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860B1 - 헤드 박스 - Google Patents

헤드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860B1
KR930007860B1 KR1019890700077A KR890700077A KR930007860B1 KR 930007860 B1 KR930007860 B1 KR 930007860B1 KR 1019890700077 A KR1019890700077 A KR 1019890700077A KR 890700077 A KR890700077 A KR 890700077A KR 930007860 B1 KR930007860 B1 KR 930007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headbox
slice chamber
sidewall
sl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837A (ko
Inventor
더블유. 리딕크 이안
Original Assignee
벨로 이트 코오포레이숀
딕크 제이. 베너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6172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3000786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벨로 이트 코오포레이숀, 딕크 제이. 베너맨 filed Critical 벨로 이트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9070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8Regulating consistenc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2Head boxes of Fourdrinier machines
    • D21F1/022Means for injecting material into flow within the headbox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2Head boxes of Fourdrinier machin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2Head boxes of Fourdrinier machines
    • D21F1/028Details of the nozzle sectio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6Regulating pulp flow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헤드 박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박스의 측입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헤드박스의 부분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4-4을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선 5-5을 따른 단면도.
제6도는 모서리들 사이에 섬유의 배향방향에 평행하지 않게된 모서리들의 섬유를 화살표로 표시한 전형의 섬유에서 볼수있는 팬-형 배향을 도시하는 성형 와이어에 형성된 새로운 웨브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와 유사한 도면, 가공방향과 서로 평행한 섬유의 배향을 표시함.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제지기의 성형 와이어로 저장품을 방출하기 위한 헤드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장품의 제 1 유동 통로용 슬라이스 쳄버 및 그 제 1 유동에 대해 측방향으로 저장품의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헤드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시
종이 또는 보오드(board)의 웨브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불규칙한 배향섬유의 슬러리는 헤드박스로부터 이동 스크린 또는 성형 외어어로 방출된다. 그 스크린에 도포된 층으로부터 탈수, 다시말하면 물이 제거된다. 그래서 이러한 성형 웨브는 그 성형 웨브의 과습을 제거하기 위해 상호작용 표면 사이에서 가압된다. 결국 그 가압 웨브는 소정의 특성을 갖는 웨브를 만들도록 다수의 건조실린더 둘레로 안내된다.
섬유매트의 성형에 있어서, 그 매트내의 섬유배향은 일반적으로 방출속도대 성형와이어 속도관계를 유지하면서 제어된다. 제조되는 종이 또는 보오드의 형태에 따르면, 그러한 섬유배향은 가동방향에서의 섬유배향이 제어될수 있도록 크고작은 각도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전형의 새로운 시이트내의 섬유배향은 기계안에서 횡가공방향의 시이트를 찢음으로써 시험될 수 있다. 이러한 시이트는 가공방향에서 비교적 쉽게 찢어진다. 그러나, 횡가공 방향에서 그 시이트를 찢으려고 할때는 종이의 파열에 대한 저항이 좀더 강한것이 관측된다. 기계의 가공횡 방향의 파열강도에 있어서의 이러한 변화는 신문 인쇄 용지의 생산에 대해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로 인한 특이한 문제점은 성형웨브의 모서리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특히, 저장품내의 각각의 섬유들은 보통 가공방향의 배향으로 도포되는 성질이 있다. 그러나, 각 시이트의 모서리에서, 각각의 섬유는 부채꼴, 즉, 팬-형 배향이 되도록 펼쳐지는 경향이 있다. 이 가공방향 배향은 모서리들이 건조구역을 통과할시, 시이트의 모서리를 주름을 지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주름은 주로 웨브가 건조될때, 불규칙 수축이 횡가공 방향에 도포된 섬유의 부족으로 인해 횡가공 방향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웨브의 모서리에 있는 섬유들이 일반적인 가공방향에서 섬유에 평행하게 흩어지게 되도록 웨브내의 섬유를 재배향시키려는 시도가 여러장치들로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제안은 비교적 복잡했고 가격이 고가였으며 제한된 성공만이 있었다.
본 발명은 웨브의 모서리에 배치된 섬유들이 그 모서리 사이에 배치된 섬유들에 대해 팬형태로 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헤드박스의 슬라이스 쳄버측방향으로 저장품의 제 2 유동을 방출함으로써, 특히, 웨브의 모서리에 인접한 섬유를 배향시키기 위한 간단하고 값싼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헤드박스로부터 성형 와이어로 방출되는 저장품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섬유배향을 제어하기 위해 저장품의 제 1 유동에 대해 측방향으로 저장품의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헤드박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문제되었던 전술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측벽을 통해 슬라이스 쳄버로 제 2 유동을 전달하기 위한 헤드박스의 제 1 및 제 2 측벽에 연결된 각기 제1 및 2도관을 구비한 헤드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이 각각의 측벽을 통해서 제 2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2밸브를 포함하는 헤드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이 제1 및 2도관을 각각 통해 제 2 유동을 측정하기 위한 제1 및 2유동미터를 포함하는 헤드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2 유동이 각 측벽에 대해 예각으로 방출되는 헤드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유동 및 2유동의 방향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헤드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2 유동이 헤드박스의 상부와 하부 측벽사이의 전체길이를 따라 제 1 유동 측방향으로 방출되는 헤드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2 유동이 측벽을 통해 제 1 유동내의 섬유배향을 제어하기 위해 슬라이스 쳄버 측방향으로 방출되어서, 저장품이 헤드박스로 부터 성형 와이어로 방출될시, 측면 모서리가 좀더 균일한 수축과 균일한 물리적 특성을 갖게 되므로 측면 모서리를 따라 섬유가 원위치로 배향되게 하는 헤드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유동으로 제 2 유동이 방출되는 각도가 측면측모서리에 인접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배향을 선택으로 발생하도록 조절될 수 있는 헤드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박스로 부터 제지기의 성형 와이어로 저장품을 방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그 방법은 슬라이스 쳄버를 통해 제 1 유동에 저장품을 통과시키는 단계와, 제 2 유동이 헤드박스로 부터 성형 와이어로 방출된 저장품의 측면 측모서리를 따라 섬유 배향을 조절하도록 제 1 유동에 대해 측방향으로 저장품의 제 2 유동을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첨부된 청구범위를 고려하고 도면을 참고로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통상의 숙련가에는 이해가 용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헤드박스 및 상기 헤드박스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헤드박스를 저장품을 제지기의 성형 와이어로 방출한다. 헤드박스는 상부 및 하부벽과 제1및 2 측벽을 포함하고, 각 측벽은 상부 및 하부벽 사이에 뻗어 있어서, 그 상부, 하부 및 양측벽은 그들 사이에 저장품의 제 1 유동 통로용 슬라이스 쳄버를 형성한다. 또한, 헤드박스는 제 2 유동이 헤드박스로 부터 성형 와이어로 방출된 저장품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섬유배향을 제어하기 위한 측벽을 통해 뻗도록 제 1 유동에 대해 측방향으로 저장품의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히 보면, 상부벽은 슬라이스 쳄버에 슬라이스 개구 조절과 개방이 허락되는 측벽들에 대해 피봇적으로 고착되고 상부, 하부 및 양측벽은 흡입 및 배출구를 통해 제 1 유동의 통과가 허락되는 슬라이스 쳄버 흡입구 및 배출구를 가각 형성한다.
헤드박스는 다수의 뒷전요소를 포함하는데, 이 요소들은 제 1 유동내의 균일한 유동을 발생하고, 슬리이스 쳄버내의 와류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스 쳄버내에 배치된다. 그 뒷전요소는 각기 원단(distal end)과 근단(proximal end)을 구비한다. 뒷전요소의 근단은 원단에 대해 상류로 배치된 각각의 근단을 가진 양측벽에 대해 고착된다.
뒷전요소의 원단은 제 1 유동내의 와류의 발생을 줄이도록 슬라이스 쳄버내에 자유롭게 부유한다.
헤드박스는 또한 상부벽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고착된 슬라이스 립(lip)을 포함한다. 이 슬라이스 립은 배출구의 횡단면 영역을 변화 시키고 헤드박스로부터 방출된 저장품의 횡가공 방향 형상을 제어하기 위해 슬라이스 쳄버 흡입구에 대해 와류쪽에 배치된다.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은 슬라이스 쳄버의 측벽 각각을 통해 제 2 유동을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2 측벽에 각기 연결된 제1 및 2도관수단을 포함한다. 추가로,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은 제1 및 2도관수단에 각기 연결된 제1 및 2유동미터와 제1 및 2밸브를 포함한다. 제1 및 2도관수단들은 그들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측벽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예각은 가공방향으로 부터 1
Figure kpo00001
-90
Figure kpo00002
범위내 및 양호하게는 20
Figure kpo00003
-40
Figure kpo00004
범위내로 할수있다.
제 1 유동 및 제 2 유동은 둘다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양호한 실시에에서, 제 2 유동은 상부와 하부벽 사이의 전길이를 따라 방출된다. 그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은 부채꼴의 노즐형상을 이룬다.
방출수단은 양측벽을 통해 제 1 유동내의 섬유배향을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스 쳄버로 저장품의 제 2 유동용 측벽들에 연결되어서, 측면 측모서리를 따라 섬유는 그 저장품이 헤드박스로 부터 성형 와이어로 방출될때, 그 측방향 모서리가 보다 균일한 수축 및 물리적 특성을 갖게하도록 재배향된다. 제 2 유동이 제 1 유동으로 방출되는 각도는 전술한 측방향 모서리에 인접한 섬유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을 선택적으로 일으키도록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헤드박스로 부터 제지기의 성형 와이어로 저장품을 방출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제 2 유동이 헤드박스로 부터 성형 와이어로 방출된 저장품의 측방향 측면 모서리를 따라 섬유배향을 제어하기 위해 헤드박스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스 쳄버를 통해 제 1 유동에 저장품을 통과시키는 단계와 그 제 1 유동에 대해 측방향으로 저장품의 제 2 유동을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본 분야의 통상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이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제약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한은 많은 변경 및 변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제 2 유동을 방출하는 형태를 개념 Ⅲ 및 Strata-FLO, Converflo 헤드박스를 포함하는 형태나 헤드박스의 다른 형태로 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헤드박스(10)의 측입면도이다. 그 헤드박스(10)는 그안의 저장품이 그 헤드박스로 부터 도포된 저장품의 탈수가 시작되는 성형 와이어(12)의 상부면(16)으로 방출되도록 브리스트(breast)로울(14)둘레에 뻗은 배수 스크린(12)위에 배치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헤드박스의 상부 평면도로서, 제 1 측벽과 2측벽(18, 20)을 구비하는 헤드박스(10)를 보여준다. 제1 및 2도관수단(22, 24)은 각각 측벽(18, 20)에 연결되어 저장품의 제 2 유동이 각 측벽(18, 20)을 통해 제 1 유동으로 방출된다.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른 단면도로서, 상부 및 하부벽(26, 28)을 포함하는 헤드박스(10)를 보여준다. 제1 및 2측벽(18, 20)은 상부와 하부벽(26, 28)사이에 연장되어서, 상부, 하부 및 측벽(26, 28, 18, 20)은 그들 사이에 화살표(32)로 지시된 저장품의 제 1 유동의 통로용 슬라이스 쳄버(30)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34)로 지시된 수단은 제 1 유동(32)에 대해 측방향으로 화살표(36)로 지시된 저장품의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배열은 제 2 유동(36)이 성형 와이어(12)의 상부면(16)으로 헤드박스(10)로부터 방출된 저장품의 양측면 모서리(38, 40)를 따라 섬유 배향을 제어하기 위해 측벽(18, 20)을 통해 뻗어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벽(26)은 슬라이스 쳄버(30)에 접근 및 슬라이스 개구조절을 허락하는 측벽(18, 20)에 대해(42)에서 피봇되게 고착된다.
상부, 하부 및 측벽(26, 28, 18, 20)은 슬라이스 쳄버 흡입구(44) 및 배출구(46)를 각기 형성하여 그 흡입구 및 배출구를 통해 제 1 유동(32)을 통과하게 한다.
복수의 뒷전요소(48, 49, 50)는 슬라이스 쳄버(30)내에 배치시켜 제 1 유동(32)내의 균일함을 발생하고 슬라이스 쳄버(30)내의 와류발생을 방지하게 한다.
뒷전요소(48, 49, 50)는 각기 근단 및 원단(52, 53, 54, 56, 57, 58)을 구비한다. 근단(52, 53,54)은 측벽(18, 20)에 대해 고착되고, 원단(56, 57, 58)의 각각에 대해 상류로 배치된다. 원단(56, 57, 58)은 제 1 유동(32)내의 와류발생을 줄이게 하기위해 슬라이스 쳄버내에 자유롭게 부유한다.
헤드박스(10)는 또한, 상부벽(26)에 대해 구동모터(72)에 의해 조절되게 고착될 슬라이스 립(lip) (60)을 포함한다. 그 슬라이스 립(60)은 배출구(46)의 횡단면적을 변화시키고, 헤드박스(10)로부터 방출된 저장품의 가공방향 입면을 제어하기 위해 슬라이스 쳄버 흡입구(44)에 대해 하류로 배치된다.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 유동(36)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34)은 또한, 제 1 측벽(18)을 통해 슬라이스 쳄버(30)로 제 2 유동을 전달하기 위해 제 1 측벽(18)에 연결된 제 1 도관수단(22)을 포함한다. 추가로, 제 2 도관수단(24)은 제 2 측벽(20)을 통해 슬라이스 쳄버(30)로 제 2 유동(36)을 전달하기 위해 측벽(20)에 연결된다.
제4도는 제2도의 선 4-4을 따른 단면도로써 제 1 측벽(18)을 통해 제 2 유동(36)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밸브(64)를 포함하는 방출수단(34)을 보여준다. 또한, 그 방출수단(34)은 제 2 측벽(20)을 통해 제 2 유동(36)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밸브(66)를 포함한다. 제 1 유동미터(68)는 제 1 도관수단(22)을 통과하는 유동속도를 측정하고 제 2 유동미터는 제 2 도관수단(24)을 통과하는 유동속도를 측정한다.
제2도 및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및 2도관수단(22, 24)은 각각 측벽(18, 20)에 대해 예각(
Figure kpo00005
)을 이루며 제1 및 2측벽(18, 20)에 연결되어서, 슬라이스 쳄버(30)로 제 2 유동(36)이 제 1 유동(32)의 유동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흐른다. 바람직하게, 이 예각은 제 1 유동(32)의 흐름방향에 평행한 가공방향으로 부터 20
Figure kpo00006
-40
Figure kpo00007
의 범위내에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유동(32)의 방향 및 제 2 유동(36)의 방향은 동일 명편상에 배치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도관수단(22)은 슬라이스 쳄버(30)에 대해 상류에 배치되고 제 1 측벽(18)에 연결된 제 1 부위(72)를 포함한다. 제 1 부위(7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제1 및 2단부(74, 76)를 구비한다. 제 1 부위(72)의 제 1 단부(74)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와 하부벽(26, 28)들 사이에 뻗어 있으며, 제 1 측벽(18)에 연결되어서, 제 2 유동(36)은 상부와 하부벽(26, 28)사이의 선택된 거리(D1)를 따라 제 1 유동(32) 옆으로 방출된다.
제2도 및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 도관수단(24)은 슬라이스 쳄버(30)에 대해 상류쪽에 배치된 제 1 부(78)을 포함한다. 제 2 도관수단(24)의 제 1 부(78)는 각기 제1 및 2말단(80, 82)을 구비한다. 그 제 1 말단(80)은 상부 및 하부벽(26, 28)사이로 뻗은 제 1 말단(80)을 가진 제 2 측벽(20)에 연결되어서, 제 2 유동(36)은 상부 및 하부벽(26, 28)사이의 선택거리(D1)를 따라 제 1 유동(32)옆으로 방출된다. 제 3 도 및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선택거리(D1)는 상부 및 하부벽(26, 28)사이의 전체 길이이다. 제 1 부위 및 제 1 부(72, 78)는 각기 나팔형의 노즐형상을 하고 이다. 제 1 단 및 제 1 말단(74, 80)은 각기 긴형상을 하고 있어서, 제 2 유동(36)은 제 1 부위 및 제 1 부(72, 78)를 따라 각기 흐르고, 제 2 유동(36)은 팬형상에서 제 1 유동(32)으로 방출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방출수단(34) 제 1 부위(72)의 제 2 단(76)과 제 1 밸브(64)사이에 연장된 제 2 부위(84)와 제 2 부(86)를 포함한다. 제 2 부(86)는 제 1 부(78)는 제 2 말단(82)과 제 2 밸브(66)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유동으로 제 2 유동(36)이 방출되는 각도(
Figure kpo00008
)는 화살표(92, 94)로 지시된 바와같이, 양측 모서리(88, 90)에 인접해서 각각 시계방향이나 반시계 배향을 선택적으로 일으킬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6도는 성형 와이어(12)의 상면(16)에 형성된 새로운 성형 섬유의 부위(96)를 보여준다. 화살표(98, 99, 100)은 섬유매트의 한측 모서리에 인접해서 분산된 전형적인 섬유의 배향을 지시한다. 화살표(101, 102, 103)는 섬유매트의 반대 모서리에 분산된 전형적인 섬유의 배향을 지시한다. 상기 모서리들 사이의 화살표(104, 105, 106)는 가공방향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분산된 화살표(104, 105, 106)로 그 구역안에서의 섬유의 배향을 지시한다. 화살표(98, 99, 100) 및 (101, 102, 103)의 배향은 화살표(104, 105, 106)에 평행하지가 않아서 하벙웨브의 불규칙한 수축 및 불규칙한 특성으로 인한 건조가정에서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제7도는 제6도와 유사한 도면이나 본 발명에 따라 헤드박스 측방향으로 저장품을 방출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같은 저장품의 측방향 방출은 화살표(98A, 99A, 100A, 101A, 102A, 103A, 104A, 105A, 106A)로 지시된 바와같이 섬유의 배향을 상호 평행하게 분산시킨다. 섬유(98A, 99A, 100A, 101A, 102A, 103A, 104A, 105A, 106A)의 상기 평행한 도포는 웨브의 보다 균일한 수축 및 합성웨브의 보다 균일한 물리적 특성을 내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저장품의 제 1 유동은 슬라이스 쳄버(30)를 통해 그의 흡입구(44)로부터 저장품이 성형와이어(12)의 상부면(16)으로 헤드박스(10)로부터 방출되도록 배출구(46)를 향해 통과한다. 저장품의 제 2 유동(36)은 제 1유동(32)내에 섬유 배향을 제어하기 위해 헤드박스(10)의 측벽(18, 20)을 통해 측방향으로 슬라이스 쳄버(30)로 방출되어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성형 웨브의 양측 모서리(89, 90)를 따라, 그 섬유들은 저장품이 헤드박스(10)로부터 성형 와이어(12)로 방출될때, 양측 모서리(88, 90)가 보다 균일한 수측으로 되도록 배향된다.
본 발명은 건조된 합성웨브에서 비뚤어진 측면 모서리를 방지하고 균일한 수측을 향상시키도록 성형 웨브의 양측 모서리의 조건을 개량시키기 위한 간단하고 저렴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1)

  1. 제지기의 성형 와이어로 저장품을 방출하기 위한 헤드박스에 있어서, 상기 헤드박스는 상부 및 하부벽과, 상기 상부, 하부 및 측벽이 그 사이에 저장품의 제 1 유동을 통해 통과시키기 위한 슬라이스 쳄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와 하부벽 사이에 연장된 제 1 및 2측벽과, 상기 제 2 유동이 헤드박스로부터 성형 와이어로 방출된 저장품의 측면측모서리를 따라 섬유배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측벽을 통해 뻗도록 상기 제 1 유동에 대해 측방향으로 저장품이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은 상기 슬라이스 쳄버로 출입을 허용하기 위한 상기 측벽에 대해 피봇되게 고착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부 및 양측벽은 흡입구 및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 1유동을 통과시키기위한 슬라이스 쳄버 흡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헤드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 상기 슬라이스 쳄버내에 와류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 1유동내의 유동을 균일하게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스 쳄버내에 배치된 복수의 뒷전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뒷전요소는 각기 근단과 원단을 구비하고, 상기 근단은 상기 측벽에 대해 고착되고, 각각의 상기 근단은 상기 원단에 대해 상류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뒷전요소의 원단은 상기 제 1 유동내의 와류의 발생을 줄이도록 상기 슬라이스 쳄버내에 자유롭게 부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7.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상부벽에 대해 조절가능하게 고착된 슬라이스 립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립은 상기 배출구의 횡단면 영역을 변화시키고 상기 헤드박스로 부터 방출된 저장품의 횡가공방향형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스 쳄버 흡입구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제 1 측벽을 통해 상기 슬라이스 쳄버로 상기 제 2 유동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1 측벽에 연결된 제 1 도관수단과, 상기 제 2 측벽을 통해 상기 슬라이스 쳄버로 상기 제 2 유동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2 측벽에 연결된 제 2 도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제 1측벽을 통해 상기 제 2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밸브와, 상기 제 2 측벽을 통해 상기 제 2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제 1 도관수단을 통해 유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유동미터와, 상기 제 2 도관수단을 통해 유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유동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관수단은 상기 슬라이스 쳄버로의 제 2 유동이 상기 제 1 유동의 흐름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흐르게 하도록 상기 제 1 측벽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그 제 1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도관수단은 상기 슬라이스 쳄버로의 상기 제 2 유동이 상기 제 1 유동의 유동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흐르도록 상기 제 2 측벽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그 제 2 측벽에 연결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도관수단의 예각은 상기 제 1 유동의 유동방향에 평행한 가공방향으로 부터 1
    Figure kpo00009
    -90
    Figure kpo00010
    범위내에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예각은 20
    Figure kpo00011
    -40
    Figure kpo00012
    범위내에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유동방향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관수단은 추가로 상기 제 1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스 쳄버에 대해 상류측에 배치된 제1 및 2단을 구비한 제 1 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위의 제 1 단은 상기 제 1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유동이 상기 상부와 하부벽 사이에 선택거리를 따라 상기 제 1 유동의 측방향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상부와 하부벽 사이에 뻗고, 상기 제 2 도관 수단은 상기 슬라이스 쳄버에 대해 상류측에 배치된 제1 및 2말단을 구비한 제 1 부를 포함하고, 그 제 1 말단은 상기 제 2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말단은 상기 제 2 유동이 상기 상부와 하부벽 사이의 선택거리를 따라 제 1 유동의 측방향으로 방출하도록 상기 상부와 하부벽 사이에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관수단은 추가로 상기 슬라이스 쳄버에 대해 상류측에 배치된 제1 및 2단을 구비한 제 1 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은 상기 제 1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차 유동이 상기 상부와 하부벽 사이의 전체거리를 따라 상기 제 1 유동의 측방향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상부벽으로 부터 하부벽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2 도관수단은 추가로 상기 슬라이스 쳄버에 대해 상류측에 배치된 제1 및 2말단부를 구비한 제 1 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말단부를 구비한 제 1 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말단부는 상기 제 2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유동이 상기 상부와 하부벽 사이의 전체거리를 따라 상기 제 1 유동의 측방향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하부벽까지 연장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 및 제 1부는 부채꼴 노즐형상이고, 상기 제 1 단 및 1말단부는 각기 상기 제 2 유동이 각각 상기 제 1 부위 및 제 1 부를 따라 흐를때, 상기 제 2 유동이 부채꼴 형상으로 상기 제 1 유동으로 방출되도록 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제 1 부위의 상기 제 2 단과 제 1 밸브 사이에 연장된 제 2 부위와, 상기 제 1 부위의 제 2 단과 제 2 밸브사이에 연장된 제 2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동이 상기 제 1 유동으로 방출되는 각도는 상기 측면 양측 모서리에 인접한 섬유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배향을 선택적으로 일으키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치.
  20. 제지기의 성형 와이어로 저장품을 방출하기 위한 헤드박스에 있어서, 상기 헤드박스는 상부 및 하부벽과, 상기 상부, 하부 및 양측벽이 그 사이에 저장품의 제 1 유동을 통과시키기 위한 슬라이스 쳄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와 하부벽 사이에 뻗은 제1 및 2측벽과, 측면측 모서리를 따라 섬유들은 저장품이 헤드박스로 부터 성형 와이어로 방출될때, 상기 측면측 모서리가 보다 균일한 수축을 받도록 재배향되게 하기위해상기 제 1 유동내의 섬유의 배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측벽을 통해 상기 슬라이스 쳄버로의 측방향으로 저장품의 제 2 유동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측벽에 연결된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
  21. 헤드박스로 부터 제지기의 성형 와이어로 저장품을 방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박스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스 쳄버를 통해 제 1 유동에 저장품을 통과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유동이 헤드박스로 부터 성형 와이어로 방출된 저장품의 측면측 모서리를 따라 섬유 배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 1 유동에 대해 측방향으로 저장품의 제 2 유동을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박스로 부터 저장품을 방출하기 위한 방법.
KR1019890700077A 1987-05-14 1988-05-12 헤드 박스 KR930007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711330 1987-05-14
GB878711330A GB8711330D0 (en) 1987-05-14 1987-05-14 Headbox
PCT/US1988/001575 WO1988008896A1 (en) 1987-05-14 1988-05-12 A head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837A KR890701837A (ko) 1989-12-21
KR930007860B1 true KR930007860B1 (ko) 1993-08-20

Family

ID=1061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077A KR930007860B1 (ko) 1987-05-14 1988-05-12 헤드 박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149402A (ko)
EP (1) EP0353255B1 (ko)
JP (1) JPH02501319A (ko)
KR (1) KR930007860B1 (ko)
BR (1) BR8807503A (ko)
CA (1) CA1313322C (ko)
DE (1) DE3873330T2 (ko)
FI (1) FI93238B (ko)
GB (1) GB8711330D0 (ko)
WO (1) WO1988008896A1 (ko)
ZA (1) ZA8833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0090C (fi) * 1987-12-23 1990-04-10 Ahlstroem Valmet Foerfarande och anordning i inloppslaodan av en pappersmaskin foer stabilisering av dess laeppstraole.
JPH03249297A (ja) * 1990-02-26 1991-11-07 Mitsubishi Heavy Ind Ltd 抄紙機ヘッドボックスの流向調整方法
FI92229C (fi) * 1993-07-01 1994-10-10 Valmet Paper Machinery Inc Menetelmä ja laite perälaatikon säädössä
US5560807A (en) * 1995-03-29 1996-10-01 Beloit Technologies, Inc. Headbox additive injection system
DE19654390A1 (de) * 1996-12-27 1998-07-0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apier
US6033527A (en) * 1998-07-06 2000-03-07 Beloit Technologies, Inc. Paper machine edge fiber alignment control by angled headbox sides
US6294051B1 (en) 1999-04-13 2001-09-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improving the edge strength of a fibrous mat
DE102007033938A1 (de) 2007-07-20 2009-01-22 Voith Patent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Faserstoffbahn
DE102007034766A1 (de) 2007-07-25 2009-01-29 Voith Patent Gmbh Vorrichtung und ein Verfahren zur Online-Regelung des Faserorientierungsquerprofils
DE102007036956A1 (de) 2007-08-04 2009-02-05 Voith Patent Gmbh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Faserstoffbah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6623A (en) * 1957-04-01 1960-10-18 Ikavalko Erkki Proces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paper stock to a wire mesh pulley belt
GB843276A (en) * 1957-04-01 1960-08-04 Valmet O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of and means for feeding paper stock on to theforming wire of a paper-making machine
US2904461A (en) * 1957-08-23 1959-09-15 Beloit Iron Work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of stock through a slice jet
US3493463A (en) * 1966-05-10 1970-02-03 Bird Machine Co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a high strength band along the length of a paper web
DE2053953C3 (de) * 1970-11-03 1974-08-29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Siebpartie einer Papiermaschine
FR1533606A (fr) * 1967-08-03 1968-07-19 Voith Gmbh J M Répartiteur de pâte d'une machine à papier
USRE28269E (en) * 1968-01-17 1974-12-10 Papermaking machine headbox having trailing elements in the slice chamber extending in the stock flow direction
GB1417736A (en) * 1972-02-24 1975-12-17 Beloit Corp Paprer-making machines
US3853695A (en) * 1972-10-12 1974-12-10 S Back Entraining a liquid into a fiber slurry to accelerate it prior to discharge from a flow path onto a forming wire
US3888729A (en) * 1972-11-06 1975-06-10 Joseph D Parker Papermaking machine headbox slice chamber containing pivotable thin rigid plates with flexible elements attached thereto
US4285767A (en) * 1978-03-13 1981-08-25 Beloit Corporation Headbox having adjustable flow passages
DE3514554C3 (de) * 1984-09-19 1998-01-08 Escher Wyss Gmbh Stoffauflauf-Vorrichtung für eine Papiermaschin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US4617019A (en) * 1984-09-28 1986-10-14 Sherwood Medical Company Catheter
US4687548A (en) * 1984-10-31 1987-08-18 Valmet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tortion of fibre orientation in a paper w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3238B (fi) 1994-11-30
WO1988008896A1 (en) 1988-11-17
US5149402A (en) 1992-09-22
JPH02501319A (ja) 1990-05-10
ZA883323B (en) 1988-11-14
KR890701837A (ko) 1989-12-21
DE3873330T2 (de) 1993-02-18
EP0353255A1 (en) 1990-02-07
BR8807503A (pt) 1990-04-17
FI895397A0 (fi) 1989-11-13
EP0353255B1 (en) 1992-07-29
GB8711330D0 (en) 1987-06-17
DE3873330D1 (de) 1992-09-03
CA1313322C (en) 199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6774A (en) Apparatus for forming three dimensional composite webs
DE69910578T2 (de)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wasser aus faserstoffbahnen mit oszillierender prällstromflussumkehr
KR930007860B1 (ko) 헤드 박스
FI51229C (fi) Anordning foer tillfoersel av maeld i en pappersmaskin
US4133713A (en) Microturbulence generator for papermachine headbox
KR100423180B1 (ko) 제지기계용롤및블레이드트윈-와이어간극성형장치
EP0769586B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enhance paper and board forming qualities
KR100538184B1 (ko) 장망식 성형부에서 제지원료의 난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및 방법
US3853695A (en) Entraining a liquid into a fiber slurry to accelerate it prior to discharge from a flow path onto a forming wire
US2865260A (en) Flow control apparatus
JPS591839B2 (ja) 製紙機用シリンダ−・ドライヤ
US4083750A (en) Flowbox with convergent wall portions
US6562197B2 (en) Drainage hydrofoil blade
DE112011103033T5 (de) Luftbalkenanordnung zum Trocknen von Tissue-Papier auf einem Band
US3489644A (en) Apparatus for impinging liquid into a fiber web from beneath a wire in a fourdrinier paper machine
AU3251400A (en) Fluid spray apparatus and method for smooth surface gypsum fiberboard panels
US3645842A (en) Dual fabric apparatus for paper web formation
US10975521B2 (en) Fibrous web dewatering apparatus and method
US3351522A (en) Approach flow system for papermaking machine
US4197159A (en) Flowboxes
FI61535B (fi) Anordning foer utslaetande av en pappersmaskins transportband
JPH08503265A (ja) 流動媒体を横方向に分配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FI90672B (fi) Rainanmuodostusmenetelmä paperi- tai kartonkikoneissa
US4999088A (en) No-box system with booster head spray for delivering paper stock to a paper machine
FI90889B (fi) Laite paperikoneen muodostusosassa turbulenssin kehittämiseksi massasuspensiokerroks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