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495Y1 - 느린 화면 재생시 노이즈 제거 회로 - Google Patents

느린 화면 재생시 노이즈 제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495Y1
KR930006495Y1 KR2019900020695U KR900020695U KR930006495Y1 KR 930006495 Y1 KR930006495 Y1 KR 930006495Y1 KR 2019900020695 U KR2019900020695 U KR 2019900020695U KR 900020695 U KR900020695 U KR 900020695U KR 930006495 Y1 KR930006495 Y1 KR 930006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ing
data
tracking
unit
track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337U (ko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0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495Y1/ko
Publication of KR920014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8Vide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느린 화면 재생시 노이즈 제거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각부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 플로우 챠트.
제4도는 본 고안의 서브 루틴 플로우 챠트.
제5도는 본 고안의 트랙킹 가변범위를 나타낸 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덱크부 10 : 프리앰프
15 : 검파부 20 : 샘플링부
25 :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30 : 마이콤
35 : 서어보부
본 고안은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시키는 비데오 테이프에 있어서, 느린 화면 재생시 트랙킹(TRACKING)값을 변환시켜 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 느린화면 재생시 노이즈 제거 회로에 관한 것이다.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느린 화면으로 재생시킬 경우 프로그램 제작사 및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제조사마다 트랙킹 셋트 위치가 동일하지 않아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같은 비데오 테이프로 녹화된 테이프를 느린 화면으로 재생시킬 경우가 아니면 화면에 노이즈가 나타나게 되므로 느린 화면 재생시에는 노이즈를 제거 시켜야만 깨끗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느린 화면 재생시에 노이즈를 제거해 주어 깨끗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느린 화면 재생시 트랙킹 값을 이동시켜 가면서 엔벨로우프를 비교하여 가장 엔벨로우프가 큰 위치에 트랙킹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느린 화면 재생시 노이즈 발생이 되지 않게 한 것이다.
이같은 목적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덱크부(5)의 헤드 드럼계에서 검출되어지는 엔벨로우프 파형을 증폭시키는 프리앰프(10)와, 상기 프리앰프(10)중에서 증폭된 엔벨로우프 파형을 검파하여 클립핑시키는 검파부(15)와, 상기 검파부(15)의 엔벨로우프 클립핑 파형을 마이콤(30)의 스트로브(STROBE) 펄스와 샘플링 펄스로 샘플링시키는 샘플링부(20)와, 상기 샘플링부(20)의 샘플링 펄스 크기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5)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5)의 디지털 신호를 비교하여 트랙킹데이터를 변화시켜가며 가장 높은값이 인가 되는지를 판단하고 그때의 트랙킹 데이터를 고정시켜 출력시키는 마이콤(30)과, 상기 마이콤(30)의 트랙킹 데이터를 받아 덱크부(5)의 캡스턴 계 구동을 제어하는 서어보부(35)로 구성되어진다.
이 때 마이콤(30)은 느린 화면 재생시 샘플링부(20)로 샘플링 펄스와 스트로브 펄스를 출력시키는 한편 서어보부(35)에 인가되는 트랙킹 데이터를 변환시켜 주어 트랙킹 데이터 변환에 따라 가장 큰 값의 엔벨로우프 파형이 검출되는가를 판단하고 가장 큰 값의 엔벨로우프 파형이 나타날때의 트랙킹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출력시킴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이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대하여 제2도의 파형도 및 제3도 및 제4도의 플로우 챠트와 제5도의 표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덱크부(5)의 헤드 드럼계에서는 테이프에 기록된 제2a도 에서와 같은 영상신호의 파형을 검출하여 프리앰프(10)에 인가시킴으로써 프리앰프(10)에서는 제2c도 에서와 같은 엔벨로우프 파형을 출력시킨다.
이 때 헤드 드럼계는 제2b도 에서와 같은 헤드스위칭 펄스에 의하여 채널 절환이 되어진다.
그리고 프리앰프(10)에서 증폭된 제2c도 에서와 같은 엔벨로우프 파형은 검파부(15)에 인가되어 제2d도에서와 같이 클립핑 되어지며 이때 검파부(15)를 통하여 클립핑 시키는 이유는 엔벨로우프 파형의 최대값을 검출하기 위함이다.
검파부(15)에서 출력되는 제2d도에서와 같은 클립핑된 엔벨로우프 파형은 샘플링부(20)에 인가되어 마이콤(30)에서 인가시키는 제2e도 에서와 같은 스트로브 펄스와 제2f도 에서와 같은 샘플링 펄스에 의하여 샘플링 되어진다.
그리고 샘플링부(20)에서 샘플링된 샘플링 펄스의 크기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5)에 인가시켜주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 마이콤(30)에 인가시킨다.
즉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5)는 샘플링 펄스에 의하여 검파된 값을 디지털 로 변환시켜 마이콤(30)에 인가시켜준다.
이 때 마이콤(30)에서는 샘플링부(20)에 스트로부 펄스와 샘플링 데이터를 출력시킴과 동시에 서어보부(35)에 트랙킹 테이터를 출력시켜 서어보부(35)에서 덱크부(5)의 서어보계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콤(30)에서는 트랙킹 테이터를 변환시켜가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5)에서 인가되는 값을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이 이가될 때의 트랙킹 테이터를 고정시켜 출력되게 하여 준다.
이와 같이 트랙킹 테이터를 변환시켜가며 디지털 변환시킨 엔벨로우프 파형의 샘플링 펄스 크기를 비교하여 최적의 트랙킹 테이터를 출력시키도록 하는 마이콤(30)의 동작에 대하여 제3도 및 제4도의 플로우 챠트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마이콤(30)에서는 덱크(5)의 구동상태를 판단하여 느린 화면 재생시일 경우 서부루틴(제4도)를 수행하여 스트로브 펄스와 샘플링 펄스를 출력시킨 후 디지털 변환된 샘플링 테이터를 받아들여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저장동작이 끝나면 다시 메인 루틴으로 들어간다.
이 때 마이콤(30)은 느린 화면 재생시 최초의 트랙킹 테이터는 제5도에 도시된 리셋트를 시켜주고 트랙킹 리셋트 테이터일 경우 인가되는 샘플링 테이터를 K1으로 기억한 후 트랙킹 테이터를 + 3㎳이동시켜 그때 인가되는 샘플링 테이터를 K2로 기억하게 된다.
따라서 느린 화면 재생시에는 제4도의 서브루틴을 수행하여 트랙킹 리셋트 테이터일 경우 인가되는 샘플링 테이터 K1과 트랙킹 리셋트 테이터를 + 3㎳이동시킨후 인가되는 샘플링 테이터 K2와 비교한다.
따라서 K1이 K2보다 적을 경우 (K2가 더 클 경우)에는 다시 트랙킹 테이터를 +3㎳ 이동시킨후(실질적으로 트랙킹 리셋트 테이터를 +6㎳ 이동시킨 상태임) 서브루틴을 수행시켜 그때의 샘플링 테이터를 K3로 메모리시킨다.
그리고 나서 다시 K2와 K3를 비교하여 K2가 크게 되면 트랙킹 테이터를 -1.5㎳ 이동시킨 상태에서 트랙킹 테이터 조정을 끝내게 된다.
그러나, K2와 K3를 비교하여 K3가 클 경우에는 다시 트랙킹 테이터를 +3㎳ 이동시킨후(실제적으로 트랙킹 리셋트 테이터를 +9㎳ 이동시킨 상태임) 서브루틴을 수행시켜 그때의 샘플링 데이터를 K4로 메모리시킨다.
그리고나서 다시 K3와 K4를 비교하여 K3가 크게 되면 트랙킹 테이터를 -1.5㎳ 이동시킨 상태에서 트랙킹 테이터 조정을 끝내고 K3보다 K4가 크게되면 트랙킹 테이터를 +3㎳이동시킨 상태에서 (실제적으로 트랙킹 리셋트 테이터에서 +12㎳ 이동시킨 상태임) 트랙킹 테이터 조정을 끝내게 된다.
한편 K1(트랙킹 리셋트 테이터인 경우)과 K2(트랙킹 리셋트 +3㎳ 테이터인 경우)를 비교하여 K1이 더 클 경우에는 트랙킹 테이터를 -6㎳ 이동시켜 (실제적으로 트랙킹 리셋트 테이터에서 -3㎳ 이동시킨 상태임) 서브루틴을 수행시킨 후 그때의 샘플링 테이터를 K2'로 메모리시킨다.
그리고나서 K1과 K2'를 비교하여 K2'가 작을 경우에는 트랙킹 테이터를 +3㎳이동시킨후 (결국 본래의 트랙킹 리셋트 테이터가 된다) 트랙킹 테이터 조정을 끝내고 K1과 K2'를 비교하여 K2'가 클 경우 다시 트랙킹 테이터를 -3㎳ 이동시켜 (실제적으로 트랙킹 리셋트 테이터에서 -㎳ 이동시킨 상태임) 서브루틴을 수행시킨 후 그 때의 샘플링 테이터를 K3'로 메모리시킨다.
그리고나서 K2'와 K3'를 비교하여 K3'가 작을 경우에는 트랙킹 테이터를 +1.5㎳ 이동시킨 후 트랙킹 테이터 조정을 끝내게 되고 K3'가 클 경우에는 다시 트랙킹 테이터를 -3㎳ 이동시킨후 (실제적으로 트랙킹 리셋트 테이터에서 -9㎳ 이동시킨 상태임) 서브루틴을 수행시켜 그때의 샘플링 테이터를 K4'로 메모리시킨다.
그리고 다시 K3'와 K4'를 비교하여 K4'가 작을 경우에는 트랙킹 테이터를 +1.5㎳ 이동시켜 트랙킹 조정을 끝내게 되고 K3'가 클 경우에는 트랙킹 테이터를 -3㎳이동시킨 후 트랙킹 테이터 조정을 끝내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느린 화면 동작시 트랙킹 값을 리셋트 위치부터 시작하여 +방향으로 3㎳,-방향으로 3㎳씩 이동시키면서 엔벨로우프 파형의 샘플링 테이터값을 비교하여 가장 엔벨로우프가 큰 위치에 트랙킹 테이터를 고정시킴으로써 느린 화면 재생시에도 노이즈 발생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덱크부(5)의 헤드 드럼계에서 검출된 엔벨로우프 파형을 증폭시키는 프리앰프(10)와, 상기 프리앰프(10)에서 증폭된 엔벨로우프 파형을 클립핑시켜 검파하는 검파부(15)와, 상기 검파부(15)의 검파된 파형을 마이콤(30)의 스트로브 펄스와 샘플링 펄스로 샘플링 시키는 샘플링부(20)와, 상기 샘플링부(20)의 샘플링 펄스 크기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5)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5)의 디지털 신호를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이 인가되는 트랙킹 테이터를 출력시키는 마이콤(30)과 상기 마이콤(30)의 트랙킹 테이터를 받아 덱크부(5)의 캡스턴 구동을 제어하는 서어보부(35)로 구성된 느린 화면 재생시 노이즈 제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콤(30)은 느린화면 재생시 서어보부(35)에 인가되는 트랙킹 테이터를 이동시키며 샘플링부(20)에 스트로부 펄스 및 샘플링 펄스를 인가시키게 구성되고 샘플링 테이터가 가장 크게 인가될 때의 트랙킹 테이터를 찾아 서어보부(35)에 인가시키게 구성된 느린 화면 재생시 노이즈 제거회로.
KR2019900020695U 1990-12-22 1990-12-22 느린 화면 재생시 노이즈 제거 회로 KR930006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695U KR930006495Y1 (ko) 1990-12-22 1990-12-22 느린 화면 재생시 노이즈 제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695U KR930006495Y1 (ko) 1990-12-22 1990-12-22 느린 화면 재생시 노이즈 제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337U KR920014337U (ko) 1992-07-27
KR930006495Y1 true KR930006495Y1 (ko) 1993-09-24

Family

ID=1930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695U KR930006495Y1 (ko) 1990-12-22 1990-12-22 느린 화면 재생시 노이즈 제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4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337U (ko) 199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5865A (en) Recording system
CA2006127C (en) Atf controller for digital audio tape recorder
KR0162215B1 (ko) 비정상 속력 재생시의 자동 트래킹 장치 및 그 방법
KR930006495Y1 (ko) 느린 화면 재생시 노이즈 제거 회로
JPH0614308Y2 (ja) 映像記録再生機の自動トラッキング装置
KR100276740B1 (ko)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cue 신호 검출회로
KR940004493B1 (ko) 브이티알의 2배속시 오토트랙킹장치 및 방법
KR920020475A (ko) 신호 레코더에서의 삽입 편집을 자동으로 적절하게 실행하는 2채널 방법 및 장치
KR970011125B1 (ko) 브이씨알의 트랙킹 신호 기록재생 방법 및 그 회로
KR920006746Y1 (ko) 영상재생기의 고음질 자동추적회로
KR910001211B1 (ko) Dat의 제어신호기록방법 및 그 장치
KR100209135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배속 재생시 오토 트랙킹방법
JPS6349974Y2 (ko)
JPH054137Y2 (ko)
KR970008607B1 (ko) 슬로우 트래킹 자동 조정방법 및 장치
KR100213676B1 (ko) 영상 녹화/재생기의 하이파이 선택 및 표시장치와 선택 및 표시방법
KR920020488A (ko) 신호 레코더에서의 삽입 편집을 자동으로 적절하게 실행하는 1채널 방법 및 장치
JPH036605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325339A (ja) オートトラッキング装置
JPH0214470A (ja)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
JPH0731876B2 (ja) ミュ−ト回路
KR19990024844A (ko) 영상기기의 클램프레벨 가변장치
JPS6326455B2 (ko)
JPH062604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自動トラツキング装置
JPH05155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