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380B1 -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하는 안정한 제올라이트 현탁액 - Google Patents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하는 안정한 제올라이트 현탁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380B1
KR930010380B1 KR1019900015974A KR900015974A KR930010380B1 KR 930010380 B1 KR930010380 B1 KR 930010380B1 KR 1019900015974 A KR1019900015974 A KR 1019900015974A KR 900015974 A KR900015974 A KR 900015974A KR 930010380 B1 KR930010380 B1 KR 930010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uspension according
succinoglycans
dispersant
zeo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124A (ko
Inventor
질 게랭
니뻬르 마갈리
Original Assignee
롱-쁠랑쉬미
마들렌-프랑스 파브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쁠랑쉬미, 마들렌-프랑스 파브르 filed Critical 롱-쁠랑쉬미
Publication of KR91000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11D3/1246Silicates, e.g. diatomaceous earth
    • C11D3/128Aluminium silicates, e.g. zeolites
    • C11D3/1286Stabilised aqueous aluminosilicate suspens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하는 안정한 제올라이트 현탁액
본 발명은 안정한 제올라이트 현탁액에 관한 것이다.
세제에 제올라이트를 사용함은 공지의 사실이다. 특히, 세제의 포스페이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올라이트로 대체한 이후 발전되어 왔다. 실제, 포스페이트는 물의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어 생태학적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제올라이트는 분무될 수 있는 세제 슬러리에 도입될 수 있도록 제올라이트는 수성 현탁액 또는 슬러리의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올라이트 현탁액은 침강되거나 겔화하는 경향이 있어, 수송이나 저장하기가 어렵다. 실제로, 수송을 끝낼 무렵 또는 다소 오랜시간을 저장한 후에 유체이기는 하나 고체상태로는 조악한 슬러리가 경질의 안료층을 덮고 있음을 매우 흔히 관찰할 수 있다.
더욱이, 통상적으로 제올라이트를 재현탁시키거나, 펌핑(pumping)하여 공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점도가 충분히 낮은 슬러리를 수득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면에 실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전혀 침강되지 않거나 수일동안 저장한 후에도 거의 침강되지 않는 안정한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수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안정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펌핑할 수 있도록 공업적 용도에 적당한 점도를 가지고 있는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수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현탁액은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며 또한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제올라이트 현탁액은 실리코네이트 및/또는 그의 유도체인 분산제를 함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제올라이트 현탁액은 또한 실리콘 수지인 분산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기술하는 특정하지만 제한되지 않은 실시예를 통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구성 내에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는 천연적인 또는 합성된 결정, 비결정 및 혼합된 결정/비결정 제올라이트를 포함한다.
물론, 세척수를 단물화시킬 수 있도록 이들을 칼슘 및/또는 마그네슘 이온과 충분히 빨리 반응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평균 주요 입자지름이 0.1 내지 10㎛이며 유리하게는 0.5 내지 5㎛이고, 이론적인 양이온 교환능이 무수생성물 1g당 CaCO3가 100mg이상, 바람직하게는 200mg이상인 잘게 분쇄한 제올라이트를 사용한다.
A, X 또는 Y형 제올라이트와 더욱 특별히는 4A와 13X를 사용한다. 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제2 225 568호, 제2 269 575호 및 제2 283 220호의 생성물과 이들이 나타내는 바를 반영하여, 본 발명의 구성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올라이트를 실시예를 통해 언급할 수 있다.
본 출원인 명의의 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제2 376 074호, 제2 384 716호, 제2 392 932호 및 제2 528 722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한 제올라이트와 이것이 나타내는 바를 또한 본 발명에 반영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용액 1리터당 제올라이트 표면적에 대하여, 속도 상수가 0.15ℓ/s.㎡,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이며 유리하게는 0.4 내지 4ℓ/s.㎡인 제올라이트에 대하여 특별히 언급하였다. 이러한 제올라아트는 세정에 사용될 때 특히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2 392 932호에서는, 나트륨 실리케이트 용액을 벤츄리의 축으로 주입하고, 한편 나트륨 알루미네이트 용액을 수득한 혼합물을 재순환시키는 같은 벤츄리에 동축으로 주입하는 것으로 구성된 방법에 의해 수득한 제올라이트를 나타내었음에 주목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식의 제올라이트가 수득되며 입자크기 분포는 평균 지름에 대하여 95%〈10㎛, 99%〈15㎛, 50%=2∼6㎛인 분포를 가지고 있다.
x Na2O, y Al2O3, zSiO2, wH2O
(이 식에서, y=1, x=1, z=1.8∼2이며 w=0∼5이다)
현탁액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제올라이트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세정시, 이의 농도는 통상적으로 40 내지 51%이다. 현탁액의 pH도 또한 용도에 따라 다르다. 세정의 용도시, 건조 제올라이트 1중량%에 대해 표시되는 pH는 약 11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숙시노글리칸은 제올라이트 현탁액용 안정화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안정화제 때문에, 수일간의 저장 후에도 침강되지 않거나 재현탁이 용이할 정도로 약간의 침강이 있는 현탁액이 수득된다. 숙시노글리칸은 숙신산과 당으로서 갈락토오스와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폴리사카라이드이다.
통상적으로 숙시노글리칸은 다음과 타입의 균주 또는 재조합체 혹은 돌연변이체가 동화할 수 있는 한가지 이상의 탄소원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발효시켜 수득한다 :
- 슈도모나스(Pseudomonas), 특히 NCIB 11592 유래
- 리조븀 멜리로티(Rhizobium meliloti), 특히 U-27, 1021, SU-27, SU-4, SU-231, SU-225, SU-256, K24(R13), A148(R15) 또는 J 7017 유래
- 리조븀 트리홀리어(Rhizobium trifolii), 특히 J-60W 유래
- 점액 유발 변종인 알칼리제네스 화에칼리스(Alcaligenes faecalis), 특히 10C3, 22-33유래
- 애그로박테륨 라디오박터(Agrobacterium radiobacter), 특히 IFO 13533 유래
- 애그로박테륨 리조제네스(Agrobacterium rhizogenes), 특히 IFO 13259 유래
-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특히 IFO 3058, A-8 또는 A-10유래
바람직하게는, 전이온도을 지난후, 고유점도가 14000ml/g 이상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500ml/g 이상인 군으로 부터 숙시노글리칸을 선택한다. 이 고유점도는 환산 비점도 곡선의 제로 농도까지의 외삽법에 의해 결정한다.
본 발명의 구성내에서 매우 다양한 생성물의 군은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I-736 균주, 이의 재조합체 또는 그의 돌연변이체로부터 수득한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알아 내었다.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균주는 부다페스트 조약에 따라 1988년 3월 1일에 수탁번호 1736으로 기탄기관(National Collection of Microorganism Cultures : CNCM)에 기탁되어 있다. 이 균주는 기탁기관(National Collection of Phytopathogenic Bacteria : CNBP)으로부터 온것이며 미생물 도서관의 1974분류 목록에 CNBP 291로 실려있다.
순수한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Ⅰ-736 배양액은 26 내지 32℃, 더욱 통상적으로 28 내지 32℃의 온도에서 배양된 경사진 겔로스 튜브 내에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와 특히 MY한천 및 베네트(Bennett)한천을 기초로 한 배지에서, 조성은 하기와 같으며, 20시간 후 슬랜트의 모두를 덮고 있는 세균의 뮤코이드 매트를 관찰할 수 있다.
다음의 보존 배지는 특히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Ⅰ-736를 배양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고려된다 :
- MY 한천 배지(g/ℓ)
대두 펩톤 5
효모 추출물 3
맥아 추출물 3
글루코오스 10
한천 20
- TGY 한천 배지(Pasteur Institute 제조)(g/ℓ)
펩톤 5
효모 추출물 2.5
글루코오스 1
한천 20
- 베네트(Bennett) 한천 배지(g/ℓ)
펩톤 1
고기 추출물 1
NZ 아민 AR2
(Sheffield Chemical 제조)
글루코오스 10
한천 20
- TS 한천 배지(Bio-Me'rieux 제조)(g/ℓ)
바이오트립카제 17
바이오소야제 3
K2HPO4 2.5
NaCl 5
글루코오스 2.5
한천 20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Ⅰ-736 균주는 또한 예를들면, MY한천 배지 또는 TGY한천 배지 상의 페트리디쉬에서 배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콜로니는 24 내지 30시간 후에 관찰할 수 있으며 48시간 후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 크기 : 직경 2 내지 3mm
- 벌깅(bulging)이 거의 없는 매끄러운 외관
- 매우 옅은 황갈색
- 측면에 콜로니는 없으며 페트리 디쉬에는 슬랜트보다 뮤코이드가 적다.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Ⅰ-736 균주는 다음과 같은 당을 사용할 수 있으며,
- 글루코오스
- 슈크로오스
- 가수분해 전분
천연 전분과 락토오스가 적당하기도 하다.
바람직한 당은 글루코오스와 슈크로오스이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각각의 몰비가 통상적으로 5∼8/1∼2/0.5∼2/0.5∼2/0.05∼2이며 바람직하게는 6∼7.5/1∼1.15/0.5∼1/10.5∼1/0.05∼0.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1/0.5∼1/0.5∼1/0.05∼0.1인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및 피루브산, 숙신산 및 아세트산 또는 이들산의 염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함유하는 균주로 부터 숙시노글리칸을 수득하였음을 보여줄 수 있다.
피루브산, 숙신산 및 아세트산은 통상적으로 나트륨, 칼륨, 칼슘 또는 암모늄염과 같은 염의 형태이다. 상기에 명시한 경험식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숙시노글리칸의 기본적인 분석방법은 숙시노글리칸을 가수분해한 후 구성원소(당과 산)를 측정하는 것과 내적 또는 외적 표준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당의 측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다 : 100mg의 숙시노글리칸을 3 내지 6시간동안 105℃에서 5ml의 1몰 농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의해 완전히 밀봉한 튜브 내에서 가수분해한다.
이 조작후 증발로 건조시키고 내부 표준으로서 15mg의 소르비톨을 함유하는 5ml의 피리딘내에 건조된 잔류물을 취한후 0.9ml의 헥사메틸디실라잔에 의해 1ml의 피리딘 용액상에서 실릴화 시킨다. 실릴화는 0.1m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의해 촉매된다.
당의 측정은 F.I.D. 검출을 사용하여, 길이가 25m이며 직경이 0.25mm이고 필름의 두께가 0.14㎛인 메틸실리콘상으로 덮혀있는 유리 모세관 상에서, 기체상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한다. 사용되는 캐리어 기체는 수소이며 유속은 2ml/분이다.
피루브산의 측정은 105℃에서 1시간동안 5ml의 4N염산으로 80mg의 숙시노글리칸을 가수분해하여 수득한 모용액으로 부터 시작하여, (내부 표준을 구성하고 있는) 2mg의 케토글루타르산을 첨가한 후 증류수로 25ml로 맞춘다.
측정은 직경이 5㎛인 C18그래프트 실리카로 덮혀있으며, 길이가 250mm이며 직경이 4.6mm인 컬럼을 사용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픽(HPLC)로 수행한다. 사용되는 용리제는 0.02M 인산과 아세토니트릴의 50/50부피의 혼합물이다. 유속은 1.5ml/분이다.
피루브산은 375㎚에서 자외선으로 검출한다. 숙신산의 측정은 피루브산의 측정에 사용되었던 것과 같은 조건하에서 숙시노글리칸을 가수분해한 후 수행된다. 측정은 외부 표준을 사용한 직접적인 것이다. 사용되는 숙신산의 표준 용액은 25ml의 물에 8mg의 숙신산을 함유한다.
바이오라드R(BIORADR)로 부터의 아미넥스(Aminex) HPX87HR컬럼 상에서 다시 HPLC를 행한다. 용리제는 0.01N 황산이며 유속은 0.8ml/분이다. 숙신산은 굴절계로 검출한다.
아세트산의 측정은 120℃에서 3시간 동안 5ml의 4N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300 내지 350mg의 숙시노글리칸을 가수분해한 후 수행된다. 내부 표준으로서 30mg의 프로피온산을 가하고 F.I.D. 검출을 사용한 기체상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을 행한다.
80 내지 100메쉬의 크로모소브(chromosord)GR(AW DMCS)에 흡수된 5% FFAP상과 1% 인산으로 채워진 길이가 2m이며 직경이 3mm인 유리칼럼을 측정에 사용한다. 캐리어 기체는 유속이 30ml/분인 헬륨이다.
통상적으로 상기에 기술한 군의 숙시노글리칸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 :
1. 이들의 고유점도는 3000 내지 25000ml/g이며 더욱 특별히는 14000 내지 25000ml/g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24000ml/g이다.
명시된 고유점도(η)는 후긴스(Huggins) 방정식
(이식에서, k'는 1차 뉴톤 플래토우에서의 후긴스 상수이다)를 사용하여 환산점도의 제로 농도까지의 외삽법으로써 측정한다.
-η은 뉴톤 플래토우에서의 용액의 점도이다.
-η°은 용매의 점도이다.
C는 숙시노글리칸의 농도이다.
비점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
0.1M NaCl 수용액에 0.2g/ℓ의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하는 모용액을 제조한다.
0.1M NaCl 수용액으로 모용액을 희석하여 농도가 0.03 내지 0.1g/ℓ인 숙시노글리칸 함유 용액을 제조한다.
23℃에서 저전단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을 행한다.
비점도 곡선을 농도의 함수로서 플롯하고 제로 농도까지 외삽한다.
2. 빛의 확산으로 측정한 숙시노글리칸의 분자량은 통상적으로 6×106내지 10×106이며 바람직하게는 6.5×106내지 9.5×106이다.
3. 이들 숙시노글리칸은 또한 증류수 내의 용액에서 매우 우수한 흐름 성질을 나타내며 특히 저농도에서 이들 성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25℃에서 증류수 내에 이러한 형의 숙시노글리칸을 0.1중량% 함유하는 용액은 24시간 후 점도가 400mPa.s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400 내지 700mPa.s이고 ; 점도는 저전단 점도계를 사용하여 1s-1의 속도구배로 측정한다.
이와 비슷하게도, pH1.7과 25℃에서,이들 숙시노글리칸을 0.2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은 24시간 후 점도가 1000 내지 2500mPa.s이며 더우 구체적으로는 1400 내지 2000mPa.s이고; 점도는 저전단 점도계를 사용하여 1s-1의 속도구배로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80℃에서 24시간후 증류수 내의 숙시노글리칸 0.2중량% 용액은 통상적으로 점도가 500 내지 2500mPa.s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000 내지 2000mPa.s이고, 점도는 저전단 점도계를 사용하여 1s-1의 속도 구배로 측정한다.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I-736 균주로부터 수득한 숙시노글리칸은 하기에 좀더 자세히 기술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같이, 이들 숙시노글리칸은 상기에 언급한 균주에 의해 동화 가능한 하나 이상의 탄소원을 함유하는 배지를 발효시켜 수득한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I-736 균주를 이 배지에 접종한다.
발효 배지의 부피가 크다면, 예비 배양한 액체 배지에 접종된 접종 배지를 사용하여 접종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예비 배양액은 미리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I-736의 순수 배양액 그 자체를 접종한 것이다.
사용되는 접종 배지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배지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무기성의 배지가 유리하다. 언급한 예비 배양 배지의 예로는 YM bioth DIFCO 07101호 배지이며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성분으로 제조된 배지이다 :
- 대두 펩톤 5g/ℓ
- 맥아 추출물 3g/ℓ
- 효모 추출물 3g/ℓ
- 글루코오스 또는 슈크로오스 10g/ℓ
이 배지의 pH는 7 내지 7.2이며 수정하지 않는다. 글루코오스, 슈크로오스, 가수분해 전분 및 선택적으로 락토오스 또는 천연적인 전분과 같은 당뿐 아니라 이들 당의 혼합물은 배양 배지의 구성 성분인 유기 탄소원으로서 언급할 수 있다. 글루코오스가 슈크로오스가 바람직한 당이다. 발효 배지 내의 유기 탄소원의 농도는 1 내지 100g/ℓ이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g/ℓ이다.
동화가능한 탄소원 이외에, 발효 배지는 하나이상의 질소원, 바람직하게는 유기 질소원, 및 선택적으로 하나이상의 무기염을 함유할 수 있다.
카제인 및 카제인네이트, 가수분해 어류 생성물, 밀가루, 옥수수 가루 또는 콩가루, 효모 추출물(빵 효모, 맥주 효모, 락틱 효모...), 가용성 건조 증류물, 감자 단백질, 콘 스팁 리쿼(corn steap liquor : CSL) 및 CSL을 희석한 후 원심분리, 청정화 또는 침강시켜 고체 입자를 제거한 CSL의 가용성 성분들을 유기 질소원으로서 언급할 수 있다. CSL과 더욱 특별히는 CSL의 가용성 성분들이 본 발명의 구성 내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된다.
발효 배지 내에서 유기 질소원의 농도는 3 내지 80g/ℓ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g/ℓ이다.
황산마그네슘, 황산망간, 황산아연 또는 황산철과 같은 황산염, 탄산칼슘과 같은 탄산염, 수용성 칼슘염 및 인산칼륨 또는 인산나트륨과 같은 인산염을, 발효배지에 선택적으로 도입되는 무기염으로서 언급할 수 있다.
발효 배지 내의 이들 무기염의 각 농도는 0.01 내지 5g/ℓ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g/ℓ에서 변할 수 있다. 발효 배지는 또한 비타민과 뉴클레오라이드 뿐만 아니라 흔적성 코발트염 및/또는 몰리브데늄염과 같은 올리고 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발효는 심부 통기 조건하에 25 내지 35℃에서,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2℃에서 1 내지 4바의 압력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발효 배지의 pH는 5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일 수 있다. pH는 경우에 따라, 수산화나트륨 용액 또는 수산화 칼륨용액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혹은 황산, 인산, 염산 또는 질산과 같은 산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발효 탱크 또는 용기에 있는 발효 배지는 유리하게는 교반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교반은 예를 들면, 역 진탕기, 선회식 진탕기, 이동 교반기 또는 버블 컬럼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발효 시간은 일반적으로 30시간 이상이나 통상적으로 40 내지 90시간이다. 발효 수율은 통상적으로 사용된 탄소원에 대하여 생성된 숙시노글리칸이 40중량% 이상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55 내지 75중량%이며, 매우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75중량%이다.
숙시노글리칸은 발효 배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행하기 위하여, 유리하게는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하는 발효 맥아즙을 80 내지 120℃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와 같은 열처리를 행한 맥아즙의 pH는 6 내지 8이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경우에 따라 염기 또는 산을 사용하여 pH를 조정할 수 있다. 염기와 산은 발효 배지의 pH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한 상기에 언급한 염기 및 산으로 부터 선택할 수 있다.
발효가 끝날 무렵 맥아즙으로부터 숙시노글리칸의 회수는 물과 섞이는 유기액체를 사용하여 여기에 불용성이거나 실제적으로 불용성인 숙시노글리칸을 침전시켜 수행할 수 있다. 아세톤 및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tert-부탄올과 같은 알코올 본 발명에 따른 적당한 유기 액체로서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내에서는 이소프로판올이 특히 더욱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유기 액체의 부피는 통상적으로 처리되는 맥아즙 부피의 2 내지 3배이다. 유기 액체에 의한 숙신산의 침전은 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또는 인산나트륨, 황산칼륨, 염화칼륨 또는 인산칼륨, 혹은 황산칼슘, 염화칼슘 또는 인산칼륨과 같은 염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일단 침전된 숙시노글리칸은 여과, 원심분리 또는 드레이닝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수득한 섬유는 예를들면, 아세톤 또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혹은 tert-부탄올과 같은 알콜을 사용하여 탈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탈수 조작을 행하는데 필요한 알콜의 중량은 일반적으로 처리될 섬유 중량의 1∼10배이다. 탈수된 섬유는 새로운 여과, 원심분리 또는 드레이닝 조작을 거친다. 섬유를 건조, 분쇄 및 스크린하여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좀더 순수한 분말을 수득하기 위해서, 발효 맥아즙 또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사용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수득한 분말로부터 재구성된 수용액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당한 효소로는 프로테아제, 무타나제, 리포프로테아제, 셀룰라제 및 키티나제를 언급할 수 있다.
효소적 정제를 여과 또는 투석 혹은 각종 크로마토그래피법과 같은 물리적 정제법과 함께 사용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정제 처리를 행하였거나 또는 행하지 않은 재구성된 숙시노글리칸 수용액 및 발효 맥아즙을 농축할 수 있다. 농축은 몇몇 경우에 유리하여, 특히 이러한 방법으로 수송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기, 농축 용액은 분말보다 훨씬 신속하게 사용될 수 있다. 농축은 증발 또는 한외여과 혹은 투석여과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내에서, 숙시노글리칸은 고체형으로, 분말 또는 수용액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숙시노글리칸은 통상적으로 현탁액에 대하여 0.001 내지 2중량%이며 0.01 내지 0.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형의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현탁액이 특히 안정하다. 그러나, 이들의 점도를 감소시키고, 실제로 취급과 펌핑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분산제를 혼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 분산제는 실리코네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한다. 실리코네이트는 공지의 생성물이며 실리콘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염이다. 특히 언급할 수 있는 생성물은 일반식(Ⅰ)에 상응하는 것 및/또는 이의 축합 생성물이다.
R-Si(OM)m(OH)3-m(1)
(이 식에서, R은 일반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의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필요하다면 할로겐원자 또는 아미노, 에테르, 에스테르, 에폭시, 메르캅토, 시아노 또는(폴리)글리콜기로 치환되며; m은 0.1 내지 3의 정수 또는 분수이며; M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혹은 포스포늄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은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더욱 특별히는 탄소수 1 내지 6이다. 더욱 자세히는, R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또는 이소부틸과 같은 알킬 라디칼 ; 비닐과 같은 알케닐 라디칼; 페닐 또는 나프틸과 같은 아릴 라디칼; 벤질 또는 페네틸과 같은 아릴 알킬 라디칼 ; 톨릴 또는 크실릴과 같은 알킬아릴 라디칼; 또는 비페닐릴과 같은 아르아릴 라디칼이 있다.
M으로는 나트륨 또는 칼륨을 언급할 수 있으며, 더욱 특별히는 N+R'4및 P+R'4의 기(이 식에서,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 라디칼이다.)가 있다.
알칼리 금속 실리코네이트가 더욱 특별히 사용된다. 알칼리 토금속 실리코네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비슷하게, 특히 알킬 실리코네이트와 나트륨 메틸실코네이트 또는 칼륨 메틸실리코네이트와 같은 알킬리 금속 알킬 실리코네이트를 특별히 사용한다.
또한, 일반식(1)의 실리코네이트(이 식에서, R은 비닐 또는 페닐 라디칼이다.) 및 더욱 특별히는 이러한 형의 알칼리 금속 실리코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실리코네이트는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생성물임을 주목해야 한다.
이들은, 예를 들어, 할로겐 원자 또는 알콕시 라디칼과 같은 가수분해 가능한 3개의 기를 가진 상응하는 실란을 가수분해한 후, 실리콘 원자당 염기 1당량 이상의 비율의 무기 강염기 용액에 수득한 생성물을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참고예. US-A-2,441,422 및 US-A-2,441,423.)
언급할 수 있는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이러한 형태의 실리코네이트의 예로는 특히, 로도르실 R 실리코네이트 51T(RHODORSILRSILICONATE 51T ; 본 출원인 시판)가 있으며, 이는 칼륨 메틸 실리코네이트이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같이, 분산제는 또한 실리코네이트 유도체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도체 생성물이란 특히 상기에 기술한 일반식(Ⅰ)에 상응하는 생성물 또는 규소 화합물 혹은 중합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시켜 수득된 생성물의 축합 생성물인 것으로 이해한다.
예를 들어, 알칼리금속 알킬 실리코네이트는 특히 이산화탄소의 작용 또는 다른 산화제의 작용으로, 폴리알킬실옥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 실리콘 수지는 본 발명에 적당한 분산제의 두번째 형태로서 언급할 수 있다.
이들 실리콘 수지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공지의 측쇄 유기 폴리실옥산 중합체이다. 이들은, 분자당, 일반식 R3SiO0.5(단위 M), R2SiO(단위 D), RSiO1.5(단위 T) 및 SiO2(단위 Q)로부터 선택한 두가지 이상의 다른 단위를 가지고 있다.
라디칼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 라디칼, 좀더 특별히는 탄소수 1 내지 6의 라디칼로부터 선택한 것이며, 비닐, 페닐 및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 있는 알킬 라디칼 R로는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tert-부틸 및 n-헥실라디칼이 있다. 이들 수지는 통상적으로 히드록실화 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히드록실기의 함량은 0.1 내지 10중량%이다.
언급할 수 있는 수지의 예로는 MQ수지, MDQ수지, TD수지 및 MDT수지가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분자량이 25,000 미만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로도르실(RHODORSIL) 865A 또는 878A의 이름으로 시판되고 있는 생성물이 이러한 형태의 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내에서, 두가지 이상의 실리코네이트 또는 유도체 혹은 수지를 현탁액 내에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실리코네이트는 통상적으로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된다.
사용되는 실리코네이트의 양은 제올라이트의 비표면적의 함수이다. 이 양은 현탁액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01 내지 2중량%이며, 더욱 특별히는 0.05 내지 0.3중량%이다. 이 양은 물 내의 실리코네이트 또는 유도체의 50% 용액에까지 확대된다.
수지는 고체상태 또는 수성 에멀션 혹은 유기 용매내의 에멀션 또는 용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양은 현탁액에 대하여 고체 생성물이 0.01 내지 2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0.05 내지 0.3중량%이다.
상기에서 정의한 실리코네이트 또는 유도체 및 수지의 사용 효과는 제올라이트 현탁액의 점도를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는 또한, 55% 이상으로 고체의 함량이 높은 안정한 현탁액을 수득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공지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 이들 분산제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실리코네이트,이들의 유도체 또는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분산제는 비이온계 또는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카르복실기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 유기중합체화합물 및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알킬렌 옥사이드를 지방족 또는 알킬-방향족인 유기화합물과 축합 반응시켜 수득한 화합물이다.
특히 "플루로닉스(PLURONICS)"형으로서, 폴리옥시에틸렌화 알킬페놀, 폴리옥시에틸렌화 지방족 알콜, 카르복실 아미드와 폴리옥시에틸렌화 및 폴리옥시프로필렌화 알콜을 특별히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예로서 에톡실화 트리스티릴페놀과 에톡실화 노닐페놀을 언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슈크로글리세라이드 형의 계면 활성제를 언급할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로는 알칼리 금속 비누, 메틸나프탈렌술포네이트 또는 크실렌술포네이트와 같은 알칼리 금속 술포네이트, 지방산의 베타-술포에틸 에스테르, 알킬 술페이트와 폴리옥시에틸렌화 및 술페이트화 지방족 알콜과 같은 술페이트 및 술페이트화 생성물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의 고분자 유기 중합체 화합물의 예로는 아크릴산, 히드록시아클릴산, 말레인산 및 이타콘산의 중합체와 이들산과 다른 산과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알콜,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메타크릴산과 같은 에틸렌게 불포화를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공중합체가 있다. 특히 FR-A-2,287,504에 기재된 생성물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포스페이트에 대하여, 이는 오르토인산 또는 이들 염의 일차 또는 이차 에스테르 혹은 이들 산의 모노에스테르 혹은 디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화 염으로 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무기 포스페이트, 특히 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나트륨 헥사메타포스페이트와 같은 알칼리 금속포스페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현탁액에 살균제를 첨가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올라이트 현탁액의 제조는 상기에 언급한 첨가제를 현탁액에 도입하고 혼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필요하다면, 제올라이트 현탁액의 pH는 공지의 방법으로 적당한 중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적당한 값으로 조정한다.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며 상기에 기술한 시스템으로 안정화시킨 현탁액은 여러가지 응용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필수적으로 상기에 언급한 안정화 첨가제 및 제올라이트에 근거한 현탁액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들은 세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제올라이트를 사용한 세제 이외에, 예를 들면 제지와 같은 다른 분야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세제 조성물, 특히 액성 세제를 포함하며, 이는 본 발명의 안정화제 및 제올라이트에 근거한 현탁액 이외에도 표백제, 거품 억제제, 오염 방지제, 향료, 용매, 효소 및 광택제와 같은, 세제에서 공지인 다른 모든 첨가제를 함유한다.
특정예를 다음에 기술하겠다.
[실시예]
먼저 몇가지 정의한 자세한 내용을 기술한다.
현탁액의 고체함량은 85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손실량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한 무수 제올라이트의 중량%로서 나타낸다.
나타낸 pH는 건조 제올라이트를 1%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에 대한 것이며 고알칼리도 pH전극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교환능은 25℃에서 무수 제올라이트 1g에 의해 교환되는 칼슘의 양으로 나타낸다(CaCO3mg으로 표시). 측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다 : 0.4g의 제올라이트(무수 제올라이트로 나타냄)를 CaCl2용액 5×10-3몰/ℓ에 도입시킨다.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한다. 여과후, 발색지시약인 에리오크롬 블랙 T(Eriochrome Black T)의 존재하에 EDTA에 대한 역적정으로써 과량의 칼슘을 pH10에서 측정한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분산제 시스템은 이러한 교환능을 방해하지 않음에 주목한다.
유동학적인 측면에서, 사용되는 유동계는 센터 B 측정계(centred B measurement system)가 부착되어 있는 레오매트 30(RHEOMAT 30)이다. 측정은 속도 구배 사이클(오름과 내림)을 수행하는데 있다. 조사한 속도 구배의 범위는 0.0215 내지 157.9s-1이며, 이는 1분당 0.0476 내지 350 회전을 하는 동체의 회전속도와 상응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기록한 점도는 속도 구배가 내려가는 동안에 수득한 측정결과와 상응하는 것이다.
침강은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50 내지 100cc의 눈금 실린더에 주입함으로써 측정한다. 상층액과 침강 물질의 부피는 매 5분 마다 측정한다. 실린더는 주변온도(20℃)에 방치하거나 항온실에 놓는다.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는 주요입자의 평균 지름이 3.5㎛인 4A 제올라이트이다.
숙시노글리칸 안정화제
다음에 계속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숙시노글리칸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
다음과 같은 성분(g/ℓ)을 함유하는 배지를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Ⅰ-736 균주로 발효시킨다 :
CSL(콘스팁 리쿼) 11
K2HPO44
MgSO4.7H2O 0.5
슈크로오스 25
음료수 q.s. 11
28℃에서 이 배지를 유용한 부피인 15리터 함유하는 20리터의 바이오라피트R(BIOLAFFITER)탱크 내에서 언급한 균주로 발효시킨다.
루쉬톤R(RUSHTONR)형의 동체를 사용하여 수득한 400회전/분에서 배지를 교반한다.
이 배지를 825ℓ/시간의 공기 흐름으로 통기 시킨다.
발효의 끝무렵, 2kg의 맥아즙으로 부터 숙시노글리칸의 회수를 수행한다.
맥아즙을 90℃에서 30분간 열처리를 행한다.
맥아즙에 2300ml의 이소프로필 알콜(IPA)를 첨가한 후 처리한다. 침전은 150g의 황산나트륨 존재하에 수행한다.
침전으로 수득한 섬유를 1200ml의 IPA 존재하에 두번 탈수 시킨다.
섬유를 드레인, 인열시키고 85℃의 오븐에서 건조시킨다. 수집한 건조 물질을 분쇄하고 스크린 한다.
크림색의 분말 생성물이 수득된다.
[실시예 1∼3]
이들 실세에는 숙시노글리칸에 의한 제올라이트 현탁액의 안정화를 나타낸다.
현탁액은 제올라이트를 45중량% 함유한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4∼7]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로도르실 51T에 관하여, 표시된 양은 실리코네이트 50% 수용액에 대한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수지 A는 R이 메틸 라디칼인 상기에 기술한 형의 수지이다. 이 수지는 여기에서 건조상태 또는 고체상태로 사용된다. 이는 본 출원인에 의해 로도로실(RHODORSIL) 865A라는 상품명으로 에멀션의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표 2]
[실시예 8 및 9]
실시예 8은 소량의 숙시노글리칸을 사용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9에서 "수지 B" 수지로는 R이 메틸인 상기에 언급한 형의 수지를 사용한다.
이 수지는 건조 상태에서 사용한다. 이는 본 출원인에 의해 로드르실(RHODORSIL) 878A라는 상품명으로 에멀션의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실시예 10∼14]
실시예 10은 분산제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셀리놀(CELYNOL) X 8063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슈크로글리세라이드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한 것이다.
실시예 11은 분산제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소프로포트(SOPROPHOR) S25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에톡실화 트리스티릴페놀형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한 것이다.
실시예 12는 분산제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소프로포트(SOPROPHOR) FL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포스페이트화 에톡실화 트리스티릴페놀형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한 것이다.
실시예 13과 14는 아크릴계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1은 질량이 2000인 아크릴산 동종 중합체이다. 중합체 2는 질량이 70,000이며 아크릴/말레산 비율이 60/40인 아크릴/말레산 공중합체이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Claims (56)

  1. 현탁액에 대하여, 40∼51중량%의 제올라이트 및 0.001∼2중량%의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올라이트 함유 현탁액.
  2. 제1항에 있어서, 슈도모나스, 리조븀 멜리로티, 리조븀 트리홀리, 알칼리제네스 화에칼리스, 애그로 박테륨 라디오박터, 애그로박테륨 리조제네스,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형의 균주, 이들의 제조합체, 또는 이들의 돌연변이체 중 하나에 의하여 동화될 수 있는 탄소원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배지를 발효시켜 수득한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이 온도를 지난후, 고유 점도가 14000ml/g 이상인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I-736 균주, 이의 재조합체 또는 돌연변이체 중 하나에 의해 수득한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5. 제4항에 있어서, 전이 온도를 지난 후, 고유 점도가 14000ml/g 내지 25000ml/g인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6. 제4항에 있어서, 0.1중량% 숙시노글리칸 용액이 25℃의 증류수내에서 속도 구배 1s-1로 저전단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도가 24시간 후에 350mPa.s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7. 제4항에 있어서, 0.2중량% 숙시노글리칸 수용액이 pH가 0.7이며 온도가 25℃에서 속도 구배 1s-1로 저전단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도가 24시간 후 1000 내지 2500mPa.s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8. 제4항에 있어서, 0.2중량% 숙시노글리칸 용액이 80℃의 증류수내에서 속도 구배 1s-1로 저전단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도가 24시간 후 500 내지 2500 mPa.s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9. 제4항에 있어서,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와 피루브산, 숙신산 및 아세트산 또는 이들의 염으로 부터 유도된 단위를 각각 5∼8/1∼2/0.5∼2/0.5∼2/0.05∼2의 몰비로 함유하는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에 언급한 몰비가 각각 6∼7.5/1∼1.5/0.5∼1/0.5∼1/0.05∼0.2인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에 언급한 몰비가 각각 7/1/0.5∼1/0.5∼1/0.05∼0.1인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12. 제4항에 있어서, 동화 가능한 탄소원으로서 글루코오스, 슈크로오스 또는 가수분해 전분을 함유한 배지를 발효시켜 수득한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13. 제12항에 있어서, 유기 질소원을 추가로 함유하는 배지를 발효시켜 수득한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14. 제13항에 있어서, 유기 질소원을 카제인 및 카제인네이트, 밀, 옥수수 또는 콩가루, 효모 추출물, 가용성 건조 증류물, 감자 단백질, 콘 스팁 리쿼 및 콘 스팁 리쿼의 가용성 성분으로 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산제를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16. 제14항에 있어서, 분산제로서 실리코네이트 및/또는 실리코네이트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17. 제15항에 있어서, 유기 라디칼로서 알칼, 비닐 또는 페닐기를 함유하는 실리코네이트를 분산제로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18. 제15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소 실리코네이트 또는 알칼리 토금속 실리코네이트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19. 제15항에 있어서, 분산제로서 실리콘 수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20. 제19항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가 분자당 일반식 R3SiO0.5, R2SiO, RSiO1.5및 SiO2(여기서, 라디칼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비닐, 페닐 및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라디칼과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로 부터 선택한 것이다)로 부터 선택한 두가지 이상의 다른 단위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21. 제20항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가 히드록실화되어 있으며 히드록실기의 함량이 0.1 내지 10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이온계 또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히드록실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 유기 중합체 화합물 및 포스페이트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분산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올라이트 A, X 또는 Y형, 특히 4A 또는 13X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25. .제3항에 있어서, 고유 점도가 15000ml/g 이상인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26. 제3항에 있어서, 애그로박테륨 투메화시엔스 I-736균주, 이의 제조합체 또는 돌연변이체 중 하나에 의해 수득한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2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가 400 내지 700mPa.s 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28. 제5항에 있어서, 0.1중량% 숙시노글리칸 용액이 25℃의 증류수내에서 속도 구배 1s-1로 저전단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도가 24시간 후에 350mPa.s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2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가 1400 내지 2000 mPa.s 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3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0.2중량% 숙시노글리칸 수용액이 pH가 1.7이며 온도가 25℃에서 속도 구배 1s-1로 저전단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도가 24시간 후 1000 내지 2500 mPa.s 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3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가 1000 내지 2000 mPa.s 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32.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2중량% 숙시노글리칸 용액이 80℃의 증류수내에서 속도 구배 1s-1로 저전단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도가 24시간 후 500 내지 2500 mPa.s 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33. 제5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와 피루브산, 숙신산 및 아세트산 또는 이들의 염으로 부터 유도된 단위를 각각 5∼8/1∼2/0.5∼2/0.5∼2/0.05∼2의 몰비로 함유하는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34. 제5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화 가능한 탄소원으로서 글루코오스, 슈크로오스 또는 가수분해 전분을 함유한 배지를 발효시켜 수득한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35. 제3항에 있어서, 분산제를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36. 제4항에 있어서, 분산제를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37. 제5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산제를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38. 제16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실리코네이트 또는 알칼리 토금속 실리코네이트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39. 제16항에 있어서, 비이온계 또는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히드록실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 유기 중합체 화합물 및 포스페이트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분산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40. 제4항에 있어서, 비이온계 또는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히드록실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 유기 중합체 화합물 및 포스페이트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분산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41. 제5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이온계 또는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히드록실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 유기 중합체 화합물 및 포스페이트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분산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42. 제3항에 있어서, 제올라이트 A, X 또는 Y형, 특히 4A 또는 13X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43. 제4항에 있어서, 제올라이트 A, X 또는 Y형, 특히 4A 또는 13X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44. 제5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올라이트 A, X 또는 Y형, 특히 4A 또는 13X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45. 제3항에 따른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46. 제4항에 따른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47. 제5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48. 제15항에 있어서, 비온계 또는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히드록실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 유기 중합체 화합물 및 포스페이트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분산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49. 제16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온계 또는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히드록실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고분자 유기 중합체 화합물 및 포스페이트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분산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50. 제15항에 있어서, 제올라이트 A, X 또는 Y형, 특히 4A 또는 13X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51. 제16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올라이트 A, X 또는 Y형, 특히 4A 또는 13X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52. 제22항에 있어서, 제올라이트 A, X 또는 Y형, 특히 4A 또는 13X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탁액.
  53. 제15항에 따른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54. 제16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55. 제22항에 따른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56. 제23항에 따른 제올라이트 현탁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KR1019900015974A 1989-10-09 1990-10-08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하는 안정한 제올라이트 현탁액 KR930010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913139 1989-10-09
FR8913139A FR2652820B1 (fr) 1989-10-09 1989-10-09 Suspensions stables de zeolites comprenant un succinoglyc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124A KR910008124A (ko) 1991-05-30
KR930010380B1 true KR930010380B1 (ko) 1993-10-23

Family

ID=938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974A KR930010380B1 (ko) 1989-10-09 1990-10-08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하는 안정한 제올라이트 현탁액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104566A (ko)
EP (1) EP0422997A1 (ko)
JP (1) JPH0678552B2 (ko)
KR (1) KR930010380B1 (ko)
BR (1) BR9005014A (ko)
CA (1) CA2027011A1 (ko)
FI (1) FI904948A0 (ko)
FR (1) FR2652820B1 (ko)
IE (1) IE903592A1 (ko)
NO (1) NO904358L (ko)
PT (1) PT95534A (ko)
YU (1) YU1887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0693A (en) * 1988-07-29 1993-03-02 Ausidet S.P.A. Stable aqueous suspensions of inorganic silica-based materials insoluble in water
FR2652819B1 (fr) * 1989-10-09 1994-01-07 Rhone Poulenc Chimie Suspension de zeolite comprenant un siliconate.
FR2678939B1 (fr) * 1991-07-10 1993-10-08 Rhone Poulenc Chimie Composition derivant d'un succinoglycan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es applications.
US5571531A (en) * 1994-05-18 1996-11-05 Mcmaster University Microparticle delivery system with a functionalized silicone bonded to the matrix
FR2756488B1 (fr) * 1996-12-04 1999-01-08 Rhodia Chimie Sa Compositions cosmetiques aqueuses a base de silicones insolubles non volatils, stabilisees par un succinoglycane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US7195071B2 (en) * 2003-08-05 2007-03-2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Enzym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se compositions to degrade succinoglyca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73771A (en) * 1980-05-21 1984-09-04 Roger E. Cripps Fluid displacement with heteropolysaccharide solutions, and the microbial production of heteropolysaccharides
FR2512690B1 (fr) * 1981-09-16 1986-03-28 Ugine Kuhlmann Suspensions stables de silico-aluminates de sodium
DE3214953A1 (de) * 1982-04-22 1983-10-27 Hoechst Ag, 6230 Frankfurt Mikrobielle polysacchar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afuer geeignete mikroorganismen und verwendung der polysaccharide
FR2634219B1 (fr) * 1988-07-13 1992-04-24 Rhone Poulenc Chimie Nouvel heteropolysaccharide bm07, procede permettant son obtention et son application dans divers types d'indust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188197A (ja) 1991-08-16
NO904358D0 (no) 1990-10-08
YU188790A (sh) 1993-10-20
JPH0678552B2 (ja) 1994-10-05
EP0422997A1 (fr) 1991-04-17
KR910008124A (ko) 1991-05-30
FR2652820A1 (fr) 1991-04-12
US5104566A (en) 1992-04-14
FI904948A0 (fi) 1990-10-08
BR9005014A (pt) 1991-09-10
FR2652820B1 (fr) 1993-12-24
PT95534A (pt) 1991-08-14
CA2027011A1 (fr) 1991-04-10
NO904358L (no) 1991-04-10
IE903592A1 (en) 1991-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7680B1 (en) Heteropolysaccharide s-194, a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compositions containing it
CA2073095C (en) Gellan gum for non-brittle gels
US4529797A (en) Heteropolysaccharide S-198
US4535153A (en) Heteropolysaccharide S-88
WO1996033222A1 (fr) Nouvelles bacteries generatrices de cellulose
KR930010380B1 (ko) 숙시노글리칸을 함유하는 안정한 제올라이트 현탁액
AU617490B2 (en) New heteropolysaccharide,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its use
US5514792A (en) Chemically modified succinoglycans and industrial compositions comprised thereof
JP2766165B2 (ja) バクテリア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JPH051718B2 (ko)
JPH11255806A (ja) 微細繊維状セルロース濃縮物の凍結乾燥方法
US5618874A (en) Stable pumpable zeolite/siliconate suspensions
EP0064354B1 (en) Heteropolysaccharide s-198
US5401644A (en) Process of producing conventional or non-viscous xanthan by action of xanthomonas campestrisCNCM 1-956
US4350769A (en) Klebsiella pneumoniae, ATCC 31488
JPH09165403A (ja) バクテリアセルロースの凍結方法
JPH05115291A (ja) 微生物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JPH08260A (ja) ピリミジンアナログ耐性株を用いるバクテリア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