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706B1 - 취소회로 및 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취소회로 및 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706B1
KR930008706B1 KR1019880016503A KR880016503A KR930008706B1 KR 930008706 B1 KR930008706 B1 KR 930008706B1 KR 1019880016503 A KR1019880016503 A KR 1019880016503A KR 880016503 A KR880016503 A KR 880016503A KR 930008706 B1 KR930008706 B1 KR 930008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transmission path
frequency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228A (ko
Inventor
기요시 구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뮤우콤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뮤우콤,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뮤우콤
Publication of KR89001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4Circuits using the same frequency for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8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86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using an electron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취소회로 및 전송시스템
제 1 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HYB 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회로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제 4 도(4-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HYB회로의 누화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 4 도(4-2)는 본 발명의 HYB회로의 누화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 5 도(5-1)∼(5-2)는 각각 주파수 특성 보정회로예를 도시한 도면.
제 5 도(5-4)는 위상보정회로예를 도시한 도면.
제 5 도(5-5)는 주파수 특성 보정과 위상보정을 1개의 회로로 행할때의 회로예를 도시한 도면.
제 6 도∼10 도는 전송시스템의 각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블록도.
제 11 도는 제 10 도시의 예에 의한 전송시스템을 사용할때에 인지신호를 다중전송하는 방법의 스펙트럼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유선이나 무선으로 행하는 텔레비젼전화, 모뎀등의 통신에 있어서의 취회로 및 이 회로를 사용한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나 모뎀등의 단말기기로는, 1회선만을 사용하여 쌍방향 동시에 통신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쌍방향 동시에 통신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송출한 신호와, 상대측에서 보내온 신호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만약, 분리하는 능력[누화(Crosstalk)특성]이 낮으면 전화기에 있어서는 하우링(Howling), 모뎀등에서는 에러의 증가로 연결된다. 그래서, 전화기나 모뎀등에서는,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와의 분리를 행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회로(이하, 「HYB회로」라 함)라고 불리우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 일반적인 HYB회로를 사용했을 경우의 누화특성은 제 4 도(4-1)에 도시된 그래프 곡선정도이다.
그때문에, 통화를 목적으로 하는 전화기의 경우에는 상기 HYB회로가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한다하여도, 이 HYB회로를 통화이외의 화상이나 문자등의 데이타 통신을 목적으로 한 텔레비젼 전화나 모뎀등에 사용하여 동일의 반송주파수에 의해 데이타를 쌍방향 동시통신을 행하려하여도 그것은 불가능이었다. 예컨대, "메모전화"라 불리우고 있는 전화기가 있고, 이 전화기는 통화를 행하면서 화상이나 문자를 보낼 수도 있다. 이 전화기는 통화는 쌍방향 동시에 행할 수 있으나 화상이나 문자는 한쪽방향에서만 보낼 수 있다.
그래서, 모뎀등에 있어서는, 수신신호와 발신신호를 각각 다른 반송파를 사용하여 변조하고, 각각 다른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한다고 하는 분할시스템을 상기 HYB회로와 병용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분리능력(누화특성)을 얻고, 화상이나 문자 등의 데이타를 쌍방향 동시에 통신하고 있었다.
상술한 주파수의 분할시스템은 회선의 사용효율이 좋지 않다. 만약 동일의 주파수의 반송파로 화상, 문자 등의 데이타도 동시에 쌍방향 통신을 행할 수가 있으면,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 주파수 대역을 다른 음성신호나 데이타의 전송에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효율좋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을 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송로가 가지는 성능을 높은 효율로 사용할 수가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이나 화상, 문자 등의 데이타를 쌍방향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취소회로는, 유선전송로의 전송가능한 주파수대역내의 전역 또는 일부대역내에 있어서 밸런스 상태로 되는 브리지회로를 구성하여, 동일의 주파수 또는 근접된 주파수를 사용하여 음성, 화상, 문자등의 데이타의 쌍방향 동시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취소회로는, 주파수 특성보정회로 및 이상회로(phase shift)를 구비하는 브리지회로를 가지고, 이 브리지회로가 전송로의 임피이던스 변화에 의한 영향과, 자신이 구성하는 소자자체에 의해 일어나는 언밸랜스상태를 보정하고, 상대적인 밸런스 상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송 시스템은, 전송로를 사이에 둔 단말기기의 쌍방에 취소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취소회로는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내의 전역 또는 일부대역내에 있어서 밸런스 상태로 하기 위한 브리지회로로 구성하는 것이고, 동일주파수 또는 근접된 주파수에 있어서 음성, 화상, 문자등의 쌍방향 동시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보다 좋은 이해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HYB회로를 설명한다. 제 1 도시의 회로는 최근 잘 사용되는 트랜스와 연산증폭기를 조합하여 구성된 HYB회로이다. 이 HYB회로는 브리지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이 브리지회로는 전화회선이 600Ω의 순저항성분이고 트랜스(T)가 이상트랜스로 C=0이였을 때에 밸런스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는 Vi에서 입력된 신호는 Vo로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의 전화회선의 임피이던스 특성은 순저항 성분은 아니고, 트랜스의 성능도 이상트랜스에서는 좀 먼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얻는 누화특성은 상기의 제 4 도(4-1)정도의 것으로 되어 버린다.
이 도면에서 아는 바와같이, 낸 신호(Vi)의 약 1/3(-10dB)이 Vo에서 출력되어 수신 신호로서 받아 버리기때문에, 이 HYB회로를 사용하고서는, 동일 주파수에 의한 동시 송수신이 곤란한 것은 명백하다.
이 HYB회로에서 밸런스상태로 되지 않는 원인으로서는, 전화회선이 600Ω의 순저항 성분이 아니라는 데도 있으나, HYB회로 그것에 사용되는 소자(트랜스, 콘덴서(C)에 의한 영향이 제법 크다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회선의 잡음 등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트랜스와 콘덴서(C)에 의해 동조회로를 구성하고, 밴드 패스효과를 가지게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 공진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로는 A점과 B점의 전압에 위상차가 생겨버리기 때문에 언밸런스 상태로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누화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본발명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 2 도에 도시한 구성의 HYB회로를 채용해서, A점, B점(제 1 도)의 전압 및 위상차를 상대적으로 0으로 함으로써, HYB회로에 있어서의 브리지회로를 밸런스상태로 하여, 대폭인 누화특성의 개선효과를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
제 3 도는, 더욱 구체적인 회로예를 도시한다.
이 회로예에서는, 2KHz-3KHz부근의 누화특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특성을 제 4 도(4-2)의 그래프로 도시하고 있다. 제 3 도의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선측에 접속되는 트랜스(T1)와 콘덴서(C1)와 저항(Ra) 및 부하로서 약 600Ω의 저항이 접속되어 있는 트랜스(T2)와 콘덴서(C2)와 저항(Rb)에 의해 브리지회로를 구성한다.
트랜스(T1과 T2)는 같은 규격의 것이고, C1=C2, Ra=Rb로 하면, 이들의 소자에 의해 일어나는 진폭 및 위상의 변화는 상대적인 것으로 되고, Va2와 Vb는, 거의 같게 되지만, 트랜스(T1)에는 전화회선, T2에는 순저항이 접속되어 있기 대문에, Va2와 Vb와의 사이에 실질적인 전화회선의 임피이던스변화에 의한 오차가 생긴다.
전화회선과 같은 임피이던스 변화를 행하는 소자를 트랜스(T2)의 부하로서 브리지회로를 구성할 수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고역진폭보정회로 및 이상회로에 의해, 그 보정을 행함으로써 그 차분을 상대적으로 0으로 한 등가적인 브리지 회로로 하고 있다. Vb2와 Vb3는 Vi가 입력되었을때는 Vb2=Va3으로되고, Vo에는 출력되지 않으나, 전화회선에 대해서는 송출된다. 또 전화회선에 의해 보내온 신호는 Vb2에는 출력신호로서 나타나지만, Va3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송출한 신호(Vi)와 수신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회로예는, 텔레비젼 전화등으로의 사용을 생각한 것이고, 전화회선의 전달 가능 주파수대역중, 2KHz∼3.4KHz로 화상신호를 동일의 반송파 주파수 또는 근접한 반송 주파수를 사용하여 쌍방향 동시전송을 행하고, 또한 통화를 행하기 위한 음성신호를 300Hz∼2KHz의 대역내에서 동시에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제 3 도의 회로는, 상기와 같이 2Hz∼3KHz 부근의 누화특성의 개선을 목적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전체로하고 있기 때문에, 음성신호용으로서 사용하는 대역의 보정은 행하지 않고, 누화특성의 영향을 크게 받는 화상신호 전송용의 주파수 대역을 보정하는 것에서, 제 4 도(4-2)에 도시한 바와같이 2KHz 이하에서의 특성이 열화되고 있으나 이것도 진폭 및 위상보정회로의 회로수 또는 보정을 행하기 위한 소자를 제 5 도와 같이 복수화함으로써, 보다 넓은 대역으로 양호한 특성이 얻어진다.
이것에 의해 고속 모뎀등에 의한 동일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한 전 2중데이타통신 등으로의 응용이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변조시스템에 의해서는 위상 특성도 중시되기 때문에, 수신신호(V0)를 회로예의 이상회로와 역의 위상특성을 가진 회로를 통과시킴으로써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 회로에 있어서의 진폭 및 위상보정을 행하기 위한 소자정수는 요구되는 성능에 의해, 고정, 반고정, 자동조정(오토밸런스)으로 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자동조정으로 하는 경우에는 Vb2와 Va3의 진폭과 위상을 검출하고, 이것이 일치하도록 제어를 행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전송방법의 몇가지 예를 설명한다.
제 6 도는 전화회선을 1회전 사용하여 화상데이타의 쌍방향 동시통신을 행할때의 예이다. 이 도면의 예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송시스템인 반 2중시스템과 비교하면, 제 6 도의 예에서는 하기의 잇점이 있다.
제 6 도시예의 쪽은, 데이타의 쌍방향 동시의 송수신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전송시간의 단축화가 도모된다.
그리고 반 2중시스템으로는, 동시 쌍방향통신을 행하기 위하여는 전송속도를 저하시켜서 주파수 분할시스템에 의해 다중화를 행하든가, 또는 전화회선을 2회선 사용하여 송신전용과 수신전용으로 할 필요가 있었으나, 제 6 도의 예에서는, 송수신을 동일의 반송파를 사용하면, 전송속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전화회선도 1회선만으로 좋기 때문에 염가의 시스템으로 할 수가 있다.
당연한 것이지만, 제 6 도 쇄선으로 도시한 전화회선을 병용하면, 이 도시예는, 텔레비젼 전화시스템으로 된다.
이예에서는, 화상통신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다른 모뎀등에 의한 데이타통신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7 도는, 제 6 도에 도시한 예보다도 고속전송을 필요로 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 도면에서는 2회선을 병렬로 사용하고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더욱 고속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또한 다수의 회선수를 사용한다. 이 예에 있어서도, 화상데이타의 전송시스템으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카메라로 잡은 화상테이타를 전송하는 경우, 전화회선으로 전달 가능한 주파수 범위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한번 카메라에 입력된 화상데이타를 메모리등의 기억회로에 기억시켜, 전화회선으로 전송가능한 신호속도로 이것을 판독하면서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이때, 2회선 또는 그 이상의 회선을 동시에 병렬 사용하면, 예컨대 2회선을 사용하면, 각각의 회선으로 판독된 데이타의 반씩을 전송함으로써, 1회선 마다의 전송시간이 같아도, 같은 시간내에 2배의 데이타를 전송할 수가 있고, 이 결과로서 2배의 고속화가 행하게 된다. 수신측에서는, 복수회선에 의해 보내온 신호를 각각 복조하고, 그 데이타를 합성하여 메모리에 기억하고, 이것을 화상표시부에 적합한 속도로 판독함으로써 표시를 행한다. 이 예에 있어서도, 제 6 도와 같이 도면중 쇄선으로 도시한 전화회선을 병용하면, 텔레비젼 전화시스템으로 된다.
제 8 도는, 제 7 도의 응용예로서 통화용의 음성신호를 주파수 분할시스템에 의해 다중화된 전송시스템의 예이다. 화상데이타등의 통신을 생각했을 때, 전달속도를 빨리하는 데는, 전송로의 통과가능 주파수 범위의 상한도에 가까운 쪽에 그 반송 주파수를 가지고 온쪽이 유리하고, 또 그 점유대역도 SSB 시스템에 의해 좁은 대역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2KHz∼3.4KHz을 화상데이타용의 신호대역으로서 사용한다. 생각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누화취소회로를 사용하면, 동일의 반송파 주파수에 의한 동시 송수신도 가능하게 되는 것에서, 2KHz이하의 대역을 사용하여 다른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것이 생각된다.
제 8 도에서는, 이대역을 통화를 행하기 위한 음성신호의 전송용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회선(1)에는 음성신호를 다중화하지 않고, 회선(2)만을 다중화하고 있으나, 응용예로서, 양회선(1, 2) 같이 다중화하여, 음성신호를 스테레오화 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들의 것은 2회선 이상을 시스템 구성의 경우도 적용할 수 있고, 예컨대 텔레비젼 전화회의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음성신호의 멀티채널화도 필요가 된다고 생각된다. 또, 제 8 도시의 경우, 대역을 음성신호용과 화상데이타용을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것에서, 제 6, 7 도와 같이 통화용으로서 별도로 전화회선을 병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염가화가 가능한 반면, 주파수 분할시스템을 사용해서 다중화를 행하기 때문에 음성신호의 명료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제 9 도에 도시한 방법이다. 제 9 도는 2회선 또는 그 이상의 회선수를 사용하여 전송시간의 고속화를 행하고 있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되고 있는 통화음성의 명료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은, 각각의 회선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주파수대가 있을때, 그 사용되고 있지 않은 부분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제 9 도의 예에서는, 상기의 제 8 도와 같은 방법에 의해, 회선(1, 2)의 주파수 대역의 예컨대 2KHz∼3.4KHz를 화상데이타 전송용의 주파수대로서 나누면, 회선(1), 회선(2)의 각각의 300Hz∼2KHz까지는 사용되고 있지 않은 대역으로 된다. 이 불사용부분에 통화용 음성신호를 다중화하지만, 이때 사용가능한 주파수범위는 300Hz∼2KHz이기 때문에, 통상의 전화기의 통화를 행할 때에 사용하고 있는 300Hz∼3.4K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음성신호를 보내는 것은 할 수 없다.
그래서, 통화를 행하기 위해 충분한 명료도가 얻어진다고 하는 300Hz∼3.4KHz를 필터에 의해 주파수 분할하고, 고역측과 저역측으로 나눈다. 제 9 도의 예에서는, 2회선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2분할하고 있으나, 사용하는 회선수에 의해 또는 각각의 회선의 미사용의 주파수 대역의 넓이등의 조건에 따라 분할을 행하는 수는 임의이다.
2분할의 경우에는, 분할점의 주파수를 1KHz로 하면, 저역측은 300Hz∼1KHz의 주파수 성분의 신호, 고역측은 1KHz∼3.4KHz의 주파수 성분의 신호로 된다. 이 신호를 저역측에 관하여 그대로 회선(2)에 의해 전송한다. 고역측은 1KHz∼3.4KHz 주파수 성분이기 때문에, 그대로 회선(1)으로 송출하면, 화상용 데이타신호와 중복하여 버리기 때문에 그대로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이다. 그래서 고역측의 신호를 주파수 시프트다운회로에 의해 1/2로 한다. 이것에 의해 1KHz∼3.4KHz의 주파수 신호는 500Hz∼1.7KHz 신호로 변환되기 때문에 회선(1)에 의해 전송을 행하면 화상데이타신호와 다중화할 수가 있다.
수신측에서는, 회선(2)를 통하여 보내져오는 음성주파수의 저역측 300Hz∼1KHz를 필터에 의해 꺼내고, 회선(1)을 통하여 보내져오는 음성주파수의 고역측 500Hz∼1.7KHz 시프트업회로에 주파수를 2배로 하여 1KHz∼3.4KHz로 한 것을 합성하여 출력함으로서, 300Hz∼3.4KHz의 신호와 화상데이타의 동시 쌍방향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주파수 분할점은, 1KHz에 한하지 않는 것은 당연하고, 주파수의 시프트업, 시프트다운에 관하여도 1/2, 2배에 한하지 않는다. 이 값은 실제의 회로를 구성하는데 적합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고, 실제로 시스템 구성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회선수 및 미사용 주파수대에 의해 결정하면 좋다.
전송로의 사용효율을 높이는 데는, ① 전송레이트를 빠르게 한다. ② 반 2중통신보다도 전 2중통신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텔레비젼 전화시스템의 경우, 통화를 위한 음성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음성신호를 주파수 분할시스템등에 의해 다중화하여 화상데이타와 같은 전송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때 실제의 통화상태에 있어서, 전혀 틈없이 상시 연속하여 음성신호가 송수신된다고 하는 상태는, 우선 없다는 것에서 이 무음상태때를 검출하여, 이 사이는 통화중에는 음성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대역도 화상데이타의 전송에 사용함으로써, 더욱 전송로의 사용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0 도는, 이 방법을 행할때의 블록도이고, 도시의 예에 있어서는, 누화취소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쌍방향 동시 송수신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방법 그자체는, 통화를 주된 목적으로 한 음성신호와 화상등의 데이타를 다중전송하는 데 모든 응용이 가능하고, 1회선을 사용할 때 이외의 2회선 또는 그이상을 사용했을때도, 유선, 무선을 불문하고,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제 10 도의 예는 텔레비젼 전화로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하여, 화상데이타와 통화용의 음성신호를 주파수 분할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중화하고, 1회선으로 화상과 음성의 동시 쌍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사용자가 이야기를 하고 있을때는, 통상의 주파수 분할시스템을 사용한 다중시스템과 전혀 같은 동작을 행하지만, 각각의 단말에서는 항상 그 사용자가 소리를 내고 있는가 없는가를 검출하고 있어 상대측의 단말에 대하여도, 그 상태를 전달가능한 무엇인가의 신호 또는 데이타를 송출하고 있다. 예컨대, 이 신호의 예를 표시하여 보면, 전송로에 전화회선을 사용하는 경우, 그 통과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300Hz∼3.4KHz이다. 이것을 화상과 음성신호의 다중화를 행하기 위해 400Hz∼1.5KHz를 음성(통화용)으로 하고, 2KHz∼3KHz를 화상용 신호의 대역으로 했을 때(제 11 도), ①이 2개의 신호대역간의 1.75KHz에 신호 또는 데이타를 넣는다. ② 전송가능 주파수의 하한인 300Hz와 음성용으로서 사용하는 대역의 하한인 400Hz의 사이에 들어가는 350Hz. ③ 통과 가능한 주파수의 상한인 3KHz와의 사이 화상용 신호로서 사용하는 주파수의 상한인 3.4KHz와의 사이에 들어가는 3.2KHz 등을 서로의 단말에 대하여, 통화자의 상태를 전하기 위한 신호(또는 데이타)로서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각각의 단말은, 이 신호에 의해 쌍방 같이 음성입력이 없어졌을 때를 인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쌍방의 단말은 도면중의 스위치(S1, S2)를 넣음으로써 그때까지 통화용으로 사용하고 있던 대역에서도 화상데이타의 전달을 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반송파의 주파수의 주파수 및 점유대역은 400Hz∼1.5KHz의 속에 수납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송레이트(Rate)에 관하여도, 2KHz∼3KHz를 사용하고 있는 화상데이타용 신호에 의한 것보다 낮은 전송레이트로 된다. 텔레비젼 전화의 경우, 송출하는 화상데이타는 일단 메모리내에 기억된 것이고, 기록 판독과 같이 랜덤억세스하는 것이 가능한 것에서, 이 제어를 행하는데, CPU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검출이나 이 검출신호의 상태에 의한 제어를 행한다.
상기 기술한 취소회로를 오토밸런스 상태로 하기 위한 신호검출, 제어를 CPU에 의해 행하면, 수동이나 반고정의 경우에 비해서, 고정밀도의 동작을 행하게 할 수가 있다.
CPU의 동작속도는 전화회선에서 전송을 행할 정도의 데이타 속도의 것이면, 8비트 정도의 것으로 충분히 처리가능하다. 쌍방의 사용자가 이야기를 행하지 않는 사이, 이 화상데이타용 신호대역과 음성신호대역과의 양쪽을 사용한 전송이 행하여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메모리의 억세스는 랜덤하게 행하기 위해 예컨대 메모리내의 화상데이타가 0번지에서 100번지까지라고 하면 화상용 신호대역의 쪽에서는 0번지에서의 데이타를, 음성신호용 대역에 의한 쪽에서는, 100번지에서 역으로 전송을 행하는 것 등이 생각된다.
이 동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시점, 쌍방 어느 것인가의 사용자가 이야기를 시작했을때, 먼저의 인지용 신호 또는 데이타에 의해 각각의 단말은, 이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각 단말은, 통상의 동작상태로 되돌아간다. 이때, 동작전환을 먼저 행하지 않으면, 통화가능한 상태로 되지 않기 때문에,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입력신호를 BBD회로 등을 사용하여 지연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통화자가 발한 음성은 보내지고 상대측으로 송출되게 되지만, 지연시간을 100ms정도 이하로 하여두번, 사용상 전혀 문제로 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음성출력부에 있는 뮤우트(Mute)회로는 음성신호용의 대역에 있어서도, 화상의 데이타를 보내기 때문에, 이 신호음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음성신호용의 주파수의 대역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 화상데이타를 나누어서 전송하는 방법이지만, 역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화상데이타가 적을때, 예컨대 텔레비젼 전화시스템으로 연속해서 화상데이타를 전송할 때 등은 카메라로 찍은 화상의 1화면마다를 비교했을 때, 변화하지 않는 환언하면 움직이고 있지 않는 부분이 많을때는, 전의 화상과의 차분만 데이타를 보내면, 좋게 된다.
이와같은 시스템을 사용했을때는 전송을 필요로 하는 화상데이타는 적어지고 낮은 전송속도에 의한 통신을 행하였을 때에도 실용상 문제가 없는 상태로 된다. 전화회선으로 화상데이타를 보내기 위해서는, 변조를 행하지만, 이 변조의 레이트를 저하시킴으로써, 그 점유주파수대역은 좁아진다. 이것에 의해 음성신호용으로서 고역을 제한하고 있는 주파수를 높이할 수가 있다. 이때에는 음성신호의 고역까지 전송가능으로 됨으로써, 통화의 명료도가 향상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상의 2개의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회선의 사용효율이 대폭으로 향상하고, 사용상태에 의한 고음질, 고속도의 시스템을 구성할 수가 있다. 이 상태에 의한 전환은 당연히 수동에 의해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음성신호의 검출에 의한 통화상태나 메모리내의 데이타의 비교등에 의한 전송이 필요한 화상의 데이타량의 검출을 행함으로써, CPU를 사용하여 판단을 행하게하여, 자동적으로 행하게 할수도 있다.
또 전환동작을 하는데는, 본예와 같이 쌍방의 상태를 검출하여 행하는 방법외에, 어느것인가 한쪽의 사용상태에 의해 전환을 행하여 버려, 상대측의 동작상태를 결정하여 버리는 방법등이 생각된다.
또, 제 10 도에 있어서, 전환부 스위치(S1, S2)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실제로는 CPU등에 의한 전기적인 동작의 전환으로 된다.
제 6∼10 도시의 예는, 유선, 무선을 불문하고, 이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을 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송로가 가지는 성능을 높은 효율로 사용할 수가 있고, 음성이나 화상, 문자등의 데이타를 쌍방향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Claims (4)

  1. 텔레비젼 전화용 송신시스템으로써, 한쌍의 단말장치가 전송통로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각 단말장치는 음성신호와 상신호를 상기 전송통로에 인가하도록 결합된 수단과, 음성신호와 상신호를 수취하고, 그 전송통로상에서의 신호의 누화를 최소로 하고 또한 상기 전송통로상에서 사용이 가능한 전 주파수대 또는 그의 일부에서 2방향 통화를 가능케하도록 결합된 수단을 가진 텔레비젼 전화용 송신시스템에 있어서, 각 단말장치가 상기 전송통로에 결합이 된 누화소거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전송통로에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은 상기 누화소거수단을 통하여 상기 전송통로에 상기 음성신호와 상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누화 소거수단은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상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송통로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상이한 주파수대로 분리하도록 결합된 주파수 분리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전화용 송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통로는 복수의 전송선을 가지며, 상기 신호인가 수단은 상기 상신호를 상기 누화소거수단을 통하여 전 상기 전송선상에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다른 주파수대로 분리하도록 접속된 수단과,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누화소거수단을 통하여 상기 전송선의 1부의 것에 상기 음성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이로써 상기 음성신호와 상기 상신호의 상이한 주파수의 주파수대가 상기 전송선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전송되고, 또한 상기 음성신호의 전송된 주파수 폭을 저감하는 수단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전화용 송신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통로는 복수의 전송선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분리수단은 상기 음성신호와 상기 상신호의 각각을 복수의 상이한 주파수대로 분리하도록 접속되고, 또한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상기 음성신호의 주파수대를 적어도 하나를 확장하도록 접속된 주파수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전화용 송신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통로는 복수의 전송선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분리수단은 상기 음성신호와 상기 상신호의 각각을 복수의 상이한 주파수대로 분리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음성신호와 상기 상신호의 각각의 주파수대를 상기 누화소거수단을 통하여 상기 전송선의 각각에 인가하도록 하고, 더욱이 상기 전송선의 적어도 하나를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의 상기 음성신호와 상기 상신호의 전송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그 음성신호와 상신호의 상기 주파수대를 교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접속된 스위치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전화용 송신시스템.
KR1019880016503A 1987-12-16 1988-12-12 취소회로 및 전송시스템 KR930008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15994A JPH0787404B2 (ja) 1987-12-16 1987-12-16 テレビ電話機に使用する伝送装置
JP?62-315994 1987-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228A KR890011228A (ko) 1989-08-14
KR930008706B1 true KR930008706B1 (ko) 1993-09-13

Family

ID=1807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503A KR930008706B1 (ko) 1987-12-16 1988-12-12 취소회로 및 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321153A3 (ko)
JP (1) JPH0787404B2 (ko)
KR (1) KR930008706B1 (ko)
CN (1) CN1023626C (ko)
AR (1) AR247961A1 (ko)
AU (2) AU617141B2 (ko)
BR (1) BR8806687A (ko)
CA (1) CA1296439C (ko)
DK (1) DK693288A (ko)
FI (1) FI885770A (ko)
ID (1) ID887B (ko)
NO (1) NO885546L (ko)
NZ (1) NZ227331A (ko)
PT (1) PT892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7767A1 (en) * 2000-11-06 2002-05-10 Josuya Technology Corp.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compensating the attenuation of transmission signal
EP1466423A1 (en) * 2001-12-26 2004-10-13 GlobeSpan Virata, Inc. Simple adaptive hybrid circuit
US7738654B2 (en) * 2004-12-02 2010-06-15 Solarflare Communications, Inc. Isolation of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6115A (en) * 1947-02-07 1951-11-27 Int Standard Electric Corp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electric signals occupying a wide frequency band over narrow band circuits
US3974337A (en) * 1967-10-24 1976-08-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M television telephone system
JPS5168708A (ko) * 1974-12-11 1976-06-14 Ricoh Kk
US4064377A (en) * 1976-03-11 1977-12-20 Wescom Switching, Inc. Electronic hybrid and hybrid repeater
JPS5649029A (en) * 1979-09-26 1981-05-02 Yoshinobu Yasufuku Manufacture of flier
JPS5979644A (ja) * 1982-10-29 1984-05-08 Anritsu Corp 電子ハイブリツド回路
DE3640127A1 (de) * 1986-11-25 1988-06-01 Standard Elektrik Lorenz Ag Elektronische gabelschal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806687A (pt) 1989-08-29
ID887B (id) 1996-09-03
NO885546L (no) 1989-06-19
CN1035403A (zh) 1989-09-06
AU617141B2 (en) 1991-11-21
JPH0787404B2 (ja) 1995-09-20
DK693288D0 (da) 1988-12-13
AU2681388A (en) 1989-06-22
AU637541B2 (en) 1993-05-27
KR890011228A (ko) 1989-08-14
PT89220B (pt) 1994-06-30
NO885546D0 (no) 1988-12-14
JPH01158834A (ja) 1989-06-21
CN1023626C (zh) 1994-01-26
AR247961A1 (es) 1995-04-28
EP0321153A2 (en) 1989-06-21
PT89220A (pt) 1989-09-14
DK693288A (da) 1989-06-17
NZ227331A (en) 1991-10-25
FI885770A0 (fi) 1988-12-13
CA1296439C (en) 1992-02-25
FI885770A (fi) 1989-06-17
AU1092692A (en) 1992-07-16
EP0321153A3 (en) 1990-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5964A (en) Two wire voice and data subscriber loop
US6067316A (en) Circuit for combined xDSL and other services
EP1003320A1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US5136575A (en) Cancelling circuit and transmission system
KR930008706B1 (ko) 취소회로 및 전송시스템
GB1603898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KR0154793B1 (ko) 무선전화기의 비화회로 및 역비화회로
US4236244A (en) Digital communications transmission system
US5497417A (en) Switching device for transmitting telecommunication signals
JP3894111B2 (ja) 集合住宅用テレビ付き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A2579723C (en) Telephone line interface, side-tone attenuation circuit and method
RU21160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тактовых сигналов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етев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ей атс
JPS6384216A (ja) 音声・デ−タ多重化装置
EP0155740A2 (en) Loudspeaking telephone instrument
JP2547649B2 (ja) 電話会議装置
JPS6038958A (ja) 拡声電話装置
JPH0533096Y2 (ko)
SU657624A2 (ru) Пере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656994B2 (ja) 画像音声伝送装置
AU704567B2 (en) Telephone set with circuit for suppression of howling and echo
KR100434472B1 (ko) 신호결합/분리장치및방법
JPH0779384B2 (ja) 電話会議装置
JPH01126057A (ja) 伝送方式及び伝送システム
JPS58170232A (ja) デイジタル端局装置における平衡回路網
HUT64165A (en) Circuit arrangement for telephone 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