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622B1 - 통전전사 프린터 - Google Patents

통전전사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622B1
KR930007622B1 KR1019890017379A KR890017379A KR930007622B1 KR 930007622 B1 KR930007622 B1 KR 930007622B1 KR 1019890017379 A KR1019890017379 A KR 1019890017379A KR 890017379 A KR890017379 A KR 890017379A KR 930007622 B1 KR930007622 B1 KR 930007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case
carriage
return electrode
ink ribb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603A (ko
Inventor
하루히코 가야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5423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76036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54228U external-priority patent/JP2519439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0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전전사 프린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통전전사 프린터의 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프린터에 있는 주요 카세트 부분의 일부분해 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카세트케이스를 캐리지에 장착한 상태로서 주요부분이 확대된 투시도.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난 프린터의 주요 캐리지의 투시도.
제5도는 상기 카세트케이스를 밑면측에서 바라본 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에 있는 주요 카세트케이스 부분의 일부분해 투시도.
제7도는 상기 프린터에 있는 주요 캐리지의 투시도.
제8도는 상기 캐리지에 상기 카세트케이스를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
제9도는 제6도의 주요부분의 확대 설명도.
제10도는 상기 카세트케이스를 밑면측에서 바라본 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잉크리본 3 : 카세트케이스
5,7 : 릴 15 : 캐리지
31,37 : 인자헤드 51, 81 : 귀로전극
53 : 스프링재(탄성부재) 63, 91 : 접촉자
81b : 노출부
본 발명은 통전발열식의 잉크리본에 국부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고, 그 부분을 발열시켜 잉크를 전사하는 통전전사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잉크리본이 수납된 카세트케이스의 붙이고 떼기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통전전사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전전사 프린터에 사용되는 통전발열식의 잉크리본은 적당한 전기저항을 갖는 베이스필름으로 형성한 저항층과, 이 저항층의 한쪽면에 알루미늄 등의 전기도전재료를 증착하여 형성한 도전층과, 이 도전층상에 발라붙인 고체상태 내지는 반고체상태의 잉크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인자(印字)헤드에 담지시킨 다수의 가는핀 모양의 기록전극을 인자패턴에 따라 선택하면서 국부적으로 상기 저항층에 압접하여 접촉시킴으로써, 이 접촉부에 기록전압을 인가하고, 저항층을 통해 도전층에 기록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때 저항층에 발생하는 주울열에 의해 잉크층을 용융하여 인자패턴의 인자를 하는 것이다.
상기 도전층에 흘린 기록전류는 잉크리본에 접촉하고 있는 귀로전극에 의해 접지되어 흐르게끔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리본이 수지로 만들어진 카세트케이스에 수납된 카세트식의 통전전사 프린터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카세트식의 통전전사 프린터에 있어서는 잉크리본은 수지로 만들어진 카세트케이스에 지지한 한쌍의 릴에 걸쳐져서, 한쪽 릴에서 다른쪽 릴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카세트케이스는 캐리지상에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장착되게끔 되어 있다.
캐리지는 서로 평행으로 짝을 지어 설치한 캐리지 샤프트와 레일에 안내되면서 모터에 구동되는 전동밸트에 의해 기록 방향측으로의 기록주사운동과, 그반대측으로의 복귀운동을 할 수 있다. 또 캐리지의 후방에는 플라텐이 캐리지샤프트와 평행으로 설치되며 플라텐의 앞면에는 인쇄용지가 세트된다.
한편, 캐리지에 장착된 인자헤드수단은 핀에 의해 인쇄용지로 향한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과, 이 아암의 자유단축에 장착한 인자헤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캐리지가 상기 기록주사운동중에 있을때는 아암이 액츄에이터에 구동되어, 인자헤드가 인쇄용지를 향해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인자헤드와 인쇄용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잉크리본이 전사위치에 이동되어 인쇄용지에 근접한다.
그리고, 캐리지에는 잉크리본에 흘려진 기록전류를 도피시키기 위해 롤러로 형성한 귀로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귀로전극은 카세트케이스가 캐리지 장착된 상태에서 잉크리본의 저항층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귀로전극에는 잉크리본을 끼고 대향한 위치에 핀치롤로가 설치되며, 이 핀치롤러는 귀로전극에 압접하도록 부세(付勢)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치롤러는 조작레버를 수동으로 조작하면, 캐리지에 구성한 연동기구를 통해 귀로전극에서 떨어져서, 그 위치에 유지되게끔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카세트식 통전전사 프린터에 있어서는 카세트케이스의 붙이고 떼기에서의 조작이 어렵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카세트케이스를 카트리지에 장착할 경우에는 먼저 반드시 핀치롤러의 조작레버를 수동조작하여, 핀치롤러를 귀로전극에서 떨어진 상태로 해두고, 카세트케이스를 장착하여, 핀치롤러와 귀로전극과의 사이에 잉크리본을 좁히고, 조작레버를 해제조작하여, 핀치롤러를 귀로전극에 압접시켜, 귀로전극과 잉크리본을 접촉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었다.
또 카세트케이스를 카트리지에서 이탈시킬 경우에는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핀치롤러를 귀로전극에서 떼어내고, 그리고나서 카세트케이스를 붙이고 떼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리본이 수납된 카세트케이스의 붙이고 떼기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통전전사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리본이 수납된 카세트케이스의 붙이고 떼기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는 통전전사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통전열식의 잉크리본이 걸쳐진 한상의 릴을 수납한 카세트케이스와, 이 카세트케이스를 지지하는 캐리지와, 이 캐리지에 설치되어 상기 걸쳐진 잉크리본에 기록전압을 인가하여 인자를 하는 인자헤드수단과, 상기 잉크리본에 접촉하여 상기 인자헤드수단에 설치된 기록전극과 잉크리본을 통해 도통가능한 귀로전극을 갖는 도통전사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귀로전극과 이 귀로전극에 도통하는 탄성부재를 카세트케이스내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캐리지에는 카세트케이스의 캐리지에의 정착시에 카세트케이스내에 돌출하여 상기 탄성부재와 도통하도록 압접하는 접촉자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귀로전극을 카세트케이스측에 설치한 것에 의해, 이 귀로전극을 카세트케이스내에 있는 잉크리본과 미리 접촉시킬 수 있고, 또 카세트케이스를 캐리지에 장착하면, 캐리지측의 접촉자가 카세트케이스내에 돌출하여, 귀로전극에 도통하고 있는 탄성부재가 이 접촉자에 압접함으로, 카세트케이스측의 귀로전극과 캐리지측의 접촉자가 도통하여, 캐리지측에 전류를 도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통전열식의 잉크리본이 걸쳐진 한쌍의 릴을 수납한 카세트케이스와, 이 캐리지에 설치되어 상기 걸쳐진 잉크리본에 기록전압을 인가하여 인자를 하는 인자헤드수단과, 상기 잉크리본에 도전 가능한 귀로전극을 갖는 통전전사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귀로전극을 카세트케이스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이귀로전극의 일부를 카세트케이스 외부에 노출시키고, 한편 상기 캐리지에는 카세트케이스의 장착시에 이 노출부와 도전접촉가능한 접촉자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귀로전극을 카세트케이스측에 설치한 것에 의해, 이 귀로전극을 카세트케이스내에 있는 잉크리본과 미리 접촉시킬 수 있고, 또 카세트케이스를 캐리지에 장착하면, 이 캐리지에 설치한 접촉자가 귀로전극의 노출부와 접촉하므로, 양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캐리지측으로의 상기 기록전류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로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여러 가지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명백히 알 수 있다.
제1도를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한 통전전사 프린터의 주요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잉크리본(1)은 수지로 만들어진 카세트케이스(3)에 지지된 한쌍의 릴(5) 및 (7)에 걸쳐져서, 한쪽 릴(5)에서 다른쪽 릴(7)에 감기게끔 되어 있다. 카세트케이스(3)는 클릭(9)을 통해 캐리지(15)상에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캐리지(15)는 서로 평행으로 짝을 지어 설치한 캐리지샤프트(17)와 앵글형의 레일(19) 안내되면서 도시 생략된 모터에서 정으로 혹은 역으로 구동되는 전동벨트(21)에 수반되어 기록방향 F측으로의 기록주사운동과, 반 F측으로의 복귀운동을 할 수 있다. 또 캐리지(15)의 후방에는 플라텐(25)이 캐리지샤프트(17)와 평행으로 짝을지어 설치되어, 플라텐(25)의 앞면에는 인쇄용지(26)가 세트된다. 이 인쇄용지(26)는 고무롤러(27)에 의해 윗쪽으로의 간헐적 이송이 이루어진다.
한편, 캐리지(15)에 장착한 인자헤드수단(31)은 핀(33)에 의해 가로를 향한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35)과, 이 암(35)의 자유단측에 장착한 인자헤드(37)를 구비한다. 그리고, 캐리지(15)가 상기 기록주사 운동중에 있을때는 인자헤드수단(31)이 도시생략된 액츄에이터에 구동되어 2점쇄선 도시의 대기위치에서 실선도시의 동작위치에까지 회전운동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잉크리본(1)이 전사위치에 오게되어 인쇄용지(26)에 근접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카세트케이스가 붙이고 떼기될 때 조작레버의 조작을 생략하는 것이며,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부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제2도는 카세트케이스(3)의 케이스커버(3a)를 벗겨 케이스(3)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즉, 인자헤드수단(31)을 수용하기 위해 배후가 개방된 수용부(11)가 ㄷ자형의 간막이벽(3b)에 의해 구획되고, 릴(5)에 감긴 잉크리본(1)이 간막이벽(3b)의 배후를 거쳐 감는 쪽의 릴(7)에 걸쳐져 있다. 그리고, 카세트 케이스(3)의 바닥판(3c)에는 이 실시예에 의한 기둥모양의 귀로전극(51)을 세워서 설치해 놓았다.
귀로전극(51)은 좌우 한쌍이 설치되며, 간막이벽(3b)에서 좌우의 릴(5), (7)에 이르는 잉크리본(1)의 주행경로상에 있으며, 릴(5), (7)상의 리본의 감은 지름의 대소에 불구하고 잉크리본(1)의 저항층과 접촉할 수 있는 부위를 선정하여 여기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이 각 귀로전극(51)에 일단이 접촉되고 타단이 간막이벽(3b)까지 연장되는 탄성부재로서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선모양의 스프링재(53)가 바닥판(3c)에 좌우 한쌍 짝을 지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재(53)는 제3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꺽여 구부러져서 귀로전극(51)의 기부측에 걸어 맞추어지고, 타단은 간막이벽(3b)의 좌우 양측벽(3e), (3f)에 각기 형성된 보스(55)내의 계합공(57)에 걸어 맞추어지고 있다. 또, 스프링재(53)의 귀로전극(51)의 바닥판(3c) 부근에는 걸림돌기(59)가 세워서 설치되고, 이 걸림돌기(59)에 의해 스프링재(53)의 귀로전극(51)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재(53) 각각의 대략 중앙부 부근의 바닥판(3c)에는 관통공(61)이 뚫려서 설치되어 있다. 관통공(61)은 스프링재(53)에 대해 일방향으로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다(여기서는 릴(5), (7)과 반대측에 치우쳐 있다). 한편, 캐리지(15)측에는 카세트케이스(3)를 캐리지(15)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관통공(61)에 들어가 스프링재(53)를 휘게하는 접촉자(63)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자(63)는 선단이 원추형으로 형성된 원추부분(63a)과, 기부측이 이 원추부분(63a)의 바닥부보다 가는 지름인 기둥모양부분(63b)으로 이루어진다.
기둥모양부분(63b)은 카세트케이스(3)를 캐리지(15)에 장착한 상태이며, 카세트케이스(3)내에 스프링재(53)의 굵기만큼 돌출하도록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케이스(3)의 양측벽(3d)에 판스프링(65)의 아랫단부를 각기 고정시키고, 이 판스프링(65)의 자유단부에 접착한 펠트반(67)과 귀로전극(51)과의 사이에서 잉크리본(1)을 탄성적으로 끼워둠시킨다. 이것에 의해, 잉크리본(1)의 저항층이 귀로전극(51)과 접촉하며 이 접촉상태가 항상 양호하게 유지된다. 펠트판(67)은 잉크리본(1)의 주행시에 양호한 밀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은 롤러 등으로 바꿀수도 있다. 또, 귀로전극(51)에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진 롤러를 찍어붙여 회전 가능하게 끼워넣고, 잉크리본(1)의 주행저항을 더욱 저하시킬 수도 있다.
제5도는 카세트케이스(3)의 뒷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69)는 걸림돌기 (59)를 형성하기 위한 릴리이프호울이다. 그리고, 캐리지(15)에는 종래의 경우와 같이 인자헤드수단(31)이 장착되고, 또 랙(23)과 연계하는 기어기구를 내장하여, 상기 기록방향 F측으로의 기록주사운동중에는 감기 캠(16)을 회전구동한다. 이 감기 캠(16)에는 릴(7)을 윗쪽에서 맞출수 있다.
이 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작용을 설명하면, 지금 제4도와 같이 카세트케이스(3)가 제거되어 있을때는 인자헤드수단(31)이 실선도시의 대기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카세트케이스(3)를 캐리지(15)상으로 내리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헤드수단(31)이 그대로 수용부(11)에 의해 수용된다. 동시에 감기 캠(16)이 릴(7)에 끼워넣어지는 동시에 접촉자(63)가 원추부분(63a)에 의해 스프링재(53)를 휘게하면서 관통공(61)에 들어간다. 이 결과, 스프링재(53)는 원주부분(63b)에 접촉하고, 귀로전극(51)과 접촉자(63)와 스프링재(53)를 통해 도통상태로 된다. 이 탑재상태는 클릭(9)에 의해 카세트케이스(3)의 후부측이 유지되지만, 이때, 스프링재(53)는 원주부분(63b)의 저부에 의해 위쪽으로의 이동이 어느정도 규제되므로, 이것에 의해 카세트케이스(3)의 전부측을 유지할 수 있고, 전부측의 유지수단을 생략할 수 있다.
귀로전극(51)은 카세트케이스(3)와 잉크리본(1)과 함께 캐리지(15)에서 독립한 유닛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케이스(3)를 캐리지(15)상에 재치할 뿐인 원터치동작만으로 이 유닛을 세트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클릭(9)을 벗기는 것만인 조작에 의해 카세트케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재(53)와 접촉자(63)와의 걸어맞춤은 그다지 견고하지는 않으므로 클릭(9)을 벗긴다음 카세트케이스(3)를 윗쪽으로 인장하면 용이하게 벗길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케이스(3)가 귀로전극(51)과 함께 캐리지(15)에 세트된 다음, 당해 프린터가 기록주사운동과 복귀운동을 반복하면서 기록주사중에는 제1도의 2점쇄선 도시와 같이, 인자헤드수단(31)이 잉크리본(1)을 전사위치에 오게하여 인자를 하는 것은 종래의 경우와 같다. 이때, 인자헤드(37)의 기록전극에서 잉크리본(1)의 저항측을 거쳐 흘려진 기록전류는 귀로전극(51)의 곳에서 다시 저항측을 거쳐 귀로전극(51)을 지나, 스프링재(53)에 접촉자(63)를 통해 캐리지(15)측에 흘려진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귀로전극(51), 스프링재(53) 및 접촉자(63) 등을 좌우 한쌍 설치해 놓았지만 이것은 인자헤드(37)의 기록전극에서 잉크리본(1)측에 흐르는 전류량을 증가시켜 집전효과를 증가시키고, 인자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1조뿐이라도 특별한 지장은 없다. 또, 선모양의 스프링재(53)대신 판스프링을 사용하여, 이것을 귀로전극(51)에 일체화하는 구성으로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리본을 접촉시키기 위한 귀로전극을 잉크리본이 수납된 카세트케이스측에 설치한 것에 의해 캐리지측과의 기계적 연계부분이 배제되고, 이것에 수반해서 구성이 간소화되어 원가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동시에, 카세트케이스의 붙이고 떼기를 원터치적인 조작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제6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전전사 프린터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6도는 카세트케이스(3)의 케이스커버(3a)를 벗겨서 케이스(3)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즉, 인자헤드수단(31)을 수용하기 위해 배후가 개방된 수용부(11)가 ㄷ자형의 간막이벽(3b)에 의해 구획되어, 릴(5)에 감긴 잉크리본(1)이 감막이벽(3b)의 배후를 거쳐 감는 측의 릴(7)에 걸쳐져 있다. 그리고, 카세트케이스(3)의 바닥판(3c)에는 이 실시예에 의한 귀로전극(81)을 세워서 설치해 놓았다.
귀로전극(81)은 바아 형상의 전극주체부(81a)와 판상의 노출부(8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간막이벽(3b)에서 감는 쪽의 릴(7)에 이르는 잉크리본(1)의 주행경로상에 있으며, 릴(7)상의 리본권경의 대소에도 불구하고 잉크리본(1)의 저항측과 접촉할 수 있는 부위를 선정하여 이곳에 상기 전극주체부(81a)를 고정하여 설치한다. 한편, 노출부(81a)를,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케이스(3)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판(3c)의 하면에 고착하여 이 노출부(81b)에 상기 고정 설치한 전극주체부(81a)의 하단부를 긴밀하게 끼워맞춤으로써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케이스(3)의 한 측벽(3d)에 판스프링(83)의 기단부를 고정시키고, 이 판스프링(83)의 자유단부에 접착한 펠트판(85)과 전극주체부(81a)와의 사이에서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리본(1)을 탄성적으로 협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잉크리본(1)의 저항측이 전극주체부(81a)와 접촉하고 이 접촉상태가 항상 양호하게 유지된다. 펠트판(85)은 잉크리본(1)의 주형시에 양효한 밀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은 롤러 등으로 바꿀 수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 부호(91)는 노출부(81b)의 하면에 대향시켜 배치한 접촉자를 나타내고 있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자(91)는 캐리지(15)의 상면에 고정되어, 비스듬한 윗쪽으로 향하는 탄성이 있는 접촉편(91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캐리지(15)에는 인자헤드수단(31)이 정착되고, 또 랙(23)과 연계하는 기어기구를 내장하여 상기 기록방향 F측으로의 기록주사운동시에서 감는 캠(16)을 회전 구동한다. 이 감는 캠(16)에는 릴(7)을 윗쪽에서 걸어맞출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작용을 설명하면, 지금 제7도와 같이 카세트케이스(3)가 제거되어 있을 때는 인자헤드수단(31)이 실선도시의 대기위치에 있다. 이 상태로 카세트케이스(3)를 캐리지(15)상에서 내리면,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헤드수단(31)이 그대로 수용부(11)에 수용된다. 동시에 감는 캠(16)이 릴(7)에 끼워넣어지게 되는 동시에, 접촉자(91)의 접촉편(91a)이 귀로전극(81)의 노출부(81b)에 탄접하여, 이 탑재상태가 클릭(9)에 의해 유지된다.
귀로전극(81)은 카세트케이스(3)와 잉크리본(1)과 함께 캐리지(15)에서 독립한 유닛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케이스(3)를 캐리지(15)상에 재치하는 것뿐인 원터치동작만으로 이 유닛을 세트할 수 있고, 역시 클릭(9)을 벗기는 것뿐인 조작에 의해 카세트케이스를 벗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카세트케이스(3)가 귀도전극(81)과 함께 캐리지(15)에 세트된 다음, 당해 프린터가 기록주사운동과 복귀운동을 반복하면서 기록주사중에는 제8도의 2점쇄선 도시와 같이, 인자헤드수단(31)이 잉크리본(1)을 전사위치에 오게하여 인자를 하는 것은 종래의 경우와 같다.
이때 인자헤드(37)의 기록전극에서 잉크리본(1)의 저항층을 거쳐 도전층으로 흘려진 기록전류는 귀로전극(81)의 곳에서 다시 저항층을 거쳐 전극주체부(81a)를 지나, 노출부(81b)에서 접촉자(91)를 통해 캐리지(15)측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어 노출부(81b)를 설치하지 않고 전극주체부(81a)를 바닥판(3c)의 하면에 노출시키고, 이것을 접촉자(91)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귀로전극(81) 및 접촉자(91)는 1조이지만, 제1실시예와 같이 좌우 한쌍으로 해도 되며, 이 경우의 집전효과는 제1실시예와 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리본을 접촉시키기 위한 귀로전극을 잉크리본이 수납된 카세트케이스측에 설치한 것에 의해 캐리지측과의 기계적 연계부분이 배제되고, 이것에 수반해서 구성이 간소화되어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동시에 카세트케이스의 붙이고 떼기를 원터치적인 조작으로 용이하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숙련된 기술자는 본 명세서의 설명을 숙고하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6)

  1. 통전발열식의 잉크리본(1)에 국부적으로 인자헤드수단(31)에 의해 기록전압을 인가하고, 그 전압의 인가된 부분을 발열하며, 잉크를 전사해서 인자를 하는 통전전사 프린터에 있어서, (a) 상기 잉크리본(1)이 수납된 카세트케이스(3)와 ; (b) 상기 카세트케이스(3)를 붙이고 떼기 자재로 지지하는 캐리지(15)와 ; (c) 상기 잉크리본(1)에 흘려진 전류를 접지시키기 위해 상기 잉크리본(1)에 접촉하도록, 상기 카세트케이스(3)내에 설치된 최소한 하나의 귀로전극(51)과 ; (d) 상기 카세트케이스(3)가 상기 캐리지(15)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귀로전극(51)과 접촉하여 상기 귀로전극(51)으로부터의 전류를 상기 캐리지(15)로 흐르게 접지하는 도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사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수단은 상기 카세트케이스(3)가 상기 캐리지(15)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카세트케이스(3)내에 돌출하여 상기 귀로전극(51)과 도전접촉하도록 상기 캐리지(15)에 설치된 최소한 하나의 도전성의 접촉자(6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사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수단은 다시 상기 카세트케이스(3)가 상기 캐리지(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귀로전극(51)과 상기 접촉자(63)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도전성의 탄성부재(5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통전전사 프린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귀로전극(51) 및 접촉자(63)가 2조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사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로전극(81)은 상기 카세트케이스(3)의 외부에 노출하는 노출부(81b)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도전수단은 상기 카세트케이스(3)가 상기 캐리지(15)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귀로전극(81)의 노출부(81b)의 도전접촉하도록 상기 캐리지에 설치된 최소한 하나의 도전성의 접촉자(9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사 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귀로전극(81) 및 접촉자(91)가 2조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사 프린터.
KR1019890017379A 1988-11-29 1989-11-29 통전전사 프린터 KR930007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4228 1988-11-29
JP154230 1988-11-29
JP1988154230U JPH0276036U (ko) 1988-11-29 1988-11-29
JP1988154228U JP2519439Y2 (ja) 1988-11-29 1988-11-29 通電転写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603A KR900007603A (ko) 1990-06-01
KR930007622B1 true KR930007622B1 (ko) 1993-08-14

Family

ID=2648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379A KR930007622B1 (ko) 1988-11-29 1989-11-29 통전전사 프린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34755A (ko)
KR (1) KR9300076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42261T3 (es) * 1989-03-08 1993-12-01 Franz Buttner Ag Cartucho de cinta entintada recargable.
DE8908696U1 (ko) * 1989-07-18 1990-12-06 Buettner Ag Franz
US5500669A (en) * 1992-09-11 1996-03-19 Alps Electric Co., Ltd. Label creation cassette
JP6828631B2 (ja) * 2017-07-31 2021-02-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276A (en) * 1979-07-03 1981-01-28 Toshiba Corp Thermosensitive type information recorder
US4329071A (en) * 1980-06-30 1982-05-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rent collector for resistive ribbon printers
GB2099763B (en) * 1981-05-26 1985-12-04 Ricoh Kk Electrothermal non-impact recording method
JPS60147358A (ja) * 1984-01-13 1985-08-03 Fuji Xerox Co Ltd 感熱記録装置
US4897668A (en) * 1987-03-02 1990-01-30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transferring ink from ink ribbon to a recording medium by applying heat to the medium, thereby recording data on the medium
US4855758A (en) * 1987-04-17 1989-08-08 Canon Kabushiki Kaisha Thermal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with electroconductive 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34755A (en) 1991-07-23
KR900007603A (ko) 199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5937A (en) Electroresistive printing apparatus
US5165806A (en) Thermal printer with movable drive roll
EP0055051B1 (en) Thermal serial dot printer
KR910004029B1 (ko) 더멀 전사 프린터
JPH0224228B2 (ko)
US5443319A (en) Ink ribbon cartridge installation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4676681A (en) Ink ribbon cassette
US4683478A (en) Printer with detachably mountable ink ribbon cassette
KR930007622B1 (ko) 통전전사 프린터
US6008832A (en) Thermal printer
EP0333768A4 (en) PRINTER HEAD.
JPH0420395B2 (ko)
JPS62221584A (ja) リボンガイド機構を備えた印字装置
JP2519439Y2 (ja) 通電転写プリンタ
US4758847A (en) Electrothermal printer
JP2597608B2 (ja) 通電転写記録装置
EP0755797B1 (en) Recording apparatus
US4789873A (en) Thermal transfer printer
JPS61290066A (ja) サ−マルプリンタ
JP2530006B2 (ja) 通電転写プリンタ
JPH0970993A (ja) 通電転写記録装置
JPS62297159A (ja) 熱記録装置
JPS622129Y2 (ko)
JPH0650217Y2 (ja) プリンタ用カセットにおけるテープエンド検知装置
JPS6071285A (ja) 熱式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