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941B1 - 타구기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구기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941B1
KR930006941B1 KR1019870010599A KR870010599A KR930006941B1 KR 930006941 B1 KR930006941 B1 KR 930006941B1 KR 1019870010599 A KR1019870010599 A KR 1019870010599A KR 870010599 A KR870010599 A KR 870010599A KR 930006941 B1 KR930006941 B1 KR 93000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frame
hitting device
plastic material
synthetic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649A (ko
Inventor
움라우프트 프록시 헬무트
베거 카를-하인쯔
Original Assignee
헤드 스포르트게레트 게젤샤프트엠. 베. 하. 운트콤파니 오하게
루드비히 라우서. 헬무트 움라우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드 스포르트게레트 게젤샤프트엠. 베. 하. 운트콤파니 오하게, 루드비히 라우서. 헬무트 움라우프트 filed Critical 헤드 스포르트게레트 게젤샤프트엠. 베. 하. 운트콤파니 오하게
Publication of KR88000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25Means on frames for clamping string e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10Frames made of non-metallic materials, other than wo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구기와 그 제조방법
제1도는 타구기 프레임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실시예의 셀부분을 제조할 때의 공정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따른 실시예에 적합한 미리 만든 셀부분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제1도와 유사하게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4도에 따른 타구기의 제조에 적합한 셀부분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텐터링 프레임 2, 3 : 셀부분
4 : 만곡플랜지 10 : 홈테두리
본 발명은 타구기 (ball beater)에 관한 것이며, 특히 팽팽한 줄을 위한 텐터링 프레임 (tentering frame), 손잡이 부분, 및 텐터링 프레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합성플라스틱재의 셸로 구성된 테니스 라켓에 관한 것이다.
턴터링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고, 팽팽한 줄의 평면에서 재분할되는 속이 빈 형상의 상기 텐터링 프레임을 조립하는 방법이 서독 특허 제33 43 889호에 의해 이미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속이 빈 형상에 필요한 강도를 확실히 부여하기 위하여, 금속형상재 또는 이에 상응하게 보강된 합성플라스틱재가 사용될 수 있다. 두 경우에 있어서, 타구기의 외표면은 평활한 표면을 얻기 위하여 광법위한 기계가 공이 필요하고, 추후에 프레임을 장식하거나 도장하기 위해서는, 여러 연마단계 및 니스칠단계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것들은 비교적 고가인 마무리 작업을 초래하고, 또한 통상적으로 분무에 비해 도장되는 니스의 용재중기 때문에 커다란 환경적인 문제가 야기된다.
상기 타구기의 외표면에 도장된 니스층은 비교적 얇고, 제한된 시간동안만 기계적 응력에 견딘다.
테니스 라켓의 프레임은 다양한 종류의 기계적 응력을 받기 쉬우며, 가해진 굽힘응력과 비틀림 응력은 또한 섬유-보강 합성플라스틱재의 경우에도 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의 외표면에 도장된 니스층은 프레임을 안정화시키는데 전혀 기여를 하지못하며, 상기의 프레임이 파괴되는 경우에는, 각각 돌출한 프레임 부품 또는 보강용 삽입 부품에 의한 부상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프랑스 특허 제 2 326 211호에는 합성플라스틱재로 구성되고 형상이 고정되는 방식으로 텐터링 프레임에 압착되는 구성부품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부품은 일체로 만들어지고, 서로 적당한 거리만큼 위치된 자유단부를 갖는 보호스트립을 나타낸다. 서독 실용신안 제 2 328 371호에는 금속과 합성플라스틱재로 구성되고 합성플라스틱재료의 보호층으로 피복된 텐터링 프레임의 내측플랜지와 외측플랜지를 가지는 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보호층은 두 플랜지의 표면을 덮고, 일정한 탄성율을 갖게될 것이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 4 042 238호에는 타구기의 피복이 주지되어 있는데, 상기의 피복은 합성플라스틱재료, 즉 ABS (아트릴로니트 릴부타디엔 공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셸부분을 사용하는 프레임구조체는 프레임의 하중지지 구조요소를 나타내는 셸부분의 재료내에 상응적으로 보강되어야 한다. 따라서, 체 인쇄 (sieve printing) 또는 글자넣기에 적합한 평활한 외표면을 가질 수 없다. 그래서, 모든 이러한 프레임 구조체는 광범위한 끝마무리 작업이 필요하다. 오스트리아 특허 제362 269호에는 다수의 벽부품으로 프레임을 조립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앞벽과 측벽에 홈 및 혀 이음매 (groove and tongue-joints)를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또한, 광범위한 조립작업을 필요로 하는 상기의 프레임 구조체의 경우에도, 프레임의 박스-프레임 구조는 하중-지지기능을 수행해야만 하고, 이러한 하중-지지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합성플라스틱재로 상기 구조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전체로서 비교적 큰 경도를 갖게 되어 높은 파괴위험성이 초래된다. 상응하게 보강된 합성플라스틱재는 평활한 외표면을 전혀 나타내지 않으므로, 이러한 타구기의 복잡한 조립외에도 평활한 외표면을 제조하기 위한 고가의 끝마무리 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테니스-라켓을 만든후, 문자넣기 또는 장식을 위해 필요한 마무리 가공을 현저히 감소시킴과 동시에, 타구기가 기계적 응력을 받을때 한층 개선된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텐터링 프레임과 임의의 손잡이 부분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텐터링프레임의 원주방향으로 홈을 내거나, 또는 텐터링 프레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적어도 두개의 셸부분으로 이루어지고, 팽팽한 줄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관계로 뻗어있는 자체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경계를 한정한다. 상기 외부셸은 평활한 외표면을 갖는 인성과 탄성의 합성플라스틱재로 구성된다. 원주방향으로 뻗은 외부셸의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접착 또는 주형내에서의 압축에 의하여 폐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셸을 각각 타구기 또는 텐터링 프레임의 하중지지요소로서 직접 사용되지 않도록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외부셸용으로 선택되는 재료는 평활한 외표면을 나타내는 상응하는 인성과 탄성의 합성플라스틱재일 수 있고, 이 외부셸이 텐터링 프레임의 원주방향으로 홈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타구기를 제조하는 경우, 이러한 외부셸은 탄성적으로 팽창할 수 있는 셸부분을 텐터링 프레임상에 용이하게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되고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외부셸의 원주방향으로 뻗은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접착 또는 모울드내에서 압축에 의해서 폐쇄되기때문에, 마무리가 단순해진다. 이에 따라, 글자넣기등에 적합한 평활한 표면이 나타나고 이와 동시에 기계적 응력에 대한 향상된 보호를 제공하는 타구기를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텐터링 프레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두개의 셸부분을 사용하는 경우, 텐터링 프레임의 테두리가 동일하게 효과적으로 보호될 것이며, 셸의 재료에 의하여 제공된 평활한 외부표면때문에, 고가의 작업단계가 필요없이 타구기의 외부표면 및 임의로 선택되는 내부표면에 인쇄 또는 글자넣기를 할 수 있다. 외부셸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들어 0.2 내지 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외부셸은 하중지지요소로서 기능을 하지 않고 단지 표면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요소로만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인성과 탄성이 있는 합성플라스틱재를 선정함으로써, 부상의 위험성이 감소된다. 특히 텐터링 프레임 파손후의 부상 위험성이 감소한다. 왜냐하면, 인성과 탄성이 있는 합성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외부셸은 파괴된 부품들을 확실하게 계속 유지하기 때문이다.
홈이 제공된 외부셸의 경우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뻗은 홈은 타구기를 외부셸내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다. 그래서 외부셸은 텐터링 프레임 또는 손잡이 부분을 각각 제조하는 경우, 이들에 대하여 압축되고, 이와 동시에 이들 상기의 부품에 접착된다. 예를들면, 팽팽한 줄의 평면에 홈의 평면을 위치시킬 수 있고, 홈 또는 셸부분의 테두리가 팽팽한 줄의 평면과 평행하게 각각 연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상기 외부셸의 부분을 둘러쌈에 의해서 텐터링 프레임 테두리의 효율적인 보호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배열은 셸 또는 셸부분이 각각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에서 겹쳐지거나, 또는 톱니모양이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의 테두리 또는 셸부분 테두리는 팽팽한 줄의 평면에서 서로 교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겹쳐진다. 어떠한 경우에도, 이러한 외부셸의 설계는 추후에 마무리 작업이 필요없는 장점이외에, 외부셸과 텐터링 프레임의 조립이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만일, 각각의 홈테두리 또는 셸부분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가 만곡플랜지를 구비하도록 고안된다면, 각각의 셸부분 또는 홈 테두리의 확실한 연결이 반드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각각의 홈 또는 셸부분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를 주로 접착에 의하여 만곡플랜지를 형성하도록 연결한 후에는 플랜지로부터 돌출한 부분이 남게된다. 이러한 돌출부분은 연결할때나 접착작업중에 가해지는 압착력을 고려하고 외부셸에 사용되는 재료의 두께를 고려한다면, 비교적 얇고, 간단한 절삭공구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고, 타구기의 평활한 외표면과 외형선이 다시 바로 얻어짐을 알 수 있다.
특정의 바람직한 방식에 있어서, 홈이 제공된 셸 또는 셸부분이 각각 열가소성 합성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며, 특히 70 내지 85 중량%의 ABS와 15 내지 30 중량%의 나머지 위에 폴리아미드 -6-6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80 중량%의 ABS와 20 중량%의 폴리아미드 -6-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합성플라스틱재는 놀라울 정도의 매우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가지며, 동시에 비교적 얇은 외부셸의 경우에도 또한 우수하고 평활한 외면을 수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상기의 합성플라스틱재의 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중에 장식하거나 글자를 넣는데 어떠한 부가적인 마무리 작업도 필요로 하지않기 때문에, 생산공정을 상당히 합리화할 수 있다.
상기의 타구기를 생산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본질적으로 합성플라스틱재료의 셸이 텐터링 프레임을 압착하는 동안에 셸재료의 탄성변형을 동반하는 클램프작용에 의해서, 예비 경화되고 섬유강화된 합성플라스틱재료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줄을 위한 텐터링 프레임에 접착제 층을 임의로 사용하여 부착되고, 또한 열의 작용하에서 텐터링 프레임에 접착되며, 팽팽한 줄의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를 따라서 셸부분들이 서로 접착되고 특히 모울드내에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셸부분이 텐터링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때문에, 부수적인 접착단계에 앞서 셸부분의 위치선정은 아주 간단해지고, 완전히 경화되지않은 합성플라스틱재료를 텐터링 프레임 코어로서, 바람직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합성플라스틱재료는 외부셸에 대하여 압착되고 또한 외부셸에 열접착되는 동안에 완전히 경화된다. 따라서, 생산속도는 상당히 증대되고, 바로 장식을 하는데 적합한 완성된 테니스 라켓이 광범위한 위치선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하나의 단일 공정단계에서 즉시 얻어진다. 조립하는 동안에, 그 절차는 셸부분들이 팽팽한 줄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를 따라서 서로 접착되거나 또는 주형내에서 압착되는 것이다. 용어 "테두리"는 항상 각각의 셸부분 또는 홈의 경계를 의미한다. 셸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텐터링 프레임을 둘러싸고 또한 두개의 셸부분을 사용하는 경우, 두개의 셸부분이 자체의 테두리에서 텐터링 프레임을 둘러싸기 때문에, 각각의 테두리 또는 홈의 경계들은 텐터링 프레임의 측벽영역내에 위치된다.
특히,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프로그 (frog)를 포함하는 타구기 구조의 경우에는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외부셸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외부셸은 각각 종방향으로 홈이 제공되고 텐터링 프레임 위로 이동되는 관 또는 호오스로 형성된다.
셸부분에 만곡플랜지가 제공되는 경우, 압착작업 또는 용접작업후에, 부수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돌출부분이 남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타구기의 텐터링 프레임(1)이 도시되어 있다. 타구기 프레임은 타구기의 벽 및 형상을 형성하는데, 이 벽의 형상은 타구기 프레임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공구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다. 셸의 절반으로 고안된 두개의 미리 만들어진 셸부분(2,3)은 프레임(1)의 외벽 위로 옮겨져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두개의 셸부분(2, 3)은 측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4)를 포함하는데, 이 플랜지(4)는 텐터링 프레임을 형성하는 동안의 조립작업중에 열의 영향하에서 압착작업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 단계동안에 열의 영향하에서 텐터링 프레임에의 접착이 각각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리고나서, 돌출플랜지가 간단한 절단공구에 의해서 파선(5)을 따라서 제거됨으로써, 평활한 외부셸을 나타내는 타구기 프레임이 즉시 얻어진다.
외부셸로서 사용될 수 있는 구조부품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성형작업에 의해서 인성과 탄성이 있는 합성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예비성형작업은 디이프드로오잉작업 또는 열간 가공성형이 될 수 있다. 성형작업에 선정된 작업방식은 선택된 재료에 따라서 선택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디이프드로오잉 또는 열간성형은 특히 중요하다. 성형작업후에, 칼날(6)에 의하여 절단이 이루어져 돌출플랜지(4)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셸부분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안쪽으로 만곡된 부분(7)때문에, 셸부분(2)은 탄성팽창에 의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텐터링 프레임(1) 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한 위치선정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제4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셸부분 (2, 3)이 텐터링 프레임(1)의 외면에 대하여 압착되고, 동시에 셸부분의 소성변형이 일어난다. 이 목적을 위해서, 가열스탬프를 화살표(8)로 표시된 위치에서 타구기 프레임의 외면에 대하여 압착함으로써 평활한 외형선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텐터링 프레임의 내측에 돌출한 플랜지(4)가 남게 되지만, 이것은 접착작업후에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셸부분의 테두리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합면(9) 이외에, 예를들면 참조번호(10)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끝날수도 있다. 따라서 중앙부분은 비어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텐터링 프레임(1)의 형상을 고정시키는 부분적인 포위가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기계적 안정성이 상당히 개선된다. 제4도에 따른 실시예에 적합한 셸부분(2)이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다.
텐터링 프레임(1)은 완전하게 경화되지않고 추후에 셸부분(2)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작업과 동시에 완전하게 경화되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4도 및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4) 대신에 셀부분(2, 3)을 일체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 4 도의 테두리(10)는 이러한 일체의 셀의 홈테두리로서 제공될 것이다. 이들 경우에 잇어서, 부분(2, 3)으로 이루어진 일체의 셸은 홈테두리(10)에 의해서 한정되는 홈의 팽창에 의해서 텐터링 프레임상에 고정되므로, 추후의 접합작업을 위해서 행해져야 하는 광범위한 위치선정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일체의 셸을 사용하는 경우, 홈테두리(10)의 외면과 반대쪽 면에 위치하는 연속적인 지역은 적어도 타구기 헤드의 상부 테두리를 지나서 바람직하게 연장되므로, 상응하는 인성 및 탄성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추가의 기계적 보호가 이루어진다. 그 자체로서는 어떠한 하중을 지탱하지않는 셸은 감쇠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모든 이들 기능은 비-강화 합성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평활한 외표면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9)

  1. 팽팽한 줄을 위한 텐터링 프레임, 손잡이 부분 및, 상기 텐터링 프레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합성플라스틱재의 셸로 이루어진 타구기에 있어서, 상기 텐터링 프레임의 원주방향으로 홈이 제공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텐터링 프레임(1)을 둘러싸는 적어도 두개의 셸부분(2, 3)으로 구성되는 외부셀이 상기 텐터링 프레임(1) 및 손잡이 부분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부셸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가 팽팽한 줄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홈의 한계를 결정하고, 상기 외부셸이 평활한 외부 표면울 갖는 인성과 탄성의 합성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셸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이 접착 또는 모울드내에서의 압축에 의하여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셸 또는 셸부분들이 각각 서로 마주보는 자체의 테두리에서 겹쳐지거나 또는 톱니형상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홈 또는 셸부분(2, 3)의 테두리가 팽팽한 줄의 평면에서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테두리 또는 셸부분(2, 3)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가 각각 만곡플랜지(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홈이 제공된 셸 또는 셸부분(2, 3)이 열가소성 합성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셸의 두께가 0.2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7. 합성플라스틱재의 셀이, 예비경화되고 섬유강화된 합성플라스틱재료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텐터링 프레임을 압착하는 동안에, 셀재료의 탄성변형을 수반하는 클램프 작용 (clamping action)에 의해서 팽팽한 줄을 위한 상기 텐터링 프레임 위호 부착되는 단계와, 부착된 상기 셸이 열의 작용하에서 상기 텐터링 프레임에 접착되는 단계와, 그리고 팽팽한 줄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를 따라서 하나의 셸이 다른 셸과 접착되어 모울드내에서 압착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외부셸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홈을 가지며 상기 텐터링 프레임 위로 옮겨지는 관 또는 호오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원주를 넘어 돌출하는 셸부분이 접착작업후 절단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제조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테두리 또는 셸부분(2, 3)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가 각각 만곡플랜지(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11. 제3항에 있어서, 홈이 제공된 셸 또는 셀부분(2, 3)이 열가소성 합성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12. 제4항에 있어서, 홈이 제공된 셸 또는 셸부분(2, 3)이 열가소성 합성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13. 제3항에 있어서, 셸의 두께가 0.2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14. 제4항에 있어서, 셸의 두께가 0.2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15. 제5항에 있어서, 셸의 두께가 0.2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1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홈이 제공된 셸 또는 셸부분(2, 3)이 70 내지 85 중량%의 ABS와 15 내지 30 중량%의 폴리아미드 -6/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17. 제3항에 있어서, 홈이 제공된 셸 또는 셸부분(2, 3)이 70 내지 85 중량%의 ABS와 15 내지 30 중량%의 폴리아미드 -6/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18. 제4항에 있어서, 홈이 제공된 셸 또는 셸부분(2, 3)이 70 내지 85 중량%의 ABS와 15 내지 30 중량%의 폴리아미드 -6/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19. 제7항에 있어서, 접착제 층이, 상기 셸을 상기 텐터링 프레임 위로 부착시킬때 상기 셸과 텐터링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기 제조방법.
KR1019870010599A 1986-09-23 1987-09-23 타구기와 그 제조방법 KR930006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254686A AT388505B (de) 1986-09-23 1986-09-23 Ballschlaeger,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ATA2546/86 1986-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649A KR880003649A (ko) 1988-05-28
KR930006941B1 true KR930006941B1 (ko) 1993-07-24

Family

ID=353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599A KR930006941B1 (ko) 1986-09-23 1987-09-23 타구기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74845A (ko)
EP (1) EP0262117B1 (ko)
JP (1) JPS63186671A (ko)
KR (1) KR930006941B1 (ko)
AT (1) AT388505B (ko)
CA (1) CA1320976C (ko)
DE (1) DE376280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6211A (en) * 1993-06-24 1994-09-13 Ou Li Min Game racket
AT402793B (de) * 1993-11-02 1997-08-25 Head Sport Ag Ballschläger,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0477A (en) * 1929-03-05 1934-05-29 American Fork & Hoe Co Bow for archery
US2274788A (en) * 1940-02-26 1942-03-03 Hatton John Tennis racket and the like
US2923652A (en) * 1956-04-05 1960-02-02 Oka Tokichi Method of manufacturing racket frames
US3083968A (en) * 1958-12-17 1963-04-02 Takahashi Yoshiaki Game racket construction
FR1503812A (fr) * 1966-10-06 1967-12-01 Rene Dalloz Soc Procédé pour la fabrication des raquettes, notamment pour les jeux de tennis ou de volant et raquettes ainsi obtenues
US4019736A (en) * 1971-03-15 1977-04-26 Lehew Donald L Protective device for rackets
ATA493572A (de) * 1972-06-08 1975-04-15 Fischer Gmbh Ballschlag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AT346213B (de) * 1974-11-29 1978-10-25 Schnell Erhard Dr Wachter Helm Tennisschlaeger
US4042238A (en) * 1975-01-27 1977-08-16 Composite Structures Corporation Racket
US4119313A (en) * 1975-07-12 1978-10-10 Dunlop Limited Games racquets
FR2326211A1 (fr) * 1975-10-01 1977-04-29 Lafourcade Paul Instrument de sport comportant un cadre du type raquette de tennis
US4062541A (en) * 1976-02-25 1977-12-13 Marcraft Recreation Inc. Paddle construction
FR2366033A1 (fr) * 1976-09-30 1978-04-28 Lafourcade Paul Perfectionnements aux cadres de raquettes pour jeux de balles
CH614380A5 (ko) * 1976-07-28 1979-11-30 Rossignol Sa
JPS5344235A (en) * 1976-10-04 1978-04-20 Nippon Gakki Seizo Kk Racket 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004467A (en) * 1977-09-20 1979-04-04 Dunlop Ltd Tennis racket
JPS5460035A (en) * 1977-10-20 1979-05-15 Nippon Gakki Seizo Kk Method of molding rachet frame with outer shell
US4200285A (en) * 1977-12-07 1980-04-29 Petitti Angelo Jr Racquet weight system
US4220335A (en) * 1977-12-31 1980-09-02 Alloway Trust Limited Games rackets
US4221382A (en) * 1978-02-21 1980-09-09 Pepsico, Inc. Sports racket
US4192506A (en) * 1978-06-13 1980-03-11 Sofia Anthony A Racquet safety device
US4314699A (en) * 1980-01-28 1982-02-09 Leach Industries Game racquet
US4399992A (en) * 1980-03-10 1983-08-23 Questor Corporation Structural member having a high strength to weight ratio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861764A (ja) * 1981-10-07 1983-04-12 ヤマハ株式会社 ラケツトフレ−ム及びその製法
JPS58212464A (ja) * 1982-06-04 1983-12-10 美津濃株式会社 ラケツトとその製造方法
JPS5934273A (ja) * 1982-08-20 1984-02-24 フアブリク・ナシヨナ−ル・エルスタル・アン・アブレジエ・エフエン・ソシエテ・アノニム テニスラケツト用管状フレ−ム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DE3343889A1 (de) * 1983-12-05 1985-06-13 Provera Gmbh, 7758 Meersburg Tennisschlaeger aus kunststoff oder leichtmetall
NL8503300A (nl) * 1985-06-11 1987-01-02 Pols Erik Bernard Van Der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racketframe en racketframe aldus vervaardig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74845A (en) 1990-12-04
CA1320976C (en) 1993-08-03
JPS63186671A (ja) 1988-08-02
DE3762803D1 (de) 1990-06-28
ATA254686A (de) 1988-12-15
KR880003649A (ko) 1988-05-28
AT388505B (de) 1989-07-25
EP0262117B1 (de) 1990-05-23
EP0262117A1 (de) 198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594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ring wheel
US552076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ollow molding
US4900050A (en) Manufacture of bicycle frames
KR100436252B1 (ko) 핸들 및 핸들 제조 방법
US20040084815A1 (en) One-piece shaft construction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bladder molding
ITTO980743A1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volanti, in particolare volanti rivestiti in materiale pregiato, e volanti realizzati con tale proce-
US4331331A (en) Game racquet and method of making
US5501825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shaped ski
US5019312A (en) Method for assembling a bicycle frame
KR930006941B1 (ko) 타구기와 그 제조방법
US4847024A (en) Method of spoiler construction
KR100265469B1 (ko) 중량이 감소된 골프 클럽용 샤프트와, 이러한 골프 클럽용샤프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JP3367425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およびその製法
KR200167791Y1 (ko) 일체형 가변 인서트 도어 몰딩 부품
EP0294011A1 (en) Spoiler construction and method
CA2223098C (en) Composite reinforced hosel and method
US4429874A (en) Game racquet frame
KR200171973Y1 (ko) 헬멧용 본체
GB2061834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methods of boat construction
JPH0114796B2 (ko)
KR200164787Y1 (ko) 일체형 가변 인서트 몰딩 부품
JPS6041951B2 (ja) Frp製ラケットの製造方法
JPH0614987Y2 (ja) 合成樹脂成形用の裏型構造
KR200278924Y1 (ko) 타이어코오드지 또는 벨트코오드지 권취용 쉘
JPS6030329A (ja) 中空frp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