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787B1 - 약제의 경피성 도출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제의 경피성 도출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787B1
KR930009787B1 KR1019860700351A KR860700351A KR930009787B1 KR 930009787 B1 KR930009787 B1 KR 930009787B1 KR 1019860700351 A KR1019860700351 A KR 1019860700351A KR 860700351 A KR860700351 A KR 860700351A KR 930009787 B1 KR930009787 B1 KR 930009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ercutaneous
pharmaceutically active
anticholinergic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364A (ko
Inventor
니콜라스 보더
Original Assignee
케이 파마큐티칼스
헤롤드 시. 베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 파마큐티칼스, 헤롤드 시. 베그너 filed Critical 케이 파마큐티칼스
Publication of KR87070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84Transdermal patches having a drug layer or reservoir, and one or more separate drug-free skin-adhesive layers, e.g. between drug reservoir and skin, or surrounding the drug reservoir; Liquid-filled reservoir pa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약제의 경피성 도출계 및 그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 분야]
본 발명은 경피성 도출계 분야 및 상기 계로부터 약학적 활성 약제의 경피성 도출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은 피부의 국소적인 분비억제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량의, 그러나 전신효과를 유발시키기에는 불충분한 양의 항콜린 제제가 관여되는 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콜린 제제로 피부를 예비-처리함으로써 피부로 부터의 분비를 국소적으로 억제하고, 그에 의해 임의의 도출계와 피부사이의 수층 형성을 방지하여 경피성 도풀계로부터 약제의 침투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많은 약제들이, 경구 투여할 경우, 간을 거치면서 일차적으로 파괴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많은 약제들을 경구 투여할 경우, 이들의 체내 흡수율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 또한 공지된 사실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의 관점에서, 많은 각기 다른 약제 도출계가 개발되어 왔다. 최근에 경피성 도출계의 이용이 약품 도출분야의 연구자들의 관심을 증가시켜 왔다.
미합중국 특허 4,291,015호에는, 케이쓰(Keith)등에 의해 약학적 활성 약제의 지속적인 방출을 위한 중합체성 확산 기질의 이용이 발표되어 있다. 상기 기질은 받침층에 의해 싸여있고, 약학적 활성 약제의 확산이 일어나는 피부에 투여할 경우 상기 약제는 환자에게 경파적으로 도출된다. 미합중국 특허 4,291,015호에는 니트로글리세린의 경피성 도출이 발표되어 있으며, 미합중국 특허 4,292,820 ; 4,292,302 ; 및 4,292,303호에 발표된 바에 의하면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질을 이용하여 다른 약제들도 도출시킬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4,409,206호에는 다른 유형의 경피성 도출계를 이용하여 약학적 활성 약제를 부착물내에 분산시키는 방법이 발표되어 있다(미합중국 특허 4,390,520호도 참고).
상기 계에 따르면, 약학적 활성 약제들을, 피부에 부착시키는 압력-민감 부축물내에 분산시킨다. 그러면 약제는 부착물로부터 환자의 피부를 통해 도출된다. 기타 다른 경피성 계들이 약학적 활성 약제를 함유하는 저장기와 확산성 접촉하고 있는 기질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약제는 기질로부터 피부를 통하여, 결과적으로 환자에게 확산 도출된다. 또다른 조성물들은 피부에 투여하는 연고(salve or ointment)내의 활성성분으로 이용된다. 상기 활성성분은 연고상태로부터 피부로 확산하여 경피조직을 통해 체내로 흡수된다.
상술한 각각의 계들은 약학적 활성 약제의 경피성 도출에 있어서 각종 장점 및 단점들을 갖는다. 특정 계들은 1가지 유형의 약학적 활성 약제와 관련지어서는 유용하나, 또다른 것과 관련지어서는 유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주어진 계내에 1가지 약학적 활성 약제를 함유하는 능력은 약제의 계와의 융화성, 및 계내의 용해능력과 같은 약제의 계에 대한 호라성 등의 각종 요인들에 좌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들은 각기 다른 유형의 약제들과 관련되어 각종 장점, 단점 및 유용도를 갖는다. 따라서 실험하지 않고, 임의의 특정계와 임의의 특정한 약학적 활성 약제의 유용도를 정확히 예견하는 것은 때때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모든 계들이 특정한 유사성 및 보다 중요한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편적인 특성들을 갖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보다 상세히는, 그들이 모두 경피성 도출을 이용하여 약학적 활성 약제들을 피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하기 위해서는, 계는 반드시 피부와 긴밀한 접촉상태로 놓여져야만 한다. 그런데 정상적인 피부는 땀을 배출하므로 그로 인해 피부와 계 사이에 수층이 생성되며, 보편적인 문제점을 유발하는 것이 상기 수층인 것이다.
발한은 경피성 도출계 바로 밑에서 현저히 증가될 수도 있고, 도출계 밑의 임의의 발한이 피로부터 수분 및 기타 수용성 체내 염류의 유출을 유발할 수도 있다. 유출량의 증가는 수층의 크기를 증가시키므로, 약학적 활성 약제의 바람직한 피부내 유입을 방해한다. 계를 실질적인 시간의 기간동안(통상적으로 24시간) 제위치에 유지시킬 경우, 발한의 유출은 도출계와 피부사이의 실질적인 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해물은 특히 약학적 활성 약제가 수층에 대해 불용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약제가 어느 면으로든지 수층과 불용화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수층과 접촉시 응고할 경우, 커다란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지 못한 피부로부터의 발한의 유출 및 피부와 약제도출계 사이의 상술한 발한의 축적(수층 형성)의 방지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가장 간단히 말하자면, 본 발명은 항콜린 제제를 피부에 국소 투여함으로써 발한을 억제하고, 그로 인해 약학적 활성 약제의 경피성 도출을 간접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국소 투여는 피부의 국소 부위에 항콜린 제제를 상기 치료부위에 국소적인 분비억제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량, 그러나 침투성 효과를 유발하기에는 불충분한 양으로 예비-처리하고, 이어서 예비-처리한 부위에 경피성 도출계를 투여함으로써 수행된다. 또는, 항콜린 제제를 발한을 억제하도록 피부내에 도출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항콜린 제제를 경피성 도출계와 병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항콜린 제제를 확산 기질내에 배합하거나, 분리된 저장기를 비롯하여 상기 기질과 관련된 저장기내에 분산시키거나, 연고내에 분산시키거나 또는 경피성 도출계를 투여하고자 하는 피부에 항콜린 제제의 도출을 가능토록 하는 기타 다른 방법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약제의 경피성 도출을 향상시키는 생리학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부위에 항콜린 제제를 상기 피부 부위의 국소적인 분비억제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량, 그러나 전신효과를 유발시키기에는 불충분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다른 목적은 피부의 국소 부위를 항콜린 제제로 예비-처리하고, 이어서 상기 예비-처리한 부위에 경피성 도출계를 투여함으로써 경피성 도출계로부터의 약학적 활성 약제의 경피성 도출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출계와 피부 표면 사이의 바람직한 유동 계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담체, 약학적 활성 약제 및 계 바로 밑의 피부의 국소적인 분비억제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량, 그러나 전신 효과를 유발하기에는 불충분한 양의 항콜린 제제를 함유하는 경피성 도출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항콜린 제제가 4차 암모늄 염의 형태를 갖는 상술한 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많은 공지된 화합물들이 "흡수 촉진제"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화합물들은 약학적 활성 약제와 일부 방법으로 상호 반응하여 상기 약제의 피부내 흡수를 촉진시킨다. 아마도 가장 유명한 상기 흡수 촉진제로는 "DMSO(디메틸 술폭시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DMSO는 인체 사용용으로는 FDA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또다른 공지된 흡수 촉진제로는 미합중국 특허 3,989,816, 4,311,481 및 4,316,893호 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외국 특허에 발표된 아존(AZONE)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지된 흡수 촉진제들은 약학적 활성 약제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기능들을 소유한다. 상기 화합물들은 그 자체로서 피부내로 쉽게 흡수되어 피부의 투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현저하게 보다 높은 유량에서 약학적 활성 약제의 흡수를 용이하게 한다.
촉진제들은 또한 약학적 활성 약제들의 분자 전하를 중화시키는 기능도 갖으므로, 피부의 흡수에 대하여 보다 민감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흡수 촉진제들은 유용하며 본 발명과 병행 사용하는 것 조차도 가능하나, 상기 물질들은 본 발명에서와 동일한 피부의 생리학적 효과를 유발하지는 못한다.
경피성 도출계에 관하여 충분히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는 피부내로의 약학적 활성 약제의 경피성 도출이 피부로부터의 발한 유출 및 그에 따른 피부위의 수층 형성에 의해 방해받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자는 경피성 도출계가 통상적으로 장시간의 기간, 일반적으로 약 24시간동안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도출계가 상술한 시간의 기간을 초월하여 사용될 경우, 피부로부터의 실질적인 발한은 피부의 외층과 경피성 도출계의 접촉층간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도출계와 피부 사이에 형성된 발한의 수층은 피부와 도출계 사이의 목적하는 상호작용을 방해하여 계로부터의 약제의 도출에 바람직하지 못한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이, 부가적인 약학적 활성 약제를 도출계내에 첨가함으로써 때때로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개선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상기 용액은, 물론, 바람직하지 못한 작용들을 갖지 않는 부가적인 약제를 계내에 배합함으로써만 가능하다. 상기 작용들은 약학적 활성 약제들이 계의 용매로서 작용하여 계의 용해를 유발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인 약제의 도출계내 배합이 가능한 상황에서조차도, 발한량에 따라 개별적으로 다르며 또한 주어진 개별물질에 있어서조차도 온도, 습도 및 개별적인 약제의 활성에 따라 현저히 다른 발한량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문제점은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발한 생성량의 개별적인 차이, 뿐만 아니라 임의의 특정 시간에 특정한 개별물질이 생성하는 발한량에 기인하여, 본 발명자는 경피성 약제 도출계로 부터의 약제 도출율이 각기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상기 도출되는 약제의 양에 있어서는 변이는, 물론 내과의가 약학적 활성 약제의 도출율에 대하여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도출계를 처방하고자 하는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문제의 실제성은, 본 발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연구시에 나타난, 경피성 도출계 사용시의 발한에 의해 야기된다.
피부로부터의 발한이 경피성 도출계에 문제점을 유발한다는 것을 알아낸 후, 본 발명자는 상술한 발한을 억제시킴으로써 그와 관련된 문제점들이 해결되리라고 결정했다. 따라서, 발한 억제에 유용한 각종 화합물들에 대하여 연구를 행하였다 통상적으로 로울-온스(roll-ons) 및 분무제 형태로 시판되는 시판 발한억제제들이 발한의 억제에 유효하다.
상기 조성물들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계로서 물리적 차단 방법으로 발한을 억제하는, 즉 발한이 통과하는 도관을 실제적으로 폐쇄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화합물들은 피부 전체의 경로를 폐쇄함으로써 실제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화합물들의 이용은 약학적 활성 약제의 피부내 유입을 증가시키는 면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할 수 도 있다. 상기 화합물들을 사용하므로써 피부와 경피성 도출계 사이의 수층 형성을 억제할 수는 있으나, 상기 화합물들은 그 자체로서 약학적 활성 약제의 피부내 유입을 억제하는 장해물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영국 특허 2,010,270호에 발표된 항콜린 화합물( 본 명세서에서는 분비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연질 항콜린 제제로서 참고용으로 기재함)을 이용하여 실제적인 실험을 행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항콜린 화합물을 사용하므로써 경피성 도출계로부터의 약학적 활성 약제들의 유입이 방해받는지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 실험을 행하였고, 그 결과로서 약제의 유입이 방해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상기 항콜린 약제들이 발한의 유출을 억제하고, 그로 인해 수층 형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아냄으로써, 항콜린 제제의 효능이 약학적 활성 약제의 피부내 유입을 증가시키리라는 것이 추론되었다.
항콜린 약제는 신경계에 영향을 미친다. 신경계의 전신효과는 본 발명과 관련지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소량의 항콜린 제제를 피부에 국소 투여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라직하며 필수적인 결과들을 수득할 수 있다.
인체의 정상적인 작용 생리에 의하면 흥분작용을 자극하는 신경액성 전달물질이 생성된다. 예를들면, 상기 물질은 피부내의 분비선에 대한 흥분작용을 유발하여 발한을 유도한다. 그러나 인체의 정상적인 생리내에는 억제 활성을 제공하는, 필적할만한 물질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억제 활성을 제공하는 합성 및 식물-유래 화합물들은 존재한다. 상기 화합물들은 교감 신경 또는 부교감 신경의 신경 지배에 있어서 시냅스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억제제들의 차단 작용이 통상적으로 그의 제한된 부위에 상당한 특이성을 나타낸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상기 제제를 사용하므로써 교감 신경 또는 부교감 신경의 신경절에 있어서 신결절 말단(시냅스), 교감 신경 또는 부교감 신경의 신경절 말단의 후미(신경-근연결부위 차단제)를 차단할 수 있다.
이하의 표에는 항콜린 제제의 각종 차단활성 부위를 나타낸다.
[자율성 차단 제제]
Figure kpo00001
* 편리를 기하기 위해 및 신경절 차단제제와의 특정한 유사성을 나타내므로 기재함. 상기 약제는 자율성 차단제제가 아니다.
항콜린 제제를 사용하여 많은, 각기 다른 치료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제의 효능을 이하에 기재한다 :
1. 산동 효과(눈의 동공 확장) 및 모양근 마비(눈의 모양체 구조 마비, 결과로써 근시 조절 마비가 옴).
2. 진경효과(위장관 및 성요로의 긴장성 및 운동성 감소).
3. 분비억제효과(타액 분비억제(항최타제), 발한 억제(제한제) 및 산 및 위액분비억제.
상술한 바와 같이, 항콜린 제제는 인체에 대하여 실질적인 다수의 각기 다른 효능을 갖는다. 따라서 절대적으로 필요하지 않는한, 상기 제제를 침투 효과를 나타낼 정도의 양으로 처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상기 항콜린 제제들을 발한을 억제하고 그에 의해 경피성 도출계로 부터의 약제의 경피성 도출을 간접적으로 촉진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단순히 경구 투여하도록 처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약제들의 작용 메카니즘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상기 약제들은 중심 메카니즘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중심 메카니즘에 영향을 미쳐 전신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상기 화합물들은 반드시 뇌-혈관 장벽을 통과하여야만 한다. 연구 도중, 상기 항콜린 화합물들의 3차 아민이 상술한 뇌-혈과 장벽을 통과할 수 있으나, 4차 암모늄 화합물들은 통과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정한 항콜린 화합물들의 3차 아민은 쥐에서 뇌속의 아세틸콜린 레벨을 40%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상기 증가현상은 파킨슨증후군에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진전의 내습과 대강 일치한다. 쥐에서의 아세틸콜린 증가 메카니즘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또는 아세틸라제의 활성화에 기인되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4차 암모늄 화합물들이 아닌, 3차 아민계항콜린 화합물들을 투여함으로써 진전이 효과적으로 사라진다.
임의의 항콜린 화합물들이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경피성 도출계로 부터의 약제의 경피성 도출에 도움을 주나, 상기 화합물들중 일부는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들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자는 공지된 항콜린 화합물들의 4차 암모늄염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화합물들의 소량을 국소 투여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하는 효과를 수득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들을 방지하는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하에는 본 발명에 다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특정한 항콜린 화합물들의 4차 암모늄 염들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본 발명의 실시방법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해, 특정 화합물의 메카니즘을 기재한다. 일반적으로 아트로핀-계 항콜린 화합물들의 활성이 아세틸콜린에 필적한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따라서 콜리노미메틱(cholinomimetic)제제(즉, 아세틸콜린)는 친화성 및 고유활성 둘다를 소유하며 수용부위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독특한 표상반응을 유도한다.
한편 항콜린 제제는 수용체와 강하게 결합하기에 충분한 친화성을 갖으나 효과적인 반응을 유발하기에는 부적당하다. 즉 고유 활성을 갖지 않는다. 차단제는, 불충분한 농도에서도 수용부위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경쟁하여, 상기 수용부위와 아세틸콜린의 결합을 억제함으로써 신경활성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콜린분자는 소위 양이온 헤드(head), 즉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4차 암모늄염에 존재하는 양전하를 띈 질소에 의해 콜린부위와 결합할 수 있는 우선순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콜린 제제의 4차 암모늄염은 실제적으로 피부를 투과하여, 자체적으로 수용부위에 결합한다. 그에 의해 상기 부위에 결합하고자 하는 고유활성을 유발하는 다른 제제들을 억제한다.
피부에 국소 투요할 경우, 항콜린 제제는 정상적인 기능 수행 경로를 생리학적으로 방해하여, 발한을 억제한다. 시판되고 있는 항최타제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항콜린 제제는 발한이 일어나는 임의의 경로를 물리적으로 차단하지 않는다. 본 발명 화합물들은 단순히 발한 이전에 분비를 억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항콜린 제제가 경피성 도출계로 부터의 약학적 활성 약제의 도출에 대하여 임의의 역효과를 유발하는지의 여부를 알아내고자, 본 발명자는 무모(hairless) 생쥐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험하였다. 무모 생쥐는 발한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공지된 지식하에, 항콜린 제제를 무모 생쥐의 피부 일부에 국소 투여하고, 이어서 항콜린 제제를 투여한 부위 전체에 경피성 도출계를 투여한다. 동일한 경피성 도출계를 항콜린 제제를 투여하지 않은 다른 생쥐들에게도 투여한다.
본 발명자는 양쪽의 생쥐들이 모두 경피성 도출계로부터 동량의 약학적 활성 약제를 받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발한이 일어나지 않는 생체내 환경에서의 항콜린 제제의 사용은 약제의 경피성 도출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자는 항콜린 제제를 인체피부(발한이 일어나는 부위)에 국소 투여할경우, 상기 제제들이 발한을 효율적으로 억제시킴이 명백하다는 면에서 경피성 도출계로 부터의 약제의 도출을 또한 촉진시킨다는 것을 추론해 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 유형의 항콜린 제제를 본 발명과 관련지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상술한 4차 암모늄 화합물들 및 영국 특허 2,010,270호에 발표된 것들이 본 발명과 관련지어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상술한 4차 암모늄염 형태인 및 영국 2,010,270호에 발표된 항콜린 제제들은 천연 상태에서 "연질"이므로, 즉, 이들 제제들을 치료용도로 투요할 경우 낮은 독성을 나타내는 반면 실질적인 항콜린성 분비억제 활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과 관련지어 보다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이들은 "뇌 장벽"을 통과하지 않는다. 기타 다른 항콜린 제제들도 실질적이 항콜린성 분비억제 활성을 나타내나, 그 이외에서 상기 화합물들은 현기증, 시야의 흐려짐 및 구내 건조와 같은 여러가지 독성 부작용들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소량의 항콜린 제제를 사용하면 된다. 예를들면, 항콜린 제제로서 아니소트로핀 메틸브로마이드(발핀 : Valpin)를 사용함으로써 유용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메르크 인덱스 10th Ed, 기입번호 693참고). 상기 제제는 알코올에 대단히 잘 용해된다. 따라서 상기 제제 20mg 을 에탄올 25ml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 200㎕를 약 5~6㎠의 피부 표면에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용량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수득에 충분한 기간, 즉 약 24시간 또는 그 이상 동안 상기 부위로부터의 발한이 억제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항콜린 제제를 임의의 적당한 피부과학적 활성 용매내에 용해시키고, 임의의 공지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경피성 도출계를 투여하고자 하는 피부의 표면에 투여한다. 또는, 상기 제제를 임의의 경피성 계내에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항콜린 제제들은 그 자체로서 경피조직내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제들을 단지 피부위에 바르거나, 피부에 문지르거나 피부위에 분무하거나 또는 경피성 도출계의 일부로서 피부와 접촉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경피성 도출계 사용시의 부가적인 이점인 세정효과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항콜린 제제를 알코올내에 용해시킨 상태로 탈지면 또는 헝겊과 같은 도포구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용해된 상태의 상기 제제를 함유하는 도포구로 상술한 도출계를 투여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를 문지른다. 알코올은 투여부위에 세정 소독 작용을 나타내며, 또한 항콜린 화합물이 피부내로 투과하도록 한다. 이어서 예비-처리된 상기 피부 부위에 경피성 도출계를 투여한다.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제제를 또한 상기 도포구에 배합할 수도 있다.
피부의 부위를 항콜린 제제로 예비-처리하는 것 이외에도, 항콜린 제제를 경피성 도출계내에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계내에 존재하는 흡수 촉진제를 이용하여 항콜린 제제의 흡수를 또한 촉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 제제는 약학적 활성 약제를 함유하는 저장기를 비롯하여 기질계내에 배합하거나, 부착층 또는 연고 또는 상술한 계와 일부 관련된 기타 물질내에 분산시켜 상기 제제를 피부 표면을 통해 도출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각기 다른 유형의 약학적 활성 약제들이 최근에 경피성 도출계내의 이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각기 다른 유형의 계들의 상술한 약제들의 도출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모든 유형의 경피성 도출계와 관련지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도 적용되며, 따라서 본 발명은 실질적인 변형없이도 상기 계들과 관련지어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에 따른 항콜린 제제들은 면 헝겊조각 또는 기타 알맞은 유연물질과 같은 도포구에, 바람직하기로는 알코올계 용매내에 용해된 상태로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반드시 피부과학적 활성을 지녀야 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소득 작용을 가져야 한다. 이어서 항콜린 제제를 흡수시킨 도포구를 경피성 도출계와 관련된 분리된 포장물 또는 저장기 내에 넣는다. 상기 포장물 또는 저장기는 경피성 도출계의 투여이전에 개봉할 수 있다. 개봉하여 도포구를 꺼낸 다음, 상술한 계를 투여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를 도포구로 문질러 예비-처리함으로써 피부를 세정하고, 항콜린 조성물의 경피성 도출을 촉진시킨다. 예비-처리 후, 상기 예비-처리한 부위에 경피성 도출계를 투여한다. 따라서, 예비-처리한 피부 부위에서의 발한이 억제되고 상기 피부 부위로부터의 수분 유출이 방지됨으로써 피부 표면과 경피성 도출계 사이의 임의의 수층 형성을 방지한다는 면에서, 경피성 도출계로부터의 약학적 활성 약제의 도출이 본 발명에 의해 촉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추론되고 있는 사실을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발표 및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 명세서를 읽으면서, 본 발명 분야에 숙력된 이들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리라고 생각되는 일부 변형 및 보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Claims (7)

  1. 약학적 활성 약제 및 국소적인 분비억제 활성을 나타내기에는 충분량이나 전신효과를 유발하기에는 불충분한 양의 항콜린 제제를 피부과학적이고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에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출계와 피부 표면사이에 바람직한 유동계면을 제공할 수 있는 경피성 도출계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콜린 제제가 4차 암모늄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약학적 활성 약제 ; 상기 약제용의 피부과학적 및 약학적 활성 담체 ; 및 국소적인 분비억제 활성을 나타내기에는 충분량이나 전신효과를 유발하기에는 불충분한 양의 항콜린 제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출계와 피부 표면사이에 바람직한 유동계면을 제공할 수 있는 경피성 도출계.
  4. 제 3 항에 있어서, 항콜린 제제가 4차 암모늄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성 도출계.
  5. 제 3 항에 있어서, 항콜린 제제를 함유하는 분리된 저장기를 또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성 도출계.
  6. 제 5 항에 있어서, 항콜린 제제는 분리된 저장기내에 액체용액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분리된 저장기는 그로부터 액체 용액을 꺼내기에 용이하도록 개봉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성 도출계.
  7. 제 5 항에 있어서, 분리된 저장기는 항콜린 제제가 흡수되어 있는 도포구를 함유하며, 상기 도포구는 항콜린 제제를 투여하고자 할 때 저장기로부터 꺼내기에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성 도출계.
KR1019860700351A 1984-10-11 1985-10-09 약제의 경피성 도출계 및 그의 제조방법 KR930009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991984A 1984-10-11 1984-10-11
US659,919 1984-10-11
PCT/US1985/001951 WO1986002272A1 (en) 1984-10-11 1985-10-09 Physiological means of enhancing transdermal delivery of dr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364A KR870700364A (ko) 1987-12-28
KR930009787B1 true KR930009787B1 (ko) 1993-10-11

Family

ID=2464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351A KR930009787B1 (ko) 1984-10-11 1985-10-09 약제의 경피성 도출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198034B1 (ko)
JP (1) JPS62500523A (ko)
KR (1) KR930009787B1 (ko)
AU (1) AU592322B2 (ko)
CA (1) CA1264033A (ko)
DE (1) DE3583234D1 (ko)
DK (1) DK269986A (ko)
FI (1) FI862493A (ko)
GR (1) GR852469B (ko)
IE (1) IE59291B1 (ko)
IL (1) IL76635A0 (ko)
MY (1) MY100471A (ko)
NO (1) NO862321L (ko)
NZ (1) NZ213753A (ko)
WO (1) WO19860022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705319A1 (ru) * 1987-10-23 1992-01-1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Биотехнологии Состав полимерной диффузионной матрицы дл трансдермального введен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веществ
US6395757B1 (en) * 1998-08-31 2002-05-28 Arthur M. Bobrove Method for treating hot flashes in humans
CA2461696A1 (en) * 2001-09-26 2003-04-03 Alison B. Lukacsko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eccrine perspiration in humans
US8343467B2 (en) 2004-12-27 2013-01-01 Beiersdorf Ag Glycopyrrolate in cosmetic preparations
KR102377252B1 (ko) 2013-02-28 2022-03-22 저니 메디컬 코퍼레이션 글리코피롤레이트 염
US9006462B2 (en) 2013-02-28 2015-04-14 Dermira, Inc. Glycopyrrolate sal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886A (en) * 1888-01-24 Joseph beeakley holder
US3767786A (en) * 1961-04-20 1973-10-23 Procter & Gamble Inhibiting perspiration with scopolamine esters
US4031894A (en) * 1975-12-08 1977-06-28 Alza Corporation Bandage for transdermally administering scopolamine to prevent nausea
NL8104929A (nl) * 1980-11-12 1982-06-01 Alza Corp Anticholinergische preparaten, alsmede de bereiding en de toepassing ervan.
US4379454A (en) * 1981-02-17 1983-04-12 Alza Corporation Dosage for coadministering drug and percutaneous absorption enha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69986A (da) 1986-08-11
AU592322B2 (en) 1990-01-11
IE59291B1 (en) 1994-02-09
AU4968585A (en) 1986-05-02
NO862321L (no) 1986-08-07
IE852491L (en) 1986-04-11
CA1264033A (en) 1989-12-27
DK269986D0 (da) 1986-06-09
FI862493A0 (fi) 1986-06-11
EP0198034B1 (en) 1991-06-12
JPS62500523A (ja) 1987-03-05
NZ213753A (en) 1988-09-29
MY100471A (en) 1990-10-15
FI862493A (fi) 1986-06-11
DE3583234D1 (de) 1991-07-18
WO1986002272A1 (en) 1986-04-24
GR852469B (ko) 1986-02-12
NO862321D0 (no) 1986-06-10
KR870700364A (ko) 1987-12-28
IL76635A0 (en) 1986-02-28
EP0198034A1 (en) 198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4917B1 (en) Composition comprising nicotine and opipramol and use thereof
US6723337B1 (e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for anti-inflammatory analgesic agent comprising diclofenac diethylammonium sal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404174B1 (en) Anti-infective compositions for treating disordered tissue such as cold sores
DE69530004T2 (de) Transdermale verabreichung von apomorphin
US5753637A (en) Method of treating acne conditions
CA2528360C (en) Anesthetic composition for topical administration comprising lidocaine, prilocaine and tetracaine
US20050020600A1 (en) Methods of treating cutaneous flushing using selective alpha-2-adrenergic receptor agonists
US5374645A (en) Transdermal administation of ionic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s via aqueous isopropanol
DE3528979A1 (de) Arzneimittelfreigabesystem
CA2070685C (en) Method for treating painful, inflammatory or allergic disorders
JPH0584286B2 (ko)
US5916574A (en) Method of treating natural poison skin conditions
US20120114743A1 (en) Transdermal ricinoleic acid compositions
JPS61501324A (ja) 医薬組成物
US20150297517A1 (en) New stable anesthetic composition for reducing skin reactions
EP1284151A1 (en) Topical treatment of pain and to promote healing including capsaicin as an analgesic
KR930009787B1 (ko) 약제의 경피성 도출계 및 그의 제조방법
DE10053397A1 (de) Verwendung eines dopaminergen Wirkstoffes zur Behandlung von dopaminerg behandelbaren Erkrankungen
EP1589955B1 (de) Für die wärmeanwendung zur beschleunigung der permeation von wirkstoffen geeignetes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und seine verwendung
WO2008001204A2 (en) Transdermal compositions of pramipexole having enhanced permeation properties
JP2002537232A (ja) ニコチン依存症の治療のためのデオキシペガニン含有医薬組成物
EP1318801B1 (en) Topical analgesic compositions containing aliphatic polyamines and methods of using same
ES2394311T3 (es) Formulación transdérmica que comprende un analgésico opioide y una composición de aloe
KR100857509B1 (ko) 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용 경피흡수제제
WO2021177257A1 (ja) 原発性腋窩多汗症の治療方法、及びその医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