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511B1 - 온도조절기 믹싱밸브(thermostat mixing valve) - Google Patents

온도조절기 믹싱밸브(thermostat mixing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511B1
KR930006511B1 KR1019870004464A KR870004464A KR930006511B1 KR 930006511 B1 KR930006511 B1 KR 930006511B1 KR 1019870004464 A KR1019870004464 A KR 1019870004464A KR 870004464 A KR870004464 A KR 870004464A KR 930006511 B1 KR930006511 B1 KR 930006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mixing valve
liner
outle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403A (ko
Inventor
쇼오소오 이나가스
노보루 고메가에
하찌헤이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고가 요시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고가 요시네 filed Critical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도조절기 믹싱밸브(thermostat mixing valve)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온도조절기 믹싱밸브의 지수(止水)상태의 종단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 단면도.
제4도는 중요부분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탕(湯)과 물을 혼합하여 혼합수를 카란에서 토출시킨 상태의 종단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 선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와 동일한 섹션으로서 단면하여 표시하는 샤워용 토출구에서 토출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온도조절기 믹싱밸브의 1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실         2 : 탕실
3 : 혼합밸브실      4 : 제1토출실
5 : 제2토출실       6 : 제1유출구
7 : 밸브체        8 : 오목한 홈
9 : 제2유출구       A : 본체
B : 레버헨들       C : 제어밸브
D : 제1라이너 E : 감온부
F : 온도설정부 G : 제2라이너
본 발명은 혼합수온도에 감응하는 감온부에 의하여 제어밸브를 작동시켜서 소정의 온도의 혼합수를 토출하는 온도조절기 믹싱밸브, 특히 두군데의 토출구에서의 혼합수의 토출을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추는 온도조절기 믹싱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온도조절기 믹싱밸브로서는 제8도에 표시하는 일본실용신안 공보 소화 56년 제 37176호의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 제8도에 표시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체(A)에 수실(1), 탕실(2), 혼합수실(10), 제1토출실(4), 제2토출실(5)을 설치하고, 수실(1)과 탕실(2)을 혼합수의 온도에 감응하는 감온부(F)에 의하여 작동하여 혼합수온도를 설정온도로 자동제어하는 제어밸브(C)를 개재하여 혼합수실(10)로 연락함과 아울러 혼합수실(10)과 제1토출구(4), 제2토출구(5)를 각각 개폐밸브(H)(I)를 개재하여 연락하고 있으며, 개패밸브(H)(I)를 개재하여 연락하고 있으며, 개폐밸브(H)(I) 어느쪽인가 한쪽의 밸브를 여는 것에 의하여 혼합수를 밸브 개방된 쪽의 토출실((4) 또는 (5))로 유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밸브(C)(H)(I)는 각각 전용의 헨들(J)(K)(L)에 의하여 조작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온도조절기 믹싱 밸브는 핸들의 수가 많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대형으로 되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혼합수온도의 설정 및 토출하는 쪽의 선택변환을 하나의 핸들로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강구하는 기술적 방법은, 수실과 탕실, 이들 양쪽실에 각각 연락하는 혼합밸브실 및 각각 혼합밸브실에 연락하는 제 1토출실과 제2토출실을 내부에 설치한 본체, 본체에 좌우 및 상하방향응로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부착된 레버핸들, 혼합밸브실에 설치된 수실에서 혼합밸브실로 유입되는 물과 탕실에서 혼합밸브실로 유입하는 탕의 비율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양쪽끝은 개방된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본체내에 삽입하여 고정되고, 내부를 혼합밸브실로 연락하는 반면 혼합밸브실과 제1, 제2토출실을 격리하며, 옆쪽둘레부에는 제1토출실에 제1유출구를 개설한 제1라이너, 제1라이너내에 배치하여 설치되어서 서로 연결하여 걸리는 것과 아울러 레버헨들과 제어밸브의 벨브체에도 연결하여 걸리고 핸들의 좌우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한 밸브체를 전진, 후퇴시키는 감온부 및 온도설정부, 제1라이너에 서서히 미끄럼 이동이 자유자재롭게 외부에 끼워져서 레버헨들에 연결하여 걸리고, 레버핸들의 상하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하고 상승위치에 있어서는 제1유출구를 제1토출실에 개방시키고, 하강위치에 있어서는 내부 둘레면에 형성한 오묵한 홈과 옆두레면에 뚫어놓은 제2유출구를 개재하여 제1유출구를 제2토출실에 연통시키고, 또 다시 중간위치에 있어서는 제1유출구를 폐색하는 제2라이너를 갖추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한 방법에 의하면 레버핸들의 좌우방향에의 회전에 의하여 온도가 설정되고, 상하 방향에의 회전에 의한 토출의 시작과 정지 및 토출하는 쪽의 변환이 행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중 (A)는 본체이며, 수실(1), 탕실(2)을 내부에 설치한 제1본체(A1)와 혼합밸브실(3), 제1토출실(4) 및 제2토출실(5)을 내부에 설치한 제2본체(A2)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1본체(A1)는 정면에서 보아서 좌우방향으로 긴 중공체로서 좌우 방향 중앙부의 윗면에는 제2본체 부착구(11)를 보유한다. 수실(1)과 탕실(2)은 격벽(12)에 의하여 제1본체(A1) 내부의 좌우에 구획형성된다.
상기한 수실(1)과 탕실(2)은 제2본체 부착구(11)의 아래쪽에 있어서 수실(1)을 윗쪽으로 하여 상하방향에 인접한다. 상기한 격벽(12)에는 제2본체 부착구(11)와 동일한 축에 개구(13)가 개설된다.
한편 제2본체(A2)는 축방향 양쪽끝을 개방한 중공체이며, 축방향 중도부가 제1본체(A1)의 제2본체 부착구(11)에 나사로서 부착되어서 한쪽 절반이 제1본체(A1)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다른쪽 절반이 제1본체(A1) 윗면에서 일으켜 세운상태로 돌출한다. 제2본체(A2)는 제1본체(A1)로 삽입되는 부부의 바깥지름이 격벽(12)의 개구(13)와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13)를 끼워서 관통하여 탕실(2)내에 연장되고, 그 끝부분이 한쪽이 막힌 덮개(14)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또 제2본체(A2)는 제1본체(A1)에서 돌출하는 부분이 끝부분(15)을 개재하여 제2본체 부착구(11)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그 옆둘레면에는 카란(karean)(16)과 샤워용 토출구(17)가 각각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 제2본체(A2)의 윗쪽끝에는 그 개구부내둘레에 나사맞춤되는 끝이 부착된 링(18)을 개재하여 캡(19)이 회전이 자유롭게덮개로 설치된다.
혼합밸브(3)은 제2본체(A2)의 제1본체(A1)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에 형성되고, 그 부분쪽 둘레면에 열어서 설치된 수용(水用) 통과구멍(20), 탕용통과구멍(21)을 개재하여 수실(1) 및 탕실(2)에 각각 연락하고 있다. 그리고 이 혼합밸브실(3)에는 수실(1) 및 탕실(2)에서 수용통과구멍(20), 탕용통과구멍(21)를 개재하여 혼합밸브실(3)에 유입되는 물과 탕의 비율을 제어하는 제어밸브(C)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혼합밸브실(3)에는 수실(1) 및 탕실(2)에서 수용통과구멍(20), 탕용통과구멍(21)을 개재하여 혼합밸브실(3)에 유입되는 물과 탕의 비율을 제어하는 제어밸브(C)를 설치한다.
제1토출실(4)은 제1격벽(22)을 개재하여 혼합밸브실(3)과 인접하여 그 윗쪽에 형성되어서 카란(16)에 연락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제1격벽(22)은 끝부분(15)보다 약간 아래쪽으로 설치된다. 제2토출실(5)은 제2격벽(23)을 개재해서 제1토출실(4)과 인접하여 그 윗쪽으로 형성되고, 샤워용 토출구(17)에 연락함과 아울러 윗부분은 제3의 격벽(24)에 의하여 제2본체(A2)윗쪽끝의 개구와 격리되어 있다.
상기한 각 격벽(22)(23)(24)에는 개구(22')(23')(24')가 동일한 축에 일어서 설치되어 있다. 제어밸브(C)는 제1격벽(22) 아래면에 형성되는 물쪽밸브자리(25), 그 물쪽밸브자리(25)와 상대해서 한쪽이 막힌 덮개(14)내면에 형성되는 탕쪽밸브자리(26) 및 이들 양쪽밸브자리(25)(26)사이에 배비되어서 양쪽밸브자리(25)(26)에 각각 대응하는 제어벨브체(7)로서 이루어지며, 상기한 제어밸브체(7)는 수용통과구멍(20)과 탕용통과구멍(21)의 사이에 있어서 혼합밸브실(3) 내부 둘레면에 돌출형성한 링모양의 구분된 벽(27)에 서서히 미끄럼이동하여 맞닿아서 전진, 후퇴가 자유자재롭게 배비되고, 뒤에서 설명하는 감온부(E)에 걸어서 연결함과 아울러 제1스프링(28)에 의하여 물쪽밸브자리(25)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진다.
또한 상기한 제어밸브(7)에는 탕용통과구멍(21)을 통과하여 탕쪽밸브자리(26)와 제어밸브(7)와의 간극을 경유하여 혼합밸브실(3)에 유입하는 탕을 뒤에서 설명하는 제1라이너(D)내부에 형성되는 혼합실(29)에 유동시키기 위한 통과구멍(30)이 뚫어서 설치되어 있다.
제1라이너(D)는 축방향 양쪽끝을 개방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여, 제2본체(A2)의 혼합밸브실(3)과 제1토출실(4)을 구획하는 제1격벽(22)과 끝부분(15)과의 사이의 내부둘레면에 설치된 나사부(31)에 나사로서 고정하여 부착되어서 제1토출실(4)과 제2토출실(5)을 격리하는 제2격벽(23) 및 제2토출실(5)과 제2본체(A2) 윗쪽끝의 개구부를 격리하는 제3격벽(24)의 개구(23')(24')를 헐겁게 끼워서 관통하여 윗쪽으로 연장되고, 제2본체(A2) 윗쪽끝의 개구부에서 윗쪽으로 돌출한다.
이 제1라이너(D)에는 제2격벽(23), 제3격벽(24)의 개구(23')(24')와 동일한 지름의 바깥지름과 제1라이너(D)의 바깥지름과 동일한 지름의 내부지름을 보유하는 원통형상의 제2라이너(G)가 서서히 미끄럼이동이 자유자재하여서 바깥으로 끼워지고, 제2라이너(G)의 바깥둘레면이 상기한 두개의 개구(23')(24')의 내부둘레면에서서서히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밀접한다.
또 상기한 제1라이너(D)는 윗쪽에 가까운 중도부분에 중간칸막이(32)를 설치하여서 그 중간칸막이(32)에서 아래쪽으로 혼합실(29)을 형성하고, 이 혼합실(29)내부에 감온부(E)를 수납함과 아울러, 중간컨막이(32)보다 윗쪽의 내부둘레면에 풋슈(push)(33)를 나사로서 고정하여 부착한다.
또한 제1라이너(D)는 제1토출실(4)를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는 부분에 있어서, 혼합실(29)쪽 둘레면에 제1유출구(6)를 뚫어놓는 것과 아울러 상기한 중간칸막이(32)중앙에 감온부 수납구멍(34)을 뚤어 설치한다.
상기한 풋슈(33)는 밑바닥부 중앙에 통과구멍(35)을 뚫어 설치한 밑바닥을 보유하는 원통형상을 띠며, 개구를 윗쪽으로 향하여 제2라이너(D)에 나사로 고정하여 부착되어서 상부를 제1라이너(D)의 개구에서 윗쪽으로 돌출한다. 이 제1라이너(D)에서 돌출하는 풋슈(33)윗부분에는 조작캡(36)을 개재하여 레버핸들(B)을 연결한다.
또 풋슈(33)는 내부에 감온부 압압구(37)를 수납하고, 그 감온부 압압구(37)를 상기한 제1스프링(28)보다 강력한 제2스프링(38)에 의하여 밑바닥부분 방향으로 탄압한다.
상기한 제2스프링(38)은, 감온부 압압구(37)의 둘레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분과 풋슈(33)의 개구근처의 내부둘레면에 걸어서 부착한 링(39)에 걸쳐서 탄력적으로 장치한다. 감온부(E)는 돌출축(40)을 출몰 자재하게 갖춘 기체(41)내에 감온체로서 왁스페레트를 봉입하여서 상기한 왁스 페레트의 열팽창에 의하여 돌출축(40)을 기체(41)에서 돌출신장시키는 종래부터 널리 알려진 구조를 보유하는 것으로서, 제1라이너(D)의 혼합실(29)내에 그 실의 축방향으로 서서히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수용배비되며, 한쪽끝이 혼합밸브실(3)내부로 연장되어서 제어밸브체(7)에 맞닿아 걸어서 고정하고, 다른쪽끝이 중간칸막이(32)의 감온부 수납구멍(34)을 끼워관통하여 돌출축(40)을 감온부 압압부(37)에 맞닿게 한다.
한편 상기한 제2라이너(G)는 상부 개구끝부분면에 서로 대향하여 일으켜 세우는 한쌍에 사이를 둔 지지편(42)을 연장설치하고, 그 사이에 둔 지지편(42)에 1쌍의 축받이구멍(43)을 동일한 축에 서로 대향하여 뚫으며, 그 축받이구멍(43)에 의하여 레버핸들(B)의 지지축(44)를 축으로서 지지한다.
또 제2라이너(G)는 그 아래쪽끝에서 약간 윗쪽의 내부둘레면에 따라서 고리모양의 제1의 오목한 홈(45)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1의 오목한 홈(45)의 약간 윗쪽의 내부둘레면에는 동일하게 제2의 오목한 홈(8)을 형성하여서 그 제2의 오목한 홈(8)을 밑바닥면에 제2유출구(9)를 뚫어서 설치한다. 제2유출구(9)는 제2토출실(5)에 대응한다.
레버핸들(B)은 조작레버부(46)의 한쪽끝에 캡의 걸어맞춤구멍(47)과 지지축(44)을 보유하는 걸어맞춤부(48)가 연장설치되고, 상기한 걸어맞춤구멍(47)을 조작캡(36)의 바깥둘레면에 걸어맞춤과 아울러 지지축(44)은 제2라이너(G)의 축받이구멍(43)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조작레버부(46)가 캡(19)의 옆쪽둘레면을 끼워 관통하여 본체(A)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있다.
상기한 걸어맞춤구멍(47)은 구멍가장자리의 일부에 평행한 직선부분(a)을 보유하며, 지지축(44)은 걸어 맞춤부(48)의 옆쪽끝면에 한쌍이 설치된다. 또 조작레버(46)는 걸어맞춤부(48)에 대하여 비스듬이 왼쪽방향으로 경사하여 연장되고 있다. 조작캡(36)은 풋슈(33)상부에 덮어 씌워지고, 풋슈(33) 바깥둘레면과 조작캡(36)내부둘레면에 형성된 스플라인(49)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서로의 회전이 방지되어 있다.
또 조작캡(35)은 바깥둘레면이 평면 6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향하는 평행한 한쌍의 직선부분(b)이 레버핸들(B)의 걸어맞춤구멍(47)의 직선부분(a)에 대응하여 양자의 상호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한 풋슈(33), 감온부 압압구(37), 제2스프링(38)은 온도설정부(F)를 구성한다. 그런데 본 온도조절기 믹싱밸브 레버핸들(B)을 좌우로 회전조작하면 조작탭(36)이 회전하여서 그 조작탭(36)과 스플라인(49)으로서 걸어맞춤하는 풋슈(33)가 상하로 작동하여 그 내부에 수용한 감온부 압압구(37)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감온부 압압구(37)가 상부로 이동하였을 대에는 감온부(E)를 개재하여 제어벨브체(7)를 탕쪽의 밸브자리(26)로 압압하는 힘이 해제되므로 제어밸브체(7)는 제1스프링(28)의 힘에 의하여 감온부(E)가 재차 감온부 압압구(37)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물쪽밸브자리(25)쪽으로 이동한다.
또 감온부 압압구(37)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감온부(E)를 개재하여 제어밸브(7)가 탕쪽밸브자리(26)쪽으로 밀어내져서 그 밸브자리쪽으로 이동한다.
즉 레버핸들(B)의 좌우회전조작에 의하여 혼합수의 온도가 설정 된다. 이 상태로서 혼합실(29)내의 혼합 수온도가 변동하면 종래의 온도조절기 믹싱밸브와 동일하게 감온부(E)가 작동하여 제어밸브체(7)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보정하여 혼합수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한다.
한편 레버헨들(B)을 상하방향에서 작동시키면 캡(19)을 끼워관통하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서 걸어맞춤부(48)가 조작레버부(46)와 반대로 상하동작하여서 제2라이너(G)를 상하작동시킨다. 즉 레버핸들(B)을 밀어내리면 제2라이너(G)는 잡아당겨 올려진다. 이때 제2라이너(G)의 아래측끝은 제1라이너(D)의 제1유출구(6)보다 왼쪽에 위치하고 따라서 제1토출실(4)로 유입되어서 카란(16)으로 흐른다. 또 레버헨들(B)을 잡아당겨올리면 제2라이너(G)는 밀려서 내려간다.
이때에는 제2라이너(G)의 제2의 오목한 홈(8)이 제1유출구(6)에 대응하고, 혼합수는 혼합실(29)에서 제1유출구(6)을 통하여 제2의 오목한 홈(8)으로 유입되며, 또 다시 제2유출구(9)를 경유하여 제2토출실(5)로 들어가서 샤워용 토출구(17)로 흐른다.
또한, 레버핸들(B)이 상하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라이너(G)도 상하의 중간위치에 있으며, 이 상태로서 제1의 오목한 홈(45)이 제1유출구(6)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한 제1의 오목한 홈(45)은 밀실의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혼합수는 제1, 제2의 어느쪽의 토출실(4)(5)로도 흐르지 않고 물이 정지상태로 된다. 즉 본 온도조절기 믹싱밸브는 레버핸들(B)의 상하회전조작에 의하여 토수의 시작, 정지 및 토출하는 쪽의 선택적 변환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도면중(50)(51)은 제1본체(A1)의 수실(1)은 급수배관에, 또 탕실(2)을 급탕배관에 각각 접속하는 수용 및 탕용접속 각관(52)은 캡(19)의 회전범위, 바꾸어말하면 레버핸들(B)의 좌우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이므로 이하 기재한 이익점을 보유하고 있다. 한개의 바아핸들로서 온도의 설정, 토출의 시작과 정지, 토출시키는 토출구의 변환을 전부 행할 수가 있으므로서 핸들을 여러개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소형화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수실(1)과 탕실(2), 이들의 양쪽 실(1)(2)에 각각 연결하는 혼합밸브실(3) 및 각각 혼할밸브실(3)에 연락하는 제1토출실(4)과 제2토출실(5)을 내부에 설치한 본체(A), 본체에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부착된 레버핸들(B), 혼합밸브실(3)에 설치된 수실(1)에서 혼할밸브실(3)로 유입하는 물과, 탕실(2)에서 혼합밸브실로 유입되는 탕의 비율을 제어하는 제어밸브(C), 양쪽끝을 개방한 통형상으로 형성 하여서 본체(A)내에 삽입하여 고정되어 내부를 혼합밸브실(3)로 연락하는 반면, 혼합밸브실과 제1, 제2토출실(4)(5)을 격리하고, 옆둘레부분에는 제1토출실(4)로 개구하는 제1유출구(6)를 개설한 제1라이너(D), 제1라이너(D)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연결하여 걸어놓음과 아울러, 레버핸들(B)과 제어밸브(C)의 밸 브체(7)에도 연결하여 걸어서 레버핸들(B)의 좌우방향으로 회전에 의하여 상기한 밸브체를 전진, 후퇴시키는 감온부(E) 및 설정온도부(F), 제1라이너(D)에 서서히 미끄럼이동이 자유자재롭게 바깥으로 끼워져서 레버핸들에 연결해서 걸이서 레버핸들의 상하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하고, 상승위치에 있어서는 제1유출구(6)를 제1토출실(4)에 개방시키며, 하강위치에 있어서는 내부둘레면에 형성한 오목한 홈(8)과 옆둘레 면에 뚫어 개구한 제2유출구(9)를 개재하여 제1유출구를 제2토출실에 연통시키며, 또 다시 중간위치에 있어서는 제1유출구(6)를 폐색하는 제2라이너(G)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기 믹싱밸브.
KR1019870004464A 1986-05-09 1987-05-07 온도조절기 믹싱밸브(thermostat mixing valve) KR930006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06035A JPH06105109B2 (ja) 1986-05-09 1986-05-09 サ−モスタツトミキシングバルブ
JP106035 1986-05-09
JP61-106035 1986-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403A KR870011403A (ko) 1987-12-23
KR930006511B1 true KR930006511B1 (ko) 1993-07-16

Family

ID=1442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464A KR930006511B1 (ko) 1986-05-09 1987-05-07 온도조절기 믹싱밸브(thermostat mixing valv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105109B2 (ko)
KR (1) KR930006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87Y2 (ja) * 1988-04-22 1995-03-29 東陶機器株式会社 シングルレバー式水栓
JPH0668174B2 (ja) * 1989-03-29 1994-08-31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シャワーバス水栓及びその切換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9784A (ja) * 1984-05-24 1985-12-10 Toto Ltd サ−モスタツトミキシングバルブ
JPS6155484A (ja) * 1984-08-23 1986-03-19 N T C Kogyo Kk 止水弁付きの自動混合水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05109B2 (ja) 1994-12-21
KR870011403A (ko) 1987-12-23
JPS62261786A (ja) 198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3705B1 (ko) 온도조절 혼합밸브
US4502507A (en) Single handle faucet valve
US5503183A (en) Hot-water thermoregulating valve
JPS6132217Y2 (ko)
KR930006511B1 (ko) 온도조절기 믹싱밸브(thermostat mixing valve)
US4917137A (en) Pressure-balancing mixing valve
EP0560737A2 (en) Hot and cold water mixer valve with thermostatic regulator
EP0144549B1 (en) A valve for automatic stoppage of water supply
US4286623A (en) Faucet control device
US2757687A (en) Single valve mixing faucet
CA2196228C (en) Thermostatically controlled mixing valve
JP3370287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水栓
CN220286514U (zh) 一种底进底出的恒温阀芯
JP3627300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湯水混合栓用カートリッジ
US3012582A (en) Mixing valve
JPS6144059Y2 (ko)
US2888041A (en) Valve construction
US20200308812A1 (en) Single lever, timed mixer tap
JPH0326371Y2 (ko)
SU1661730A1 (ru) Термостатически управл емый смесительный кран
JPS5854313B2 (ja) サ−モスタツトミキシングバルブ
KR810002412Y1 (ko) 유출구를 변경할 수 있는 혼합밸브
JPS6020697Y2 (ja) 湯水混合栓
JPS6116462Y2 (ko)
JPS6155485A (ja) 自動温度調節式混合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