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557Y1 - 건설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건설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557Y1
KR930006557Y1 KR2019910000573U KR910000573U KR930006557Y1 KR 930006557 Y1 KR930006557 Y1 KR 930006557Y1 KR 2019910000573 U KR2019910000573 U KR 2019910000573U KR 910000573 U KR910000573 U KR 910000573U KR 930006557 Y1 KR930006557 Y1 KR 930006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lon
wire rope
pulley
tower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110U (ko
Inventor
박광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성엔지니어링
박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성엔지니어링, 박광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910000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557Y1/ko
Publication of KR920015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1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5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7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friction gear, e.g. belt linking motor to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설용 리프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권상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철탑의 최상단에 지그가 얹혀있고 데리크 크레인은 생략한 제1도의 좌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평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탑 3 : 중량추상자
4 : 권상장치 5, 6, 6a, 85 : 와이어 로우프
8 : 지그 12 : 철탑부재
41 : 프레임 41a : 사각구멍
44 : 데리크 크레인 45, 46 : 윈치
82a, 82b : 고정도르래 83a, 83b : 움직도르래
84 : 후크
본 고안은 고층 건물을 건축할 때 건설 자재와 인원을 실어나르는 건설용 리프트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격자조립형 철탑부재를 쌓아 올리고 해체하는 작업이 안전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고, 또한 케이지와 중량추 상자간을 잇고 남는 와이어 로우프 잉여분의 저장과 가용길이 조정이 용이한 새로운 건설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철탑이 격자형 철탑부재로 구축되어 있는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에 있어서는, 건축할 건물의 예상 높이 이상으로 미리 철탑을 세워넣고 지브크레인은 철탑상에, 그리고 권상장치는 지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같이 건축전 완전한 철탑을 구축을 전제로 하는 건설용리프트는, 우선 지브크레인의 회전각도가 작아 작업범위가 좁고 철탑구축에 많은 인력과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고 비능률적이며, 고공에서의 작업일수록 안전사고의 위험도가 높다. 또, 건설후 철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작업 및 취급부주의에 기인하는 자재파손과 손실율이 무려 평균 30―40%(통계수치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는바, 이는 사용수명과 경제적 측면에서 볼때에 매우 큰 손실이 아닐수 없다.
그리고, 케이지와 중량추 상자를 연결하여 케이지의 승강에 쓰이는 와이어 로우프중 실제로 이용되지 못하고 남아도는 잉여분의 로우프를 안전하게 보관할 장소가 마땅치 못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로우프의 실사용 길이조정도 여의치 못한 단점도 갖고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에 있어서는, 철탑이 취약하기 때문에 권상장치는 지상에 설치할 수 밖에 없고, 또 운반작업중의 안전사고예방을 고려하여 기계조작위치도 철탑으로부터 가급적 멀리 떨어진 지점에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넓은 설치공간을 차지하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바로 이같은 상기 종래의 모든 결점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게 고안한 것으로서, 철탑을 건설할 건물의 예상 높이 또는 그 이상으로 높게 미리 구축하지 않고 공사진척도에 맞추어 차츰 철탑높이를 높이고 또한 이러한 철탑구축작업을 지그와 데리크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탑부재 단위로 쌓아올리며, 권상장치를 철탑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실제 운용과는 거리가 먼 잉여분의 와이어 로우프는 빈공가이 많은 중량추 상자내에 권취가능함과 동시에 실사용에 부합되는 길이로 와이어 로우프를 조정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철탑구축이 신속하고 능률적이며, 건설용 리프트의 설치공간이 축소되는 것은 물론 건설기자재의 운반작업 범위도 넓고, 케이지와 중량추 상자간을 이어주는 와이어 로우프의 불필요한 마모예방에도 큰 도움이 된다. 또, 철탑구축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고도 안전하게 이루어지므로 인명피해와 자재손실방지효과 또한 매우 커진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관련지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로서, 철탑(1)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바탕부(11)를 제외한 모든 철탑부재(12)는 사각평면과 동일 규격을 갖도록 구성된 격자 모양의 것이며, 네모서리에 위치하는 기둥(12a) (제4도 및 제5도 참조)은 케이지(2)와 중량추 상자(3)의 승강에 올바르게 안내할 레일기능 함께 가진다.
그리고, 철탑부재(12)의 기둥(12a)상하단 부분에는 인접한 다른 철탑부재(12)와의 보울트 체결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갖는 것은 물론이고, 이후 설명하는 지그(8)와의 임시고정을 위한 고정수단 예컨대 걸고리라든지 혹은 핀을 꿰어 고정할 수 있는 등의 구멍도 소유한다.
케이지(2)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장치(4)는 제2도에 나타난 것처럼, 중앙에 철탑부재(12)의 둘레보다 큰 사각구멍(41a)을 가진 프레임(41), 이 프레임(41)의 상면 건축모서리에 설치된 구동권취 드럼(41a), 프레임(41)의 상면 후측모서리에 설치된 종동 권취드럼(42b), 상기 드럼(42a)을 정. 역회전시켜주는 모터(43) 및 부움(44a) 회전용 원치(45)를 가지는 데리크 크레인(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4)은 상기 사각구멍(41a)을 통하여 승강가능하게 철탑(1)에 헐겁게 바깥끼움된다. 또한, 프레임(41)을 철탑(1)의 일정높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앞 뒷면과 좌우측면에는 철탑부재(12) 와의 사이에 보울트나 핀 등을 꽂아 고정하는데 이용하는 보울트공 또는 핀공이 천공되며, 이것에 의하여 프레임(41)을 필요에 따라 철탑(1)에 고정시키거나 승강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41)의 통상적인 고정위치는 철탑(1)의 최상단에 자리하고 있는 상기 권상장치(41)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지그(8) (제3도 참조)의 바로밑이다.
또한, 제2도에 나타나는 것처럼, 프레임(41)의 전측 모서리에 설치된 구동권취드럼(42a)은 모터(43)에 의해 구동되고, 후측의 종동권취드럼(42b)은 구동권치드럼 (42a)과의 사이에 휘감긴, 일단이 케이지(2)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량추상자(3)의 드럼(31) (제5도 참조)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우프(5)를 동력전달수단으로 하여 종동된다. 따라서 모터(43)의 정역구동을 따라 와이어 로우프(5)를 통하여 케이지(2)를 승강시킬수 있다.
데리크 크레인(44)은, 제1도에서와 같이, 모터(43)의 반대편 프레임(41)상에서 권상장치(4)전체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선상에 설치되고, 그 부품(44a)을 인치(45)에 의하여 회전측을 중심으로 360o선회시킬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서, 부움(44a)상의 고정도르래(44b)와 윈치(45)간의 와이어 로우프(6)는 데이크 크레인(44)의 회전측을 중심관통하고 그 위치변화도 가급적 억제되도록 윈치(45)의 부착위치를 잘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와이어 로우프(6a)부분이 회전축의 중심을 벗어날 경우에는 데리크 크레인(44)이 선회할대 회전축내면과 지주내면간에 강렬한 접촉이 일어나서 각 접촉부위가 마모되기도 하고, 와이어 로우프(6a)꼬임이 심해져 데리크 프레인(44)의 선회운동에 장애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데리크 프레인(44)의 부움(44a)밖으로 늘어진 와이어 루우프(6)부분에는 후크(7a)가 달린 움직도르래(7)가 걸쳐져 있으며, 이 움직도르래(7)는 철탑(1)을 구축할 철탑부재(12)와 기타 각동 건설기자재 운반시에 활용한다.
한편, 지그(8)는, 제3도에서와 같이, 철탑(1)의 최상부에 상기 크레인(44)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철탑부재(12)와 권상장치(4)의 인상. 인하에 쓰이는 기구이며, 상면 무게 중심에 후크(7a)를 걸어 꿸 고리(81)가 부착된 철탑부재(12), 상기 철탑부재(12)의 상단 양측에 제자리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도르래(82a)(82b), 일단이 고정도르래(82a)의 브래킷에 고정된 와이어 로우프(85)를 통하여 각 고정도르래 (82a) (82b)의 하부에 연설된 움직도르래(83a) (83b) 및 상기 와이어 로우프(85)의 타단에 연결된 접속구(8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그(8)는 크레인(44)에 의하여 고리(81)를 후크(7a)로 괘지하여 철탑(1)의 최상부에 착설될수 있다.
상기 고정도르래(82a) (82b)는 2중 도르래이고, 움직도르래(83a) (83b)는 후크(84)를 가진다.
그리고, 와이어 로우프(85)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 고정도르래(82a) 측의 브래킷상에 고정된 끝을 출발하여 움직도르래(83a), 고정도르래(82a), 다른 고정도르래(82b)를 거쳐 움직도르래(83b)를 경유한 다음 다시 당해 고정도르래(82b)를 휘돌아 그 움직도르래(83b)쪽으로 향해 늘어지며, 이렇게 늘어진 로우프(85) 자유단에는 프레임(41) 상부 후측의 종동권치 드럼(42b)사이에 설치된 윈치(46)와 연결되는 접속구(86)가 부착된다.
따라서, 철탑(1)에 고정된 프레임(41)을 보울트 등을 풀어 승강가능한 상태로 만든 다음 움직도르래(83a) (83b)의 후크(84)를 프레임(41)에 걸고 윈치(46)를 구동함으로써 로우프(85)를 권치 또는 해권하여 상기 권취장치(4)를 승하강시킬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중량추 상자(3)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중량추 상자(3)는,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중량추외에, 구동권취 드럼(42a)으로부터 늘어진 실사용에 동원되지 않는 잉여분의 와이어 로우프(5)를 저장할 충분한 용적과 드럼(31)을 가지며, 이 드럼(31)에 감진 와이어 로우프가 멋대로 풀리는 일이 없도록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도시생략)도 갖추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있어서, 철탑(1)에 권상장치(4)와 케이지(2) 및 중량추 상자(3)가 유기적으로 장치되어 운용하던 중에 철탑(1)을 더 높이 올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지그(8)의 철탑부재(12)의 하부에 또 다른 철탑부재(12)를 괘지시키고 데리크 크레인(44)을 이용하여 철탑(1)의 꼭대기로 올려 철탑(1)의 높이를 간단하게 높일 수 있고, 권상장치(4)를 상승시킬 경우에는 지그(8)측 움직도르래(83a) (83b)의 후크(84)를 권상장치(4)의 프레임(41)에 걸고 그 와이어 로우프(85)의 자유단에 매단 접속구(86)는 윈치(46)의 로우프측에 연결한 후 상기 윈치(46)를 가동하여 지그(8)측 와이어 로우프(85)를 권치하면 권상장치(4)는 새로이 설치한 철탑부재(12)상으로 미끄러져 올라간다. 이렇게 상승된 후 위치를 잡고 그곳에서 보울트 등으로 철탑(1)에 프레임(41)을 고정하여 케이지(2)의 운행재개에 임한다. 철탑(1)의 해체시키는 상기 역순으로 행한다. 그 이후에는, 지그(8)를 분리하여 지상에 내려놓거나 철탑(1) 꼭대기에 그대로 방치해도 무방하고, 데리크 크레인(44)은 움직 도르래(7)의 후크(7a)걸림을 해제하여 다른 건설기자재의 운반에 임하면 된다.
한편, 철탑(1)의 높이를 높일 경우에 케이지(2)와 중량추 상자(3)간을 잇는 와이어 루우프(5)의 길이도 동시에 조정되어야 하므로 이때의 와이어 로우프(5)길이 조정은, 중량추 상자(3)에 구비되어 있는 와이어 로우프 잠금장치를 해체하여 증가분 만큼의 와이어 로우프(5)를 드럼(31)으로부터 해권한 후 잠금장치를 잠그는 것으로 간단히 이룰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를 종합하면, 건설용 리프트의 철탑(1)설치 및 해체 작업이 권상장치(4)에 설치한 권상장치 승하강용 윈치(46)와 데리크 크레인(44) 및 철탑부재 (12)의 운반에 특히 적합한 지그(8)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신속하고 능률적이며, 또한 안전하다.
그리고, 철탑(1)설치 및 해체작업을 안정감있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철탑부재 (12)의 손실 예방에도 이롭고, 또한, 360o선회가능한 데리크 크레인(44)을 구비함으로써 운반작업 범위가 넓어 공기단측에도 기여하는 바 크다.
케이지(2)의 승강에 필요한 기계실을 구비한 권상장치(4)가 철탑(1)의 상단부에 설치되므로 건설용 리프트의 설치공간도 크게 줄어듬과 아울러 케이지(2)와 중량추 상자(3)간을 이어주는 와이어 로우프(5)의 불필요한 부분의 늘어짐이 배제되므로 그 와이어 로우프(5)의 제수명을 다할 때까지 사용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 와이어 로우프(5)도 절약할 수가 있다.

Claims (1)

  1. 격자형 철구조물로 되는 철탑부재(2)를 종방향으로 쌓아올려서 철탑(1)을 이루고 여기에 케이지(2)와 중량추 상자(3) 설치한 건설용 리프트에 있어서, 중앙에 철탑(1)의 외형보다 큰 사각구멍(41)을 가진 프레임(41)상에 모터 (43)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케이지(2)와 중량추상자(3)를 잇는 와이어 로우프(5) 권취용 구동, 종동드럼(42a) (42b)과 윈치(45)를 가진 360o선회용 데리크 크레인(44)을 차례로 설치하여 구성된 권상장치(4)를 철탑(1)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철탑(1)의 최상부에는, 크레인(44)에 괘지되는 고리(81)가 부착된 철탑부재(12), 상기 철탑부재(12)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도르래(82a)(82b), 일단이 상기 도르레(82a)의 브래킷에 고정된 와이어 로루프(85)를 통하여 고정도르래(85a) (85b)의 하부에 연설되고 일단에 후크(84)를 가지는 움직도르래(83a) (83b) 및 상기 와이어로우프(85)의 자유단에 연결된 접속구(86)로 구성된 지그(8)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프레임(41)의 일측에는 상기 접속구(86)와 연결되는 윈치(46)를 설치하며, 상기 중량추 상자(3)에는 와이어 로우프(5) 잉여분의 권취 및 해권용 드럼(31)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KR2019910000573U 1991-01-15 1991-01-15 건설용 리프트 KR930006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573U KR930006557Y1 (ko) 1991-01-15 1991-01-15 건설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573U KR930006557Y1 (ko) 1991-01-15 1991-01-15 건설용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110U KR920015110U (ko) 1992-08-14
KR930006557Y1 true KR930006557Y1 (ko) 1993-09-28

Family

ID=1930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573U KR930006557Y1 (ko) 1991-01-15 1991-01-15 건설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5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110U (ko) 199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2337A1 (en) Tower system for performing work on an elongated structure
CN113329965A (zh) 风力涡轮机和用于在风力涡轮机内运输货物的方法
KR102466049B1 (ko) 타워작업용 곤돌라
KR20220016031A (ko) 풍력 터빈 부품을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 시스템
US3127996A (en) Climbing cranes
EP0661232B1 (en) A lifting device
KR100846209B1 (ko) 타워크레인용 트롤리
KR20220062580A (ko) 크레인을 포함하는 결합체와, 크레인에 장착하기 위해 배치된 하중 안내 장치 및 상기 결합체에 사용하기 위한 하중 안내 장치
CN112110347A (zh) 作业现场的吊装装置
JP6628310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KR930006557Y1 (ko) 건설용 리프트
GB2071599A (en) Improvements in wireline masts
EP3857061B1 (en) Method for moving an object between a platform of a wind turbine and a deck of a vessel and frame structure used for coupling of a pulling means
JPH05147884A (ja) 分解型ジブクレーン
CN211171941U (zh) 基于全套筒全回转钻机的人工挖孔操作架
CN111252683A (zh) 桥面吊机及其应用于拆桥的使用方法
CN112324161A (zh) 环形轨道拆卸设备的安装结构及环形轨道的拆卸方法
KR20100097863A (ko)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CN217894847U (zh) 用于塔筒的吊装设备
CN217921266U (zh) 一种建筑工程物料提升装置
CN213060100U (zh) 一种吊塔的工作吊篮
CN218758804U (zh) 一种导轨架拆装辅助装置
CN219546598U (zh) 一种屋顶钢结构垂直运输装置
KR101894743B1 (ko) 호이스트의 탈·장착이 용이한 크레인의 구조
CN220787859U (zh) 一种带有水平检测功能的龙门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