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765Y1 - 퍼머넌트용 빗 - Google Patents

퍼머넌트용 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765Y1
KR930007765Y1 KR2019910019296U KR910019296U KR930007765Y1 KR 930007765 Y1 KR930007765 Y1 KR 930007765Y1 KR 2019910019296 U KR2019910019296 U KR 2019910019296U KR 910019296 U KR910019296 U KR 910019296U KR 930007765 Y1 KR930007765 Y1 KR 930007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chemical liquid
sliding plate
knob
perma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271U (ko
Inventor
이효균
Original Assignee
이효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균 filed Critical 이효균
Priority to KR2019910019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765Y1/ko
Publication of KR9300102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4/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퍼머넌트용 빗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에서 유로를 폐쇄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에서 유로를 개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상하부 몸체 3 : 습동판
4, 4' : 연결봉 5 : 빗체삽착구
6 : 빗체 7 : 스프링
8 : 공기유입구 9 : 콘형패킹
10 : 노브 11, 11', 11", 11"' : 조절부
본 고안은 퍼머넌트용 빗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퍼머넌트 약액의 배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게 함과 동시에 빗체의 삽탈이 가능 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두발생태에 맞는 빗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도 퍼머넌트용으로 전용할 수 있는 머리 염색용 빗이 실용신안공고번호 제84-1937호로 알려진바 있으나 이는 실린더 내에 랙이 연설된 피스톤을 유입하고, 실린더 일측면에 형성된 축수부 내에 손잡이 외축 하단에 삽착된 랙기어를 축착하여 랙과 랙기어를 치합되도록 한 구조인바, 이는 상기 인용고안 이전에 알려진 약액주머니식의 것에 비하여 배출량의 조절이 용이한 효과를 있으나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가 상승되며 피스톤을 신속하게 구동시킬 구조가 없으며 통로가 굴설된 빗체와 실린더를 엘보와 너트로 저립된 것이기 때문에 약액이 누설된 우려가 있으며 사용자가 한손으로 실린더를 잡고 빗질을 하면서 손잡이를 돌려서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여 실용적이 못하였다.
또한 본인의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출원 90-7856호의 퍼머넌트용 빗의 구조는 상부몸체에 한 형태의 빗상이 일체로 고정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두발조건 즉, 머리숱의 많고 적음, 헤어스탈일 등)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빗살을 선택할수 없어 사용에 제한적이었으며 그로인해 효과적으로 퍼머넌트를 행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빗질을 하면서 일일이 손잡이를 눌러 약액이 유출되도록 하여야 되므로 빗질에 전념할수 없고 매우 번거로 왔으며 눌룸식 손잡이로써 뱃질과 동시에 약액의 유출량을 적절히 조절하기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발조건에 대응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의 빗체를 삽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약액의 유출을 별도의 조절 장치없이 빗질을 하는 상태에서 빗체가 출몰되면서 약액이 유출되도록 했으며 또한 약액 유출량의 조절을 위해 유출량 선택노브를 구성시킴으로써 두발조건에 알맞게 약액량을 다단계로 조절될 수 있게 하여 빗체의 출몰과 함께 공기 유입구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므로써 약액의 유출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분할형 상하부몸체(1)(1')의 내부에는 선단부에 빗체(6)의 삽착구(5)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한쌍의 연결봉(4)(4')이 일체로 형성된 습동판(3)을 스프링(7)에 의해 탄설시키고 일측 연결봉(4)의 단부에는 하부몸체(1')에 형성된 공기유입구(8)의 공기유입량 조절용 콘형 패킹(9)을 나착시키며 하부몸체(1')의 일측벽에는 몸체 내부에 위치되는 다단의 조절부(11)(11')(11")(11"')을 갖는 노브(10)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하부몸체(1)(1')의 선단부에는 약액배출구(12)를 형성함과 동시에 약액 누출방지용 패킹(13)을 착설시켜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20)은 약액 유입구(21)은 마개(22)는 습동판(3)을 탄설시키기 위한 걸림돌기(23)은 약액수장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는 습동판(3)이 스프링(7)에 탄발되어 상하부몸체(1)(1')의 패킹(13)에 밀착된 상태로 습동판(3)의 단부가 약액배출구(12)을 막고 있는 상태이며 연결봉(4)의 단부에 형성된 콘형 패킹(9)도 하부몸체(1')의 공기 유입구(8)를 폐쇄시킨 상태이다.
이 상태는 본 퍼머넌트용 빗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서 노브(10)를 조절하여 제11조절부(11)가 습동판(3)의 후면에 닿도록 하여 습동판(3)이 후퇴되지 못하도록 한 것으로 여기에서 노브(10)의 조절부의 단계는 일정한 수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제 2 도와 같은 상태에서는 빗체(6)을 꼽고 눌러도 습동판(3)이 제1조절부(11)에 의해 후퇴되지 않게 되므로 장난이나 무단 사용으로 인한 약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3 도에서와 같이 노브(10)의 조절부를 제2조절부(11')로 돌려 놓고 사용자의 두발조건에 맞는 적정한 형태의 빗체(6)를 습동판(3)의 빗체 삽착구(5)에 꼽고 빗질을 하게 되면 빗살은 머리를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게 되어 자연히 빗체(6)가 끼워진 습동판(3)은 스프링(7)에 의해 떨어졌다 닿았다 하게 되어 약액수장실(23)의 약액이 약액 배출구(12)를 통해 유출되어 빗체(6)의 빗살사이로 배출되므로 두발에 퍼머넌트 약액 또는 염색약을 묻히면서 빗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습동판(3)의 유동에 따라 연결봉(4) 단부의 콘형패킹(9)도 공기 유입구(8)를 개폐를 반복하게 되어 즉 습동판(3)이 후퇴되어 약액배출구(12)가 개방되면 콘형패킹(9)도 후퇴되어 공기유입구(8)를 개방시키게 되어 외부의 공기가 약액수장질(23)로 유입되게 하므로써 약액이 매우 원활하게 배출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 3 도에서는 노브(10)의 조절부로 제2조절부(11')로 하여 습동판(3)의 후퇴가 가장 많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약액이 가장 많이 유출될수 있게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제3조절부(11")또는 제4조절부(11"')로 하여 습동판(3)의 후퇴 거리를 적절히 조정하여 약액의 배출량을 알맞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빗살이 머리에 닿는 압력을 조절하므로써 노브(10)의 조절부와 무관하게 약액의 배출량을 어느 정도 조절할수는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두발 조건에 맞는 빚체를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며 약액의 배출량 조절을 여러 단계로 셋팅시켜 사용할수 있어 약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셋팅시킨 상태에서 빗질만 하면 약액이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별도로 배출장치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을 없앤 것으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분할형 상하부몸체(1)(1')의 내부에는 선단부에 빗체(6)의 삽착구(5)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한쌍의 연결봉(4)(4')이 일체로 형성된 습동판(3)을 스프링(7)에 의해 탄설시키고 일측 연결봉(4)의 단부에는 하부몸체(1')에 형성된 공기유입구(8)의 공기 유입량 조절용 콘형 패킹(9)을 나착시키며 하부몸체(1')의 일측별에는 몸체 내부에 위치되는 다단의 조절부(11)(11')(11")(11"')을 갖는 노브(10)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하부몸체(1)(1')의 선단부에는 약액 배출구(12)를 형성함과 동시에 약액 누출방지용 패킹(13)을 착설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용 빗.
KR2019910019296U 1991-11-13 1991-11-13 퍼머넌트용 빗 KR930007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296U KR930007765Y1 (ko) 1991-11-13 1991-11-13 퍼머넌트용 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296U KR930007765Y1 (ko) 1991-11-13 1991-11-13 퍼머넌트용 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71U KR930010271U (ko) 1993-06-23
KR930007765Y1 true KR930007765Y1 (ko) 1993-11-17

Family

ID=1932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296U KR930007765Y1 (ko) 1991-11-13 1991-11-13 퍼머넌트용 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7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71U (ko)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6480A (en) Liquid comb combination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WO2009003974A2 (de) Spender zur ausgabe flüssiger oder pastöser massen
DE2112195A1 (de) Vorrichtung zur Ausgabe von Fluessigkeiten
EP0378286A3 (en) Dispenser
KR940001717Y1 (ko) 두발손질용액이 내장된 빗
DE29919929U1 (de) Schreibgerät
KR930007765Y1 (ko) 퍼머넌트용 빗
US3446216A (en) Hair grooming comb
US7350524B2 (en) Liquid-applying device
KR20060087065A (ko) 약제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DE20203841U1 (de) Abgabevorrichtung für eine flüssige medikamentöse Zusammensetzung
KR200389332Y1 (ko) 약제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US8905045B2 (en)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US3540437A (en) Hand piece control for oral lavage
KR20030074356A (ko) 빗 부착 용기
DE10343329A1 (de) Dosiervorrichtung mit einem ein- oder mehrteiligen Dosiergehäuse
JP3389339B2 (ja) 塗布用具
CN208755235U (zh) 一种单键定量折叠染发梳
US3973279A (en) Sink shampoo unit
CN216723553U (zh) 一种便于清洗的染料梳
JP2525539Y2 (ja) 液体塗布具
JPH11253225A (ja) 染髪具
JP7369262B2 (ja) リフィル構造を有する化粧品ケース
JPS6145022Y2 (ko)
JP3085550U (ja) 流動性を有する製品を放出する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