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505B1 - 라이너가 개선된 원격운동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라이너가 개선된 원격운동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505B1
KR930006505B1 KR1019880013814A KR880013814A KR930006505B1 KR 930006505 B1 KR930006505 B1 KR 930006505B1 KR 1019880013814 A KR1019880013814 A KR 1019880013814A KR 880013814 A KR880013814 A KR 880013814A KR 930006505 B1 KR930006505 B1 KR 93000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amide
weight
condui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994A (ko
Inventor
피 후쿠다 디이안
쥬니어 아더 에스 엘드레쥐
에프 벅크 토마스
Original Assignee
텔레홀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죤 에프 숀휄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홀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죤 에프 숀휄더 filed Critical 텔레홀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0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9/00Ropes or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driving, or for being driven by, pulleys or other gea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26Construction of guiding-sheathings or guiding-tubes
    • F16C1/262End fittings; Attachment thereof to the sheathing or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26Construction of guiding-sheathings or guiding-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Flexible Shaf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이너가 개선된 원격운동전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운동전달장치의 실시예를 예시한 부분절개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너들의 실험결과의 도표.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너들의 다른 실험결과의 도표, 그리고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너들의 또다른 실험결과의 도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격운동전달장치(remote control assembly)
11 : 도관(conduit) 12 : 라이너(liner)
14 : 코아부재(core element) 16 : 케이싱(casing)
18 : 길게 꼬인 복선 와이어(plurality of long lay wires)
20 : 플랜지(flange) 22 : 구멍(hole)
본 발명은 운동전달용 가요성 코아부재(core element)에 의하여 곡선 통로에서 운동전달을 하는 원격운동전달장치에 관할 것으로서, 특히 코아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라이너가 개선된 원격운동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라이너를 사용하는 원격운동전달장치들은 선행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자동차, 선박 그리고 항공기 분야에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와이어부재 또는 나선형으로 꼬인 여러가닥의 금속가닥으로 된 코아부재는 라이너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라이너 내에서의 코아부재의 움직임은 스피드메터의 케이블의 경우와 같이 회전될 수도 있다. 이 코아부재는 라이너에서 그 움직임에 따라 라이너의 내부를 마멸시키는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결국 라이너에 있어서 허용될 수 없는 파손 또는 마멸을 초래한다.
1982년 12월 7일자로 지아트라스(Giatras)등으로 부여된 미국특허번호 제4362069호는 라이너에 관한 발명으로서, 그 내용은 마모면 마찰특성이 개선된 라이너를 생산하기 위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과 아릴렌설피아드 중합체(arylene sulfide polymer)를 공압출 성형한 것이다. 또한 요구되는 성질들을 가지는 라이너를 생산하기 위해 공압출 성형이전에 윤활액이나 유리와 같은 첨가물을 혼합물에 첨가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은 플루오로카본 중합체(fluorocarbon polymer)로 만든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 내에서 움직이는 코아부재로 구성된 곡선통로에서의 원격운동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도와 윤활성 증가를 위하여 폴리(아마이드-아미드)[poly(amide-imide)]를 함유하는 라이너를 사용한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멸, 마찰특성이 개선된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라이너의 윤활성과 마멸저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전과 같은 첨가물(윤활액 또는 유리등)이 필요치 않다는 점이 유리하다.
이하 참고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곡선통로내에서 운동전달을 하는 원격운동전달장치를 도면부호 10으로 표기한다. 상기의 원격운동전달장치(10)는 라이너(12)를 포함한다. 이 라이너(12)는 일반적으로 원형단면이며, 본질적으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만들어진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은 듀퐁사의 "테프론(TEFLON)"상표로 팔린다. 이 라이너(12)는 일반적으로 도관(conduit : 11)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도관(11)은 여러가지 형태로 될 수 있는데, 압출성형된 케이싱(16)을 가지는 길게 꼬인 복선와이어(plurality of long lay wires ; 1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치(10)는 또한 코아부재(core element : 14)를 포함한다. 이 코아부재(14)는 와이어(wire)이거나, 또는 케이블(cable) 같은 형상으로 서로 나선형으로 꼬인 여러가닥의 금속일 수 있다. 이 코아부재(14)는 상기의 라이너(12)내에서 움지이도록 되어 있다. 이 움직임은 세로방향 즉 라이너(12)와 같은 방향이거나, 또는 스피드 메터의 케이블과 같이 회전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코아부재(14)는 작동되거나 또는 작동하고 있는 물체에 접속하도록 그 끝에 커플링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이 장치(10)는 또한 지지구조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도관(11)을 안전하게 지탱하게하는 고정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이 고정장치는 도관(11)으로부터 뻗어나온 플랜지(20)로 되어있다. 상기 플랜지(20)에는 지지구조물에 플랜지(20)를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운동전달장치(1)는 폴리(아미이드-이미드)를 함유하는 라이너(12)에 그 특징이 있다. 폴리(아미이드-이미드)는 일반적으로 아모코화학회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으며, 토르론(TORLON)상표로 팔리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라이너(12)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과 폴리(아마이드-이미드)의 혼합물을 만들고, 이 혼합물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한 라이너(12)는 75∼99중량부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과 1∼25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이미드)로 되어 있다. 이 라이너(12)는 97중량부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과 3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이미드)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도관(11)은 결과적으로 높은 마멸 및 마찰저항(윤활성)을 가지는 강한 제품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라이너(12)를 5개 만들어 실험했다. 이들 라이너(12)는 각 1,3,6,10 및 25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아미드)를 함유한 것들이다. 또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아릴렌 설피아드 중합체로 만든 종래의 라이너(제3도 내지 제5도에서 PPS로 표시)를 만들어 실험했다.
첫번째 실험(결과는 제3도)은 "S"형으로 성형된 라이너(12)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코아부재(14)는 적당한 윤활제로 윤활됐다. 거리에 코아부재(14)의 한끝에 5파운드의 중량을 달기위한 고리를 만들었다.
이 코아부재(14)는 라이너(12)를 통해서 분당 60싸이클의 비율로 왕복 운동을 시켰다. 1싸이클은 코아부재(14)를 1 5/8 inch길이만큼 앞쪽으로 잡아당기고 다시 처음위치로 되돌아가게 하였다.
3,6 및 10중량부의 폴리(아미이드-이미드)로 구성된 라이너(12)들을 대략 500,000 싸이클 정도 계속 작동시켰으며, 1과 25중량부이 라이너(12)들은 대략 220,000 싸이클 정도 계속 작동시켰다.
마찰효율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싸이클의 다양한 간격에서 측정하였다. 코아부재(14)의 한 끝은 변환기(transducer)에 연결하고, 다른 쪽 끝에는 5파운드중량이 물체에 연결하였다. 코아부재(14)를 분당 4싸이클의 비율로 라이너(12)를 통해서 주기 왕복시켰다. 5파운트 중량을 들어올리는데 요구되는 실제하중을 변환기에 의해 측정하고, 이것을 3싸이클 단위로 기록하여 평균했다.
마찰효율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다.
Figure kpo00001
이 실험의 결과를 제3도에 나타냈다. 도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든 라이너(12)들은 60% 보다 높은 효율을 가졌다. 1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이미드)도관(11)은 폴리(아마이드-이미드)의 하한 유효함유량을 나타낸다. 즉, 만일 1중량부보다 적을 경우에, 도관(11)은 필요한 마찰저항을 가지지 못하면, 또한 빨리 마멸된다. 25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이미드)도관(11)은 상한 유효 함유량을 나타낸다. 즉, 만일 25중량부보다 많은 경우에 도관(11)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일부가 불충분하게 성형되어, 결과적으로 도관(11)은 역시 쉽게 마멸된다.
두번째 실험은 라이너(12)의 반쪽(라이너를 종축에 따라 자름)을 이용하여 생긴 홈통을 통해서 코아부재(14)를 통과시키는 것이다. 36파운드 중량의 물체를 코아부재(14)의 한끝에 달았다. 이때, 코아부재(14)를 윤활시키고 분당 30싸이클로 대략
Figure kpo00002
inch의 길이만큼 홈통을 통하여 왕복운동을 시켰다.
이 경우의 마찰효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싸이클의 다양한 간격에서 측정하였다. 장력변환기(tension force transducer)를 코아부재(14)의 한 끝에 연결하고, 36파운트 중량의 물체를 코아부재(14)의 다른 쪽끝에 연결하였다. 코아부재(14)는 분당 2싸이클의 비율로 대략
Figure kpo00003
inch의 길이만큼 왕복운동을 시켰다. 상기의 물체를 들어올리는데 필요한 실제하중(FR)과 상기 물체를 내리는데 필요한 실제하중(FL)을 3싸이클 단위로 측정하고 평균하였다.
마찰효율은 다음 공시기에 의하여 계산되었다.
Figure kpo00004
이 실험결과를 제4도에 나타냈다. 도표에서 증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3-10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이미드)를 갖는 라이너(12)들은 모든 싸이클 간격에서 75%를 넘는 효율은 가졌다. 6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이미드)를 함유하는 도관(11)의 효율은 대략 22,000 싸이클에서 떨어지긴 하지만, 역시 종래의 PPS라이너도 대략 14,000 싸이클에 떨어졌다 1중량부와 25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이미드) 라이너(12)들에 대해서는 이 실험을 하지 않았다.
제5도는 상기 설명된 방법(제2실험)에 의해, 윤활유 없이 실시된 또 다른, 실험(제3실험)의 결과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나타나 것과같이 본 발명에 의한 라이너(12)는 효율이 떨어지기 전까지 각 싸이클에서 높은 윤활성을 나타냈다.
이 실험결과에 의해 나타나 것과 같이 1-25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이미드)와 75-99중량부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만들어진 라이너(12)들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사용된 라이너보다 더 큰 강도, 마멸 저항 및 윤활성을 갖는다. 폴리(아마이드-이미드)로 만든 라이너(12)들은 상기 제1실험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이전의 라이너들과 비교되는 윤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 라이너(12)들은 제2실험에서 우수한 마멸저항을 나타내며, 윤활되지 않는 제3실험에도 우수한 윤활성과 마멸저항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어 졌다. 그리고, 사용된 전문용어는 한정으로서가 아닌 묘사된 용어 그대로 하려고 한다. 분명히 상기 기술에 비추어 볼때 본 발명의 많은 변형과 변화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인용된 숫자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편리를 위할 뿐이고, 어떤 방법으로든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된 것 외에 다르게도 실시될 수 있다.

Claims (7)

  1. 도관(11)과, 상기 도관(11)내에 플루오로카본 중합체(fluorocarbon polymer)로 만든 라이너(12)와, 상기 라이너(12)내에서 움직이는 코아부재(14)로 구성된 곡선통로에서의 원격운동 전달장치(1)에 있어서, 상기의 라이너(12)는 강도와 윤활성의 증가를 위하여 폴리(아마이드-이미드)[poly (amide-imide)]를 함유함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12)가 75-99중량부의 플루오로카본 중합체에 1-25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아미드)를 부가적으로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운동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12)는 90-97중량부의 플루오로카본 중합체와 3-10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이미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운동전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12)는 97중량부의 플루오로카본 중합체와 3중량부의 폴리(아마이드-이미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운동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카본 중합체는 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운동전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11)은 압출성형된 케이싱(16)을 가지는 길게 꼬인 복선와이어(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운동전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는 지지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도관(1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운동전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도관(11)으로부터 뻗어나온 플랜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운동전달장치.
KR1019880013814A 1987-10-23 1988-10-22 라이너가 개선된 원격운동전달장치 KR930006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86787A 1987-10-23 1987-10-23
US111,867 1987-10-23
US111867 1987-10-23
US25354788A 1988-10-07 1988-10-07
US253,547 1988-10-07
US253547 1988-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994A KR890006994A (ko) 1989-06-17
KR930006505B1 true KR930006505B1 (ko) 1993-07-16

Family

ID=2680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814A KR930006505B1 (ko) 1987-10-23 1988-10-22 라이너가 개선된 원격운동전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313416B1 (ko)
JP (1) JP2592935B2 (ko)
KR (1) KR930006505B1 (ko)
CA (1) CA1329535C (ko)
DE (1) DE3854340T2 (ko)
ES (1) ES2074998T3 (ko)
MX (1) MX17120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870B1 (ko) * 2011-03-11 2011-07-08 (주)상아프론테크 동력전달케이블
KR101235013B1 (ko) * 2011-03-09 2013-02-21 (주)상아프론테크 비 윤활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427A (en) * 1987-10-23 1992-11-10 Teleflex Incorporated Poly(amide-imide) liner
IT1219377B (it) * 1988-06-14 1990-05-11 Tecaflex International Spa Trasmissione ad albero flessibile particolarmente per strumenti tachimetrici di autoveicoli e simili applicazioni
US5243876A (en) * 1990-08-15 1993-09-14 Markel Corporation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ES2119636B1 (es) * 1995-05-29 1999-04-01 Fico Cables Sa Funda para cables y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29605891U1 (de) * 1996-03-29 1996-06-20 Heuser Holger Führungsschlauch
DE29605892U1 (de) * 1996-03-29 1996-05-30 Heuser Holger Betätigungszug
US8418580B2 (en) * 2007-11-12 2013-04-16 Dura Operating, Llc Cable assembly
US9969036B2 (en) 2014-11-17 2018-05-15 The Boeing Company Fireproof flexible hoses with polyimide inner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5969A (en) * 1957-03-15 1962-01-09 American Chain & Cable Co Push-pull cable
GB1207304A (en) * 1966-09-07 1970-09-30 Bowden Control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ransmission mechanisms
US3554050A (en) * 1969-06-30 1971-01-12 Teleflex Inc Motion transmitting remote control assembly
DE2227790A1 (de) * 1972-06-08 1973-12-20 Bowden Controls Ltd Bowdenzug
US4099425A (en) * 1976-06-01 1978-07-11 Samuel Moore And Company Method of making push-pull cable conduit and product
US4112708A (en) * 1976-06-21 1978-09-12 Nippon Cable Systems Inc. Flexible drive cable
US4362069A (en) * 1979-04-02 1982-12-07 Markel Corporation High efficiency, abrasion resistant product and process
JP2804264B2 (ja) * 1987-01-19 1998-09-24 日本ケーブル・システム 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US5161427A (en) * 1987-10-23 1992-11-10 Teleflex Incorporated Poly(amide-imide) l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13B1 (ko) * 2011-03-09 2013-02-21 (주)상아프론테크 비 윤활 케이블
KR101047870B1 (ko) * 2011-03-11 2011-07-08 (주)상아프론테크 동력전달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54340D1 (de) 1995-09-28
JPH01188714A (ja) 1989-07-28
MX171203B (es) 1993-10-07
DE3854340T2 (de) 1996-02-08
CA1329535C (en) 1994-05-17
KR890006994A (ko) 1989-06-17
ES2074998T3 (es) 1995-10-01
EP0313416A3 (en) 1990-03-07
JP2592935B2 (ja) 1997-03-19
EP0313416A2 (en) 1989-04-26
EP0313416B1 (en)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1427A (en) Poly(amide-imide) liner
KR930006505B1 (ko) 라이너가 개선된 원격운동전달장치
US3481156A (en) Power transmission assembly
US3238808A (en) Flexible control
US4671403A (en) Flexible pin for coupling and articulation of fastening staples of a conveyor belt
US4624097A (en) Rope
EP0100583A2 (en) A compensating cable for an elevator or the like
US3176538A (en) Push-pull type remote control cable
US3878734A (en) Flexible power transmission belt
CA2013269C (en) Cable with radial elements for conveying materials behaving as fluids through ducts
US20030005681A1 (en) Construction and process of all-plastic cables for power and manual driving applications
US3930419A (en) Casing for shafts and cables
US20090229401A1 (en) Motion Transmitting Cable Liner and Assemblies Containing Same
US6807879B2 (en)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JPH06300032A (ja) 操作装置
US6040384A (en) Cable assemblies
US20210215229A1 (en) Potting Neck Enhancement
CA1167352A (en) Graphite filament conduit
US20090193926A1 (en) Motion Transmitting Cable Liner and Assemblies Containing Same
JP2595453B2 (ja) 押し引き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2804264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2664435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US3280652A (en) Flexible push-and-pull transmitting cables
JPH0336176Y2 (ko)
JPS62292912A (ja) 押し引きコントロ−ルケ−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