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842B1 -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842B1
KR930007842B1 KR1019910700018A KR910700018A KR930007842B1 KR 930007842 B1 KR930007842 B1 KR 930007842B1 KR 1019910700018 A KR1019910700018 A KR 1019910700018A KR 910700018 A KR910700018 A KR 910700018A KR 930007842 B1 KR930007842 B1 KR 930007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passage
filter medium
filter
septic tank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054A (ko
Inventor
이사무 이와이
찌까쯔 니라사와
Original Assignee
이사무 이와이
찌까쯔 니라사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사무 이와이, 찌까쯔 니라사와 filed Critical 이사무 이와이
Publication of KR92070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02F3/2873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with internal draft tube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2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moving dur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02F3/085Fluidized beds
    • C02F3/087Floating beds with contact bodies having a lower density tha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C02F3/223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using "air-lif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06Anaerobic processes using solid supports for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의 개략단면도.
제2도는 제1도중의 화살표 II-II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제3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의 개략단면도.
제4도는 제3실시예에 의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의 개략단면도.
제5도는 제4실시예에 의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의 개략평면도.
제6도는 제5도 중의 화살표 VI-VI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제7도는 제5도 중의 화살표 VII-VII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제8도는 제5실시예에 의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의 개략사시도.
제9도는 제4실시예에 의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10도는 하천의 개략단면도.
제11도는 제5실시예에 의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의 개략평면도.
본 발명은 여과재(filter medium : 濾過材)를 사용하는 오수정화(汚水淨化) 방법 및 그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여과재를 사용하는 오수정화방법이란, 정화조 내에 여과재를 다수개 수용하여 여과재의 집합인 여과바닥(filter floor)을 형성하고 이 여과바닥에서 번식시킨 호기성세균(aerobic bacteria) 혹은 혐기성세균(anaerobic bacteria)에 의하여 오수를 정화하도록 한 것으로 폭기식과 혐기식이 있다.
그런데, 이 오수정화방법에는 정화능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여과재 내지 여과바닥의 오니(汚泥)에 의한 막힘(blinding)이라는 문제가 있다. 역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오니」란, 오수중에서 분리되는 각종의 고형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막힘의 대책으로서 종래로부터 채용되어 왔던 방법으로서는, 여과재 자체를 고안하여 막힘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또는 어느 정도까지 예비정화하여 농도를 떨어뜨린 오수를 처리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예비정화의 방법은 예비정화 그 자체가 상당히 번거롭고, 또한 예비정화하더라도 단지 막힘의 진행을 늦출 수 있을 뿐이며 막힘 그 자체의 방지를 불가능하다.
결국, 매우 대단한 작업인 여과재의 세정 내지 교환을 정기적으로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여과재 그 자체의 고안도, 예컨대 일본국의 특허 제1343032호(특허공고 소화 61년 제2240호)에 보여지는 부유성, 한편으로는 서로가 얽히기 어렵도록 되어 있는 구형(球形)의 여과재와 같이 상당히 막힘 억제효과가 높은 것을 얻을 수는 있지만, 결국 막힘 그 자체의 방지를 불충분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배경으로 삼아 이루어진 것이 본 발명으로서, 여과재의 막힘 그 자체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늘효율적인 정화를 가능케 하는 오수정화방법 및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정화조 내에 여과재의 순환용 통로를 구획ㆍ형성하고, 이 순환용 통로 내에 수류형성수단에 의하여 수류를 형성하고, 이 수류에 의하여 여과재를 순환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이루어진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 방법은 여과재가 늘 움직이고 있을때는, 막힘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지만, 한편 여과재를 단지 무질서하게 움직이면, 이 무질서한 움직임에 다라 여과재로부터 박리되는 오니가 정화조 내에 확산되어 버려 정화효율의 저하를 초래하여 버린다는 식견에 의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상기와 같은 방법은 상기와 같은 식견이 요구되는 여과재의 향상적ㆍ질서적인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달성함으로써, 여과재의 막힘을 유효하게 방지하고 늘 효율적인 정화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정화조 내에 여과재의 순환용 통로를 구획ㆍ형성함과 아울러 이 순환용 통로의 일단부에 수류형성 수단을 갖춘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에 의하여 실현된다.
상기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서는 상ㆍ하로 개방된 통체(筒體)에 의하여 상ㆍ하 방향에서 순환용 통로를 구획-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이동시에 순환용 통로 내에서 여과재로부터 오니를 박리시킴으로써, 이 박리된 오니의 처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 방법은 상ㆍ하로 개방된 통체에 의하여 상ㆍ하방향에서 순환용 통로를 구획ㆍ형성하도록 한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에 의하여 실현되고, 또 순환용 통로의 하방에 오니침적용의 피트(pit)를 마련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에 의하여 실현된다.
또한, 이 상ㆍ하방향에 형성된 순환용 통로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하여서는 순환용 통로 내에 하방으로부터 공급한 공기를 기포로 하여 순환용 통로 내에서 부상시키고, 이 기포의 부상력에 의하여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점은 기포에 의하여 가해지는 진동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오니를 여과재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고, 수류의 형성과 오니의 박리를 일석이조로 실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방법은 순환용 통로 내에 하방으로부터 공급한 공기를 기포로 하여 순환용 통로 내에서 부상시키고, 이 기포의 부상력에 의하여 수류를 형성토록 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에 의하여 실현된다.
또한, 상기한 방법은 정화조 내에 입설한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횡방향에서 순환용 통로를 구획ㆍ형성하고, 오수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흐르는 수류를 순환용 통로내에 형성토록 하는 것에 의하여서도 실시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은, 특히 하천의 정화와 같이 대규모적인 정화처리에 적합하다. 이 방법은 정화조 내에 입설한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횡방향에서 순환용 통로를 구획ㆍ형성함과 동시에 오수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흐르는 수류를 순환용 통로 내에 형성토록 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에 의하여 실현된다.
이횡방향으로 형성된 순환용 통로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하여서는 순환용 통로를 정화조의 중앙부에 하나를 형성하여도 되며, 또 순환용 통로를 정화조의 측벽을 따라 좌우 한쌍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 방법은 순환용 통로를 정화조의 중앙부에 하나를 형성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 내지 순환용 통로를 정화조의 측벽을 따라 좌우 한쌍으로 형성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에 의하여 실현된다. 또한, 여과재로부터 오니를 효율적으로 박리시킴과 동시에 이 오니를 효율적으로 처리키 위하여 순환용 통로 내에 여과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수단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 진동수단에 의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수류의 하류측으로 오니침 적용의 피트를 마련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역시, 이하의 각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각 실시예에 공통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당히 생략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는 모두 폭기식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폭기식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혐기식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제1실시예]
이 실시예의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1)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화조(1)내에 여과재(A)의 순환용 통로(3p)를 갖추고 있다.
상기 여과재(A)는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부유성, 즉 예컨대 0.95-0.98정도와 오수보다 약간 비중이 작고 적당한 부력으로 수중을 부유가능케 하는 성질을 갖추고 동시에 서로가 얽혀 합쳐지지 않는다는 성질을 갖추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진 여과재(A)로서는 전술한 일본국의 특허 제1343032호(특허공고 소화 61년 제2440호)에 개시되어 있는 구형의 여과재가 가장 적합하다.
이와 같은 여과재(A)는 정화조(1) 내에 충전하면 그 부유성 때문에 오수의 수면(M)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충전상태로 되고 여과재(A)의 집합인 여과바닥(Ab)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여과바닥(Ab)에서 번식하는 호기성세균에 의해 오수가 정화된다.
여과재(A)의 충전량으로서는 정화조(1)내의 오수의 수집체적에 대하여 55-6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조(1)는 천정(41), 바닥(42) 및 4면의 각 측벽(43), (43), (43), (43) 등으로 싸여진 상자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한쪽의 측벽(43)에 오수유입관(9), 또 한쪽의 측벽(43)에 정화수 배출관(10)이 각각 마련되고, 또한 하방에는 바닥(42)보다 약간 부상하여 저판(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저판(7)은 정화조(1)내의 오수를 배수하였을 때에 후술하는 여과재(A)가 정화조(1)의 밑으로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로스테로(rooster : 火格子) 모양으로 형성하든가, 혹은 망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순환용 통로(3p)는 상ㆍ하로 개방된 통체(3)에 의하여 구획ㆍ형성되는 것으로, 통체(3)는 브래킷(5)에 의하여 정화조(1)내에 공중에 매달린 상태, 즉 오수의 수명(M)에 대하여 상단(3u)이 일정한 간격(La)을 유지하고, 또 여과바닥(Ab)의 바닥선(bottomline)(BL)에 대해 하단(3d)이 일정한 간격(Lb)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나중의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되도록 구상의 여과재(A)가 보다 순조로이 순환되게 하기 위하여 통체(3)의 내경 및 간격(Lb)은 여과재(A) 직경의 2배 이상이고, 또 간격(La)은 여과재(A)의 직경과 동등하거나, 혹은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통체(3)로서는 원통이든 각통이든 어느것이든 채용할 수 있다.
이 순환용 통로(3p) 내에는 공기 공급용의 급기관(4)이 그 급기구(4)를 순환용 통로(3p)의 하방부에 갖추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순환용 통로(3p)의 하방에는 바닥(42)에 오니침적용의 피트(11)가 요설되고, 이 피트(11)내에 침적한 오니를 펌프(P3)에 접속된 흡인기(12)에 의하여 적절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화조(1)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산기펌프(P4)는 폭기용의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과 함께 피트(11)이외의 부분의 바닥(42)에 침적한 오니 등을 피트(11)에 모으는 역할을 맡는 것이다. 즉, 산기펌프(P4)는 공기를 화살표 X와 같이 하여 정화조(1)의 전체에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바닥(42)을 따라온 수류를 발생시켜 오니 등을 피트(11)에 모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펌프(P4)를 마련하는데 수반하여 간막이(44)를 마련하고 이 간막이(44)에 의하여 여과재(A)를 배제하고, 산기펌프(P4)이 보수ㆍ관리용의 공간(45)를 확보하고, 또한 이 공간(45)의 상측에 맨홀(manhole)(46)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1)는 여과재(A)를 끊임없이 순환적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오니 등에 의한 여과재(A)의 막힘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급기판(4)에서 공급된 공기에 의한 기포를 순환용 통로(3p)내에서 부상시키고, 이 기포의 부상력에 의하여 순환용 통로(3p)를 원류로 하는 오수의 수류를 형성하고, 이 수류에 의하여 정화조 내의 여과재(A)를 순환적으로 유동시키고 끊임없이 순환류(S)를 형성시키고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성을 가진 여과재(A)는 수면(M)으로부터 바닥선(BL)에 걸려 얽힌 상태로 여과바닥(Ab)을 형성하고 있지만, 전술한 수류의 형성에 수반하여 통체(3)의 하단(3d)에서 바닥선(BL)이 로토(roto) 모양이 되고, 이 로토 모양의 경사면에 배열되어 있는 여과재(A)가 순차적으로 순환용 통로(3p)에 들어간다. 그리고, 여과재(A)는 순환용 통로(3p) 내를 상승하고 상방에서 순환용 통로(3p) 내로부터 나온다. 그리고, 순환용 통로(3p) 내로부터 나온 여과재(A)는 기포가 수면(M)에서 파열할 때에 생기는 충격력에 의하여 주위로 확산되면서 하방으로 침강하여 가고, 다시 로토 모양의 경사면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여과재(A)가 순환류(S)로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이 결과 여과바닥(Ab)이 전체적으로, 말하자면 빙하의 이동과 같은 느릿한 유동을 하는 상태가 된다. 순환류(S)의 강도는 공급하는 공기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오수의 농도나 정화정도 등의 조건에 맞춰 "강하게"로부터 "약하게"까지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농도의 오수에 관하여서의 실험에 의하면, 1분간에 수개의 여과재(A)가 순환용 통로(3p)를 상승하는 정도에 있어서도 충분한 효과가 있다고 인정되었다.
게다가, 또한 이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1)는 여과재(A)에 부착된 오니를 여과재(A)로부터 자동적ㆍ향상적으로 박리시키고, 아울러 이 박리된 오니를 정화조(1) 전체에 확산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회수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순환용 통로(3p)에 공급된 공기에 의한 기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수류에 편승하여 이동하는 여과재(A)에 과격한 진동을 가한다. 이 결과, 여과재(A)로부터 오니가 효율적으로 박리된다. 그리고, 이 박리된 오니는 통체(3)에 의하여 구획ㆍ형성된 순환용 통로(3p)에 의하여 정화조(1) 전체로의 확산을 방지시키면서, 그 하방에 마련되어 있는 피트(11)에 침적하고 흡인기(12)에서 배출된다.
오니는 순환용 통로(3p)내의 여과재(A)로부터 박리될 뿐만이 아니라, 그 밖의 여과재(A)로부터도 조금씩이나마 박리되며, 또 오수로부터도 직접적으로 분리ㆍ침강된다. 이 오니는 산기펌프(P4)에 의하여 피트(11)에 모아지고, 흡인기(12)에 의하여 배출처리된다.
[제2실시예]
제3도에 나타낸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2)는 제2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순환용 통로(3p)를 복수개 마련한 예이다. 그 밖의 점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3실시예]
제4도에 나타낸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3)는 제3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펌프(P4) 대신에 산기관(8)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산기펌프(P4)와 관련된 간막이(44), 스페이스(45), 맨홀(46)등은 이 예에 있어서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 밖의 점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4실시예]
이 실시예의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4)는, 예컨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천(R)의 근처에 설치하고, 하천(R)을 정화하는 경우와 같은 대규모적인 정화처리에 적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4)는 제5도-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1)가 상ㆍ하방향에서의 순환용 통로(3p)를 갖추고 있는데 대하여 횡방향에서의 순환용 통로(50P)를 갖추고 있다.
순환용 통로(50P)는 정화조(51)에 대하여 횡방향, 즉 오수유입구(52)로부터 유입하고, 정화수배출구(53)(제6도)를 향하여 이동하는 오수의 이동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한쌍의 격벽(54), (54)을 평행하게 세워 설치함으로써, 구획ㆍ형성되어 있다.
격벽(54)은 정화조(51)의 바닥(55)로부터 정화조(51)의 천정(56)에 결처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순환용 통로(50P)는 정화조(51)의 중앙부를 다른 부분에서의 거의 완전하게 구획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순환용 통로(50P)는 정화수배출구(53) 측에 마련된 수류형성수단(56)에 의하여 전술한 오수이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흐르는 수류가 형성되고, 이 수류에 편승하여 여과재(A)의 순환류(S)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여과재(A)가 순환류(S)로서 순차적으로 순환적인 이동을 함으로써, 제1실시예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기지의 여과재(Ab)의 유동상태가 얻어진다. 여기서, 여과재(A)의 순환속도는 오수의 상태나 처리조건에 따라서 정하여지는 것이지만, 통상 주단위 내지 월단위로 1회의 순환이 달성되는 정도의 것으로 좋다.
또한, 순환용 통로(50P)의 입구에는 회전가이드(57)가 좌우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여과재(A)가 순환용 통로(50P)내에 용이하게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순환용 통로(50P)내에는 오니를 박리시키기 위한 진동을 여과재(A)에 가하는 진동수단(58)이 적절한 간격으로 마련됨과 동시에 이 진동수단(58)이 쌍이 되도록 하여 진동수단(58)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수류의 하류측으로 옮겨서 오니침적용의 피트(59)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피트(59)를 진동수단(58)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옮기는 이유는 진동수단(58)에서 여과재(A)로부터 박리시켜진 오니가 수류가 편승하여 하류측으로 흐르고 제6도 중의 화살표 Y와 같은 궤적으로 침적하기 때문이다. 피트(59)에 침적한 오니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다른 부위로부터 구획지워진 순환용 통로(50P) 내의 특정한 부위에서 여과재(A)로부터 오니를 박리시키도록 함으로써, 정화조(51)의 전체에 오니를 확산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여과재(A)로부터의 오니를 박리하고, 막힘방지의 효율화 더 나아가서는 정화효율을 가일층 고양할 수 있다.
역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4)의 오수입구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은 침전분리조(60)인데, 먼저 이 침전분리조(60)에서 여과재 처리에 적합하지 않은 크기의 부유물을 침전분리처리한 오수가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4)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침전분리조(60)의 바로 앞에 마련되어 있는 것은 취수피트(61)로서 하천(R) 내에 설치한 봇둑(Rd)으로 봇둑이 막혀진 하천수는 이 취수피트(61)를 개재시켜 침전분리조(60)에 도입된다. 또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4)의 정화수배출구(53)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은 매출피트(62)인데, 정화수를 하천(R)으로 되돌려 주기 위한 것이다.
[제5실시예]
이 실시예의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D5)는 제4실시예의 변형예인데, 순환용 통로(60P)를 정화조(51)의 측벽을 따라 좌우 한쌍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에 관하여서는 제4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및 장치는 정화조내에 구획ㆍ형성한 순환용 통로 내에 수류 형성수단에 의하여 수류를 형성하고, 이 수류에 의하여 정화조 내의 여과재를 순환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여과재가 항상적ㆍ질서적으로 이동하고 이 항상적인 이동에 의하여 여과재의 막힘 그 자체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질서있는 이동에 의하여 정화조내의 전체적인 확산을 발생하지 않고 항상적으로 오니를 여과재에 의하여 박리시킨다. 따라서,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의 효율성의 향상에 다대한 기여를 할 수 있다.

Claims (14)

  1. 정화조 내에 부유성의 여과재를 다수개 수용하여 여과재의 집합인 여과바닥을 형성하고, 이 여과바닥에서 번식시킨 세균을 이용하는 오수정화방법에 있어서, 정화조 내에 여과재의 순환용 통로를 구획ㆍ형성하고, 이 순환용 통로 내에 수류형성수단에 의하여 수류를 형성하고, 이 수류에 의하여 여과재를 순환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용 통로를 상ㆍ하로 개방된 통체에 의하여 상ㆍ하방향에서 구획ㆍ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용 통로 내에 하방으로부터 공급한 공기를 기포로 하여 순환용 통로 내에서 부상시키고, 이 기포의 부상력에 의하여 수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용 통로를 정화조 내에 세워 설치한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횡방향에서 구획ㆍ형성함과 동시에 오수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흐르는 수류를 순환용 통로 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용 통로를 정화조의 중앙부에 하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용 통로를 정화조의 격벽을 따라 좌우 한쌍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7. 정화조 내에 부유성의 여과재를 다수개 수용하여 여과재의 집합인 여과바닥을 형성한 오수정화장치에 있어서, 정화조 내에 여과재의 순환용 통로를 구획ㆍ형성함과 동시에 이 순환용 통로의 일단부에 수류형성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ㆍ하로 개방된 통체에 의하여 상ㆍ하방향에서 순환용 통로를 구획ㆍ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용 통로 내에 하방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기포로 하여 순환용 통로 내에서 부상시키고, 이 기포의 부상력에 의하여 수류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용 통로의 하방에 오니침적용의 피트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정화조 내에 세워 설치한 복수의 격벽에 의하여 횡방향에서 순환용 통로를 구획ㆍ형성함과 동시에 오수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흐르는 수류를 순환용 통로 내에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용 통로를 정화조의 중앙부에 하나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용 통로를 정화조의 측벽을 따라 좌우 한쌍으로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용 통로 내에 여과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수단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 진동수단에 의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수류의 하류측에 오니침전용의 피트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장치.
KR1019910700018A 1989-05-26 1990-05-23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및 그 장치 KR930007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4314 1989-05-26
JP1-134314 1989-05-26
JP13431489 1989-05-26
PCT/JP1990/000659 WO1990014313A1 (en) 1989-05-26 1990-05-23 Method and apparatus of filtering medium circulation type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054A KR920701054A (ko) 1992-08-11
KR930007842B1 true KR930007842B1 (ko) 1993-08-20

Family

ID=151254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957A KR920005952B1 (ko) 1989-05-26 1990-03-23 오수정화조의 여과재 순환 정화장치
KR1019910700018A KR930007842B1 (ko) 1989-05-26 1990-05-23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957A KR920005952B1 (ko) 1989-05-26 1990-03-23 오수정화조의 여과재 순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428747B1 (ko)
KR (2) KR920005952B1 (ko)
CN (1) CN1047483A (ko)
AT (1) ATE111061T1 (ko)
AU (1) AU631895B2 (ko)
CA (1) CA2033165A1 (ko)
DE (1) DE69012281T2 (ko)
ES (1) ES2058914T3 (ko)
RU (1) RU1836301C (ko)
WO (1) WO1990014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5855A1 (de) * 1991-02-25 1992-08-27 Ernst Dr Ing Boehler Verfahren zur anaeroben wasserbehandlung, insbesondere zur mikrobiellen nitrateliminierung aus trinkwasser
NL9401669A (nl) * 1994-10-10 1996-05-01 Boat Care Holland Bv Biologische afvalfluidumreiniger.
FR2739849B1 (fr) * 1995-10-13 1997-12-05 Lyonnaise Eaux Eclairage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biologique de liquides en presence de particules constituant un lit flottant
KR100843313B1 (ko) * 2007-11-13 2008-07-03 주식회사 동양일렉트로닉스 순환식 정수기
GB2475017B (en) 2008-09-24 2012-08-15 Siemens Industry Inc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ystem
CN102040276B (zh) * 2010-12-28 2012-02-01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臭氧接触池及臭氧接触方法
DE102011009067A1 (de) * 2011-01-20 2012-07-26 Bruno Moo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s flüssigen Mediums mit einem Gehalt an Verunreinigungen
CN106139660B (zh) * 2015-04-09 2021-03-30 上海宏微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式移动床轻质过滤器
JP7089826B2 (ja) * 2016-09-20 2022-06-23 コンティニューム ダイナミ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Eccsストレイナ圧力ヘッド損失を軽減するために制御されたデブリを用いる原子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2592A (en) * 1981-02-10 1982-08-16 Ebara Infilco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biological treatment of organic waste water
GB8519154D0 (en) * 1985-07-30 1985-09-04 Ici Plc Aromatic ethers
JPS62262794A (ja) * 1986-05-08 1987-11-14 Shimizu Constr Co Ltd 廃水処理法
JPH0612440B2 (ja) * 1987-09-25 1994-02-16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自動描画機の描画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929A (ko) 1990-12-20
DE69012281T2 (de) 1995-02-16
KR920005952B1 (ko) 1992-07-25
AU5634790A (en) 1990-12-18
AU631895B2 (en) 1992-12-10
EP0428747A1 (en) 1991-05-29
EP0428747B1 (en) 1994-09-07
EP0428747A4 (en) 1991-10-30
CN1047483A (zh) 1990-12-05
DE69012281D1 (de) 1994-10-13
ES2058914T3 (es) 1994-11-01
RU1836301C (ru) 1993-08-23
ATE111061T1 (de) 1994-09-15
KR920701054A (ko) 1992-08-11
WO1990014313A1 (en) 1990-11-29
CA2033165A1 (en) 199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8479A (en) Sewage disposal apparatus employing circulating filter media
KR930007842B1 (ko) 여과재 순환식 오수정화방법 및 그 장치
JP2981960B2 (ja) 固形物流離分離方法
MX2008004820A (es) Sistema de filtro aireado sumergido y metodo que implica tratamientos especificos en etapas respectivas.
JP3011932B1 (ja) 浄化システム
CA2565052A1 (en) System for improved dissolved air floatation with a biofilter
CN209669016U (zh) 高效工业污水处理装置
JP4142467B2 (ja) 汚水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241496B1 (ko) 현수미생물 현탁식 오수정화장치
JPS6223604B2 (ko)
JP2001190904A (ja) 浄化システム
KR100481821B1 (ko) 기체용해 및 물질분리에 의한 수처리 장치
JP2004255237A5 (ko)
KR200305743Y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SU929598A1 (ru) Аэротенк-вытеснитель
KR100699551B1 (ko) 상수원수 정수처리장치
RU2066227C1 (ru) Кольцевой фильтр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JP2001149716A (ja) 作業液浄化方法
KR100488471B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JP3377894B2 (ja) 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960001397B1 (ko) 여과재 순환식 오수 정화 장치
SU154075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оборотной воды рыбоводных бассейнов
SU905201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светлени воды
RU2208593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572327B2 (ja) 有機性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