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251B1 - 작동유체 - Google Patents

작동유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251B1
KR930009251B1 KR1019900019503A KR900019503A KR930009251B1 KR 930009251 B1 KR930009251 B1 KR 930009251B1 KR 1019900019503 A KR1019900019503 A KR 1019900019503A KR 900019503 A KR900019503 A KR 900019503A KR 930009251 B1 KR930009251 B1 KR 930009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orking fluid
less
chlorodifluoromethane
approximat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901A (ko
Inventor
유지 요시다
코지 아리타
다께시 도미자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0965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682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0967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682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0966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68284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9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5/04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 C09K5/045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containing only fluorine as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10Components
    • C09K2205/12Hydrocarbons
    • C09K2205/122Halogenated 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ubric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작동유체
제 1 도∼21도는 실시예 1∼21에 있어서 각각의 작동유체의 3원조성도.
본 발명은 냉장고, 열펌프등에 사용되는 복수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작동유체에 관한 것이다.
지금가지 냉장고, 열펌프등에 있어서의 작동유체로서는 메탄 또는 에탄에서 유도한 할로겐화 탄화수소, 특히 불소화 할로카본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이용온도는 응축온도 및/또는 증발온도가 대략 0∼대략 50℃로서 작동하고 있다. 이들중에서, 비점이 -29.8℃인 디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CCl2F2, R12)이 냉장고, 자동차용 공기조절기 및 대규모 냉동시스템에서의 작동유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불소화할로카본에 의한 성층권내 오존층의 소모는 지구환경문제중의 하나로써 심각하게 논의되어, 완전히 할로겐화되어 있는, 오존소모가능성이 높은 클로로플루오르카본류(CFCs)의 사용량 및 생산이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며, 장래에 이들의 사용 및 생산이 금지될 전망이다.
트리클로로플루오르메탄(CCl3F, R11)의 오존소모가능성(이하, "ODP"라 한다)을 1로 정의할때, R12의 ODP는 1.0이며, 냉장고 및 공기조절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관계로 인간생활에 있어서 R12의 사용 및 생산량의 절감을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되므로, ODP가 작고, R12의 대체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작동유체의 신속한 개발이 매우 요구되고 있다.
이런 목적을 미국특허 No. 4, 810, 403 호에는 대기압에서 대략 -50℃∼대략 -30℃정도 범위의 비점을 지니는 제 1 할로카본과, 대기압에서 대략 -30℃ 대략 -5℃정도 범위의 비점을 지니는 제 2 할로카본과, 대기압에서 대략 -15℃∼대략 30℃정도 범위의 비점을 지니는 제 3 할로카본으로 이루어지는 냉각제, 특히 R22, R152a 및 R114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각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층권내 오존층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R12의 대체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작동유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점이 -40.8℃인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CHCIF2, R22) : 하나 또는 둘의 탄소원자, 수소원자 및 블소원자로 이루어지는 메탄유도체 및 에탄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며, 대기압하에서 비점이 -60℃∼-40℃인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르카본(이하, "불소화메탄 또는 에탄유도체"라 한다)과 ; 2개의 탄소원자, 1,2 또는 3개의 수소원자, 0.1 또는 2개의 염소원자 및 나머지가 불소원자로 이루어지며 대기압하에서의 비점이 -30℃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화에탄(이하, "할로겐화에탄유도체"라 한다)으로 이루어지는 작동유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작동유체의 성분들 중에서, R22는 매우 낮은 오존소모가능성을 지녀 이것의 ODP는 단지 0.05이며, 이것은 분자구조에 수소원자와 염소원자를 둘다 함유하고 있다. R22는 R12와 함께 작동유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불소화메탄 또는 에탄유도체는 염소원자를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오존소모가능성이 작다.
할로겐화에탄유도체는 분자구조에 염소원자를 지니지 않는 불소화할로카본과, 염소 및 수소원자를 지니는 불소화할로카본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오존소모가능성은 없거나 매우 낮다.
특히, 대기압하에서 불소화메탄 또는 에탄유도체의 비점은 -60℃∼-40℃이기 때문에, R22와 대기압하에서 -30℃ 이상의 비점을 지니는 할로겐화 에탄유도체를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작동유체는 R12와 유사한 비점을 지니게 된다.
비점이 -60℃∼-40℃인 불소화메탄 또는 에탄유도체를 선택하게된 이유는, 이런 불소화메탄 또는 에탄유도체의 임계온도가 적어도 대략 50℃ 이상으로, 대략 50℃의 응축온도에서, 어떠한 조성을 지니는 작동유체라도 응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소화메탄 또는 에탄유도체들중에서, 디플루오르에탄(CH2F2, ODP=0), 펜타플루오르에탄(C2HF5, ODP=0), 또는 트리플루오르에탄(C2H3F3, ODP=0)이 바람직하다.
할로겐화에탄유도체들 중에서, 테트라플루오르에탄(C2H2F4, ODP=0),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C2HClF4, ODP=0.02)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C2H3ClF2, ODP=0.06),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C2HCl2F3, ODP=0.02) 또는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C2H3Cl2F2, ODP=0.1)이 바람직하다.
불소화메탄 또는 에탄유도체, R22 및 할로겐화에탄유도체의 중량비는 제조되는 작동유체의 특성 및/또는 불소화메탄 또는 에탄유도체 및 할로겐화에탄유도체의 종류에 의존하며, 통상 본 발명의 작동유체는 불소화메탄 또는 에탄유도체 1∼95중량%, R22 1∼95중량% 및 할로겐화에탄유도체 5∼95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작동유체는 오존소모가능성이 매우 작고 (ODP=0.05), 분자구조에 염소원자와 수소원자를 둘다 함유하는 R22와 ; 대기압하에서 비점이 -60℃∼-40℃이며, 실질적으로 오존소모가능성이 없고(ODP=0), 분자구조에 염소원자를 지니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화메탄 또는 에탄유도체와 ; 대기압하에서 비점이 -30℃ 이상이고, 실질적으로 오존소모가능성이 없고(ODP=0), 분자구조에 염소원자를 지니지 않거나, 또는 오존소모가능성이 매우 낮고 염소 및 수소원자를 둘다 지니는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화 에탄유도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성층권내 오존층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더 적다.
특정 조성범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작동유체는 대략 0℃∼50℃ 사이의 온도범위에서 R12와 같은 증기압을 지녀, R12의 대체물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작동유체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작동유체는 매우 작은 ODP를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유체는 비공비성혼합물로 응축 및 증발과정에 있어 온도경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열원에서의 온도차가 감소하는 로렌쯔 사이클을 조립할 경우 R12보다 높은 성능계수(COP)를 기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실시예 1∼7에 있어서, R22와 R22보다 낮은 비점을 지니는 제 2 성분으로서의 디플로오르메탄을 함유하는 작동유체중에서도, R12보다 높은 비점을 지니는 제 3 성분으로서 테트라플루오르에탄을 함유하는 작동유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제 3 성분을 사용할 경우의 작동유체에 대해서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평형상태도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1 도는 특정압력하의 특정온도에서 디플루오르메탄 (R32), R22 및 1, 1, 2, 2-테트라플루오르에탄(R134)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삼각좌표에 나타낸 3원조성도이다.
삼각좌표에 있어서, 맨위 정점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가장 낮은 비점을 지니는 화합물로부터 가장 높은 비점을 지니는 화합물까지 정점에 단일 화합물을 설정해둔다. 삼각좌표상의 한점에서 3개 화합물의 조성(중량비)은 상기 지점과 반대편간의 간격비로서 나타내며 상기 점과 반대편간의 간격은 상기 측면에 향하는 정점에 설정되어 있는 화합물의 비율에 대응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라인 1은 2.116kg/㎠G압력하, 0℃에서의 혼합물의 상평형라인이며, 이들 온도 및 압력은 R12의 포화상태에 상당한다. 상평형라인1의 상부쪽(0℃에서 R12에 대응한다)은 포화증기라인이며, 하부쪽은 액체라인이다. 이들 2개라인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혼합물은 상평형상태에 있다. 라인2은 11.373kg/㎠G압력하, 50℃에서의 혼합물의 상평형라인으로 이들 온도 및 압력은 R12의 포화상태에 대응한다.
제 1 도로 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대략 0℃와 대략 50℃ 사이의 온도범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증기압을 지니므로 대략 0∼25중량%의 R32, 대략 0∼45중량%의 R22 및 대략 55∼95중량%의 R13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물은 0℃ 와 50℃ 사이의 모든 이용온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압을 지니므로 대략 0∼15중량%의 R32, 대략 0∼30중량%의 R22 및 대략 70∼90중량%의 R13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에 있어 A1점∼F1점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점 A1. B1 및 C1은 상평형라인2의 (50℃에서 R12로 대응)의 포화증기라인위와, 상평형라인1(50℃에서 R12에 대응)의 포화증기라인과 포화액체라인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므로, 혼합물은 R12의 포화상태에 상당하는, 2.116kg/㎠G압력하 0℃에서의 상평형상태로 존재한다.
점 D1, E1 및 F1은 상평형라인1(0℃에서 50℃에 대응하는)의 포화액체라인위와, 상평형라인2(50℃에서 R12에 대응하는)의 포화증기라인과 포화액체라인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므로, 혼합물은 R12의 평형상태에 상당하는 11. 373kg/㎠G압력하 50℃에서의 상평형상태로 존재한다.
다음, 표 1에 있는 조성을 지니는 작동유체는 0℃와 50℃에서 R12의 포화증기압 상태하에 포화상태 또는 평형상태로 존재하므로 대략 0℃와 대략 50℃ 사이의 이용온도 범위에서 작동유체는 상기 온도에서 R12와 포화증기압하에 작동될 경우 R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응축 및 증발온도를 지닌다.
상기와 같이 상평형라인1(0℃에서의 R12에 대응하는) 또는 2(50℃에서 R12에 대응하는)상의 조성을 지니는 혼합물에 대해 설명한 바, 또는 점 A1∼F1 내부영역조성을 지니는 작동유체, 즉, R12의 포화상태에 상당하는 2.116kg/㎠G의 압력하 0℃와 11.373 kg/㎠G압력하 50℃에서 평형상태를 실현시키는 조성을 지니는 혼합물은 상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작동되어 R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응축 및 증발온도를 대략 0℃와 대략 50℃ 사이의 이용온도범위로 달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도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작동유체는 R32의 대략 0∼대략 25중량%(예를들면, 1∼25중량%), R22의 대략 0∼대략 45중량%(예를들면, 1∼45중량%),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탄 대략 55∼대략 95%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략 0∼50℃ 사이의 이용온도범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대략 0∼대략 15중량%(예를들면, 1∼15중량%)의 R32, 대략 0∼대략 30중량%(예를들면, 1∼30중량%)의 R22 및 대략 70∼90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작동유체가 0℃∼50℃ 사이의 전체이용 온도범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유체는 0∼0.02의 ODP를 지녀 R12에 대한 대쳐 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한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2]
제 2 도는 특정압력하의 특정온도에서 R32, R22 및 2-클로로-1, 1, 1, 2-테트라플루오르에탄(R124)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삼각좌표로 표시한 것이다.
제 2 도에서 점 A1∼E1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이 경우, R32의 대략 0∼35중량%(예를들면,1∼35중량%), R22의 대략 0∼60중량%(예를들면, 1∼60중량%) 및 R124 대략 40∼9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R32의 대략 0∼25중량%(예를들면 1∼25중량%), R22의 0∼50중량%(예를들면 1∼50중량%) 및 R124의 대략 50∼9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3]
제 3 도는 특정압력하의 특정온도에서 R32, R22 및 1-클로로-1, 1, 2, 2-테트라플루오르에탄(R124a)로 이루어지는 평형상태를 타나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에 표시한 것이다. 제 3 도에서 점 A2∼F2에서의 각종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이 경우, R32의 대략 0∼35중량%(예를들면, 1∼35중량%), R22의 대략 0∼60중량%(예를들면, 1∼60중량%) 및 R124a의 대략 40∼9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R32의 대략 0∼25중량%(예를들면 1∼25중량%), R22의 대략 0∼50중량%(예를들면 1∼50중량%) 및 R124a의 대략 50∼9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도 및 3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R32의 대략 0∼35중량%(예를들면 1∼35중량%), R22의 대략 0∼60 중량%(예를들면 1∼60중량%) 및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의 대략 40∼9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또한, R32의 대략 0 ∼25중량%(예를들면 1∼25중량%), R22의 대략 0∼50중량%(예를들면 1∼50중량%) 및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의 대략 50∼9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2와 3의 작동유체는 0.02∼0.04의 ODP를 지닐 것으로 기대되므로 이들은 R12의 대체 작용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4]
제 4 도는 특정압력하의 특정온도에서 R32, R22 및 1-클로로-1,1-디플루오르에탄(R142b)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도시하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로 나타낸 것이다.
제 4 도에서의 점 A1∼F1에서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제 4 도로 부터, R32의 대략 0∼45중량%(예를들면, 1∼45중량%), R22의 대략 0∼75중량%(예를들면, 1∼75중량%) 및 R142b의 대략 25∼8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또한 R32의 대략 0∼35중량%(예를들면, 1∼35중량%), R22의 대략 0∼65중량%(예를들면, 1∼65중량%) 및 R142b의 대략 35∼8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유체는 0.04∼0.06의 ODP를 지닐 것으로 기대되므로, 이들은 R12의 대체 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된다.
[실시예 5]
제 5 도는 R32, R22 및 2, 2-디클로로-1, 1, 1-트리플루오르에탄(R123)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에 도시한 것이다.
5도에 있어서, 점 A1∼F1에서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이 경우에, R32의 대략 0∼80중량%(예를들면, 1∼80중량%), R22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및 R123의 대략 10∼8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또한 R32의 대략 0∼70중량%(예를들면, 1∼70중량%), R22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및 R123의 대략 15∼8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6]
제 6 도는 특정압력하의 특정온도에서 R32, R22 및 1, 2-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R123a)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로 도시한 것이다.
제 6 도에서 점 A2∼F2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6에 나타내었다.
[표 6]
이 경우에, R32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R22의 대략 0∼95중량%(예를들면, 1∼90중량%) 및 R123a의 대략 10∼8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32의 대략 0∼70중량%(실시예 1∼70중량%), R22의 대략 0∼85중량%(실시예 1∼85중량%) 및 R123a의 대략 15∼8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5 도 및 제 6 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R32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R22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및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 10∼8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더욱기 R32의 0∼70중량%(예를들면, 1∼70중량%), R22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및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의 대략 15∼8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5와 6에서의 작동유체는 0.01∼0.05의 ODP를 지닐 것으로 기대되므로 R12에 대한 대체 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7]
제 7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32, R22 및 1, 1-디클로로-1-플루오르에탄(R141b)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로 표시한 것이다.
제 7 도에 있어서 점 A1∼F1에서 작동유체의 조성과 ODP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제 7 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R32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R22의 대략 0∼95중량%(예를들면, 1∼95중량%) 및 R141b의 대략 0∼8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32의 대략 0∼75중량%(예를들면, 1∼75중량%), R22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및 R141b의 대략 10∼7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작동유체는 0.02∼0.07의 ODP를 지닐 것으로 기대되므로 이들은 R12에 대한 대체 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1∼7의 상기 결과로부터, R32의 85중량% 이하, R22의 95중량% 이하,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탄 55∼95중량% 또는 클로로테트라플로우르에탄 40∼90중량%, 또는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25∼85중량%,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 10∼85중량% 또는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 5∼8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R23의 75중량% 이하, R22의 75중량% 이하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탄 70∼90중량%, 또는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 50∼90중량%, 또는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35∼85중량% 또는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 10∼7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 실시예 8∼14에서 R22와 R22보다 낮은 비점을 지니는 제 2 성분으로서 펜타플루오르에탄을 함유하는 작동유체중에서, R12보다 높은 비점을 지니는 제 3 성분으로서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을 함유하는 작동유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제 3 성분을 사용할 경우의 작동유체에 대해서는 도면의 평형상태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8]
제 8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펜타플루오르에탄(R125), R22 및 2-클로로-1, 1, 1, 2-테트라플루오르에탄(R124)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로 표시한 것이다.
제 8 도에서 라인1은 2.116kg/㎠G압력하, 0℃에서 혼합물의 상평형라인으로, 이들 온도 및 압력은 R12의 포화상태에 대응한다. 상평형라인1(0℃에서의 R12에 대응)의 상부쪽은 포화증기라인이고 하부쪽은 포화액체라인이다. 이들 2개 라인사이의 영역에서 혼합물은 평형상태이다. 라인2는 11.33kg/㎠G압력하, 50℃에서 혼합물의 상평형라인으로, 이들 온도 및 압력은 R12의 포화상태에 상당한다.
제 8 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R125의 대략 0∼60중량%(예를들면, 1∼60중량%), R22의 대략 0∼60중량%(예를들면 1∼60중량%) 및 R124의 대략 40∼75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대략 0℃ 와 대략 50℃ 사이의 온도범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더우기 R125의 대략 0∼45중량%(예를들면 1∼45중량%), R22의 대략 0∼45중량%(예를들면 1∼45중량%) 및 R124의 대략 55∼7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0℃와 50℃ 사이의 모든 이용온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데 더욱 바람직하다.
제 8 도에서 점 A1∼F1 에서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점 A1, B1 및 C1은 상평형라인 2(50℃에서 R12에 상당)의 포화증기라인과, 상평형라인(0℃에서 R12에 상당)의 포화증기라인과 포화액체라인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므로, 혼합물은 R12의 포화상태에 상당하는 2.116kg/㎠G압력하 0℃에서의 평형상태이다.
점 D1, E1 및 F1 은 상평형라인 1(0℃에서 R12에 대응)의 포화액체 라인과 상평형라인 2(50℃에서 R12에 대응)의 포화증기라인과 포화액체 라인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므로, 혼합물은 R12의 평형상태에 상당하는 11.373kg/㎠G압력하 50℃에서의 상평형상태이다.
다음, 표 8의 조성을 지니는 작동유체는 0℃와 50℃에서 R12의 포화증기압조건하의 포화상태 또는 평형상태이므로 대략 0℃와 50℃ 사이의 이용온도범위에 있어서 작동유체는 상기 온도에서 R12의 포화증기압하에 작동할 경우에 R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응축 및 증발온도를 지닌다.
상기와 같이 상평형라인 1(0℃에서 R12에 대응) 또는 2(50℃에서 R12에 대응)상의 조성을 지니는 혼합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또한, 점 A1∼F1 내부영역의 조성으 로 지니는 작동유체, 즉 R12의 포화상태에 대응하는, 2.116kg/㎠G 압력하 0℃와 11.373kg/㎠G 압력하 50℃에서 상평형상태를 실현하는 조성을 지니는 작동유체를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작동시킬 경우, R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응축 및 증발온도를 대략 0℃와 대략 50℃ 사이의 이용온도범위내를 성취할수 있게 된다.
[실시예 9]
제 9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25, R22 및 1-클로로-1, 1, 2, 2-테트라플루오르에탄(R124a)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에 표시한 것이다.
제 9 도에서 라인 1은 2.116kg/㎠G압력하 0℃에서의 혼합물의 상평형 라인이며, 라인 2는 11.373kg/㎠G압력하 50℃에서의 혼합물의 상평형 라인이다.
이경우, 혼합물은 R125의 대략 0∼60중량%(예를들면, 1∼60중량%), R22의 대략 0∼60중량%(예를들면,1∼60중량%) 및 R124a의 대략 40∼7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R22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더우기, R125의 대략 0∼50중량%(예를들면, 1~50중량%), R22의 대략 0~50중량%(예를들면, 1~50중량%) 및 R124a의 대략 50~7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0℃∼50℃ 사이의 모든 이용온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표 9의 점 A2∼F2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또한, 표 9의 조성을 지니는 작동유체는 0℃와 50℃에서 R12의 포화 증기압조건하의 포화상태 또는 상평형상태이므로, 대략 0℃와 대략 50℃사이의 이용온도범위에서, 작동유체는 상기 온도에서 포화증기압하에 작동할 경우에 R12에 실질적으로 같은 응축 및 증발온도를 지닌다.
제 8 도 및 9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25의 대략 0∼60중량%(예를들면, 1∼60중량%) R22의 대략 0~60중량%(예를들면, 1~60중량%) 및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의 대략 40∼7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략 0℃와 대략 50℃ 사이의 이용온도범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더우기 R125의 대략 0∼50중량%(예를들면, 1∼50중량%), R22의 대략 0∼50중량%(예를들면, 1∼50중량%) 및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의 대략 50∼7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0℃와 50℃ 사이의 모든 이용온도 범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8과 9의 작동유체는 0.01∼0.04의 ODP를 지닐 것으로 에견되므로 R12용 대체 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10]
제 10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25, R22 및 1, 1, 2, 2-테트라플루오르에탄(R134)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를 표시한 것이다.
제 10 도의 점 A1∼F1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10]
제 10 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혼합물은 R125의 대략 0∼45중량%(예를들면, 1∼45중량%), R22의 대략 0∼45중량%(예를들면, 1∼45중량%) 및 R134의 대략 55∼8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25의 대략 0∼35중량%(예를들면, 1∼35중량%), R22의 대략 0∼35중량%(예를들면, 1∼35중량%) 및 R134의 대략 65∼7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작동유체는 0∼0.04의 ODP를 지닐 것으로 예견되므로 이들은 R12용 대체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11]
제 11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25, R22 및 1-클로로-1, 1-디플루오르에탄(R142b)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 조성도를 3각좌표에 표시한 것이다.
제 11 도의 점 A1∼F1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표 11]
제 11 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25의 대략 0∼70중량%(예를들면, 1∼70중량%), R22의 대략 0∼75중량%(예를들면, 1∼75중량%) 및 R142b의 대략 22 ∼6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25의 대략 0∼60중량%(예를들면, 1∼60중량%), R22의 대략 0∼65중량%(예를들면, 1∼65중량%) 및 R142b의 대략 35∼6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분 실시예의 작동유체는 0.02∼0.06의 ODP를 지닐 것으로 예견되므로 이들은 R12용 대체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12]
제 2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25, R22 및 2, 2-디클로로-1, 1, 1-트리플루오르에탄(R123)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 조성도를 3각좌표에 표시한 것이다.
제 12 도의 점 A1∼F1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12에 나타내었다.
[표 12]
제 12 도로 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25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R22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및 R123의 대략 10∼6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25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R22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및 R123의 대략 15∼6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13]
제 13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25, R22 및 1, 2-디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R123a)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표시한 것이다.
제 13 도의 점 A1∼F1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표 13]
이경우, 혼합물은 R125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R22의 0∼90중량%( 예를들면, 1∼90중량%) 및 R123a의 대략 10∼6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25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R22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및 R123a의 대략 15∼6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표 9의 조성을 지니는 작동유체는 0℃와 50℃에서 R12의 포화증기압조건하의 포화상태 또는 상평형상태이므로, 대략 0℃와 대략 50℃사이의 이용온도범위에서, 작동유체는 상기 온도에서 포화증기압하에 작동할 경우에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응축 및 증발온도를 지닌다.
제 12 도 및 13도로 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25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R22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및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의 대략 10∼6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25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R22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및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의 대략 15∼6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실시예 12]와 [실시예 13]의 작동유체는 0.0∼0.05의 ODP를 지닐 것으로 예견되므로 R12용 대체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14]
제 14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25, R22 및 1, 1-디클로로-1-플루오르에탄(R141b)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 조성도를 3각좌표에 표시한 것이다.
제 14 도의 점 A1∼F1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표 14]
제 14 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25의 대략 0∼95중량%(예를들면, 1∼95중량%), R22의 대략 0∼95중량%(예를들면, 1∼95중량%) 및 R141b의 대략 5∼6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25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R22의 대략 0∼90중량%) 및 R141b의 대략 10∼5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작동유체는 0.01∼0.08의 ODP를 지닐 것으로 예견되므로 이들은 R12용 대체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8∼14의 결과로부터, 혼합물은 R125의 95중량%이하, R22의 95중량%이하, 그리고 테트라플루오르에탄의 55∼80중량% 또는,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의 10∼65중량%, 또는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의 5∼6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우기 R125의 90중량% R22의 90중량%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탄의 65∼75중량% 또는,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의 50∼70중량% 또는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의 35∼65중량% 또는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의 15∼60중량% 또는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의 10∼5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함을 알수 있다.
실시예 15∼21에서, R22와 R22보다 낮은 비점을 지니는 제 2성분으로서 트리플루오르에탄을 함유하는 작동유체중에서, R12보다 높은 비점을 지니는 제3성분으로서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을 함유하는 작동유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다른 제 3 성분을 사용하였을 경우의 작동유체에 대한 설명은 도면의 상평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실시예 15]
제 15 도는 1, 1, 1-트리플루오르에탄(R143a), R22 및 2, 2-디클로로-1, 1, 1-트리플루오르에탄(R123)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에 표시한 것이다.
제 15 도에서, 라인 1은 2.116kg/㎠G압력하 0℃에서의 혼합물의 상평형라인이며, 이들 온도 및 압력은 R12의 표화상태에 대응한다. 상평형라인 1(0℃에서 R12에 대응)의 상부쪽은 포화증기라인이고 하부쪽은 포화 액체라인이다. 이들 2개 라인사이의 영역에서, 혼합물은 상평형상태이다. 라인 2는 11.373kg/㎠G압력하 50℃에서 혼합물의 상평형라인이며, 이들온도 및 압력은 R22의 포화상태에 대응한다.
제 15 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43a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0∼90중량%), R22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0∼90중량%) 및 R123의 대략 10∼7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략 0℃와 대략 50℃사이의 이용온도 범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더우기 R143a의 대략 0∼80중량%(예를들면, 1∼80중량%), R22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및 R125의 대략 15∼6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0℃와 50℃ 사이의 모든 이용온도 범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제 15 도의 점 A1∼F1에서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표 15]
점 A1, B1및 C1은 상평형라인 2(50℃ R12에 대응)의 포화증기 라인위에 존재하며, 점 D1, E1 및 F1은 상평형라인 1(0℃에서 R12에 대응)의 포화액체라인위에 존재하며, 상평형라인 2(50℃에서 R12에 대응)의 포화증기라인과 포화액체라인 사이의 영역에서, 혼합물을 R12의 평형상태에 대응하는 2.116kg/㎠G압력하 0℃에서의 상평형상태이다.
또한, 표 15의 조성을 지니는 작동유체는 0℃ 와 50℃에서 R12의 포화증기압조건하에서 포화상태 또는 상평형상태이므로, 대략 0℃ 와 대략 50℃사이의 이용온도범위에서, 작동유체는 상기 온도에서 R12의 포화 증기압하에 작동할 경우에 R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응축 및 증발온도를 지닌다.
상기와 같이, 상평형라인 1(0℃에서 R12에 대응) 또는 2(50℃에서 R12에 대응) 상의 조성을 지니는 혼합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또한 점 A1∼F1 내부영역의 조성을 지니는 작동유체, 즉 R12의 포화상태에 대응하는, 2.116kg/㎠G압력하 0℃와 11.373kg/㎠G압력하 50℃에서 상평형 상태를 실현하는 조성을 지니는 작동유체를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작동시킬 경우, R12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응축 및 증발온도를 대략 0℃와 대략 50℃ 사이의 이용온도범위내로 성취할수 있게 된다.
[실시예 16]
제 16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43a, R22 및 1, 2-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R123a)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에 나타낸 것이다.
이경우, 혼합물은 R143a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R22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및 R123a의 대략 10∼7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더우기, R143a의 대략 0∼80중량%(예를들면, 1∼80중량%), R22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및 R123a의 대략 15∼6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0℃와 50℃ 사이의 모든 이용온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표16의 점 A2∼F2에서의 작동유체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16에 나타내었다.
[표 16]
표 16의 조성을 지니는 작동유체는 0℃와 50℃에서 R12의 포화증기압 조건하의 포화상태 또는 상평형상태이므로, 대략 0℃와 50℃사이의 이용온도범위에서, 작동유체는 상기 온도에서 포화증기압하에 작동할 경우에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응축 및 증발온도를 지닌다.
제 15 도 및 16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43a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R22의 대략 0∼90중량%(예를들면, 1∼90중량%) 및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의 대략 10∼7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략 0℃와 대략 50℃ 사이의 이용온도 범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더우기 R143a의 대략 0∼80중량%(예를들면, 1∼80중량%), R22의 대략 0∼85중량%(예를들면, 1∼85중량%) 및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의 대략 15∼6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0℃와 50℃ 사이의 모든 이용온도 범위에서 R12와 실질적으로 같은 증기압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15과 16의 작동유체는 0.01∼0.05의 ODP를 지닐 것으로 예견되므로 R12용 대체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17]
제 17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43a, R22 및 1, 1, 2, 2-테트라플루오르에탄(R134)로 이로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 조성도를 3각좌표에 표시한 것이다.
제 17 도의 점 A1∼F1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17에 나타내었다.
[표 17]
제 17 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43a의 대략 0∼40중량%(예를들면, 1∼40중량%), R22의 대략 0∼45중량%(예를들면, 1∼45중량%) 및 R134의 대략 55∼8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43a의 대략 0∼25중량%(예를들면, 1∼25중량%), R22의 대략 0∼35중량%(예를들면, 1∼35중량%) 및 R134의 대략 65∼8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작동유체는, 0∼0.02의 ODP를 지닐 것으로 예견되므로 이들은 R12용 대체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18]
제 18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43a, R22 및 2-클로로-1, 1, 2, 2-테트라플루오르에탄(R124)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에 표시한 것이다.
제 18 도의 점 A1∼F1 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18]
제 18 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43a의 대략 0∼50중량%(예를 들면, 1∼50중량%) R22의 대략 0∼60중량%(예를 들면, 1∼60중량%) 및 R124의 대략 40∼8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43a의 대략 0∼40중량%(예를 들면, 1∼40중량%), R22의 대략 0∼45중량%(예를 들면, 1중량∼45중량%) 및 R124의 대략 55∼8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19]
제 19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43a, R22 및 1-클로로-1, 1, 2, 2-테트라플루오르에탄(R124a)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에 표시한 것이다.
제 19 도의 점 A2∼F2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19에 나타내었다.
[표 19]
이 경우, 혼합물은 R143a의 대략 0∼55중량%(예를 들면, 1∼55중량%), R22의 대략 0∼60중량%(예를 들면, 1∼60중량%) 및 R124a의 대략 40∼7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43a의 대략 0∼40중량% (예를 들면, 1∼40중량%), R22의 대략 0∼50중량%(예를 들면, 1∼50중량%) 및 R124a의 대략 50∼7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8 도 및 19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43a의 대략 0∼55중량%(예를 들면, 1∼55중량%), R22의 대략 0∼60중량%(예를 들면, 1∼60중량%) 및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의 대략 40∼8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43a의 대략 0∼40중량%(예를 들면 1∼40중량%), R22의 대략 0∼50중량%(예를 들면, 1∼50중량%) 및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의 대략 15∼6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18 및 19의 작동유체는 0.01∼0.04의 ODP를 지닐 것으로 예견되므로 R12용 대체 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20]
제 20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43a, R22 및 1-클로로-1, 1-디플루오르에탄(R142b)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에 표시한 것이다.
제 20 도의 점 A1∼F1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20에 나타내었다.
[표 20]
제 20 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43a의 대략 0∼60중량%(예를 들면, 1∼60중량%), R22의 대략 0∼75중량%(예를 들면, 1∼75중량%) 및 R142b의 대략 25∼7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43a의 대략 0∼50중량% (예를 들면, 1∼50중량%), R22의 대략 0∼65중량%(예를 들면, 1∼65중량%) 및 R142b의 대략 35∼7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작동유체는 0.03∼0.06의 ODP를 지닐 것으로 예견되므로 R12용 대체 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21]
제 21 도는 특정압력하 특정온도에서 R143a, R22 및 1, 1-디클로로-1-플루오르에탄(R141b)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3원조성도를 3각좌표에 표시한 것이다.
제 21 도의 점 A1∼F1에서의 작동유체의 조성 및 ODP를 표 21에 나타내었다.
[표 21]
제 21 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혼합물은 R143a의 대략 0∼90중량%(예를 들면, 1∼90중량%), R22의 대략 0∼95중량%(예를 들면, 1∼95중량%) 및 R141b의 대략 5∼6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우기 R143a의 대략 0∼85중량% (예를 들면, 1∼85중량%), R22의 대략 0∼90중량%(예를 들면, 1∼90중량%) 및 R141a의 대략 10∼6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작동유체는 0.01∼0.07의 ODP를 지닐 것으로 예견되므로 이들은 R12용 대체작동유체로서 매우 유망하다.
실시예 15∼21의 결과로부터, 혼합물은 90중량% 이하의 R143a , 95중량%이하의 R22, 및 55∼85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40∼80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25∼70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또는 10∼70중량%의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 또는 5∼65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우기 85중량%이하의 R143a, 90중량%이하의 R22 및 65∼80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50∼80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35~70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또는, 15~65중량%의 디클로로 크리플루오르에탄 또는 10∼60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함을 알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 혼합물은 구조이성질체를 포함하는 4개이상의 불소화 할로카본류와 혼합할수도 있으나 3개의 불소화할로카본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경우, 혼합물은 제 1 성분으로서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 디플루오르메탄, 펜타플루오르에탄 및 트리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성분 ; 과 테트라플루오르에탄,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 및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 3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작동유체는 비공비성혼합물로 응축 및 증발과정에 온도변화를 지니므로, 열원유체에서의 온도차이가 감소하는 로렌쯔사이클을 조립한 경우에 R12보다 높은 성능계수(COP)가 기대된다.

Claims (40)

  1.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 하나 또는 둘의 탄소원자, 수소원자 및 불소원자로 이루어지는 메탄유도체 및 에탄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대기압하에서 비점이 -60℃~ -40℃ 인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르카본 ; 과, 2개의 탄소원자, 1,2 또는 3의 수소원자, 0,1 또는 2의 염소원자 및 나머지가 불소원자로 이루어지며, 대기압하에서 비점이 -30℃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화에탄으로 이루어진 작동유체.
  2. 제 1 항에 있어서, 1~95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비점이 -60℃~ -40℃ 인 상기 플루오르카본 1~95중량% 및 상기 할로겐화에탄 5~95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카본은 디플루오르메탄, 펜타플루오르에탄 및 트리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화에탄은 테트라플루오르에탄,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 및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 및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5. 제 1 항에 있어서, 85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9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55~95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40~90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25~85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또는, 10~85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 또는 5~80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총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6. 제 1 항에 있어서, 75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9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칸, 및 70~90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50~90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35~85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또는, 15~80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 또는, 10~75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총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7. 제 1 항에 있어서, 25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4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55~95중량%의 테트라 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8. 제 7 항에 있어서, 15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3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70~90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9. 제 1 항에 있어서, 35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6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40~90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25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5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50~90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11. 제 1항에 있어서, 45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7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25~85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35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6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35~85중량%의 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13. 제 1항에 있어서, 70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8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15~80중량%의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70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8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15~80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85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9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5~80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75중량%이하의 디플루오르메탄, 9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10~75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95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9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55~80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40~75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25~65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또는, 10~65중량%의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 또는, 5~60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총10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90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9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65~75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50~70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35~65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또는, 15~60중량%의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 또는, 10~50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총10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19. 제 1항에 있어서, 45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4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55~80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35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3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65~75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21. 제 1 항에 있어서, 60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6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40~75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50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50중량%이하의 클로로플루오르메탄 및 50~75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23. 제 1 항에 있어서, 70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75중량%이하의 클로로플루오르에탄 및 25~65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60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65중량%이하의 클로로플루오르메탄 및 35~65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25. 제 1 항에 있어서, 90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9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10~65중량%의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85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8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15~60중량%의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27. 제 1 항에 있어서, 95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95중량%이하의 클로로플루오르메탄 및 5~60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90중량%이하의 펜타플루오르에탄, 90중량%이하의 클로로플루오르메탄 및 10~50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29. 제 1 항에 있어서, 90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9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55~85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40~80중량%의 클로로 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25~70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또는 10~70중량%의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 또는 5~65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총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30. 제 1 항에 있어서, 85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9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65~80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50~80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 또는, 35~70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 또는, 15~65중량%의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 또는, 10~60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총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유체.
  31. 제 1 항에 있어서, 40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4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55~85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25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3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65~85중량%의 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33. 제 1 항에 있어서, 55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6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40~80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34. 제 33 항에 있어서, 40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5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50~80중량%의 클로로테트라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35. 제 1 항에 있어서, 60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7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25~70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50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6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35~70중량%의 클로로디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37. 제 1 항에 있어서, 90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9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10~70중량%의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38. 제 37 항에 있어서, 80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8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15∼65중량%의 디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39. 제 1 항에 있어서, 90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95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5∼65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40. 제 39 항에 있어서, 85중량%이하의 트리플루오르에탄, 80중량%이하의 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및 10~ 60중량%의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동유체.
KR1019900019503A 1989-11-29 1990-11-29 작동유체 KR930009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9666 1989-11-29
JP309674 1989-11-29
JP309653 1989-11-29
JP1309653A JPH03168272A (ja) 1989-11-29 1989-11-29 作動流体
JP1309674A JPH03168292A (ja) 1989-11-29 1989-11-29 作動流体
JP1309666A JPH03168284A (ja) 1989-11-29 1989-11-29 作動流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901A KR910009901A (ko) 1991-06-28
KR930009251B1 true KR930009251B1 (ko) 1993-09-24

Family

ID=2733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503A KR930009251B1 (ko) 1989-11-29 1990-11-29 작동유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430131A1 (ko)
KR (1) KR930009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0496A (en) * 1991-07-12 1995-11-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orking fluid containing chlorotetrafluoroethane
CN1031514C (zh) * 1992-01-24 1996-04-10 顾雏军 在热力循环中使用的改进的非共沸工作介质
AU3615193A (en) * 1992-02-12 1993-09-03 Allied-Signal Inc. Refrigerant compositions of monochlorodifluoromethane, pentafluoroethane and 1,1,1,2-tetrafluoroethane
US5458798A (en) * 1993-02-05 1995-10-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zeotropic and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a hydrofluorocarbon and a hydrocarbon
US5492643A (en) * 1994-04-26 1996-02-20 Kenneth B. Ruello, Jr. Environmentally safer replacement refrigerant for freon 12-based refrigeration systems
US5942149A (en) 1994-04-26 1999-08-24 Weber, Iii; Harrison M. Environmentally safer replacement refrigerant for freon 12-based refrigeration systems
FR2725200B1 (fr) * 1995-02-17 1996-10-31 Atochem Elf Sa Melange pseudo-azeotropique de chlorodifluoromethane, de 1,1,1-trifluoroethane et de pentafluoroethane, et son application comme fluide frigorigene en refrigeration basse temperature
US7258813B2 (en) 1999-07-12 2007-08-2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frigerant composition
ES2374288T3 (es) 2002-11-29 2012-02-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frigerantes para enfriador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19743A1 (de) * 1966-10-28 1971-03-25 Union Carbide Corp Kuehlpraeparat
EP0105831A1 (en) * 1982-09-30 1984-04-18 Daikin Kogyo Co., Ltd. Refrigerant composition
US4810403A (en) * 1987-06-09 1989-03-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alocarbon blends for refrigerant use
JP2545887B2 (ja) * 1987-11-02 1996-10-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 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901A (ko) 1991-06-28
EP0430131A1 (en) 199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516B1 (ko) 작동유체
JP2568774B2 (ja) 作動流体
KR930010514B1 (ko) 작동유체
KR100190185B1 (ko) 디플루오로메탄; 1,1,1-트리플루오로에탄; 또는 프로판을 함유하는 비공비성 냉매 조성물들
US5370811A (en) Working fluid containing tetrafluoroethane
JPH08277389A (ja) 混合作動流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装置
KR930009251B1 (ko) 작동유체
JPH0655942B2 (ja) 作動流体
JP2580350B2 (ja) 作動流体
US6156224A (en) Working fluid containing perfluorodimethylether
EP0430171B1 (en) Working fluid
US5304319A (en) Working fluid
US5059338A (en) Working fluid
JP2580349B2 (ja) 作動流体
JPH0665561A (ja) 作動流体
JP2001072966A (ja) 混合冷媒と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US5470496A (en) Working fluid containing chlorotetrafluoroethane
KR930009250B1 (ko) 작동유체
US5433879A (en) Working fluid containing difluoroethane
KR930010515B1 (ko) 작동유체
EP0522511A2 (en) Working fluid
JP2001072965A (ja) 混合冷媒と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H0665562A (ja) 混合作動流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装置
JPH07126678A (ja) ジメチルエーテル系混合作動流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装置
JP2000169837A (ja) 混合冷媒、フルオロアミンを含む混合作動流体および同作動流体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