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743Y1 -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743Y1
KR200305743Y1 KR20-2002-0037156U KR20020037156U KR200305743Y1 KR 200305743 Y1 KR200305743 Y1 KR 200305743Y1 KR 20020037156 U KR20020037156 U KR 20020037156U KR 200305743 Y1 KR200305743 Y1 KR 200305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action tank
horizontal support
sewag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황희석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주)담덕씨스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담덕씨스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담덕씨스템
Priority to KR20-2002-0037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7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Abstract

본 고안은 침전지 유출수를 물리·화학·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처리하는 반응조의 바닥부 경사면에 단계별로 수평바닥판을 설치하고, 크기가 다른 분출홀을 갖는 배관을 상기 수평바닥판에 설치함으로써, 공기방울의 크기가 균일하며, 일률적인 속도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반응조내에 충진된 다공성 여재를 균일하고 신뢰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자동 역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생물학적 반응과 물리·화학적 반응으로 침적시켜 제거하기 위한 여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바닥면이 소정 기울기를 가지되, 바닥면 하부에 슬러지 포켓이 구비되며, 유출부 상면에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방출하는 월류웨어가 구비된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바닥 기울기면에 설치된 수평지지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상에 설치되며, 외면에 크기가 다른 다수의 공기분출홀이 형성되어 공기방울의 크기가 일정하면서 속도가 균일하게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분출수단; 및 상기 공기분출수단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압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Backwashing apparatus of tertiary sewage treatment system}
본 고안은 하수처리장 침전지 유출수를 정화시켜 중수도 등 목적별 재이용수로 활용할 수 있는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횡류식 침전 ·여과를 수행하는 반응조에 충진된 다공성 여재에 의한 물리·화학·생물학적 반응을 수행한 후, 다공성 여재를 일률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하수 및 오폐수 3차 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에 포함된 주요 오염물질은 고형물질, 유기물질 그리고 질소, 인이다. 하수처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방식에 따라 1차 처리, 2차 처리, 3차 처리로 분류되고 있는데, 상기 1차 처리는 침전성이 양호한 부유물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며, 주처리 단계인 2차 처리는 용존성 유기물 및 유기성 고형물을 처리하는 것으로 주로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다. 3차 처리는 물리, 화학,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2차 처리에서 제거되지 않은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생물학적 2차 처리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활성슬러지법(activated sludge)이며, 유기물 제거율은 평균 90%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생물학적 2차 처리방법 역시 오염물질 처리에 한계가 있으므로 양질의 처리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3차 처리가 필요하다.
하수의 3차 처리는 처리 대상물질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이용된다. 부유물질을 포함한 유기물질을 대상으로 할 경우 급속모래여과, 응집침전 그리고 막분리법 등이 이용되며, 영양염류중 질소를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생물학적 질화/탈질법이 이용되고, 인의 경우는 응집침전과 기타 생물학적 방법, 그리고 생물학적 질소·인 동시제거법과 이상의 변형 공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급속여과법를 적용할 경우, 비교적 양질의 처리수를 얻을 수 있으나, 잦은 역세척 실시등 유지관리에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막분리법은 시설비와 유지관리비가 워낙 높아 대규모 처리시설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인과 질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반응조가 필요하며 시설비와 유지관리비등 비용 문제와 아울러 고도의 유지관리 기술이 요구되는 방법이다.
상기에서 열거한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원출원인은 특허 제2001-0064830호에서 표면적이 크고 공극율이 높은 다공성여재를 횡류식 침전 ·여과지에 충진시켜 물리·화학·생물학적 반응을 최적화함으로써 침전지 유출수에 포함된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동시에 제거하여 중수도 등 목적별 재이용수로 활용할 수 있는 다공성여재를 이용한 하수의 3차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상기 고안에서, 2차 침전지에서 용존성 유기물 및 유기성 고형물이 처리된 침전지 유출수가 유입되어 3차처리를 수행하는 반응조의 구성 및 작용을 도2 및도3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조는 유입조(101)와; 유공정류벽(105)에 의해 전단반응조(102)와 후단반응조(103) 및 방류조(104)로 구획되며, 침전지 유출수의 내부 유속분포를 균등하게 할 수 있도록 전단반응조(102)의 유입부 면적을 후단반응조(103)의 유출부 면적보다 크게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반응조 전단부의 슬러지 침적으로 인한 단면적 감소를 고려하여 유속불균형 현상을 방지한 구조이다. 즉, 슬러지가 전단반응조(102)에 주로 침적되어, 통수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상기와 같이 면적비를 달리함으로써 원활한 유지관리와 처리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후단반응조(103)와 방류조(104)를 구획하는 유공정류벽(105)의 중간부에 후단반응조(103)내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별도의 상단 정류벽(106)을 설치하여 상기 후단반응조(103)의 상단 유입부의 흐름은 후단반응조(103)의 상단 유출부로, 후단반응조(103)의 하단 유입부의 흐름은 후단반응조(103)의 하단 유출부로 흐르게 하여 상기 전단반응조(102)와 후단반응조(103)의 조내의 사수지역(dead space)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반응조는 중력에 의한 수평류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운전동력이 필요치 않으며, 일반 여과공법에 비해 공극의 막힘 현상이 적고, 타 공법에 비해 역세척 주기가 월등히 길어 동력소요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반응조에 충진되는 다공성 여재에 의한 물리·화학·생물학적 반응을 수행한 후, 역세척을 실시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반응조 바닥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산기관이나, 초음파 발생장치(도면에 미도시)를 설치하여 배관을 통해 공기방울이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단반응조(102)와 후단반응조(103)내의 다공성 여재에 부착된 슬러지를 주기적으로 세정하여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반응조의 바닥부가 소정 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공기압력이 저하되어 배관의 공기분출속도가 일률적이지 못하고, 또한 배관에 형성된 분출구멍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공기 압력 저하에 의해 공기방울의 크기도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역세척의 불균일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반응조를 통과한 처리수의 수질이 균일하지 못한 상태로 방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침전지 유출수를 물리·화학·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처리하는 반응조의 바닥부 경사면에 단계별로 수평바닥판을 설치하고, 크기가 다른 분출홀을 갖는 배관을 상기 수평바닥판에 설치함으로써, 공기방울의 크기가 균일하며, 일률적인 속도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반응조내에 채워진 다공성 여재를 균일하고 신뢰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공성여재를 이용한 하수 3차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응조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3은 도2의 반응조를 이용한 처리수의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하수 3차처리시스템의 자동 역세척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요부인 배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배관의 길이와 공기압력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입조 2: 반응조
4: 슬러지 포켓 5: 수평지지부재
6: 제1 배관 7: 분기배관
7a: 공기분출홀 8: 공기주입밸브
9: 제2 주배관 10: 브로어
21: 전단반응조 22: 후단반응조
23: 방류조 24: 월류웨어
25: 정류벽 26: 상단 정류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생물학적 반응과 물리·화학적 반응으로 침적시켜 제거하기 위한 여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바닥면이 소정기울기를 가지되, 바닥면 하부에 슬러지 포켓이 구비되며, 유출부 상면에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방출하는 월류웨어가 구비된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바닥 기울기면에 설치된 수평지지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상에 설치되며, 외면에 크기가 다른 다수의 공기분출홀이 형성되어 공기방울의 크기가 일정하면서 속도가 균일하게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분출수단; 및 상기 공기분출수단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압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하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4 내지 도6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는 반응조내에서 물리·화학·생물학적 반응을 수행한 다공성 여재에 분출속도가 일정하고, 크기가 균일한 공기방울을 분사하여 역세척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침전지 유출수에 대해 균일한 흐름을 유지시키기 위한 유입조(1)와; 상기 유입조(1)로부터 배출된 침전지 유출수를 저류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이 침전지 유출수의 흐름방향으로 상승하는 소정 기울기(Φ)를 가지며, 유출부 상면에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방출하는 월류웨어가 구비된 반응조(2)와; 상기 반응조(2)의 바닥면 하부에 구비된 슬러지 포켓(4)과; 상기 반응조(2)의 바닥 기울기면에 설치되며, 양단에 받침판(5a)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수평지지부재(5)와; 일측은 상기 수평지지부재(5)상에 유출수의 흐름방향으로 설치되며, 타측은 반응조(2) 외부로직립되게 설치되어 공기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제1 주배관(6)과; 상기 제1 주배관(6)에서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으로 분기되되, 그 양단부가 상기 수평지지부재(5)의 받침판(5a)에 안착되며, 외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공기분출홀(7a)이 형성된 분기배관(7)과; 상기 제1 주배관(6)상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밸브(8)와; 상기 제1 주배관(6)의 수직부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주배관(9); 및 상기 제2 주배관(9)을 통해 제1 주배관(6)측으로 소정압력의 공기를 제공하는 브로어(blower)(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부재(5)는 반응조(2)의 크기에 따라 소정 층의 계단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전단, 중앙, 후단의 3계단으로 설치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지지부재(5)의 계단식 구조에 의해 상기 주배관(6)과 밸브(8)도 각 층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수평지지부재(5)가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것은 반응조(2)의 바닥면 기울기가 가지는 기능 즉, 반응조 전단부의 슬러지 침적으로 인한 단면적 감소를 고려하여 유속불균형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역세척을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고안의 도4 및 도5에서는 전단, 중앙, 후단 계단의 면적이 동일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전단 수평지지부재 면적(A1), 중앙 수평지지부재 면적(A2), 후단 수평지지부재 면적(A3)을 A1<A2<A3로 형성하며, 상기 면적에 따라, 전단 수평지지부재상에 설치되는 배관수보다 후단 수평지지부재상에 배관수를 많이 설치하여 공기방울 분출수를 다르게 하는 것이다. 이는 반응조전단부의 깊이가 깊고, 후단부로 갈수록 얕기 때문에 조 전체의 균일하고 확실한 역세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배관(7)의 공기분출홀(7a)은 제1 주배관(6)위 수평관측에서 끝단측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어 공기방울의 크기가 일정하면서 속도가 균일하게 분출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기분출홀(7a)의 크기는 분기배관(7)의 길이와 배관내에서의 공기압 분포에 따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반응조(2)는 단일의 횡류식 침전·생물여과지로 구성되는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조(2)를 소정 구획으로 나누어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침전지 유출수를 집수하여 생물학적 반응과 물리·화학적 반응으로 침적시켜 제거하기 위한 여재가 충진된 전단반응조(21)와; 상기 전단반응조(21)로부터 배출된 처리수를 재차 처리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다공성여재(도면에 미도시)가 내재된 후단반응조(22)와; 상기 후단반응조(22)로부터 배출된 2차 처리수를 저류시켜 방류하도록 그 유출부 상측부에 월류웨어(24)가 구비된 방류조(23); 및 상기 전단반응조(21), 후단반응조(22) 및 방류조(23)를 각각 구획하며, 다수의 유출홀이 형성된 정류벽(25)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후단반응조(22)의 사수(dead space)지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후단반응조(22)와 방류조(23)를 구획하는 정류벽의 소정부위에는 후단반응조(22) 내측을 향하여 연장하며, 다수의 유출홀이 형성된 상단 정류벽(26)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의 반응조는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는 자연유하 방식의 중력침전원리에 주로 의존하는 횡류식 침전·생물여과지로서, 그 처리 대상물질은 처리수내에 포함된 부유물질, 유기물질 그리고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류이다.
즉, 2차 침전지에서 처리된 침전지 유출수를 유입조(1)로부터 전단반응조(21)에 저류하되, 상기 전단반응조(21)에 채워진 소정크기의 표면적과 공극을 가진 다공성 여재에 통과시켜 물리·화학·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하수 처리수에 잔존하는 부유물질과 유기물질을 침적, 분해한다. 이때, 부유물질이 제거됨에 따라 부유물질속에 함유된 소량의 유기물질과 영양염류가 동시에 제거된 상태로, 방류조(23)에 저류되고 월류웨어(24)를 거쳐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하수 3차 처리의 소정횟수의 공정이 완료되면, 역세척대상 반응조의 유입수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브로어(1)를 가동시키며, 공기주입밸브(8)중 전단반응조(21)에 위치된 제1 주배관(6)의 공기주입밸브를 개방하고, 소정 시간(본 실시예에서는 약 3분정도)동안 공기를 주입한다. 이는 슬러지의 침적이 전단반응조(21)에 집중(전체 슬러지의 1/2 내외)하므로 전단부의 슬러지를 우선배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주배관(6)의 수직관에서 수평관으로 이동하는 소정압력의 공기는 분기배관(7)의 분출홀(7a)을 통하여 상측으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 분기배관(7)의분출홀(7a)은 분기측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공기방울이 균일하며, 분출속도가 일률적인 상태로 분출된다. 즉, 분기배관(7)의 길이와 배관 내부의 공기압 분포에 따라 공기분출홀(7a)의 직경크기가 결정되므로, 도6의 그래프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분기배관(7)의 입구측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공기압은 저하되는 반면에, 공기분출량은 많아지므로, 공기분출 시작점에서의 공기량과 공기방울의 크기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상승할수록 공기방울의 크기가 균일하고, 분출속도 또한 일률적으로 되어감으로써 반응조내의 접촉여재를 균일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설정된 공기주입밸브(8)의 개방시간이 소요되면, 슬러지 배제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개방하고, 수위의 약 80%선까지만 배수한다. 이는 전단반응조(21)에서 집중적으로 침적된 슬러지를 우선 배제하기 위함이다.
다음에, 중간과 후단의 수평지지부재(5)에 설치된 공기주입밸브(8)를 순차적으로 개방하고, 소정시간(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3분씩)동안 공기를 주입한 후, 설정시간이 소요되면, 슬러지 배제밸브를 다시 개방하여 배수하되, 3개의 공기주입밸브(8)중 순서대로 하나씩 5분간격으로 온/오프(on/off)시킨다. 또한, 상기 반응조(2)내의 탈리 슬러지의 배수와 유입은 각각 15분 정도가 되도록 설계한다. 이는 여재에 침적된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탈리시키면서, 역세척 후 조기수질 회복에 필요한 최소한의 미생물 서식량을 확보할 수 있는 소요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반응조(2)내의 물 전체가 배수되면, 슬러지 배제밸브를 잠그고, 공기를 주입하는 상태에서 유입수밸브를 개방하여 침전지 유출수를 다시 채운다.
상기 반응조(2)내의 정상수위가 90%정도 채워지면, 다시 슬러지 배제밸브를 개방하여 반응조(2) 내의 물을 완전히 배제시킨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5분 간격으로 공기주입밸브(8)의 온/오프 작동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술러지 배제가 완료되면, 공기의 공급을 중단하고, 유입수로 채운후 정상가동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서 역세척 시기는 절기마다 다르게 수행되는데, 일예로 동절기에는 15일단위로 실시하고, 하절기에는 20일단위로 실시하되, 강우등 전단계 처리가 미비할 경우에는 역세척시기를 앞당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반응조의 바닥 경사면에 수평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수평지지부재상에 공기분출홀이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배열된 공기분출배관을 설치하여, 공기방울의 크기가 균일하고, 분출속도가 일률적이 되도록 함으로써, 전단반응조 및 후단반응조에 채워진 접촉여재의 역세척을 균일하게 이룰 수 있으며, 타 공법에 비해 역세척 주기를 월등히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소요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단반응조에 집중적으로 침적되는 슬러지를 우선 배제할 수 있도록 역세척운전이 가능하므로, 역세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생물학적 반응과 물리·화학적 반응으로 침적시켜 제거하기 위한 여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바닥면이 소정 기울기를 가지되, 바닥면 하부에 슬러지 포켓이 구비되고, 유출부 상면에 정화된 처리수를 방류하기 위한 월류웨어가 구비된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바닥 기울기면에 설치된 수평지지부재;
    상기 수평지지부재상에 설치되며, 외면에 크기가 다른 다수의 공기분출홀이 형성되어 공기방울의 크기가 일정하면서 속도가 균일하게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분출수단; 및
    상기 공기분출수단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압 제공수단
    을 포함하는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재가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계단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그의 상부 전후단에 공기분출수단을 받쳐주기 위해 설치된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계단 면적은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각 계단 수평지지부재상에 설치되는 공기분출수단의 수도 계단면적에 비례하여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많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출수단은
    일측은 유출수의 흐름방향으로 수평지지부재 상에 설치되며 타측은 반응조 외부로 직립되게 설치되어 공기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주배관;
    상기 주배관에서 분기되며, 외면에 다수의 공기분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분출홀이 주배관측에서 끝단측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어 있는 분기배관을 포함하는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제공수단은
    상기 주배관상에 각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밸브; 및
    상기 공기주입밸브에 연결된 배관에 공기압을 제공하는 브로어를 포함하는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침전지 유출수를 집수하는 전단반응조;
    상기 전단반응조로부터 배출된 처리수를 재차 처리하기 위한 후단반응조;
    상기 후단반응조로부터 배출된 2차 처리수를 저류시켜 방류하도록 그 유출부 상측부에 월류웨어가 구비된 방류조; 및
    상기 전단반응조, 후단반응조 및 방류조를 각각 구획하며, 다수의 유출홀이 형성된 정류벽
    을 포함하는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반응조의 사수(dead space)지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후단반응조와 방류조를 구획하는 정류벽의 소정부위에 후단반응조 내측을 향하여 연장하며, 다수의 유출홀이 형성된 상단 정류벽을 더 포함하는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KR20-2002-0037156U 2002-12-12 2002-12-12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KR200305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156U KR200305743Y1 (ko) 2002-12-12 2002-12-12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156U KR200305743Y1 (ko) 2002-12-12 2002-12-12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194A Division KR100488471B1 (ko) 2002-12-12 2002-12-12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743Y1 true KR200305743Y1 (ko) 2003-03-03

Family

ID=4940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156U KR200305743Y1 (ko) 2002-12-12 2002-12-12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7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07B1 (ko) * 2006-10-18 2007-01-16 (주)케이지엔지니어링 유속 증대를 통해 퇴적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수관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07B1 (ko) * 2006-10-18 2007-01-16 (주)케이지엔지니어링 유속 증대를 통해 퇴적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수관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8119B2 (ja) 改善された生物学的排水浄化リアクターおよび方法
US6505744B1 (en) Solid-liquid separation equipment in particular f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water
KR100303811B1 (ko) 생물·산화 여과장치
KR101757211B1 (ko)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병행되는 수처리 장치
KR100552712B1 (ko)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KR200388784Y1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KR20000034519A (ko) 호기성 생물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1126049B1 (ko) 전처리 및 배출수 처리가 효율적인 상수 및 하폐수 처리용 막여과 시스템
KR102215648B1 (ko) 서로 상이한 크기의 여재를 포함한 오·폐수 여과장치 및 방법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060106069A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CN208995197U (zh) 整体进水分区曝气反冲洗的反硝化生物滤池
KR100419959B1 (ko) 미생물접촉과 식물을 이용한 하수, 하천수와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 시스템
JP2795620B2 (ja) 浮遊ろ材を用いた生物的水処理装置及びその逆洗方法
KR200305743Y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CN108911128A (zh) 整体进水分区曝气反冲洗的反硝化生物滤池
KR101543548B1 (ko) 중력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총인여과방법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KR200361822Y1 (ko)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KR100488471B1 (ko) 하수 및 오폐수 3차처리시스템의 역세척장치
KR100547463B1 (ko) 황 충전 mbr 반응기를 이용한 포기조내 질소제거 장치
KR20080082852A (ko) 오폐수 처리용 침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US20230202891A1 (en) Wastewater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comprising filter media of different sizes
KR20030009799A (ko) 자갈 및 세라믹을 채운 다층 구조의 상향류식 하천 정화장치 및 정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