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643Y1 - 전자식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전자식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643Y1
KR930008643Y1 KR2019910021589U KR910021589U KR930008643Y1 KR 930008643 Y1 KR930008643 Y1 KR 930008643Y1 KR 2019910021589 U KR2019910021589 U KR 2019910021589U KR 910021589 U KR910021589 U KR 910021589U KR 930008643 Y1 KR930008643 Y1 KR 930008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valve
spring
closed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1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816U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1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643Y1/ko
Publication of KR930014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6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4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43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for ball 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04B17/04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with a plurality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체크밸브
제 1 도는 종래의 전자식 체크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전자식 체크밸브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3a, d 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전자식 체크밸브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솔레노이드
12 : 유입구 13 : 배출구
14 : 유로 15 : 작동공간부
16 : 펌프 17 : 탱크
18 : 액튜에이터 20 : 플런저
20a : 하부유로 20b : 상부유로
20c : 단턱부 21 : 하부작동공간부
22 : 상부작동공간부 23 : 제1스프링
24 : 제2스프링 25 : 제3스프링
26 : 하부플레이트 26a,27a : 개폐변
26b,27b : 통공 27 : 상부플레이트
30 : 본체 31,34 : 배출구
32 : 유입구 33 : 유로
40 : 정상상태에서 닫힌 밸브 41 : 좌측공간부
42,52 : 체크밸브 43,53 : 솔레노이드
44,54 : 로드 45,55 : 전방유로
46,56 : 후방유로 47,57 : 제2스프링
48,58 : 볼 49,59 : 1스프링
50 : 정상상태에서 열린 밸브 51 : 우측공간부
60 : 탱크 70 : 액튜에이터
80 : 펌프
이 고안은 전자식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타잎의 전자식 체크밸브 즉, 정상상태에서 유로가 열린 밸브와 정상상태에서 유로가 닫힌 밸브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제어를 정확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게 하는 3/3 웨이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3/3 웨이밸브는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하우징(10) 내측에는 플런저(20)가 설치되어 작동될 작동공간부(15)가 형성하고, 이 작동공간부(15) 하측에는 펌프로부터 유체가 공급될 유입구(12)가 형성됨과 동시에, 작동공간부(15) 상측으로는 유체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계적이 일을 하는 액튜에이터(actuator)와 연결되는 유로(14)와 탱크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공간부(15) 외측 하우징(10)내에는 상기 플런저(20)를 위치 이동시킬 솔레노이드(11)가 매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공간부(15)내에 설치되는 플런저(20)는, 유입구측 작동공간부(15)내에 설치된 제1스프링(23)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나 있는 상태이며, 이 플런저(20)는 상하에 상,하부 유로(20b),(20a)가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측에는 상,하부 작동공간부(2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하부 작동공간부(22),(21)의 경계는 단턱부(20c)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작동공간부(21)에는 단턱부(20c)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제2스프링(24)에 의해 하부유로(20a)측으로 하부플레이트(26)를 설치하되, 이 하부 플레이트(26)는 유입구(12)를 개폐하는 개폐변(26b)이 하향 돌출되고 유입구(12)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통공(2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작동공간부(22)에는 제3스프링(25)으로써 단턱부(20c)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부 플레이트(27)가 설치되어 있되, 이 상부 플레이트(27)는 중앙에 개폐변(27b)이 상향돌출되어 배출구(13)를 막고 있으며, 플레이트(27)상에 형성된 통공(27a)으로는 상기 펌프에서 공급된 유체가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제1, 제2, 제3스프링(23),(25)중에서 제2스프링(24)이 가장 단력이 강하고 그 다음은 제1스프링(23)이며, 제3스프링(25)의 탄력이 제일 약하다.
따라서, 하부플레이트(26)는 탄력이 제일 강한 제1스프링(24)에 의해 하부유로(26)는 탄력이 제일 강한 제1스프링(24)에 의해 하부유로(20a)측으로 내려가 있으며, 가장 약한 제3스프링(25)은 수축되고 상부플레이트(27)의 개폐면(27b)은 배출구(13)를 막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배출구(13)만 막혀있고 유입구(12)부터 유로(14)까지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펌프(16)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화살표와 같이 흘러서 액튜에이터(18)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뒤, 액튜에이터(8)의 동작이 완료되어 피스톤(도시생략)을 후진시킬때는, 솔레노이드(11)에 전원을 인가하여 솔레노이드(11)에 자장이 생성되도록 하면 솔레노이드(11)의 자력이 제1스프링(23)이 탄력보다 강하므로 플런저(20)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플런저(20)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스프링(23)이 수축되면서 제일 탄력이 강한 제2스프링(2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하부플레이트(26)의 개폐면(26b)이 유입구(12)를 막아 유체의 유입을 막아주게 되며, 상기 액튜에이터(18)를 작동시키고난 잔류압력은 별도의 압력 제거수단(도시생략)에 의해 드레인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전자식 체크밸브는 목적하는 바의 동작을 위해서는 많은 전류가 필요해지게 되며 그로인하여 솔레노이드가 켜지기 때문에 전자식 체크밸브의 크기와 무게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런저가 서로 탄성계수가 다른 다수의 스프링과 솔레노이드에 의해 플런저가 동작되며 유로를 개폐하기 때문에 설계시의 어려움은 물론이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폐단을 아울러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볼에 의해서 유로가 개폐되는 정상 상태에서 열린 밸브와 정상상태에서 닫힌 밸브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정확한 제어는 물론이고 제품 소형하를 추구할 수 있는 전자식 체크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전자식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솔레노이드 본체 내측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가동되는 체크밸브가 닫혀있는 정상상태 닫힌 밸브와, 또 다른 솔레노이드로써 가동되는 체크밸브가 열려있는 정상상태 열린밸브가 액튜에이터와 연결될 배출구가 연결된 유로로서 상호 연결되었으며, 상기 정상상태 닫힌밸브에는 탱크와 연결된 배출구가 연결되고, 정상상태 열린 밸브에는 펌프와 연결될 유입구가 연결된 것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전자식 체크밸브의 바림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전자식 체크밸브 본체(30) 내측에는 정상상태에서 닫히 밸브(40)와 정상상태에서 열린 밸브(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정상상태에서 닫힌 밸브(40)는 탱크(60)와 연결되는 배출구(31)와 연결되는 좌측공간부(41)내측에 체크밸브(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좌측공간부(41) 외측본체(30)내에는 상기 체크밸브(42)를 동작시킬 솔레노이드(43)가 매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상상태에서 열린 밸브(50)는 일측에 펌프(80)와 연결되는 유입구(32)와 연결된 우측공간부(51) 내측에는 체크밸브(52)가 설치되었고, 그 외측 본체(30)내측에는 상기 체크밸브(52)를 동작시킬 솔레노이드(53)가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공간부(41),(51) 사이에는 양측공간부(41),(51)를 연결하는 유로(33)가 연결 형성되고, 이유로 중앙에는 액튜에이터(70)와 연결되는 배출구(34)가 연결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상 상태에서 닫힌 밸브(40)는 좌측공간부(41) 좌측 내벽에 로드(44)가 돌출형성되고, 전후방유로(45),(46)를 형성하며 내측의 제2스프링(47)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볼(48)로써 전방유로(45)를 막고 있는 체크밸브(42)가 제1스프링(49)에 의해 좌측 공간부(41) 내측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체크밸브(42)는 제1스프링(49)의 탄력이 제2스프링(47)의 탄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우측으로 밀려 있으면서 전방유로(45)가 볼(48)에 의해 막혀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정상상태에서 열린 밸브(50)는, 우측 공간부(51) 좌측 내벽에 로드(54)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전,후방유로(55),(56)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측에 전방유로개폐용 볼(58)이 전방유로(55)측에 위치토록 제2스프링(57)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체크밸브(52)가 우측공간부(51)의 우측에 제1스프링(59)을 설치한 상태로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52)는 제1스프링(59)의 탄력이 제2스프링(57)의 탄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좌측으로 밀려가 우측공간부(51)의 좌측내벽에 체크밸브(52)전면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며, 좌측내벽에 돌출된 로드(54)가 체크배브(52)의 전방유로(45)로 삽입되어 볼(58)이 밀려가서 유로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 나타낸 전자식 체크밸브는 펌프(80)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유입구(32)를 통해 우측공간부(51)와 유로(33), 배출구(34)를 거쳐 액튜에이터(70)로 공급되어 목적하는 바대로의 일을 하게된다.
이때,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정상상태에서 닫힌밸브(40)는 닫혀있는 상태이므로 펌프(80)에서 공급된 유체는 액튜에이터(70)로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내부압력을 유지코져 할때는 정상상태에서 열린 밸브(50)의 닫아서 내부압력을 유지시킨다.
즉, 솔레노이드(53)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솔레노이드(53)에서 발생된 자력이 제1스프링(59)의 탄력보다 강하게되어 제 3a 도와 같이 체크밸브(5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52)가 우측으로 "A"와 같이 이동하게 되면 우측공간부(51)의 로드(54)에 눌려있던 볼(58)이 체크밸브(52)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로드(54)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며, 볼(58)은 제2스프링(57)에 밀려서 전방유로(55)를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정상상태에서 열린 밸브(50)를 닫게 되면, 정상상태에서 닫힌 밸브(40)와 함께 본체(30) 양측이 모두 닫힌 상태이므로 잔류압력이 유로와 본체 내측에 남아 있게되어 내부 압력을 유지시켜주게 된다.
또한, 전자식 체크밸브 본체와 액튜에이터 내측에 남아있는 잔류압력을 제거할때는 제 3a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정상상태에서 열린 밸브(50)를 닫은 상태에서 정상상태에서 닫힌 밸브(40)를 열게 되면 상기 잔류압력은 배출구(31)를 통해 탱크(60)로 배출되게 된다.
즉, 정상상태에서 닫힌 밸브(40)의 솔레노이드(43)에 전원을 인가하여 체크밸브(42)가 좌측으로 "B"와 같이 이동하게 되면, 좌측공간부(41)의 좌측 내벽에 돌출된 로드(44) 선단부에 볼(48)이 접촉되면서 체크밸브(42)의 전방유로(45)가 열려서 상기 잔류 압력이 탱크(60)로 빠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전자식 체크밸브에 의하면, 정상상태에서 닫힌 밸브와 정상 상태에서 열린 밸브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두개의 밸브를 별도로 각기 제어하므로 유체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되고, 볼타잎의 체크밸브를 이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동일타잎으로 양산시 표준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두개의 밸브를 일체화하였기 때문에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전자식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솔레 노이드 본체(30) 내측에는 솔레노이드(43)에 의해 가동되는 체크밸브(42)가 닫혀있는 정상상태 닫힌 밸브(40)와, 또 다른 솔레노이드(53)로써 가동되는 체크밸브(52)가 열려있는 정상상태 열린밸브(50)가 액튜에이터(70)와 연결될 배출구(34)가 연결된 유로(33)로서 상호 연결되었으며, 상기 정상 상태 닫힌 밸브(4O)에는 탱크(60)와 연결될 배출구(31)가 연결되고, 정상 상태 열린 밸브(50)에는 펌프(80)와 연결될 유입구(32)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체크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상태에서 닫힌 전자식 체크밸브(40)의 체크밸브(42)는, 상기 본체(30) 내측에 형성된 좌측 공간부(41)에 탄력적으로 설치하되, 이 좌측공간부(41)에는 좌측 내벽에 로드(44)가 돌출되고 제1스프링(49)이 설치되어 전,후방 유로(45),(46)가 형성되고 내측에 볼 제2스프링(47)으로 탄력설치된 체크밸브(42)가 닫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체크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상태에서 열린 전자식 체크밸브(50)의 체크밸브(52)는, 상기 우측공간부(51)에 탄력적으로 설치하되, 우측공간구(51)의 자측 내벽에 로드(54)가 설치되고 우측 내벽에는 제1스프링(59)이 설치되어 전후방 유로(55),(56)가 형성되고 내측에 볼(58)이 제2스프링(57)으로 탄력 설치된 체크 밸브(52)가 열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체크 밸브.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스프링(49),(59)의 탄력이 각각의 제2스프링(47),(57)의 탄력보다 강한 것이 설치되어 각각의 체크밸브(42),(52)를 밀어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체크 밸브.
KR2019910021589U 1991-12-06 1991-12-06 전자식 체크밸브 KR930008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1589U KR930008643Y1 (ko) 1991-12-06 1991-12-06 전자식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1589U KR930008643Y1 (ko) 1991-12-06 1991-12-06 전자식 체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816U KR930014816U (ko) 1993-07-27
KR930008643Y1 true KR930008643Y1 (ko) 1993-12-23

Family

ID=19323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1589U KR930008643Y1 (ko) 1991-12-06 1991-12-06 전자식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6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816U (ko) 199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15707Y2 (ja) パイロット形方向切換弁
CN101548123B (zh) 摇杆阀机构和摇杆阀
KR100433921B1 (ko) 포핏식 전자밸브
KR100379862B1 (ko) 방향 전환 밸브 장치
CN101331324B (zh) 驱动器控制装置
CN108571487A (zh) 一种电磁式液控双向截止阀
KR930008643Y1 (ko) 전자식 체크밸브
KR950000017B1 (ko) 고속전자밸브장치
CN218031571U (zh) 阀芯换向时间可调式电磁换向阀
KR200380300Y1 (ko) 가변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유압회로
KR200440725Y1 (ko) 완충기구를 갖는 포펫식 직동형 솔레노이드 밸브
KR100494072B1 (ko) 전환밸브장치
JPH07190221A (ja) エア吐出装置
CN212509744U (zh) 一种防水锤切换阀结构及龙头
CN220185485U (zh) 一种负载敏感控制阀及阀组
CN114135484B (zh) 一种泄油式变排量叶片泵的控制系统
JPH02566B2 (ko)
JPH0366548B2 (ko)
EP0386263A1 (en) Poppet valve device
JPS6222001B2 (ko)
JPH11173304A (ja) 油圧制御装置
JP3169996B2 (ja) カウンターバランス弁
JPS5825182Y2 (ja) 内部パイロツト式4方電磁弁
JP3574171B2 (ja) 弁装置
JP3912762B2 (ja) 切換弁操作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