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912B1 -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912B1
KR930007912B1 KR1019890016152A KR890016152A KR930007912B1 KR 930007912 B1 KR930007912 B1 KR 930007912B1 KR 1019890016152 A KR1019890016152 A KR 1019890016152A KR 890016152 A KR890016152 A KR 890016152A KR 930007912 B1 KR930007912 B1 KR 93000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il
makeup
removal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391A (ko
Inventor
아를레뜨 자보또 네 아리보
쟝끌로드 콩따민
나딸리 플레쟝
Original Assignee
로레알 회사
앙드레 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3717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3000791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회사, 앙드레 비우 filed Critical 로레알 회사
Publication of KR900007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본 발명은, 수상(水相)과 유상(油相)의 두가지의 상(相)으로 구성된 아이 메이크업 제거제인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이 메이크업은 눈까풀과 속눈썹 위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색채 안료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오일에 기초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아닐 경우도 있다. 아이섀도우는 눈까풀에 사용되고 마스카라는 속눈썹에 사용된다.
오일에 기초한 메이크럽 제품은 통상 "방수"(WP)라 지정되고,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제품은 "비방수"(NWP)라 지정된다.
전자(前者) 타입의 메이크업(WP)은, 특히 지방산 에스테르와 혼합된 바셀린 오일과 같이, 오일에 기초한 메이크업 제거제를 사용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은 후자 타입(NWP)의 메이크업도 제거할 수 있지만, 절대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클린싱 로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로션들은 계면 활성제의 수용액을 함유하는 것으로, 주로 비방수(NWP) 타입의 메이크업이 깨끗이 제거되게 할 수는 있지만 피부가 가지는 천연유막(天然油膜)을 제거함으로써 피부를 건조하게 하는 불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메이크업 제거제는 이미 사용된 메이크업 제품의 타입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사용된 메이크업 제품이 어떤 타입이든지, 바르는 중과 바른 후에, 산뜻함과 쾌적함 같은 우수한 화장품의 특성을 지니면서, 동시에 우수한 메이크업 제거제로서의 역할을 겸비하기란 특히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용품으로서의 특성에 있어 지극히 만족할 만한 상태하에서, 방수(WP) 및 비방수(NWP) 타입의 메이크업을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조성물을 최초로 소개함으로써, 눈화장 제거시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른 상태에서 피부의 당김이나 자극을 주지 않고, 피부의 천연유막을 재구성하는 유막을 형성케 함으로써, 피부를 신선하고 부드럽게 가꿔주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水相)과, 적어도 하나의 화장용 오일을 함유하는 유상(油相)으로 구성된, 방수성 아이 메이크업과 비방수성 아이 메이크업 양자의 제거에 적합한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과 기타 목적들은, 눈에 대한 화장품 조성물로서, 개별적인 두가지 상(相), 즉 적어도 하나의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하부층 또는, 수상(水相)과, 적어도 하나의 화장용 오일을 함유하는 상부층 또는 유상(油相)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하부층과 상부층의 무게비는 340 : 70 내지 60 : 40의 범위이고, 또한 상기한 계면 활성제의 농도는 0.1 내지 3중량%의 범위로 된 방수 및 비방수 타입의 메이크업 제거에 적합하고, 비거품성인 화장품 조성물인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종래에 실시되어 와서 다음과 같이 밝혀진 비교 연구들은, 메이크업 제거제로서의 특성과 화장용품으로서의 특성에 관해서 이들 유상, 수상 간의 상승효과를 알려준다.
수상(水相)은 살균된 탈염수라든가, 장미 향수, 콘플라워(Centaurea) 향수, 카모밀 향수나 린덴 향수같은 꽃 향수로 구성된다.
음이온성, 비이온성 혹은 양쪽성 이온일 경우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인 경우가 많은 계면 활성제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내지 1.5중량%(활성물질)의 범위로 수상에 존재하게 하는 것이 좋다.
특히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톨의 지방산 에스테르, [아틀라스사(Atlas Company)제의 "TWEEN 20" 등] ; -지방산 폴리 옥시 에틸렌 알코올, [걸랜드사(Gerland Company)제의 "REMCOPAL 219212 AL" 등]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놀, [로옴, 하스사(Rohm and Hass Company)제의 "TRITON X 100" 등] ; -산화 에틸렌과 산화 프로필렌의 농축물, 아이 시 아이 사(ICI Company)제의 "SYNPERONIC PE"라는 상품중 특히 L31, L64, F38, F88, L92, F103, F108, 그리고 F127의 참조번호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기에 유용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류, [헹켈사(Henkel Company)제의 "TEXAPON ASV" 등] ; -알킬 술포아세테이프, [스테판사(Stepan Company)제의 "LATHANOL LAL" 등] ; -알킬 술포석시네이트, [롱풀렝사(Rhone Poulenc Company)제의 "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등] ; -알킬 아미도 술포석시네이트, [루오사(Rewo Company)제의 "REWODERM S1333"등] ; -알킬 아미도 폴리펩티드, [그루노사(Grunau Company)제의 "LAMEPON S" 등] ; -아크릴 사코시네이트, [세픽사(Seppic Company)제의 ORAMIX L 3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기에 유용한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 -알킬 아미도프로필 디메틸 베타인, [골드 슈미트사(Goldschmidt Company)제의 "TEGO BETAINE L7" 등] ; -알킬 아미도베타인, [크로다사(Croda Company)제의 "INCRONAM 30" 등] ; -이미다졸린 유도체, [쉬멕스사(Chimex Company)제의 "CHIMEXANE HD" 등] ; -N-알킬 베타-이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 [모나사(Mona Company)제의 "MONATERIC ISA 35"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의 유상은, 광물성 오일이나 식물성 오일, 합성오일 혹은 실리콘 오일이 포함되는 오일 혼합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기에 특히 유용한 광물성 오일로는 바셀린 오일이나 예를 들어 이소헥사 데칸과 같은 고급 지방족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특히 유용한 식물성 오일로는, 요요바(Jojoba) 오일과 사플라워 오일을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유용한 실리콘 오일로는, 유니온 카바이드사(Union Carbide Company) 제의 "VOLATIL SILICONE 7158"과 같은 시클로펜타디메틸 실록산을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유용한 합성오일로는, 팔미테이트 또는 2-에틸 헥실 팔미테이트와 같은, 탄소 원자수가 2개 내지 10개인 알킬 팔미테이트나, 디(2-에틸헥실) 아디페이트와 같은 탄소 원자수가 2개 내지 10개인 알킬 아디페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유상은,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적어도 8%,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사이의 비율로, 탄소 원자수가 2개 내지 10개인 알킬 팔미테이트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상은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적어도 8%,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사이의 비율로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오일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은, 그들이 친수성인가 친유성인가에 따라 수상 또는 유상의 어느 한 상태에 포함되게 되는, 예를 들어 향료나 보존료, 염료, 연화제, 완화제, 보습제, 그리고 수상에 등장성(isotonicity)을 부여하는 염화나트륨과 같은 전해질 등의 공지의 화장품용 첨가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기에 유용한 보습제로는 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사이의 농도로 존재하는 헥실렌 글리콜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연화제로는 알란토인과 특정한 식물성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한 아이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들을 예시적이고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려는 의도로 기재되는 것이며, 어떤 방식으로라도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다음과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는 유상(A) 50%와 수상(B)를 50%플라스크 안에 채워 넣음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2상의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kpo00001
[실시예 2]
다음과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는 유상(A) 50%와 수상(B) 50%를 플라스크 안에 채워 넣음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2상의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kpo00002
[실시예 3]
다음과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는 유상(A) 70%와 수상(B) 30%를 플라스크 안에 채워 넣음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2상의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kpo00003
[실시예 4]
다음과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는 유상(A) 40%와 수상(B) 60%를 플라스크 안에 채워 넣음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2상의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kpo00004
[실시예 5]
다음과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는 유상(A) 50%와 수상(B) 50%를 플라스크 안에 채워 넣음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2상의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kpo00005
[비교예]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아이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로서의 특성을 지녔으며, 또한 우수한 화장용품으로서의 특성을 가짐을 예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들을 비교하였다.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 A : 이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해당하는 것이다.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 B :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수성 클린싱 로션 :
%
산화에틸렌 20몰을 함유한 옥시에틸레이트된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0.5
헥실렌 글리콜 0.5
인산 일칼륨 0.1
인산 이칼륨 0.1
염화나트륨 0.9
향료 소량
보존료 소량
염료 소량
탈염수 소량
이 조성물은,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의 수상에 해당하는 것이다.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 C :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클린싱 오일 :
%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20
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20
시클로펜타 디메틸 실록산 60
본 유성물(油性物)은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의 유상에 해당하는 것이다.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 D :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2상 메이크업 제거제 :
(A)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유상 50%
%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20
디(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20
시클로펜타 디메틸 실록산 60
(B) 물
이 조성물의 유상은,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유상 50%에 해당하는 것이다. 각각 17명의 여성들로 구성된 다섯 그룹을 조직하였다. 각 그룹에 다음과 같이 제공하였다.
그룹 1 : 비방수성(NWP) 마스카라 하나와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 A와 B 한병.
그룹 2 : 비방수성(NWP) 마스카라 하나와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 A와 C 한병.
그룹 3 : 비방수성(NWP) 마스카라 하나와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 A와 D 한병.
그룹 4 : 방수성(WP) 마스카라 하나와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 A와 C 한병.
그룹 5 : 방수성(WP) 마스카라 하나와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 A와 D 한병.
각 여성들은 일주일동안 날마다, 자신에게 제공된 마스카라로 속눈썹 화장을 하고, 저녁이 되면, 오른쪽 눈에는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 A를 사용하고, 왼쪽눈에는 비교용의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들을 사용하여 화장을 지우도록 요구되었다.
이 기간이 지난 후에, 사용자들의 소감을 수집하여,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6
주 : * 표한 것은 비방수성(NWP) 마스카라를 사용하던 3그룹의 응답의 평균의 값임.
[표 2]
Figure kpo00007
* 표한 것은 방수성(WP) 마스카라를 사용했던 각 그룹의 응답의 평균 값임.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은 비방수성 마스카라에 대하여 우수한 화장품이자 우수한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으로서의 특성을 겸하고 있다. 그러나, 기타의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들은 그러하지 못하다.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 D와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의 수상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의 존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는, 방수성 마스카라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제품 A의 제거 특성과 제품 C의 제거 특성이 대략 비슷하지만, 특히 사용중이나 사용한 후에,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제거용 제품의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水相)에 의해 부여되는 신선하고 부드러운 느낌 등과 같은 화장품으로서의 특성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이 훨씬 월등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과, 적어도 하나의 화장용 오일을 가지는 유상으로 이루어지며, 유상에 대한 수상의 비율이 30 : 70 내지 60 : 40이고, 상기 계면 활성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0.1 내지 3 중량%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아이 메이크업과 비방수성 아이 메이크업 양자의 제거에 적합한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상은, 살균 탈염수와, 장미 향수, 콘플라워 향수, 카모밀 향수 및 린덴 향수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계면 활성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내지 1.5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상은, 바셀린 오일, 이소헥사데칸, 요요바 오일, 사플라워 오일, 실리콘 오일, 합성 오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합성 오일이, 알킬 팔미데이트나 알킬 아디페이트이고, 상기한 알킬기는 2개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상이, 탄소원자수가 2개 내지 10개인 알킬 팔미테이트를,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8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상이 탄소원자수가 2개 내지 10개인 알킬 팔미테이트를,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0 내지 30%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알킬 팔미테이트가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나 2-에틸 헥실 팔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상이, 비율에 비례하여 최소한 하나의 실리콘 오일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8%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2상 가운데 하나에, 향료, 보존료, 염료, 연화제, 완화제, 보습제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화장품을 첨가 보조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계면 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리콘 오일이 본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5 내지 5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이 염화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KR1019890016152A 1988-11-09 1989-11-08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KR930007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814641A FR2638636B1 (fr) 1988-11-09 1988-11-09 Demaquillant pour les yeux a deux phases distinctes
FR88-14641 1988-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391A KR900007391A (ko) 1990-06-01
KR930007912B1 true KR930007912B1 (ko) 1993-08-21

Family

ID=937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152A KR930007912B1 (ko) 1988-11-09 1989-11-08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370856B2 (ko)
JP (1) JP2592531B2 (ko)
KR (1) KR930007912B1 (ko)
AR (1) AR243766A1 (ko)
AT (1) ATE78680T1 (ko)
BR (1) BR8905734A (ko)
CA (1) CA2002679C (ko)
DE (2) DE370856T1 (ko)
ES (1) ES2016780T5 (ko)
FR (1) FR2638636B1 (ko)
GR (2) GR900300157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0384A1 (fr) * 1990-12-12 1992-06-1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liquide nettoyante a deux phases, contenant au moins un dialkylphtalate.
FR2699404B1 (fr) * 1992-12-18 1995-01-27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biphase pour le démaquillage, le nettoyage ou le soin de la peau contenant du chlorure de benzalkonium.
FR2711917B1 (fr) * 1993-11-05 1995-12-08 Oreal Composition à base d'esters en C12 à C20 et utilisation dans le démaquillage.
FR2720642A1 (fr) * 1994-06-06 1995-12-08 Oreal Composition liquide parfumante biphasique.
US5747017A (en) * 1995-05-15 1998-05-05 Lip-Ink International Lip cosmetic
BR9603604A (pt) * 1996-08-30 1999-04-06 Cosmeticos Natural Ind Com Composição cosmetica para olhos e face
FR2753090B1 (fr) 1996-09-06 1999-03-19 Oreal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biphasique pour le demaquillage de compositions de maquillage sans transfert
US6190681B1 (en) 1998-04-15 2001-02-20 Yoram Fishman Long lasting liquid color compositions
US6261576B1 (en) * 1998-04-15 2001-07-17 Yoram Fishman Long-lasting liquid color formulations
FR2780640B1 (fr) * 1998-07-01 2001-05-1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biphasee, utile notamment pour le demaquillage des yeux
FR2780641B1 (fr) 1998-07-01 2000-08-1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biphasee, utile notamment pour le demaquillage des yeux
US7074747B1 (en) 1999-07-01 2006-07-11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leansing compositions
AU5764800A (en) 1999-07-01 2001-01-22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leansing compositions
US6762158B2 (en) 1999-07-01 2004-07-13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liquid ester mixtures
DE10212829A1 (de) * 2002-03-22 2003-10-09 Beiersdorf Ag Zweiphasig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DE10321138A1 (de) * 2003-05-09 2004-11-25 Henkel Kgaa Zweiphasige flüssige Antitranspirant-Zusammensetzungen
FR2881650B1 (fr) 2005-02-09 2008-12-26 Oreal Article cosmetique de demaquillage
DE102011089581A1 (de) * 2011-12-22 2013-06-27 Henkel Ag & Co. Kgaa Zwei-Phasen-Gesichtsreiniger mit hoher Augen- und Schleimhautverträglichkeit
FR2993177B1 (fr) * 2012-07-16 2014-07-11 Oreal Composition biphasique contenant un alkylpolyglucoside et un ester de point de fusion inferieur a 10 °c
FR3012330B1 (fr) 2013-10-29 2015-10-23 Oreal Composition biphase comprenant un ester d'acide gras et de sucre ou un alkylpolyglucoside liquide, de hlb < 8, et un alcane ramifie en c8-c18
EP3142633A1 (en) 2014-05-16 2017-03-22 Restorsea, LLC Biphasic cosmetic
BR112017012663A2 (pt) 2014-12-18 2017-12-26 Oreal composição de cuidados com o sol, películas de enrijecimento da pele e de cuidados com o sol, e, método para proteger a pele de raios uv.
US10292922B2 (en) * 2015-12-31 2019-05-21 L'oreal Silicone-wax dispersion compositions for removing cosmetic films
US10835479B2 (en) 2015-12-31 2020-11-17 L'oreal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FR3068238B1 (fr) 2017-06-30 2020-07-31 Capsum Composition triphasique
FR3082428B1 (fr) 2018-06-19 2020-12-11 La Phoceenne De Cosmetique Sa Composition biphase et son utilisation en non rincee pour demeler tous types de cheveux
FR3112076B1 (fr) 2020-07-01 2022-12-16 Oreal Composition biphasée comprenant un tensioactif alkylpolyglycoside, un diol particulier et un composé alcane, ester ou éther comprenant de 15 à 30 atomes de carbone
WO2022021329A1 (en) 2020-07-31 2022-02-03 L'oreal Composition for caring for the keratin materials and a method to use thereof
FR3115456B1 (fr) 2020-10-28 2024-01-19 Oreal Composition à deux phases
US20230355483A1 (en) 2020-09-28 2023-11-09 L'oreal Two-phase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hydrocarbon oil and at least one ester of citric acid, wherein the composition is preferably a cleansing composition
EP4216913A1 (en) 2020-09-28 2023-08-02 L'oreal Two-phase composition
FR3115684B1 (fr) 2020-10-30 2023-07-14 Oreal Composition à deux phases
CN116744888A (zh) 2021-01-12 2023-09-12 莱雅公司 用于清洁角蛋白材料和/或从角蛋白材料上卸妆的双相组合物
FR3121041B1 (fr) 2021-03-26 2023-12-01 Oreal Composition à deux phases
EP4301316A1 (en) 2021-03-03 2024-01-10 L'oreal Two-phase composition
KR20240001697A (ko) * 2021-04-28 2024-01-03 바스프 에스이 2상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적용
FR3129607A1 (fr) 2021-11-26 2023-06-02 Capsum Emulsion millimétrique bi-phasiqu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83534A (en) * 1965-06-15 1968-04-23 Unilever Limited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FR2101710A5 (en) * 1970-07-17 1972-03-31 Colgate Palmolive Co Heavy duty dishwashing detergent - contg an oil and polar substances
DE2458703A1 (de) * 1973-12-13 1975-06-26 Bush Boake Allen Ltd Kosmetische detergent-kompositionen
JPS6011885B2 (ja) * 1979-04-12 1985-03-28 カネボウ株式会社 二層型クレンジングロ−ション
FR2553660B1 (fr) * 1983-10-25 1986-01-0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nettoyage en particulier pour le demaquillage des yeux
JPS6327409A (ja) * 1986-07-18 1988-02-05 Shiseido Co Ltd 多層型化粧料
JPS6379808A (ja) * 1986-09-22 1988-04-09 Kanebo Ltd 多層型化粧料
LU86756A1 (fr) * 1987-02-03 1988-11-17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non agressives contenant un tensio-actif moussant et un tensio-actif non ionique a deux chaines gr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02679A1 (fr) 1990-05-09
FR2638636A1 (fr) 1990-05-11
DE370856T1 (de) 1991-01-17
CA2002679C (fr) 1997-09-09
KR900007391A (ko) 1990-06-01
EP0370856A2 (fr) 1990-05-30
ATE78680T1 (de) 1992-08-15
EP0370856B1 (fr) 1992-07-29
ES2016780A4 (es) 1990-12-01
GR900300157T1 (en) 1991-09-27
EP0370856B2 (fr) 1995-08-30
DE68902302D1 (de) 1992-09-03
ES2016780T5 (es) 1996-01-01
EP0370856A3 (en) 1990-06-06
JP2592531B2 (ja) 1997-03-19
FR2638636B1 (fr) 1992-09-11
DE68902302T2 (de) 1996-05-15
ES2016780T3 (es) 1993-04-01
AR243766A1 (es) 1993-09-30
BR8905734A (pt) 1990-06-05
GR3006084T3 (en) 1993-06-21
JPH02223508A (ja) 199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912B1 (ko)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US5165917A (en) Eye makeup remover with two separate phases
US4322545A (en) Benzoic acid esters
JP2512282B2 (ja) アルキルジメチルベンジルアンモニウム クロライドを含有する化粧落とし又は皮膚の浄化又は手入れ用の2相型化粧料組成物又は皮膚用組成物
CA1239588A (en) Sensitive skin care regime
CA1210331A (en) Cosmetic sticks
JP2986436B2 (ja) 透明ゲル形態の皮膚洗浄用フォーミング組成物
US5814323A (en) Cosmetic composition
US4534981A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fat of Shorea robusta
RU2138246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 виде прозрачного пенообразующего геля
KR19990087390A (ko) 피부를 조절하는 제제
CA1306953C (en) Skin care compositions
NL8200789A (nl) Kosmetische samenstellingen voor de behandeling van het haar en de huid, die in de vorm van poeder deeltjes bevatten afkomstig van de verpoedering van ten minste een plantaardige stof en een cohesiemiddel.
GB2178657A (en) Cosmetic compositions
DE2704081C2 (de) Mittel mit einem Gehalt an Siliciumderivaten
KR20150015089A (ko)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JP2922180B2 (ja) 改善されたすすぎ特性の化粧品組成物
JP3681932B2 (ja) クレンジング用の化粧料
US5474777A (en) Two-phase liquid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dialkylphthalate and an anionic, amphoteric or zwitterionic surface-active agent
JP3540165B2 (ja) ジェル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01072548A5 (ko)
JPS647961B2 (ko)
JP4812150B2 (ja) 化粧料
RU2020921C1 (ru) Способ для очистки кожи лица
JP2000026236A (ja) 特に目のメイクアップの除去のために使用可能な化粧品及び/または皮膚科用の二相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