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858Y1 - 봉포완구용 몸체 - Google Patents

봉포완구용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858Y1
KR930007858Y1 KR2019910006208U KR910006208U KR930007858Y1 KR 930007858 Y1 KR930007858 Y1 KR 930007858Y1 KR 2019910006208 U KR2019910006208 U KR 2019910006208U KR 910006208 U KR910006208 U KR 910006208U KR 930007858 Y1 KR930007858 Y1 KR 930007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cylinder
vocal
whist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6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999U (ko
Inventor
이광실
Original Assignee
이광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실 filed Critical 이광실
Priority to KR2019910006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858Y1/ko
Publication of KR920020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8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63H3/31Bellows, cylinders or the like for sound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A63H5/04Pistols or machine guns operated without detonators; Crac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봉포완구용 몸체
제 1 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조립상태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발성원통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 사시도.
제 6 도는 제 2 도의 발성원통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 사시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통 11 : 공간부
12 : 리브 13 : 지지수단
14 : 머리결합부 20 : 발성원통
21 : 폐쇄공간부 22 : 개방공간부
23 : 공기출입공 24 : 밀폐수단
30 : 휘슬 50, 51 : 스프링
40 : 중량체
본 고안은 봉포완구용 몸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성수단을 구비한 봉포완구용 몸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봉포완구용 발성수단을 장치한 것이 안출된 바 있으나, 이는 몸집이 큰 봉포완구내에 장치할 경우 발성수단도 크게 형성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필요이상으로 자재값이 상승하였고, 그렇다고 발성장치를 작게 형성하면 발성장치의 주변공간을 솜등의 다른 충전재로 채워 넣어야 하였기 때문에 작업이 까다롭고 완구머리와의 결합수단도 마땅하지 않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발성장치의 주쥐에 봉포완구의 크기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부를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봉포완구의 몸체를 가지면서 상기 몸체에 완구머리를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몸체의 상방에 형성하여서 된 봉포완구의 몸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으로 휘슬이 내장된 발생원통의 주쥐에 적정한 공간부를 두면서 발성원통을 포위하는 중공체 몸통을 마련하고 그 상방에 완구머리 결합부를 구비하여 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제 3 도, 제 4 도 및 제 7 도는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외곽에 중공형 몸통(10)이 마련되어 있고 그 내부에 발성원통(20)이 마련되어 있으며 발성원통(20)의 내부에는 승강자재하는 휘슬(3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휘슬(30)의 상, 하부에는 휘슬(30)을 원위치에 복귀 시켜주는 코일 스프링(50)(51)이 비치되어 있다.
상기 몸통(10)은 봉포완구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정해지며 발성원통(20)과의 사이에 적정한 공간부(11)가 마련되어 있고 이 공간부(11) 중앙에는 제 1 도와 같이 발성원통(20)을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제 2 도와 같이 발성원통(20)을 중앙에 고정시키기 위한 리브(12)를 방사상으로 배치시킬수도 있으며 기타 별도의 발성원통(20)의 지지수단들(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몸통(10)은 제 6 도와 같이 봉포완구의 머리(미도시)를 결합시키는 머리결합부(14)를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발성원통(20)은 상기 몸통(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교적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는 휘슬(30)이 승강할 수 있는 발성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휘슬(30)을 기준으로 하여 한쪽에는 폐쇄공간부(21)가, 다른 쪽에는 개방공간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개방공간부(22)는 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공기출입공(23)이 소정개소에 임의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폐쇄공간부(21)는 그 공간을 폐쇄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다양한 형태의 밀폐수단(24)이 마련된다.
상기 발성원통(20)은 필요에 따라 제 5 도와 같이 그 상단에 봉포완구의 머리를 결합시켜 주는 머리결합부(1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휘슬(30)의 상하에 배치되는 스프링(50)(51)은 휘슬(30)의 중량정도에 따라 적당한 탄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휘슬(20)은 그 자체중량이 너무 가벼워 관성작용이 어려울 경우에는 제 7 도와 같은 중량체(4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몸체는 그 외부에 여러가지 형태의 피복을 입힘으로써 발성봉포완구를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몸체가 채용된 봉포완구는 완구가 외부의 힘에 의해 상하로 진동할때마다 소리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즉, 봉포완구를 예로서 자동차의 적당한 곳에 끈으로 매달아 놓거나, 아니면 차체의 적당한 부위에 세워서 고정시켜 놓으면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의 진동에 따라 봉포완구가 진동하면 휘슬(30)은 발성원통(2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변동을 하게되고 휘슬(30)의 위치변동시 폐쇄공간부(21)내의 공기가 휘슬(30)의 발성공(31)을 빠져나가거나 혹은 휘슬의 발성공(31)을 통해 폐쇄공간부(21)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면서 공기마찰음이 발생하므로 소리가 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휘슬(30)의 상하변위에 따라 발성되는 원리는 지극히 통상적인 것이고 이미 완구류에 채용되어 왔다.
본 고안에서 중요시하는 것은 발성원통(20)의 외곽에 몸통(10)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상기 구조설명에서 언급하였듯이 본 고안의 몸통(10)을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는 발성원통(20)을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봉포완구에 아무런 불편없이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예로서 제작하고자하는 봉포완구가 발성원통(20)에 비하여 상당히 클 경우에는 봉포완구 피복내의 공간이 커지므로 이 공간내에 발성원통(2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발성원통(20)과 피복사이의 갭을 매워줄 수단이 필요하게는데 이 갭을 메워주는 수단이 바로 몸통(10)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몸통(10)의 크기는 제작하고자하는 봉포완구의 크기에 어느 정도 비례하여 설정되며 몸통(10)이 봉포완구의 피복내 공간부를 알맞게 채워줄 경우 발성원통(20)과 피복간의 문제는 훌륭하게 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몸통(10)의 상방의 머리결합부(14)를 이용하여 별도로 제작되는 머리통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몸통(10)을 채용할 경우 일정한 크기의 발성원통(20)가 다양한 크기의 봉포완구피복사이에 생기는 갭을 메우기위하여 솜이나 기타 충전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완구제작이 용이하고 자재소비를 절감시켜 생산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상, 하스프링(50)(51)으로 승강운동이 제어되는 휘슬(30)을 내장시킨 통상의 발성원통(20)의 외곽에 적정한 공간부(11)를 유지하면서 발성원통을 포위하는 중공체 몸통(10)을 마련하고, 상기 몸통(10)의 상방에 머리결합부(14)를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봉포완구용 몸체.
KR2019910006208U 1991-05-02 1991-05-02 봉포완구용 몸체 KR930007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208U KR930007858Y1 (ko) 1991-05-02 1991-05-02 봉포완구용 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208U KR930007858Y1 (ko) 1991-05-02 1991-05-02 봉포완구용 몸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999U KR920020999U (ko) 1992-12-18
KR930007858Y1 true KR930007858Y1 (ko) 1993-11-24

Family

ID=1931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6208U KR930007858Y1 (ko) 1991-05-02 1991-05-02 봉포완구용 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8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999U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789333A (en) Toy
CN207740993U (zh) 一种仿真蜡烛灯
KR930007858Y1 (ko) 봉포완구용 몸체
JP6094539B2 (ja) 転動体ベル
US2811809A (en) Sound actuated dancing doll
US3230665A (en) Animated speaking figure toy
JP6089236B2 (ja) 転動体ベル
JP2015014620A (ja) 転動体ベル
JPH0328479Y2 (ko)
US3487571A (en) Vibrating device
WO2013094296A1 (ja) 転動体ベル
JP3220155U (ja) オルゴール
JPH0256260U (ko)
JP3747496B2 (ja) 装飾照明装置
JP6217833B2 (ja) 転動体ベル
JPH0938341A (ja) 車両用マリオネットアクセサリー
JPH0738011Y2 (ja) 自動車用外付け可動マスコット
US1642768A (en) Voice-reproducing device
JPH0741517Y2 (ja) 音声発生玩具
JPH0623354Y2 (ja) 玩具用単語発音装置
GB2068240A (en) Magic wand
KR880012409A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US1693228A (en) Talking toy mechanism
US980013A (en) Toy.
KR910004086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