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782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782B1
KR930009782B1 KR1019900017032A KR900017032A KR930009782B1 KR 930009782 B1 KR930009782 B1 KR 930009782B1 KR 1019900017032 A KR1019900017032 A KR 1019900017032A KR 900017032 A KR900017032 A KR 900017032A KR 930009782 B1 KR930009782 B1 KR 930009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ed
size
input
do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552A (ko
Inventor
하루또 야노
요시아끼 히라사
도시미찌 도꾸나가
히로후미 고또
지사또 요시다
가즈히로 요꼬우찌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표시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차재용 전화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 2 도는 제 1 도중의 조절 유니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소프트 키등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전화 번호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절 유니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제 6 도는 제 2 실시예에 의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제 7 도는 제 3 실시예에 의한 조절 유니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디스플레이 4 : 터치 키 입력부
6 : 조절 유니트 7 : 메모리 장치
본 발명은 선택된 글자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다.
종래의 표시 장치는 조작자가 선택한 글자에 따라 키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그 선택된 글자를 순서로 배열하여 표시하고 있었다.
특히, 전자 탁상 계산기, 전자 수첩, 차재용 전화 장치등에 적용되어 있는 표시 장치는 그 표시하는 문자와 사이즈가 미리 결정되어 있다. 그 사이즈는 표시부에 글자를 최대한으로 표시한 경우의 것이다.
종래의 표시 장치는 이상과 같이, 예를들면 전자 번호등의 문자를 표시할때, 그 전화 번호가 어느 항에서도 같은 크기의 문자로서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를 보기 어렵다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이고, 표시하는 글자의 수에 따라 1문자당의 표시의 크기를 변화시켜 표식을 보기 쉽게 한 표시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에서, 표시하는 자수를 판별하는 자수 판별 수단과, 수자에 따른 크기의 돗트 패턴의 신호를 출력하는 돗트 패턴 출력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자수가 적은 만큼 사이즈가 비교적으로 큰 돗트 패턴의 신호를 출력 수단에서 출력하여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적용한 차재용 전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동도에서, (1)은 안테나 (2)는 안테나(1)를 가지고, 다이얼톤이나 음성을 전파로서 송, 수신하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송수신기로서의 이동기, (3)은 터치 스위치용의 스위치 표시나 입력된 전화 번호를 표시하는 예를들면 CRT등의 디스플레이, (4)는 주지의 감압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등의 터치 키 입력부이고, 디스플레이(3)의 화면상에 설치되고, 조작 에리어를 예를들면, 20분할되고, 특정의 분할 에리어가 터치 조작시키면 그 특정의 분할 에리어에 따른 시리알 신호를 생성한다. (5)는 전화기의 송수화기이고, 입력 음성을 음성 신호에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6)은 이동기(2), 디스플레이(3), 터치 키 입력부(4), 송수화기(5)에 접속된 조절 유니트이고, 입출력용의 인터페이스 회로, 디스플레이(3)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부, 미리 정해진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디지탈 데이타를 연산 처리하는 CPU, 아나로그 입력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 CPU용의 제어 프로그램이나 0∼9까지의 숫자의 돗트 패턴을 전각 사이즈, 반각 사이즈(전각 사이즈의 폭을 반분으로 한 사이즈)에서 각각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장치(7)등에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도는 상기 조절 유니트(6)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고, 제어 프로그램으로 하여 메모리 장치(7)에 격납되어 있다.
제 3 도는 디스플레이(3)의 표시와 터치 키 입력부(4)를 조합시킨 터치 키등을 나타내고 있으며, (10)은 입력된 전화 번호의 표시부, (11)은 0, 1,…, 9의 수자를 입력하기 위한 10개의 숫자 키, (12)는 발신을 지시하기 위한 발신 키이다.
다음에 제 1 도에서 제 3 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조절 유니트(6)는 송수화기(5)가 취상된 개시 신호(오프훅 신호)를 받으면 메모리 장치(7)에서 표시용의 데이타를 판독하여 제 3 도에 나타내는 표시를 디스플레이(3)에 행하도록 제어한다. 조작자는 제 3 도의 양자를 보아, 수자 키(11)를 터치 조작함으로서 터치 키 입력부(4)에서 소요의 전화 번호를 조절 유니트(6)에 조작 신호로서 입력한다.
조절 유니트(6)는 터치 키 입력부(4)에서 수자 입력이 있을 때마다 그 수자 입력에 대응하는 수자의 돗트패턴을 메모리 장치(7)에서 판독하여 디스플레이(3)의 표시부(10)에 표시된다. 이때 조절 유니트(6)는 수자입력이 10항 이하의 경우에는 전각 사이즈의 돗트 패턴을 판독하고, 10항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각 사이즈의 돗트 패턴을 판독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제 4 도에 그 표시예를 나타내고, 제 4a 도는 전각 사이즈에서 전화번호의 입력 수자의 표시를 표시(10)로 행한 경우, 제 4b 도는 반각 사이즈에서 표시한 경우이고, 전각 사이즈의 수치의 쪽이 크게 보이기 쉽다. 전화 번호의 입력이 끝나면 조작자는 발신 키(12)를 터치 조작한다. 이 터치 조작의 신호를 터치 키 입력부(4)에서 받은 조절 유니트(6)는 표시부(10)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 번호의 전화기로 향하여 표시부(10)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 번호의 전화기로 향하여 이동기(2)나 송수화기(5)를 이용하여 발신, 수신의 주지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제 2 도에 의하여 조절 유니트(6)의 상세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S1)에서는 터치 키 입력부(4)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입력된 수자 총계의 수인 항수(M)를 0으로 설정한다. 스텝(S2)에서는 터치키 입력부(4)에서 1개 수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순으로 최상위에서 배열하도록 1항 높여 그 수자를 최하위로 하여 기억하여 둔다. 스텝(S3)에서는 M에 1을 가산하여 향후(M)를 경신한다. 스텝(S4)에서는 항수(M)가 10을 초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10이하이면 스텝(S5)으로 나아가, 항수(M)의 숫자에 대한 전각 사이즈의 돗트 패턴을 메모리 장치(7)에서 판독하여 디스플레이(3)에 표시되고, 10을 초과하고 있으면 스텝(S6)으로 나아간다. 스텝(S6)에서는 항수(M)가 21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21되면 종료하고, 21이 아니면 항수(M)는 11이상 그리고 20이하됨으로 스텝(S7)으로 나아가, 항수(M)의 수자에 대한 반각 사이즈의 돗트 패턴을 메모리 장치(7)에서 판독하여 디스플레이(3)에 표시시킨다. 스텝(S5) 또는 스텝(S7)의 처리후에 스텝(S8)으로 나아가고, 발신 키(12)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터치 키 입력부(4)에서의 조작 신호에 의하여 판별한다. 조작된 것이면 종료로 되고, 조작되지 않으면 스텝(S2)으로 돌아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표시부(10)에 표시된 수자는 전화는 종료시에 송수화기(5)에서의 종료 신호(은총 신호)를 받은 조절 유니트(6)의 제어에 의하여 소거된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 1 실시예의 제 2 도에서 대신하는 플로우도이다. 제 5 도에서 스텝(S10)에서는 항수(M)에 0을 설정한다. 스텝(S11)에서는 그 입력된 수자를 최하위로 하여 기억한다. 스텝(S12)에서는 항수(M)에 1을 가산하여 M을 경신한다. 스텝(S13) 스텝(S20)에서는 항수(M)를 18까지 해당 수치를 식별하기까지 순차로 비교하여 항수(M)가 1∼8내의 어느 수인지 판별한다. 스텝(S21) 스텝(S28)에서는 판별한 항수에 따른 사이즈 수자의 돗트 패턴을 판독하여 표시한다. 이 표시되는 수자는 스텝(S11)으로서 수자 입력될 때마다 항 올림을 행하여 얻은 것이다. 또한 스텝(S20)으로서, 항수(M)가 8이 아니더라고 판단하면 M이 1∼8의 수가 아니므로 종료로 된다. 스텝(S21) 스텝(S28)의 어느 것인가 1개 스텝의 처리후에 스텝(S29)으로 나아가고, 종료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종료하지 않으면 스텝(S11)으로 돌아가 상기 동작을 반복하고, 종료로 판단하면 일련의 동작을 종료한다.
제 6 도는 제 5 도의 동작에 의한 표시예를 나타내고, 제 6a 도는 1항 사이즈의 문자 표시로서 1문자가 종횡각 56돗트로서 구성되고, 제 6b 도는 2항 사이즈의 문자 표시로서 각 48돗트로서 구성되고, 제 6c 도는 3항 사이즈의 문자 표시로서 각 40돗트로서 구성되고, 제 6d 도는 4항 사이즈의 문자 표시에서 각 32돗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5항 사이즈에서는 각 24돗트, 6항 사이즈에서는 각 16돗트, 7항 사이즈에서는 각 12돗트, 8항 사이즈에서는 각 8돗트에서 1문자의 종횡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표시하는 수자의 항수가 작은 만큼 표시하는 문자의 사이즈를 크게 하여 보기 쉽게 한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 1 실시예의 제 2 도에서 대치하는 플로우도이다. 제 7 도에서, 우선 스텝(S30)에서는 항수(M)에 0을 설정한다. 스텝(S31)에서는 입력된 숫자를 최하위로 하여 항 올림을 행하여 기억한다. 스텝(S32)에서는 항수(M)에 1을 가산하여 M을 경신하다. 스텝(S3)에서는 항수(M)가 8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항수 M=8이면 스텝(34)으로 나아가 8항 사이즈가 문자 표시를 행하고 M=8되면 스텝(S35)으로 나아간다. 스텝(S35)에서는 예를들면 입력 종료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예를들면 발신 지시가 되지 않으면 입력 종료가 없으므로, 스텝(S31)으로 돌아가고, 있으면 입력 종료됨으로 다음 스텝(S36)으로 진행한다. 스텝(S36)∼스텝(S41)에서는 항수(M)가 1∼7의 어느 것인가 있는지를 판별하고, 스텝(S42) 스텝(S48)에서는 그 판별 결과에 따른 항수 사이즈의 돗트 패턴을 판독하여 문자 표시한다. 스텝(S42) 스텝(S48)의 어느 것인가 1개 또는 스텝(S34)을 처리후에 종료로 한다. 표시하는 문자의 크기는 예를들면 제 2 실시예에서, 제 6 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차재용 전화 장치에 적용한 것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전자 탁상 계산기나 전자 수첩등에도 적용 가능하고, 숫자, 한자, 가다가나, 히라가나, 알파벳 문자, 기호등의 글자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용의 키는 소프트 키에 한하지 않고, 하드 키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하는 글자의 수자 적은 만큼 비교적 큰 사이즈로서 글자를 표시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표시가 보기 쉽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택된 자를 돗트 패턴으로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서, 상기 표시하는 자의 수를 판별하는 자수 판별 수단과, 그 자수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글자의 수가 적은 만큼 사이즈가 비교적 큰 상기 돗트 패턴의 신호를 출력하는 돗트 패턴 출력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19900017032A 1989-10-24 1990-10-24 표시 장치 KR930009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7558A JP2573373B2 (ja) 1989-10-24 1989-10-24 表示装置
JP277558 1989-10-24
JP1-277558 1989-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552A KR910008552A (ko) 1991-05-31
KR930009782B1 true KR930009782B1 (ko) 1993-10-11

Family

ID=1758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032A KR930009782B1 (ko) 1989-10-24 1990-10-2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86218A (ko)
JP (1) JP2573373B2 (ko)
KR (1) KR930009782B1 (ko)
DE (1) DE4033830C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082A (en) * 1990-06-11 1998-05-05 Ricoh Company, Ltd. Display system including data display fields in which characters are scrolled
JPH0530890U (ja) * 1991-09-30 1993-04-23 株式会社三陽電機製作所 ドツト式表示器
JP3291311B2 (ja) * 1992-03-16 2002-06-10 富士通株式会社 スクロール制御装置およびスクロール表示方法
USRE39959E1 (en) 1994-04-20 2007-12-25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I118984B (fi) * 1994-04-20 2008-05-30 Sony Corp Viestintäpäätelaite ja sen ohjausmenetelmä
US5677949A (en) * 1994-12-22 1997-10-14 Lucent Technologies Inc. Telephone with minimal switches for dialing
US5924106A (en) * 1995-05-19 1999-07-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printing device and method
JPH09284365A (ja) * 1996-04-12 1997-10-31 Saitama Nippon Denki Kk 携帯電話機
US5757268A (en) * 1996-09-26 1998-05-26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Prioritization of vehicle display features
JP3565682B2 (ja) * 1997-06-02 2004-09-15 シャープ株式会社 伝送情報の表示機能を有する情報端末装置
US6233467B1 (en) 1998-03-18 2001-05-15 Ericsson Inc. Mobile phone display
DE19825214B4 (de) * 1998-06-05 2008-02-07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Anzeigeeinrichtung für mobile Telekommunikations-Endgeräte
JP4640758B2 (ja) * 2004-04-01 2011-03-0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
JP4996528B2 (ja) * 2008-04-22 2012-08-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6410046B2 (ja) * 2015-02-19 2018-10-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7537A (en) * 1978-09-28 1980-04-04 Sharp Corp Display device
US4313108A (en) * 1978-12-07 1982-01-26 Casio Computer Co., Ltd. Electric apparatus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key symbols on a single passive display
DE3148685A1 (de) * 1981-12-09 1983-06-16 Olympia Werke Ag, 2940 Wilhelmshaven Verfahren zur aenderung des zeichenvorrates einer ideografischen schreibmaschine
JPS6014292A (ja) * 1983-07-06 1985-01-24 株式会社東芝 文書作成装置
DE3326224A1 (de) * 1983-07-21 1985-02-07 Telefonbau Und Normalzeit Gmbh, 6000 Frankfurt Schaltungsanordnung zum ansteuern einer anzeigeeinrichtung
JPS61195661A (ja) * 1985-02-27 1986-08-29 Takai Seisakusho:Kk 油揚げの生地再生方法
JPS6246494U (ko) * 1985-09-09 1987-03-20
JPS6367526A (ja) * 1986-09-10 1988-03-26 Tokyo Electric Co Ltd 電子料金秤
DE3700765A1 (de) * 1987-01-13 1988-07-28 Goerlitz Computerbau Gmbh Laufschriftvorrichtung
JPS63279291A (ja) * 1987-05-12 1988-11-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タ−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033830A1 (de) 1991-05-23
DE4033830C3 (de) 2003-09-25
JPH03137691A (ja) 1991-06-12
DE4033830C2 (ko) 1993-03-25
US5386218A (en) 1995-01-31
KR910008552A (ko) 1991-05-31
JP2573373B2 (ja) 1997-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782B1 (ko) 표시 장치
EP1980953B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40088060A (ko) 입력장치, 휴대전화기 및 휴대정보기기
KR100285312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문자입력 방법
KR20030047099A (ko) 이동 통신 단말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
KR1004983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선택방법
US7098919B2 (en) Alphabetic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inputted characters
JP2000310986A (ja) 携帯通信機の画像データ縮小方法
JP2000339083A (ja) 入力装置
KR100663505B1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한글입력방법과 그 입력장치
KR100378986B1 (ko) 전화기의 키패드와 문자입력방법
KR19990039141A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10107066A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GB2374181A (en) Entering ideographic characters using a keypad
KR100606758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70071480A (ko) 일본어 입력 방법 및 일본어 입력 장치
KR100430922B1 (ko) 문자입력키패드
KR20040003092A (ko)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5921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 표시방법
JP2000333264A (ja) 移動体通信端末
KR19980084307A (ko)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20000044330A (ko) 통신 단말 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
JPH086694A (ja) テンキーによる文字入力方法
KR0181111B1 (ko) 페이저의 문자편집 방법
KR200300803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