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717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717B1
KR930010717B1 KR1019900006113A KR900006113A KR930010717B1 KR 930010717 B1 KR930010717 B1 KR 930010717B1 KR 1019900006113 A KR1019900006113 A KR 1019900006113A KR 900006113 A KR900006113 A KR 900006113A KR 930010717 B1 KR930010717 B1 KR 930010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verter
heat exchanger
compressor mot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702A (ko
Inventor
노부오 가와이
가즈아끼 가미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1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8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ing systems
    • F24D19/1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ing systems system using a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1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control
    • F24H15/176Improving or maintaining comfort of 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08Temperature of the air afte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54Room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45Control of fans, e.g. on-off control
    • F24H15/35Control of the speed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75Control of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75Control of heat pumps
    • F24H15/38Control of compressors of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4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 F24H15/414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electronic processing, e.g. computer-ba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4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 F24H15/486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6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n analogue comparing device
    • G05D23/191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n analogue comparing device whose output amplitude can take more than two discrete valu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0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에서 나타낸 구성의 제어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실내용 팬 풍량의 제어형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인버터출력의 제어형태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형태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형태를 비교하여 나타낸 타이밍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도설정기 2 : 실온센서
3 : 마이크로컴퓨터 4 : 실내용 팬 모터(FM)
5 : 실내열교환기 온도센서 6 : 인버터
7 : 압축기용 모터(CM)
본 발명은 일반적인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에서 공급된 전력을 받아서 전력 변환한 후, 부하에 공급하는 인버터 부착의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공기조화장치는 보통 냉동 싸이클에 설치된 냉매의 순환경로를 변환함으로서 냉방운전, 난방운전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종래 전술한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부를 조작해서 실내의 공조 목표 온도값을 설정하면 공기조화장치에 부착된 마이크로컴퓨터는 앞에서 설정된 공조 목표 온도값과 실온센서에서 출력된 실온검출값을 비교 연산하고 양자의 차에 입각해서 압축기용 모터의 회전수를 조정하고 인버터를 주파수 제어해 왔다.
즉 마이크로컴퓨터는 공조 목표 온도값과 실온 검출값과의 차가 큰, 소위 공조 부하가 큰때에는 압축기용 모터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공조 목표 온도값과 실온 검출값과의 차가 작은, 소위 공조부하가 작은때는 압축기용 모터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제어를 행해왔다.
그런데 전술한 구성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난방운전을 실시하고 있을때에 실온센서에서 출력된 실온검출값이 점차로 상승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공조 목표 온도값에 근접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압축기용의 회전수를 저하시켜야 하고 인버터를 주파수 제어한다.
그 때문에 이와같은 제어에 의해 압축기용 모터의 회전수가 저하하면 공기조화장치에서 실내로 토출된 토출풍의 온도가 저하하고 온도가 저하한 토출풍에 의해 사용자가 피부로 한기를 느끼는 일이 있어서 사용자가 불쾌감을 갖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해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조운전중에 실온검출값과 공조목표 온도값과의 차가 작게 된때에 압축기용 모터의 구동 능력을 저하시킴에 기인하여 실내용 팬에서의 토출풍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쾌적한 공조환경이 조성되고 특히 난방운전시에 실온검출값과 공조목표 온도값과의 차가 작게 된때에 압축기의 압축기의 구동능력을 저하시켰기 때문에 실내용팬에서의 토출풍의 온도가 저하하여 이른바 코울드 드래프트(cold draft)로 되어 사용자에게 한기와 불쾌감을 주는 일이없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장치는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는 압축수단 및 열교환수단과, 상기 열교환수단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수단과, 전원에서 공급된 전력을 받아서 이것을 전력 변환한 후 상기 압축수단으로 출력하는 전력변환수단과, 실내온도를 검출해서 출력하는 실온검출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에서 송출되는 공기의 온도 또는 상기 열교환수단의 온도를 검출해서 출력하는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실온검출수단에서의 출력과 미리 설정된 목표온도값에서 상기 압축수단의 온·오프를 결정해서 전력변환수단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압축수단이 온했을때 상기 온도검출수단에서의 출력에 입각해서 상기 압축수단을 제어해야 할 전력변환수단으로 출력하는 제1제어수단과, 상기 실온검출수단에서의 출력과 미리 정해진 목표 온도값과의 차이크기에 따라 상기 송풍수단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을 갖춘 구성으로 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제1제어수단은 실온검출수단에서의 출력과 미리 설정된 공조목표 온도값에서 압축수단의 온·오프를 결정해서 전력변환수단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압축수단이 온일때에는 온도검출수단에서의 출력에 입각해서 상기 압축수단을 제어할 전력변환수단으로 출력하게 하고 또 제2제어수단은 실온검출수단에서의 출력인 실온검출값과 미리 설정된 공조목표 온도값과의 차이 크기에 따라 상기 송풍수단을 제어하게한 것으로 실온검출값과 공조목표온도값의 차가 작게 된때에 압축기의 구동능력을 저하시킨 것에 기인하여 실내용 팬에서의 토출풍에 의해 사용하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는 쾌적한 공조환경이 실현된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로 이루어진다.
실내유니트는 예를 들면 리모트 콘트롤러(적외선 조사기)마다 온도설정기(1)를 설치하고, 실온센서(2), 마이크로컴퓨터(3), 송풍장치로서의 실내용 팬 모터(4)(도면에서 "FM"이라 칭함), 실내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부착된 실내열교환기 온도센서(5)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실외유니트는 인버터(6), 압축기용 모터(7)(도면에서 "CM"이라 칭함) 마이크로컴퓨터(도시하지 않음), 실외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등을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구성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실온센서(2)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검출해서 출력한다.
온도설정기(1)는 사용자에 의해 그 조작부가 수동조작됨으로써 공조목표온도값(Ts)은 나타내는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3)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5)는 실내유니트를 구성하고 있는 실내열교환기에 설치되고 이 실내열교환기의 온도를 검출해서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실내용 팬 모터(4)는 마이크로컴퓨터(3)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그 회전수가 제어되어 실내로 보내는 공기의 토출량이 가변 조정되도록 되어있다.
인버터(6)는 실내유니트축의 마이크로컴퓨터(3)에서 출력되어 실외유니트측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해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어 사용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주파수(Hz)를 가변조정한 후 압축기용 모터(7)로 출력한다.
마이크로컴퓨터(3)는 어느것도 소프트웨어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3)내에 실현되고 있는 온도차 산출수단(8), 실내용팬 회전수 제어수단(9), 온도비교수단(10), 인버터출력결정수단(11)을 가지고 있다.
온도차 산출수단(8)은 온도설정기(1)에서의 출력에 따라 설정된 공조목표온도값(Ts)과 온도센서(2)에서 출력된 실온검출값(Ta)을 입력하여 Ts와 Ta와의 차를 구해서, 구환 차이(Ts-Ta)를 실내용팬 회전수제어수단(9)으로 출력한다.
온도비교수단(10)은 온도설정기(1)에서의 출력에 의해 설정된 공조목표 온도값(Ts)와 실온센서(2)에서 출력된 실온검출값(Ta)을 입력하고 Ts와 Ta를 비교 연산하여 이 비교결과를 인버터 출력결정수단(11)으로 출력한다.
인버터 출력결정수단(11)은 온도비교수단(10)에서 출력된 Ts와 Ta와의 비교연산 결과와, 실내열교환기 온도센서(5)에서 출력되는 검출온도값(Tc)에 입각해서 압축기용 모터(7)를 제어할 실외유니트측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해 인버터(6)에 출력한다.
인버터 출력결정수단(11)은 온도비교수단(10)에서 출력된 Ts와 Ta의 비교연산결되에 입각하여 압축기용 모터(7)의 구동을 정지해야 한다고 판단한 때에는 실외유니트측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해서 인버터(6)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압축기용 모터(7)의 구동을 정지한다.
또 인버터 출력결정수단(11)은 온도비교수단(10)에서 출력된 Ts와 Ta의 비교연산결과에 입각하여 압축기용 모터(7)를 구동해야 한다고 판단할때에는 상기 열교환기 온도센서(5)에서 출력되는 검출온도값(Tc)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실내열교환기 온도값에 따라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를 구하고 이 구한 회전수로 압축기용 모터(7)를 구동하기 위해 인버터(6)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실내용 팬 회전수 제어수단(9)은 상기한 온도차 산출수단(8)에서 출력된 "Ts-Ta"의 값에 입각해서 "Ts-Ta"의 값에 대응하는 실내용 팬 모터(4)의 회전수를 구하고, 이 구한 회전수로 실내용 팬 모터(4)를 구동하기 위해 실내용 팬 모터(4)로 출력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의 제어동작에 주로 제2도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병용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 기재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가 난방운전을 실시하고 있을때이다.
사용자가 공기조화장치의 구동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3)는 그 제어동작을 개시한다.
먼저 실온센서(2)에서 출력된 실온검출값(Ta)과 온도설정기(1)에서 출력된 신호에 입각해서 설정된 공조목표 온도값(Ts)를 입력하고 Ts와 Ta의 값을 비교 연산한다(스텝 101).
스텝 101에 있어서 Ta〉Ts라고 판단한때는 실온검출값(Ta)이 공조목표 온도값(Ts)보다 큰것이므로 실내로 고온의 공기를 토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압축기용 모터(7)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실외유니트측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해 인버터(6)에 대해 오프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104).
한편, 스텝 101에 있어서 Ta〉Ts가 아니라고 판단한때는 상기 공조목표 온도값(Ts)과, 실온검출값(Ta)과의 차 "Ts-Ta"를 연산해서 실내용팬에서 실내로 토출되는 팬의 풍량을 결정하고 이 결정한 풍량이 실내용 팬에서 얻어지도록 실내용 팬 모터(4)의 회전수를 제어한다(스텝 102).
스텝 102에 있어서 실내용 팬에서의 팬 풍량의 제어형태는 예를 들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Ts-Ta의 값에 따라 영역①에서 나타나는 UH(울트라하이), 영역②에서 나타나는 H(하이), 영역 ③에서 나타나는 M(미들), 영역 ④에서 나타나는 L(로우), 영역 ⑤에서 나타나는 UL(울트라로우)로 구분된다.
스텝 102에 있어서 실내용 팬 모터(4)의 회전수 제어를 행함으로 전술한 바와같은 실내용 팬풍량의 제어를 행하면 실내열교환기 온도센서(5)에서 출력되는 검출온도값(Tc)에 입각하여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를 결정한다.
그래서 결정한 회전수로 압축기용 모터(7)를 구동하는 인버터(6)에서 압축기용 모터(7)로 공급되는 전력의 주파수(Hz)를 구하고 인버터(6)에서 앞에서 구한 주파수(Hz)의 전력이 압축기용 모터(7)로 공급되도록 인버터(6)를 제어한다(스텝 103).
스텝 103에 있어서 인버터(6)의 주파수 제어는 실내열교환기 온도센서(5)에서 출력되는 검출온도값(Tc)의 크기에 따라 예를 들면 제4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 ①, 영역 ②, 영역 ③에서 각각 나타낸 3형태로 분류된다.
즉 주어진 검출온도값(Tc)이 영역 ①에 대응해 있을때에는 상기 인버터(6)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주파수(Hz)를 일정시간(예를들면 5분간)마다 1스텝(예를 들면 5Hz)씩 저하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상기 검출온도값(Tc)이 영역 ②에 대응해서 있을때는 상기 인버터(6)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주파수(Hz)의 가변조정은 행하지 않는다.
또 상기 검출온도값(Tc)이 영역③에 대응해 있을때는 상기 인버터(6)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주파수(Hz)를 일정시간(예를 들면 5분)마다 1스텝(예를 들면 5Hz)씩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하게 된다.
제5도는 상기 제2도, 제3도, 제4도를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형태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어형태를 도시한 타이밍 챠트이다.
제5도의 곡선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열교환기의 검출온도값 (Tc)에 입각하여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를 가변조정한 결과 얻어지는 실내용 팬에서의 토출풍 온도(Tc)이다.
이곡선 ⓐ로 나타낸 실내용 팬에서의 토출풍 온도(Tc)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검출온도값(Tc)에 입각해서 인버터(6)에서 압축기용 모터(7)로 출력되는 전력의 주파수(Hz)를 제5도의 곡선 ⓔ로 나타낸 것처럼 제어함으로써 얻어진다.
한편 제5도의 곡선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온검출값(Ta)(제5도에서 곡선 ⓓ로 표시)과 공조목표 온도값(Ts)에서 양자의 차(Ts-Ta)의 크기에 따라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를 저하시켜야 할, 제5도의 곡선 ⓕ로 나타낸 바와같이 인버터(6)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주파수(Hz)를 제어한때 얻어지는 실내용 팬에서의 토출풍 온도이다.
상기 곡선 ⓐ와 곡선 ⓒ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Ts와 Ta와의 차가 작게 되어 공조부하가 작게된 경우에도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를 종래의 것에 비해 비교적 크게 가변조정한 결과 종래와 같이 실내용 팬에서의 토출풍 온도가 현저하게 저하하는 일이 없어지고 코울드 드래프트에 의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도 해소되었다.
또 실온의 상승에 따른 공조목표 온도값(Ts)과 실온검출값(Ta)과의 사이의 차가 일정값이하로 된시점,즉 예를 들면 제5도에 도시한 시간 t에서 팬탭을 저하시켜 이것에 의해 실내용 팬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제어방법도 생각된다.
이와같은 제어방법에 따르면 시간 t 이후는 실내용 팬에서의 토출풍 온도는 상기 곡선 ⓐ에서 나타낸 온도보다도 저하한다.
그러나 이 토출풍 온도의 저하를 종래기술에 따른 것보다도 높게 유지하도록, 즉 예를 들면 제5도의 곡선 ⓑ에 나타낸 바와같은 토출풍 온도로 되도록 실내용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면 쿠울드 트래프트에 의해 사용자가 불쾌김을 받지않고 또 실내용 팬의 회전수를 어느정도 저하시킴으로서 그 만큼 조화장치의 구동전력을 절약할수도 있고 에너지 절약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장치가 난방운전을 실시중에 실내열교환기 온도센서(5)에서 출력되는 검출온도값(Tc)에 입각해서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의 가변조정을 행하여 난방중은 항상 검출온도값(Tc)의 설정온도와 대략 동등의 고온토출풍이 얻어진다.
또 실온의 상승에 의해 실온검출값(Ta)과 공조목표 온도값(Ts)의 사이의 차가 일정한 이하로 된 시점에서는 실온검출값(Ta)에 입각해서 이 실온검출값(Ta)이 상승하면 실내용 팬 모터(40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제어를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검출온도값(Tc)에 입각한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제어와 연동시켜 이것에 의해 공기조화장치의 공조능력을 저하시켜 공조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또 실내용 팬 모터(4)의 회전수를 코울드 트래프트의 발생에 의해 사용자가 불쾌하다고 느끼지 않는 정도까지 저하 시킴으로써 공조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고 에너지 절약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조 목표 온도값(Ts)과 실온검출값(Ta)과의 비교연산에 입각해서 공기조화장치의 압축기용 모터(7)의 구동을 계속한 후는 실내열교환기 온도센서(5)에서 출력되는 검출온도값(Tc)에 입각해서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 제어를 행하도록 했으나 실내열교환기 온도센서(5)에서의 출력대신에 실내용 팬을 사이에 끼워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풍의 온도를 검출해서 출력하는 온도센서에서의 출력에 의해 상기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는 제어외에 이하 기재한 것과 같은 제어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실내용 팬에서 토출되는 토출풍의 풍량이 실내열교환기의 검출온도값에 의해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온 즉 실온검출값(Ta)의 상승에 동반해서 실온(Ta)이 공조목표 온도값(Ts)에 근접하면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가 저하하고, 이에의해 검출온도값이 저하하므로 따라서 실내용 팬에서의 토출풍이 풍량도 저하하게 되어 실내의 온도분포에 불균일이 생긴다.
여기서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면 실내용 팬에서의 토출풍의 온도가 45℃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토출풍의 온도가 45℃미만까지의 영역에서는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를 상승시켜서 토출풍의 온도가 45℃에 도달시키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소정의 토출풍량(예를 들면 L탭)으로 토출풍 온도가 45℃로 되도록 압축기용 모터(7)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상기 형태로 제어를 행한 경우와, 종래예를 비교하면 표 1 에 나타낸 것같은 난방느낌 평가예가 얻어진다.
[표 1]
난방느낌평가예
Figure kpo00001
전술한 제어형태 이외에도 공기조화장치가 고온의 토출풍을 실내로 토출하는 운전을 실시하고 있는때는 실온검출값(Ta)을 공조목표값(Ts)보다도 1℃~5℃시프트업하는 방법이나 마이크로컴퓨터(3)로부터 압축기용 모터(7)를 오프하기위한 신호가 출력된 때에도 실외유니트측의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신호에 의해 압축기용 모터(7)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최저의 주파수로 압축기용 모터(7)를 회전하는 방법도 생각된다.
전술한 2개의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난방느낌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수단이 온한때에는 온도검출수단에서의 출력에 입각해서 압축수단을 제어해야할 전력변환수단에 출력함과 동시에, 실온검출수단에서의 출력인 실온검출값과 미리설정된 공조목표 온도값과의 차의 크기에 따라 송풍수단을 제어하도록 한 것으로 실온검출값과 공조목표 온도값과의 차가 작게 된때에 압축수단의 구동능력을 저하시킨 것에 기인해서 송풍수단에서의 토출풍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쾌김을 주는 일이 없는 쾌적한 공조환경이 업어지고, 특히 난방운전시에 실온 검출값과 공조 목표값과의 차가 작게 된때에 압축수단의 구동능력을 저하시킨것에 기인해서 송풍수단으로부터 토출풍의 온도가 저하하여 소위 코울드 드래프트로 되어 사용자에게 한기와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냉동싸이클을 구성하는 능력가변의 압축기용 모터(7) 및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수단(4)과, 상기 능력가변압축기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6)와, 실내온도를 나타내는 제1온도신호를 출력하는 실온센서(2)와, 상기 송풍수단에서 송출되는 공기의 온도 또는 상기 열교환기의 검출온도값을 나타내는 제2온도신호를 출력하는 실내열교환기 온도센서(5)를 갖추고 난방운전 가능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온센서에서의 제1온도신호와 미리 설정된 공조목표 온도값을 비교하는 온도비교수단과, 상기 온도비교수단의 결과에 입각해서 상기 압축기용 모터의 온·오프를 결정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고, 또 압축기용 모터의 온의 기간에서는 상기 실내열교환기 온도 센서에서의 제2온도신호에 입각하여 상기 임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출력결정수단을 갖는 제1제어수단과, 상기 실온센서에서의 제1온도신호와 미리 설정된 공조목표 온도값으로부터 그 차를 산출하는 온도차 산출수단과, 이 온도차 산출수단에서 산출된 차에 따라 상기 송풍수단을 제어하는 실내용 팬 회전수 제어수단을 갖는 제2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수단의 실내용 팬 회전수 제어수단은 상기 온도차 산출수단으로 산출된 차가 일정값 이하로 된 때는 상기 송풍수단의 구동능력이 작게 되므로 제어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19900006113A 1989-04-28 1990-04-27 공기조화장치 KR930010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110415 1989-04-28
JP11014589 1989-04-28
JP??01-110145 1989-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702A KR900016702A (ko) 1990-11-14
KR930010717B1 true KR930010717B1 (ko) 1993-11-08

Family

ID=1452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113A KR930010717B1 (ko) 1989-04-28 1990-04-27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78318A (ko)
JP (1) JP2723339B2 (ko)
KR (1) KR930010717B1 (ko)
GB (1) GB2231692B (ko)
IT (1) IT124000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797B1 (ko) * 2005-03-28 2012-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US8661440B2 (en) 2007-06-26 2014-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elated tasks on multi-core proces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636B2 (ja) * 1988-04-30 1995-12-18 日立電線株式会社 光通信ケーブルのスペーサ製造装置
JP3167372B2 (ja) * 1991-10-11 2001-05-2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806140B2 (ja) * 1992-03-16 1998-09-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
US5477698A (en) * 1992-06-16 1995-1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ir conditioner
JPH0712390A (ja) * 1993-06-25 1995-01-17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07332740A (ja) * 1994-06-03 1995-12-22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
US5647533A (en) * 1995-05-23 1997-07-15 Carrier Corporation Run time criteria to control indoor blower speed
GB2320966A (en) * 1996-08-16 1998-07-08 Maxima Systems Ltd Control system for heating or air conditioning
US6282910B1 (en) 2000-06-21 2001-09-04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Indoor blower variable speed drive for reduced airflow
JP3742356B2 (ja) * 2002-03-20 2006-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ヒートポンプ給湯機
US6691524B2 (en) * 2002-03-29 2004-02-1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ressor speed
US7739882B2 (en) * 2006-02-28 2010-06-22 Dometic, LLC Variable speed control
US9599383B2 (en) * 2010-08-24 2017-03-21 Lennox Industries Inc. Fan motor controller for use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30036756A1 (en) * 2011-08-11 2013-02-14 Steven Wilfred Post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motor
JP2013185803A (ja) * 2012-03-12 2013-09-19 Panasonic Corp ヒートポンプ式温水暖房装置
US10371426B2 (en) 2014-04-01 2019-08-0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US10018392B2 (en) * 2014-06-09 2018-07-1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CN111121256A (zh) * 2020-01-06 2020-05-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空调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203167B (zh) * 2021-04-27 2022-07-2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N113803862B (zh) * 2021-09-07 2022-08-23 上海观照机电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的阀控制方法、空调系统、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6448A (en) * 1978-05-04 1979-11-15 Daikin Ind Ltd Air conditioner
JPS6012532B2 (ja) * 1980-10-13 1985-04-02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S5956032A (ja) * 1982-09-21 1984-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能力制御方法
JPS6124614A (ja) * 1984-07-13 1986-02-0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797B1 (ko) * 2005-03-28 2012-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US8661440B2 (en) 2007-06-26 2014-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elated tasks on multi-core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31692A (en) 1990-11-21
IT9020151A0 (it) 1990-04-27
JP2723339B2 (ja) 1998-03-09
KR900016702A (ko) 1990-11-14
US5078318A (en) 1992-01-07
IT9020151A1 (it) 1991-10-27
IT1240007B (it) 1993-11-27
JPH0375417A (ja) 1991-03-29
GB2231692B (en) 1993-06-16
GB9009553D0 (en) 1990-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717B1 (ko) 공기조화장치
US4795089A (en) Room air conditioner
JP2001280663A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24045899A1 (zh) 空调及其制冷控制方法
CN111306721A (zh) 空调器的控制方法及空调器
KR100327069B1 (ko) 공기조화기의제어장치
JP3011708B1 (ja)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方法
KR19990050333A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618072A (ja) 空気調和機
US4890545A (en) Air conditioner
KR100307228B1 (ko) 공기조화기의절전운전제어방법_
JP3785866B2 (ja) 空気調和装置
JPH07145982A (ja) 空気調和機
JPH10103739A (ja) 空気調和機
JPH10122626A (ja) 空気調和機
JPH0755223A (ja) 空調装置の運転制御方法
JPH05296548A (ja) 空気調和装置
JP3233657B2 (ja) 空気調和機
JPH05555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042964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224079B2 (ja) 空気調和機
JP2602005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1201149A (ja) 空気調和装置
CN117968196A (zh) 一种变频空调的舒适制冷控制方法
KR0168170B1 (ko) 공기조화기의 온도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