의해 식별된 수신지에 호출 접속장치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세한 설명]
제1도에서는 본 발명의 전화 교환 시스템 및 이것의 일부인 자동 재다이얼링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전화 교환 시스템(100)은, 전화국 트렁크(104), 전용회선(private line) 트렁크(105) 및 다양한 전화기 즉, 아날로그 전화기(T100), 구내 중계대(T100) 및 다선 전화기(T150)사이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음성 통신 접속을 설정하는 교환망(101)를 포함한다. 전화 교환시스템(100)은 시스템 프로세서(102)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통상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제어되는 시스템이다.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본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호출 처리 서브루틴과 자동 재다이얼링 장치의 일부인 메모리(103)를 포함하고 있다.
메모리(103)는 테이블(105)로 도시되어 있는 최종 다이얼된 번호 엔트리 테이블을 포함한다. 제1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테이블(105)내의 엔트리는 전화 교환시스템내의 각 전화기 회선과 그 전화기 회선을 억세스하려는 최종 가입자에 의해 최종 다이얼된 번호 간의 대응을 제공한다. 테이블(105)은 PBX 전화번호, 공통 캐리어 장거리 전화번호 및 전용 교환망 전화번호를 포함한 여러 엔트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과 그 엔트리의 사용에 대해서는 제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전화 교환 시스템(100)은 다수의 표준 호출 처리 서브루틴에 제어하에 동작하며, 이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선 및 전자 판독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구내중계대(T110)을 참조하여 호출 처리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구내중계대(T110)에서 교환원이 오프-훅을 행했고 구내중계대(T110)가 서비스하는 회선키중 하나(예로 -4110)를 조작시켰다고 가정한다. 제2도에 도시된 조작 방법은, 시스템 프로세서(102)가 구내중계대(T110)에서 교환원에 의한 회선키(호출발신용) 또는 응답키(입중계 호출용)의 조작에 응답하는 단계(201)에서 시작한다.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이러한 키조작에 응답하여 단계(202)로 진행하며, 이 단계(202)에서 억세스된 회선키(4110)로 최종 다이얼된 번호가 표시된다. 이것은 시스템 프로세서(102)가 교환원에 의해 억세스된 회선의 전화 식별 번호(4110)를 이용하여 메모리(103)를 어드레스함으로써 달성된다. 테이블(10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4110)에 해당하는 메모리(103)내의 엔트리는 출중계 트렁크를 억세스하기 위한 서두(preface) 디지트(9)를 포함하는 공통 캐리어 장거리 전화번호(01-303-517-4714)이다.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이러한 최종 다이얼된 번호를 검색하여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제어 통신 채널을 통해, 구내중계대(T1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검색된 최종 다이얼된 번호는 구내중계대(T110)에서 수신되어 구내중계대(T110)의 일부인 전자 판독 출력 장치상에 표시된다.
시작 키-새로이 다이얼된 번호
교환원은 표시되어진 최종 다이얼된 번호에 두가지 방법으로 응답할 수 있다. 제2도의 단계(203)에서는, 교환원이 구내중계대(T110)상의 시작 키 또는 재다이얼 키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시작 키를 조작하였으면, 구내중계대(T110)는 이러한 조작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시스템 프로세서(102)로 전송한다.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이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계(204)를 수행하며, 이 단계(204)에서는 메모리(103)내의 어드레스 위치(4110)로부터 다이얼된 검색된 최종 번호가 클리어된다.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다음에 단계(205)를 수행하며, 이 단계(205)에서는 교환원에 의해 다이얼된 각각의 디지트가 메모리(103)내 이 회선의 어드레스 위치(4110)에 기억되며 동시에 이러한 다이얼된 디지트가 구내중계대(T110)로 전송되어, 전자 판독 출력 장치상에 표시된다. 상기 단계(204,205)에서는 교환원이 회선(4110)을 억세스한 다음에 교환원이 후속 검색을 하기 위한 새로이 다이얼된 번호가 기억된다.
재다이얼 키-자동 재다이얼링
교환원이 구내중계대(T110)상의 재다이얼 키를 선택 조작하였으면, 구내중계대(T110)는 재다이얼 메시지를 시스템 프로세서(102)로 전송한다. 이러한 재다이얼 메시지에 응답하여,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회선(4110)에 관련하는 메모리(103)내의 메모리 위치로부터 제 1디지트를 검색하는 단계(206)를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메모리 위치(4110)내에 기억된 제1디지트는 전화국 트렁크(104)를 통하여 공통 캐리어 회선으로의 억세스를 위한 요청을 나타내는 9이다.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단계(207)에서 이 억세스 코드(9)를 디지트 레지스터에 로드하고, 단계(208)에서 로드된 억세스 코드를 해석하여 요청된 호출 형태를 판단한다. 이 실시에에서,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트렁크 억세스 로드(9)가 디지트 레지스터내로 로드된 억세스 코드이기 때문에 단계(210)로 진행한다. 단계(210)에서,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출중계 전화국 트렁크(104)중 하나를 포착한 다음 단계(211)로 진행한다. 이 단계(211)에서, 전화 회선(4110)에 관련하는 테이블 엔트리(01-303-517-4714)의 나머지가 디지트 레지스터에 로드된다.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단계(212)로 진행하여, 기억된 번호를 포착된 전화국 트렁크로 전송한다. 다음에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표준 전화 교환시스템 트렁크 호출 처리 루틴을 속행하여, 전화국 트렁크상에 검색된 번호를 펄스 출력시킴으로써 지시된 수신지로의 호출을 완료한다.
전화간 호출
제2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렁크 호출은 자동 재다이얼링 특성을 사용하여 완료할 수 있는 다수의 호출 형태중 하나이다. 교환원이 테이블(10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화회선(4112)을 억세스했다면, 회선(4112)에 관련하는 메모리(103)의 최종 다이얼된 번호부분에 PBX 전화 코드가 기억된다. 이것이 인터콤(intercom)호출이므로,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단계(207)에서 디지트 레지스터에 전체 전화번호(4133)를 로드한다. 단계(208)에서,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이것을 전화 호출로 식별하여 표준 교환원-전화 호출 처리 루틴으로 진행한다. 디지트 레지스터내에 완료된 다이얼 번호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내선(4133)으로의 이러한 호출이 완료된다.
청구서 작성/승인 코드
본원에서는 다른 두 가능성을 기술할 수 있는데, 톨(toll)호출에 관련하는 청구서 작성 번호와 자동 루틴선택을 위한 승인 코드이다. 승인 코드의 예를 전화 회선(4111)에 관련하는 테이블(105)내의 엔트리에서 볼수 있다. 여기서 전용 회선 억세스 번호가 해당하는 승인 코드와 함께 기억되어 있다. 메모리(103)의 메모리 위치(4111)에 기억되어 있는 제1디지트는 전용 교환망 트렁크(105)중 하나에 억세스가 요청되었음을 시스템 프로세서(102)에게 지시하는 8이다. 이 서두 디지트(8) 다음에는 이 전용 교환망상의 수신지 전화의 식별을 나타내는 7개의 디지트 다이얼 코드(6064139)가 뒤따른다. 이들 디지트 모두는 상술된 바와 같이 단계(207)에서 시스템 프로세서(102)에 의해 디지트 레지스터내에 로드된다. 호출의 형태를 판단하는 단계(208)에서,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제1디지트가 8인 것에 따라 호출의 형태를 전용 교환망 호출로서 식별한다. 다음에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메모리위치(4111)로부터의 추가의 디지트를 검색하는 단계(209)를 수행하며, 이 추가의 디지트(97)는 구내중게대(T110)가 이 전용 교환망을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승인 코드이다. 이제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디지트 레지스터에 억세스 코드(8), 수신지 식별 번호(6064139) 및 승인 코드(97)를 갖는 완전한 데이타 셋트를 기억시킨다.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이제 호출을 완료하고 표준전용 교환망 호출 처리 루틴을 속행한다.
최종 실시예는 전용 교환망의 경우와 동일하며 가입자는 장거리 전화 번호의 다이얼링전에 청구서 작성번호를 기입한다. 이것은 전화 교환시스템(100)상에 설비된 청구서 작성 기기가 발호측, 피호측 및 이 호출에 대한 청구서가 발부되는 고객 청구서를 나타내는 청구서 번호의 식별을 기록하는 전화 교환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인 특징이다. 이러한 조작은 다선 전화기(T150)의 가입자가 회선번호(4152)에 대해 오프 훅을 행하는 경우를 검토하므로써 설명된다. 회선 번호(4152)에 해당하는 테이블(105)상의 엔트리는 3개 디지트의 억세스 코드, 3개 디지트의 청구 금액 코드, 트렁크 억세스 디지트 9, 01+10 디지트의 장거리 전화 번호가 차례로 이어진다. 단계(208)에서,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3)로부터 검색된 제1디지트로부터 전화 사용자가 장거리 전화 회선을 억세스하는 것과 호출 청구금액을 수신자 부담으로 청구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억세스된 회선(4152)에 해당하는 메모리(103)의 메모리 위치로부터의 3개의 디지트의 억세스 코드(136) 및 3개 디지트의 청구서 작성 코드(123)를 검색하는 단계(215)를 수행한다. 검색된 이러한 청구서 코드가 단계(215)에서 디지트 레지스터에 기억된다.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단계(216)로 진행하여 회선(4152)의 디지트 기억 영역에 기억된 다음 디지트(9)를 검색한다. 시스템 프로세서(102)는 단계(207)로 진행하여 이와 같이 검색된 디지트를 디지트 레지스터(207)에 로드하고, 단계(208)로 진행하여 호출 형태(트렁크)를 판단한다. 호출 처리는 상기와 같이 진행되며 여기서 트렁크 호출이 표준 트렁크 호출 처리 루틴을 이용하여 완료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재다이얼링 특성은 회선마다 다이얼된 최종번호 메모리를 제공하여 교환원 뿐만 아니라 다선 전화기의 가입자는 전화기상의 재다이얼 키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임의 특정 회선에 대해 다이얼된 최종 번호를 자동적으로 재다이얼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 및 기술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은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6)

  1. 관련하는 통신 장치(T100, T110, T150)를 교환망(101)에 각각 접속시키는 다수 트렁크 회로(104, 105) 및 포트 회로를 가지며, 상기 교환망(10)은 트렁크와 포트 회로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설정하는 전화 교환 시스템내의 통신 장치중 어느 것에 의해서라도 다이얼된 최종 번호를 자동적으로 다이얼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통신 장치로부터 다이얼된 디지트를 통신 장치에 현재 작동중인 회선에 해당하는 메모리 위치에 기억시키는 단계(103,204,205)와, 통신 장치가 연속 억세스되고 최종 다이얼된 번호의 요청 신호가 통신 장치에 의해 발생되면 다이얼된 디지트에 의해 식별된 수신지와 통신 장치 사이에 호출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201 내지 203, 206 내지 2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다이얼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통신 장치에 관련하는 회선으로부터 교환망을 통하여 다이얼된 디지트에 의해 식별된 수신지로 호출 접속을 설정하도록 교환망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다이얼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통신 장치에 관련하는 것을 나타내는 회선에 해당하는 메모리 위치로부터 다이얼된 디지트를 검색하는 단계(201)와, 다이얼된 디지트를 통신 장치상에 표시하는 단계(202)와, 최종 다이얼된 번호의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 장치에 관련하는 회선으로부터 다이얼된 디지트에 의해 식별된 수신지까지 호출 접속을 설정하도록 교환망을 작동시키는 단계(206 내지 2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다이얼링 방법.
  4. 제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단계는, 수진지가 트렁크 회로일때의 호출 접속에 응답하여 회선에 기억된 디지트를 전송하는 단계(211,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다이얼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단계는 수신지를 식별하는 다이얼된 디지트 이외에 계산 청구서 작성 코드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다이얼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단계는 수신지를 식별하는 다이얼된 디지트 이외에 억세스 승인 코드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19860700508A 1984-11-29 1985-11-15 전화교환 시스템에서의 자동 다이얼링방법 KR930011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6,257 1984-11-29
US676257 1984-11-29
US06/676,257 US4602128A (en) 1984-11-29 1984-11-29 Automatic redialing arrangement for multi-line telephone station sets
PCT/US1985/002262 WO1986003359A1 (en) 1984-11-29 1985-11-15 Automatic redialing arrangement for multi-line telephone station s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578A KR880700578A (ko) 1988-03-15
KR930011205B1 true KR930011205B1 (ko) 1993-11-25

Family

ID=2471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508A KR930011205B1 (ko) 1984-11-29 1985-11-15 전화교환 시스템에서의 자동 다이얼링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02128A (ko)
EP (1) EP0203147B1 (ko)
JP (2) JPS62501531A (ko)
KR (1) KR930011205B1 (ko)
CA (1) CA1238966A (ko)
DE (1) DE3570822D1 (ko)
ES (1) ES8704690A1 (ko)
WO (1) WO1986003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2989B1 (en) * 1990-10-22 1997-07-09 Canon Kabushiki Kaisha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US5243646A (en) * 1991-01-04 1993-09-0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Fast redial system for a telephone
KR0138186B1 (ko) * 1995-06-09 1998-07-01 김광호 전화기의 다이알 정보 저장 및 리다이알 방법
KR100232865B1 (ko) * 1996-06-29 1999-12-01 윤종용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US6782268B1 (en) 1998-06-23 2004-08-2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call history for mobile and wireline users accessing the network on different ports for subsequent calls
WO2002100050A1 (en) * 2001-06-01 2002-12-12 Hyung-Sung Jun Auto redialing & call-receivable person notify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4139A1 (de) * 1977-07-28 1979-02-08 Siemens Ag Komfortfernsprecher
JPS5485610A (en) * 1977-12-20 1979-07-07 Nec Corp Automatic calling system
DE2808420A1 (de) * 1978-02-27 1979-08-30 Siemens Ag Verfahren zur abwicklung von funktionsablaeufen in einem zentralgesteuerten fernsprechvermittlungssystem, insbesondere in einer zentralgesteuerten fernsprechnebenstellenanlage mit vermittlungsplaetzen und mit zwischenspeichern und abrufen von gewaehlten kennziffern zwecks wahlwiederholung
US4232200A (en) * 1978-10-23 1980-11-04 United Networks, Inc. Dialing system
US4243845A (en) * 1979-01-22 1981-01-06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Repertory telephone dialing apparatus
US4324954A (en) * 1980-05-30 1982-04-13 Western Electric Company, Incorporated Dialing circuits and methods for electronic telephone sets
JPS5765052A (en) * 1980-10-09 1982-04-20 Nec Corp Automatic all controller
DE3047831A1 (de) * 1980-12-18 1982-07-1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ungsanordnung fuer eine fernsprechanlage, insbesondere fernsprechnebenstellenanlage, mit gezielt ansteuerbaren vermittlungsplaetzen
JPS57186866A (en) * 1981-05-13 1982-11-17 Toshiba Corp Redialing system
US4482786A (en) * 1982-02-22 1984-11-13 Metro-Tel Corp. Memory dialer system for use with plural telephones and having provision for stacking more than one user
US4485274A (en) * 1982-09-07 1984-11-27 International Communication Operations Research Sharing an automatic dialer among plural communication channels
JPS5972265A (ja) * 1982-10-18 1984-04-24 Nec Corp 自動再ダイヤル方式
JPS59154862A (ja) * 1983-02-23 1984-09-03 Nec Corp 発信接続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704690A1 (es) 1987-04-16
JPS62501531A (ja) 1987-06-18
CA1238966A (en) 1988-07-05
DE3570822D1 (en) 1989-07-06
WO1986003359A1 (en) 1986-06-05
EP0203147B1 (en) 1989-05-31
JP2574879Y2 (ja) 1998-06-18
ES549389A0 (es) 1987-04-16
KR880700578A (ko) 1988-03-15
JPH0720746U (ja) 1995-04-11
EP0203147A1 (en) 1986-12-03
US4602128A (en) 198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9834A (en) Inter-exchange carrier access
EP0491493B1 (en) Generalized telecommunications customer signaling arrangement
JP2956941B2 (ja) 構内電子交換機
EP0915608A2 (en) Call forwarding via a 2-line phone
KR930011205B1 (ko) 전화교환 시스템에서의 자동 다이얼링방법
US5966436A (en) Redialing method
KR100360226B1 (ko) 사설간이전자교환장치를이용한발신자전화번호의저장,조회및호출방법
US5555292A (en) Pabx with voice mail device
EP0531268A2 (en) Business communication number
KR100269766B1 (ko) 전화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방법
US5857015A (en) Automatic operator and last-number-credit
JP3289569B2 (ja) 簡易交換装置
KR820002130B1 (ko) 전화 가입자 장치
KR100713522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과금코드 자동 다이얼 방법
JPS62147854A (ja) コレクトコ−ルサ−ビス方式
KR900006776B1 (ko) 전자교환기에 사설교환기 수용시 착신가입자 회선의 제한적 호출처리방법
JPS60106259A (ja) 着脱可能な記憶媒体を使用する構内電話、デ−タ交換方式
JP2933607B1 (ja) Lcr方法、lcr装置及びlcrシステム
JPH01205653A (ja) 構内電話交換機のリモート短縮ダイヤル番号発信方式
JPH05327908A (ja) 短縮ダイヤルプラスダイヤリング方法及び交換装置
KR19990056146A (ko) 사설교환기에서 디사를 통한 단축다이얼링 방법
JPH0335645A (ja) ステップ自動ダイヤル方式
JPH02266692A (ja) トランク指定捕捉方式
JPS5975745A (ja) 自動交換機の着信応答方式
JPS6315558A (ja) 自動交換機の着信転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