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900B1 - 체인,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900B1
KR930010900B1 KR1019890005868A KR890005868A KR930010900B1 KR 930010900 B1 KR930010900 B1 KR 930010900B1 KR 1019890005868 A KR1019890005868 A KR 1019890005868A KR 890005868 A KR890005868 A KR 890005868A KR 930010900 B1 KR930010900 B1 KR 93001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ember
casing
female screw
male screw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571A (ko
Inventor
쥬지 고지마
간조우 이시이
후미오 누마구라
Original Assignee
니혼핫죠 가부시기가이샤
시미즈 미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핫죠 가부시기가이샤, 시미즈 미쯔오 filed Critical 니혼핫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9000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900B1/ko
Publication of KR90001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체인,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제1, 제2,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이다.
제4a, 4b, 4c도는 암나사부재의 단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이다.
제5도는 케이싱의 일부절개 측면도이다.
제6a , 6b도는 축받이 부재의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제7a, 7b, 7c, 7d도는 암나사부재의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제8a, 8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제9a, 9b도는 상기 타 실시예의 지지부재의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10도-제12도는 사이 타실시예의 스톰파부재이다.
제10a도는 단면도이다.
제10b도는 평면도 또는 측면도이다.
제13a, 13b도는 상기 타실시예의 축받이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제14a, 14b도는 상기 타실시에의 스페이스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제15도 및 제16도는 상기 타실시예의 축받이와 스페이서의 취부상태를 설명하는 요부사시도 및 요부단면도이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18도는 지지부재의 변형예를 표시한다.
제18a도는 중앙단면도이다
제18b도는 평면도이다
제18c도는 그 측면도이다.
제19도는 종래장치의 일부 파단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엔진의 켐샤프트를 구동하는 체인 혹은 타이밍벨트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긴장케하는 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에는 일반적으로 체인텐션너 또는 벨트텐션너로서 긴장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긴장장치는 체인이나 벨트가 늘어나거나, 마모되는 등으로 느슨해지는 경우에, 이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한방향으로 밀어 붙여 이들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제19도는 이와 같은 긴장장치의 종래예를 표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컷나사부재(2)와 암컷나사부재(3)이 나사결합되어 케이싱(1)내에 삽입되어 있다. 수컷나사부재(2)와 암컷나사부재(3)와의 결합은 수컷나사부재(2)의 전반부분에서 행하여지고 나사부재(2)의 후반부분에는 코일스프링(4)이 외삽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4)는 일단(4a)이 케이싱(1)내에 형성된 긴홈(1a)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타단(4b)이 수컷나사부재(2)의 스릿트 내에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수컷나사부재(2)에 회전력을 부여하고 있다.
한편 암컷나사부재(3)는 케이싱(1)의 개방단(좌단)에 취착된 축받이(5)내를 관통하고 있고, 그 선단(좌단)에는 캡(6)이 덮여있다. 암컷나사부재(3)가 관통하는 축받이(4)의 구멍은, 예로서 대면이 평행으로 삭제된 비원형(非圓形)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암컷나사부재(3)의 외형도 같은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암컷나사부재(3)는 축받이(5)에 의하여 회전이 구속되어 있고 수컷나사부재(2)로부터의 회전력은 암컷나사부재(3)의 추진력으로 변환되어 암컷나사부재(3)가 케이싱(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좌방향)으로 직진한다.
암컷나사부재(3)의 선단에는 캡(6)이 취착되어 이 캡(6)이 벨트, 체인 등을 항상 밀어 붙인다. 따라서 암컷나사부재(3)의 진출에 의하여 벨트, 체인이 일정 장력을 유지하여 작용하도록 되어있다.
그림중, 7은 케이싱(1)의 개방단을 커버링하는 신측가능한 브츠이다. 8은 케이싱(1)의 기단(우측)에 나합하는 밀폐볼트이다. 이들 브츠(7) 및 밀폐볼트(8)는 엔진내외로부터의 먼지등이 케이싱(1)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것과, 케이싱(1)내의 윤할유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수컷나사부재(2)가 암컷나사부재(3)와 나합하는 전반부분과 코일스프링(4)이 외삽되는 후반부분과를 필요로 하고있고, 이 수컷나사부재의 치수가 장치 전체의 치수를 결정하므로 결과로서 장치전체가 축방향에 길게되어 있다.
더구나 이 방향은 체인, 벨트 등의 장력을 조정하는 방향이고, 엔진등의 극히 좁은 장소에의 취착을 고려할 경우, 장치 전체의 치수가 짧은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결국 길어지므로 취착 스페이스상 치명적인 문제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치수의 단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수컷나사부재와 암컷나사부재와 코일스프링의 세부재를 직경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조합한 고안이 제안되어 있다(일본실용신안 공개공보 소62-115554).
이것은 수컷나사부재에 나사결합된 암컷나사부재를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회전시켜, 상기 나사결합부를 개재하여 수컷나사부재를 진출시키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수컷나사부재가 진출하도록 되어 있어 수컷나사부재는 축받이에 의하여 지지되어 직진운동하는 부분이 축받이 합치한 비원형단면으로 형성되어 수컷나사부재 자체의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컷나사부재는 그에 형성된 나사부(원형단면)가 축받이에 맞닿음 될때까지 진출가능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직진하는 수컷나사부재의 스트로우크이 원형단면의 나사부에 의하여 조지되므로 수컷나사부재의 스트로우크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없어, 장치전체의 단축화가 가능할지라도 체인, 벨트 등의 장력조절 길이가 작아진다. 이때문에, 조정가능 범위가 좁고, 실용성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장치가 긴 경우에는 엔진등에의 취착이 어렵고, 한편, 장치의 단축을 기도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스트로우크가 짧아져 장력조정 범위가 좁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소형화와 충분한 장력조정범위의 확보의 쌍방을 만족하는 체인, 벨트 등의 긴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요약하면 스프링으로 회전력이 부여되는 수컷나사부재에 나합한 암컷나사부재와, 암컷나사부재가 삽입되어 암컷나사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축받이 와를 구비하고, 암컷나사부재의 외형 형상이 축받이의 축받이공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암컷나사부재는 대략 전체길이가 축받이공을 스라이드 함이 가능하게되고, 장치의 장력조정 방향의 치수가 짧아져도, 암컷나사부재의 스트로우크 길이가 충분히 확보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벨트텐션너에 적용한 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그 좌, 우측면도이다. 엔진등에의 취차공(11a)이 외측에 형성된 케이싱(11)에 축방향의 공동부(12)가 형성되고, 이 공동부(12)내에 수컷나사부재(20), 암컷나사부재(30) 및 코일스프링(40)이 조합되어 있다. 수컷나사부재(20)는 선단측(좌단측)의 축부(21)가 암컷나사부재(30)내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기부측(우측)의 고정부(22)는 공동부(12)의 기단부에 형성된 요부(16)에 윗샤(15)와 같이 삽입되어 회전가능케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수컷나사부재(20)의 축부(21)는 외주전체에 나사부(23)가 형성된다. 한편, 암컷나사부재(30)는 수컷나사부재(23)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31)가 내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싱(11)의 선단부분(좌단부분)에는 축받이 부재(50)가 취착되어 있다.
축받이부재(50)는 제6도에 보는 바와 같이 전체가 대략 삼각별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 축받이공(51)이 개구되어 있다. 이 축받이공(51)에는 암컷나사부재(30)가 삽입된다. 또 축받이공(51)의 외측은 3방향으로 뻗어 뻗은 선단부분이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취착편(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취착편(52)는 케이싱(11)의 선단부분에 형성된 U자홈(13)내에 끼어넣어져 축받이부재(50)을 케이싱(11)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케이싱(11)의 선단에는 제5도와 같이 취착편(52)이 삽입되는 U자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취착편(5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될뿐 아니라 축받이공(51)의 형성면과 동일편면내에 외측으로 돌출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케이싱(11)과의 면압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축받이부재(50)의 두께를 두껍게함이 바람직하다.
또 취착편(52)의 형성개수는 제6도에 도시한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개수로 설계할 수 있으며 개수가 증가하면 그것만치 스프링(40)의 톨크를 미소조정할 수가 있다. 예로서, 취착편(52)을 3개 설치한(제6도) 경우는 최소의 조정각은 120。로 되지만, 이것을 6개로 할 경우는 최소의 조정각은 60。로 되어, 3개의 경우보다 미소조정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U자홈(13)은 취착편(52)의 개수에 따라 케이싱(11)에 설치하는 것은 물론이다. 축받이공(51)은 분실시예에서는 2개의 평행선에서, 이평행선의 대향하는 양단읍 연결하는 2개의 원호선과로 되는 거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컷나사부재(30)는 이축받이공(51)내에 삽입되어 회전구속 상태에서 스라이드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암컷나사부재(30)의 외형형상은 제4도에 보는 바와 같이 축부(33)가 평행으로 캇브되어 축받이공(5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암컷나사부재(30)의 거의 전체가 축받이공(51)에 삽통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에 의하여 암컷나사부재(30)의 스트로우크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암컷나사부재(30)의 기단부에는 큰 직경의 스토퍼플랜지(32)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프랜지(32)가 축받이부재(50)에 맞닿음으로 암컷나사부재(30)의 진출이 정지함과 동시에 빠짐방지가 되도록 되어 있다.
전기코일스프링(40)은 그 코일부에 암컷나사부재(30)에 외삽되어 있고 그 일단(41)이 케이싱(11)의 축방향에 절곡되어 케이싱(11)의 공동부(12)에 형성된 긴홈(14)내에 삽입되어 있다.
한편 코일스프링(40)의 타단(42)은 수컷나사부재(20)의 고정부(22)에 형성된 스릿트(24)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이하여 수컷나사부재(20)는 코일스프링(40)에 의하여 회전되고, 이 수컷나사부재(20)의 회전으로 암컷나사부재(30)가 직진운동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수컷나사부재(20)가 암컷나사부재(30)내에 삽입되고 암컷나사부재(30)가 코일스프링(40)내에 삽입된 3층구조에서는, 장치의 축방향의 길이, 즉 장력조정방향의 길이를 단축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하면 암컷나사부재(30)는 수컷나사부재(20)에 동측적으로 나사결합될 뿐이고, 암컷나사부재(30)를 받쳐주는 부분을 케이싱(11)의 공동부(12)의 저부에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치 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설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암컷나사부재(30)와 코일스프링(40)의 코일부와의 사이에는 원통형의 콜러(70)가 삽입되어 있다. 이콜러(70)는 텐션너로서의 본질적인 기능에는 하동 관계가 없음으로 반듯이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나 이것을 장착하므로서 코일부의 굴곡에 의한 암컷나사부재(30)에의 접촉, 깍임이 방지되어 암컷나사부재(30)의 스라이드가 일층 스므스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콜러(70)의 기단부는 수컷나사부재(20)의 고정부(22)의 외주측에 형성한 단부(25)에 끼어지고, 그리고 그 선단면은 축받이(50)에 맞닿아 그 지지가 행하여 진다. 또 본실시예에서는 전기 암컷나사부재(30)의 선단부에는 캡부재(71)가 끼어저 있고, 이 캡부재(71)의 선단부가 직접 혹은 다른부재를 개입하여 간접적으로 벨트에 맞닿토록되어 있다.
72는 캡부재(71)의 빠짐방지를 위하여 암컷나사부재(30)와 캡부재(71)과에 끼어넣어지는 스프링핀이다. 제1도중 60은 케이싱(11)의 선단면에 끼어진 스냅링이며, 축받이부재(50)의 버서남 방지작용을 한다.
61은 케이싱(11)의 선단부분을 덮는 커어버, 62는 커어버(61)에 기부가 접착된 브츠이며, 이들에 의하여 케이싱(11)의 선단부분에 덮여져 있다. 63은 브츠(62)의 버서남방지를 위한 환상부재이다.
또 케이싱(11)의 기부측에는 밀폐판(64), 워형(65)를 개재하여 밀페볼트(67)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기부측이 밀봉되어져 있다. 또 68은 케이싱(11)에 외측으로부터 빼내거나 끼어넣을 수 있도록 삽입된 스토퍼핀이며, 그 선단이 수컷나사부재(20)의 스릿트(24)내에 도달하도록 되어있다.
이 때문에 케이싱(11)의 기부측에는 스토퍼핀(67)이 삽통 가능한 탄성재로되는 밀폐부재(18)를 끼어넣은 요부(11C)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요부(11c)가 수컷나사부재(20)의 고정부(22)의 지지요부(16)과를 연통하는 스토퍼핀(68)의 통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스토퍼핀(68)이 끼어넣어진 상태에서는, 수컷나사부재(20)의 회전이 조지되어 진다. 또 본 실시예는 벨트텐션너로서 공기중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장치내부에는 윤활유가 봉입된다. 이 윤할유의 원할한 유동을 행하기 위하여 암컷나사부재(30), 축받이부재(50), 콜너(70)에는 정당히 기름구멍(6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름구멍(69)은 통공으로서 형성되는 것 뿐아니라 콜러(70)등의 단면에 절결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 캡부재(71)에 외부에 연통하는 공기배기공(73)이 형성되어 암컷나사부재(30)의 전퇴에 의한 브츠(62), 케이싱(11)의 내부의 용적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배기공(73)으로부터 윤할유가 새지않도록 캡부재(71)을 위로하여 사용된다.
공기배기공(73)은 캡부재(71)에 형성하지 않고, 스토퍼핀(68)의 통공(17)을 공기빼기공으로 겸용할 수 있다. 즉 스토퍼핀(68)을 빼고, 케이싱(11)의 요부(11c)내에 끼어넣어진 밀폐부재(18)을 빼내고 통공(17)을 공기빼기공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통공(17)로부터 윤할유가 새지않도록 통공(17)이 위로되도록 장치전체를 횡방향으로 하여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암컷나사부재(30)가 나사맞음된 수컷나사부재(20)에 콜너(70)를 끼우고 이상태에서 전체를 코일스프링(40)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이 코일스프링(40)의 타단(42)를 수컷나사부재(20)의 스릿트(24)에 계지시킨다.
그후 암컷나사부재(30)의 선단에 캡부재(71)를 붙이고, 암컷나사부재(30)의 축부(33)에 축받이부재(50)을 끼어 서브엇셈브리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이 서브엇셈브리를 케이싱(11)네에 삽입하고, 워셔(15)와 같이 수컷나사부재(20)의 고정부(22)를 케이싱(11)의 요부(16)에 받쳐 지지하고, 스냅링(60)으로 서브엇셈브리의 빠짐방지를 행한다.
이 스냅링(60)은 케이싱(11)은 선단부에 형성된 홈(11b)(제5도)에 끼어넣어진다. 그리고, 브츠(62)의 일단이 고착된 커버(60)을 코오킹 또 접착에 의하여 케이싱(11)의 선단부에 취착한 후, 환상부재(63)으로 브츠(62)의 타단을 캡부재(71)에 취착하여 케이싱(11)의 선단부분을 밀봉한다.
그후 케이싱(11)의 기부측으로부터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수컷나사부재(20)의 스릿트(24)내에 넣어, 수컷나사부재(20)를 회전시켜 코일스프링(40)을 감어 에너지를 축척시키고, 이 상태에서 스토퍼핀(68)을 넣어 회전조지를 행한다. 다시 케이싱(11)내에 윤할유를 주입한 후 밀폐볼트(67)에 의하여 밀봉한다.
이로서 장치의 조립이 완료되고, 엔진등에 고정하여 스토퍼핀(68)을 빼면 코일스프링(40)에 의하여 수컷나사부재(20)가 회전하여 암컷나사부재(30)가 진출하여 벨트를 압압하는 것이다.
제7도는 암컷나사부재(30)의 외형 형상의 변형예를 표시한다.
제7a도는 암컷나사부재(30)의 축부(33)가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그 일부가 직선상으로 절결되어 있다.
제7b도는 절결이 4개소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부(33)의 외형은 네모서리부분이 원호커브로된 대체로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7c도는 절결부가 3개소 형성되고 축부(33)의 외형이 거의 삼각형상으로 되어있다.
제7d도는 원호커브의 저력이 3개소에 형성된 것이다.
이들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축받이부재의 축받이공에 삽입되는 축부(33)의 외형형상이 비원형으로 되어있다. 암컷나사부배재(30)의 축부(33)가 4각형의 외형 형상을 가진 것으로 형성하여도 후방하다. 따라서 축받이부의 축받이공을 이들에 상응한 형상으로 하므로서 암컷나사부재(30)는 회전이 구속되고, 직진이동만을 행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는 벨트텐션너에 응용한 것이므로 케이싱 내부에 윤할유를 봉입하나, 오토바이의 엔진 등에 있어서 체인텐션너로서 정용할때는 엔진오일내에 침지된 상태로 착설되므로 상기 윤할유는 불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브츠가 불필요하므로 암컷나사부재(30)의 길이를 일층 짧게할 수 있고 이로서 장치의 조정방향의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가 있다. 제8a, 8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요소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수컷나사부재(20)의 고정부(22)를 워셔(15)로 바꾸어 유저원통형상의 지지부재(80)로 지지하도록 한 것, 콜너(70)를 구비하지 않은 것, 캡 부재(71)에 공기배기공(73)을 형성치 않고 밀폐구조로 한것, 커버(61)와 케이싱(11)과의 사이를 밀폐링(81)를 사용하여 밀봉구조로 한것, 스토퍼핀(68) 대신에 스토퍼부재(82)를 사용한것, 및 축받이부재(50)와 케이싱(11)과의 사이에 스페이서(83)을 개재시킨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며, 수컷나사부재(20)가 암컷나사부재(30)내에 삽입되고, 그리고 암컷나사부재가 코일스프링(40)의 내부에 삽입되어 3증구조로된 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지지부재(80)은 제9a, 9b도에 보는 바와 같이 전체가 강질재(剛質材)에 의하여 유저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저부(80a)로부터 통부(80b)가 세로 연설되어 있다.
통부 (80a)의 외경은 케이싱의 공동부(12)의 기단부에 형성된 요부(16)내에 끼어넣기 가능한 치수로 성형됨과 동시에 통부(80b)의 내경은 수컷나사부재(20)의 고정부(22)가 회전가능케 끼어넣어질 치수로 성형하는 것이다. 또 저부(80a)의 중앙부분에는 텐션너의 조립, 스프링(40)의 권상에 이용되는 구멍(80c)가 개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80)은 케이싱(11)의 요부(16)내에 끼어넣어저, 그 통부(80b)내에 수컷나사부재(20)의 고정부(22)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지지부재(80)는 케이싱(11)의 요부(16)와 수컷나사부재(20)의 고정부(22)와의 사이에 게재하여 수컷나사부재(20)가 케이싱(11)에 직접접촉함을 방지하여 수컷나사부재(20)의 회전에 의한 케이싱(11)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싱(11)을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혹은 합성수지 등의 경량재로 성형할 수 있어 경량화를 가능케 한다. 또 지지부재(80)의 통부(80b)가 수컷나사부재(20)의 고정부(22)의 외면을 덮히도록 뻗어있고, 지지력이 증대되어 있어 보다 일층의 안정된 회전 지지를 행할 수가 있다.
또 지지부재(80)는 독립한 부품이므로 케이싱(11)자체의 가공에 비하면 기계가공하는 것이 간단하고, 더욱이 구조가 간단하므로 정밀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수컷나사부재(20)의 안정회전에 적합한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이점이 있다.
이 지지부재(80)는 제18도와 같이 통부(80b)의 외주에 돌기(80d)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돌기(80d)는 통부(80b)의 외측에 통부(80d)의 상단연부로부터 하방(저부(80a)방향)에 따라 세로방향에 세장하게, 그리고 하방에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부재(80)를 케이싱의 요부(16)내에 밀어 넣으면 돌기(80d)가 요부(16)의 내주벽에 끼어들어 지지부재(80)의 회전을 조지하도록 형성되었으므로 적어도 1개 형성되면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61)는 제8b도에서와 같이 케이싱(11)의 외면에 설치된 홈(85)내에 설치된 밀폐링(81)에 의하여 밀봉구조로 붙여져 있다. 밀폐링(81)은 탄성체로되고, 홈(85)에 끼어넣어진 상태에서 커버(61)를 케이싱(11)에 착설하면 커버(61)내면 및 케이싱(11)외면에 밀착하여 이들 사이를 밀봉한다.
이와 같은 밀폐링(81)을 사용한 구조에서는 커버(61)와 케이싱(11)과의 사이의 기밀을 확실히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커버(61)의 착설부분의 기밀성 방지를 위한 고도의 치수정밀도의 필요도 없다. 이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부재(82)는 제8a, 8b도와 같이 외주전체에 합성수지 b를 코팅한 스프링판재 a를 좌우대칭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중앙의 누름부(82a)를 캡부재(71)의 정부에 맞닿게하고 그리고 개방단축에 대향하여 형성된 두계지부(82a)(82b)를 케이싱(11)의 취착공(11a)의 형성 부위에 계지 취작되어 있다. 상기 합성수지 b는 스토퍼부재(82)의 누름부(82a)가 캡부재(71)의 정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다.
이것은 피압압부재(도시치 않음)에 접촉하는 캡부재(71)의 선단부가 암컷나수부재(30)의 스토로우크와 더불어 접촉점이 밀려도 양호한 접촉상태를 유지하므로 원호상면 혹은 구멍으로 형성되나 이와 같은 면을 가지는 캡부재(71)의 선단에 스토퍼부재(82)의 평탄면을 맞닿게 되면 미끄러 벗어나기 쉽고 양호한 스토퍼기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스토퍼부재(82)의 미끄럼방지 수단의 다른예이다. 제10도 및 제11도의 스토퍼부재(82)는 스프링판재 a로 되고, 그 누름부(82a)의 대략 중앙부에 각각 구멍(82c) 및 외측에 돌출한 원호상요부(82d)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82c) 및 요부(82d)에 캡부재(71)의 정부의 일부가 끼어 계합되고, 이계합으로 상호의 미끄럼 방지가 행하여지므로 스토퍼부재(82)의 버서남 방지가 이르어진다.
제12도의 스토퍼부재(82)는 미끄럼 방지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 e를 누름부재(82a)의 캡부재(71)의 맞닿음 부위 및 계지부(82b)부근에 부분적으로 코팅한 것이다. 이 스토퍼부재(82)는 그 개방단축을 넓여 계지부(82b),(82b)의 계지상태를 해제하여 떼낼수가 있다.
이 스토퍼부재(82)는 케이싱(11)의 취착이 용이함과 동시에 암컷나사부재(30)의 추진을 안정상태로 로크(lock)할 수 있어 이송 및 저장시에 암컷나사부재가 불의로 진출하여 사용불능으로 되는 일이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축받이부재(50)와 케이싱(11)과의 사이에는 강질재로된 스페이서(90)가 끼어져 있다. 이때에 사용되는 축받이부재(50)에서는 제13도에서와 같이 중앙부분에 축받이공(51)이 형성됨과 더불어 외축부분에는 90도 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한 취착편(55)이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90)는 제14도와 같이 축받이부재(50)의 축받이공(51)에 연통하는 연통공(91)이 중앙부에 형성된 대략 원환형상으로 성형됨과 더불어 외축부분에는 ⊃자형으로 굴곡된 받침편(92)이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있다. 제15도 및 제16도의 취착상태와 같이 스페이서(90)는 케이싱(11)의 선단면과 축받이부재(50)와의 사이에 끼어지는 것으로 받침편(92)가 케이싱(11)의 U자홈(13)내에 끼어지도록 되어있다.
이 상태에서는 수컷나사부재(20)의 회전력이 작용하는 축받이부재(50)의 취착편(55)이 스페이서(90)의 받침편(92)에 포위되 취착편(55)와 케이싱(11)의 직접적인 접촉이 회피된다.
즉 암컷나사부재(30)를 개재하여 전달되는 수컷나사부재의 회전력이 축받이부재(50)의 취착편(55)에 작용하여도 취착편(55)와 케이싱(11)과의 직접 접촉이 없고, 취착편(55)의 압압력은 스페이서(90)의 받침편(91)에 의하여 받도록 되어 있다. 이로서 케이싱(11)에는 취착편(55)으로부터 회전력이 직접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취착편(55)의 접촉부분의 마모가 적게된다.
이는 케이싱(11)을 내마모성의 경질재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혹은 합성수지, 기타의 경량재로 형성하여도 충분히 사용에 견딜 수 있어, 케이싱(11)의 경량화와 재질선택의 자유도를 넓이는 이점이 있다. 또 제15도중 95는 축받이(50)의 일탈방지를 행하는 스냅링(60)이 끼어넣어진 홈이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는 제8도의 실시예의 커버(61)과 브츠(62)가 동일 소재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버부재(100)을 사용한 변형예이다. 즉, 제17도에서 커버부재 100은 원통형상의 커버부(101)과 이 커버부(101)에 연설 형성된 브츠부(102)로 되고, 이들은 고무등 탄성부재로 일체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커버부(101)및 브츠부(102)의 내면에는 각각 환상의 돌조(101a)(101a)및 (102a)가 형성되어 있고, 이돌조(101a)(101a) 및 (102a)가 케이싱(11) 및 캡부재(71)의 외면에 각기 형성됨 홈에 끼어넣어져 케이싱(11) 및 캡부재(71)와의 연결이 됨과 동시에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연결부위의 밀봉이 확보된다.
이와 같은 커버부재(100)은 커버와 브츠와를 별체로 구성하여 이들을 연결한 것에 비하여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싱(11)의 기부측의 밀봉은 밀폐볼트(67)의 대신으로 고무등의 탄성부재로된 밀봉전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케이싱(11)축에 나사부를 형성함이 없이 밀봉전에 형성된 환상리브등의 대경부가 계합하는 단부를 형성하면 되며 가공이 일층 용이하다. 이상 설명한바 본 발명은 벨트, 체인 등의 장력 조정을 행하는 암컷나사부재의 외형 형상이 그 회전을 구속하는 축받이공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하므로 암컷나수부재의 대략 전장이 축받이공내를 스라이드하고, 이 스트로우크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수컷나사부재의 스트로우크 길이를 히생함이 없이 장치의 길이를 축방향으로 단축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나사결합상태로 케이싱내에 취착되는 수컷나사부재 및 암컷나사부재와, 전기 수컷나사부재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전기 암컷나사부재의 회전을 구속함과 동시에 수컷나사부재의 회전으로 암컷나사부재가 축방향으로 진출하도록 암컷나사부재가 삽입되는 축받이와를 구비하고, 전기 수컷나사부재의 외측에 전기 암컷나사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이 암컷나사부재의 외측에 전기스프링이 설치되는 3층구조로 됨을 특징으로한 체인이나 벨트등의 긴장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암컷나사부재와 스프링과의 사이에 통상의 콜너가 설치된 체인이나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케이싱에 끼어넣어져 축받이의 회전을 구속하는 취착부를 가지는 체인이나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암컷나사부재의 외형 형상이 비원형(悲圓刑)으로 된 체인이나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수컷나사부재와 케이싱과의 사이에 수컷나사부재를 회전가능케 받쳐주는(支承)지지부재를 설치한 체인이나 벨트 등의 긴장유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암컷나사부재의 선단부에 맞닿아 암컷나사부재의 추진을 로크(lock)하는 스토퍼가 전기 케이싱에 떼고 붙임이 가능케 취착된 체인이나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축받이에는 수컷나사부재의 회전력에 대항하여 회전구속을 행하는 취착부가 전기 케이싱에 계합하도록 함과 더불어, 전기회전력이 작용하는 취착부와 케이싱과의 사이에 스페이서가 개재하여서된 체인이나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암컷나사부재와 케이싱과의 사이에 브츠에 피복되고, 이브츠의 단부가 케이싱에 취착된 켑에 접속되고, 이캡과 케이싱과의 사이에 밀폐링이 개재된 체인이나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전기 스토퍼에 있어서 암컷나사부재의 선단부의 맞닿음 부위에 그 선단부와의 미끄럼 방지를 하는 미끄럼 방지수단이 설치된 체인이나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KR1019890005868A 1989-05-01 1989-05-01 체인,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KR93001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868A KR930010900B1 (ko) 1989-05-01 1989-05-01 체인,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868A KR930010900B1 (ko) 1989-05-01 1989-05-01 체인,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571A KR900018571A (ko) 1990-12-21
KR930010900B1 true KR930010900B1 (ko) 1993-11-17

Family

ID=1928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868A KR930010900B1 (ko) 1989-05-01 1989-05-01 체인,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9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571A (ko) 199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9041A (en) Tensioner for a chain, a belt or the like
US100122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ably immobilizing an attachment to an external object
US6486843B2 (en) On-vehicle rod antenna device
US20020037782A1 (en) Driving unit and tensioner
EP3329136A1 (en) Apparatus for releasably immobilizing an attachment to an external object
KR930010900B1 (ko) 체인, 벨트 등의 긴장유지장치
JP4922487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を被覆するための予め組み立てられたベロー状構造体
US5030170A (en) Belt or chain tensioner for power transmitting system
JP3837595B2 (ja) テンショナー
JP2827030B2 (ja) テンショナー
JP2516409B2 (ja) テンショナ―
JPH01126461A (ja) チェーンやベルトの緊張装置
JP2547332B2 (ja) チェーンやベルトなどの緊張装置
JPH0276956A (ja) テンショナー
US6896486B2 (en) Water pump
US5037358A (en) Belt or chain tensioner for power transmitting system
JPH0379842A (ja) テンショナ
JPH03260441A (ja) テンショナー
US20210260731A1 (en) Tightening tool
JP4228359B2 (ja) テンショナー
JPH03260442A (ja) テンショナー
JPH03260444A (ja) テンショナー
KR200294991Y1 (ko) 차량용 보력장치
JP2521989Y2 (ja) テンショナー
JP3648839B2 (ja) 圧力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