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185B1 - 피크·클립회로 - Google Patents

피크·클립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185B1
KR930006185B1 KR1019910007947A KR910007947A KR930006185B1 KR 930006185 B1 KR930006185 B1 KR 930006185B1 KR 1019910007947 A KR1019910007947 A KR 1019910007947A KR 910007947 A KR910007947 A KR 910007947A KR 930006185 B1 KR930006185 B1 KR 93000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ircuit
output
voltage
v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123A (ko
Inventor
히로야 이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2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0Mod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클ㆍ클립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회로도.
제2a도는 제1도의 회로에서의 각 2출력의 특성곡선도.
제2b도는 제1도의 회로에서의 출력차를 나타낸 특성곡선도.
제3도는 종래의 피클ㆍ클립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4a도는 제3도의 회로에서의 각 2출력의 특성곡선도.
제4b도는 제3도의 회로에서의 출력차를 나타낸 특성곡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1, I2, I3, I4 : 전류원 Q1, Q4, Q6, Q7 : NPN트랜지스터
Q2, Q3, Q4 : PNP트랜지스터 R1, R2 : 저항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특히 텔레비젼영상신호에서 진폭변조를 행하는 변조회로의 전단에 사용되는 피크ㆍ클립회로(peak clip 回路)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제3도는 종래의 피크ㆍ클립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PNP형의 차동쌍트랜지스터(Q11,Q12)에서의 Q11의 베이스에는 입력신호(Vin)가 인가되고, Q12의베이스에는 기준전압(Vref)으로부터 저항(R11)을 매개해서 설정되는 전위가 인가된다. Q12의 베이스는 접지전압(GND)에 접속된 정전류원(I11)에 의해 바이어스된다. 차동쌍트랜지스터(Q11,Q12)는 정전류원(I12)에 의해 바이어스되고, 이 차동쌍트랜지스터(Q11,Q12)의 양에미터로부터 정상출력(正相出力 ; Vout+)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기준전압(Vref)이 베이스에 인가되는 PNP트랜지스터(Q13)에서는 에미터가 정전류원(I13)을 매개해서 Vcc에 접속되고 콜렉터는 GND에 접속되며 에미터로부터 역상출력(逆相出力 ; Vout-)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의 동작은, 단순히 한쌍의 차동쌍트랜지스터(Q11,Q12)에서의 절환동작의 특성을 이용하고 있다.
즉, 제4a도는 특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된 바와 같이 설정된 Vref(Vout-)에 대해 저항(Rll)과 정전류원(I11)에 의해 결정되는 설정전압(RllㆍI11)을 뺀 클립레벨(Vref-RllㆍI11)로 Vout+가 클립되게 된다. 이 과정은 Vin의 증대에 따라 클립레벨에 가까워짐에 따라 서서히 Vout+변화가 둔화되어 클립레벨로 고정되게 되는 완만한 동작이다.
그 결과, Vout+와 Vout-의 출력차 (Vout+)-(Vout-)는 제4b도의 특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영역이 좁고, 비이상적인 변화영역(A)이 넓어지게 된다. 이 영역(A)에 영상신호가 걸치면 영상신호가 왜곡되는 원인으로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서는, 단순히 차동쌍트렌지스터에서의 절환동작특성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플립특성이 악화되어 클립점에 도달하기 전의 입력전압시부터 서서히 클립가 걸리기 시작하여 성형영역을 좁히개 되는 결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갈은 사정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클립점근방의 전압변화를 보다 샤프한 특성으로 하는 피크ㆍ클립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크ㆍ클립회로는, 제 1극성의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입력신호가 인가되며, 공통에미터가 정상출력으로 되는 차동회로와, 상기 차동회로의 기준전압으로서 입력기준전압에 대해 클립시의 출력잔류전압에 상당하는 오프셋 전압을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인가하는 제1전위차회로 및, 상기 차동회로의 플립시에 동작하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류에 비례하는 전위차를 이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정귀환으로서 인가하는 제2전위차회로를 구비하고서, 상기 제2전위차회로의 전위차변화가 역상출력으로 되어, 상기 정상출력과 역상출력의 차전압출력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류에 비례하는 전위차를 이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정귀환으로서 인가하는 제2전위차회로에 의해 차동회로의 절환을 촉진시킴과 더불어 역상출력의 전압을 낮추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에 따라, 차전압출력에서는 클립점의 완만한 변화가 보정되게 된다.
[실시예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피크ㆍ클립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여기서, 이 회로를 구성하는 NPN 및 PNP형 트렌지스터의 베이스ㆍ에미터간 전압(VBE)은 동일하다고 하고, 베이스전류는 무시한다.
NPN트랜지스터(Q1)은 베이스에는 입력신호(Vin)가 인가되고, 이 NPN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전원전압(Vcc)어 접속되며, 에미터는 정전류원(I4)을 매개해서 접지전압(GND)에 접속됨과 더불어 PNP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 PNP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GND에 접속되고 에미터는 PNP트렌지스터(Q3)의 에미터에 접속되어 있다. 트렌지스터(Q2,Q3)의 양에미터는 정전류원(I2)을 매개해서 Vcc에 접속됨과 더불어 정상출력(Vout+)의 출력단으로 되어 있다. PNP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는 NPN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및 콜렉터에 접속되고, NPN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는 GND어 접속되어 있다.
상기 PNP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정전류원(Il)을 매개해서 GND에 접속됨과 더불어 저항(Rl)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l)의 타단은 PNP트랜지스터 (Q5)의 베이스에 접속됨과 더불어 콜렉터가 Vcc에 접속된 NPN트렌지스터(Q6)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NPN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는 저항(R2)의 일단이 접속됨과 더불어 NPN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가 접속되며, NPN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는 상기 NPN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에미터는 GND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2)의 타단은 기준전압 (Vref)의 입력단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저항(Rl)의 타단에 베이스가 접속된 PNP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GND에 접속되고, 에미터는 정전류원(I3)을 매개해서 Vcc에 접속됨과 더불어 역상출력(Vout-)의 출력단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의 동작에 대해 제2a 및 b도의 특성곡선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출력치는 Vout+와 Vout-의 차전압 (Vout+)-(Vout-)로 된다. 비클립동작의 연장은 Vin=Vref일때, (Vout+)=(Vout-)로 되도륵 구성되어 있다. 클립레벨은 R1ㆍI1으로 설정되는 바, Vin이 (Vref-R1ㆍI1)보다 커질 때 클립가 발생하며, 출력치 (Vout+)-(Vout-)는 -R1ㆍI1만큼의 전압을 남겨 변화하지 않도륵 동작한다.
Vin〈(Vref-R1ㆍI1)일때, 차동회로(Q2,Q3)중 Q2의 베이스에는 Vin-VBE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Q2는 온상태이다. 이 때문에, Q4와 Q7으로 구성된 전류미러회로의 전원은 0이고, R2에는 전압이 발생하지 않게된다. 따라서, (Vout+)=Vin, (Vout-)=Vref로 되어 출력은 입력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Vin〉(Vref-R1ㆍI1)일때, Q2는 오프상태로 되고 Q3은 온상태로 되어 잔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Q4와 Q7로 흐르는 전류를 매개해서 R2에는 I2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클립동작이 일어나 (Vout+)=Vref-R2ㆍI2-R1ㆍI1로 되고, (Vout-)=Vref-R2ㆍI2로 되며, 출력은 (Vout+)-(Vout-)=-R1ㆍI1 으로 고정되게 된다.
또, Vin=Vref-R1ㆍI1 부근에서는 차동회로(Q2,Q3)의 절환동작영역으로 된다.
본 발명에서는 Q4와 Q7의 전류미러회로와 R2에 의해 차동회로의 기준전압입력측의 Q3의 베이스전압에 귀환이 걸리게 된다.
즉, Vin이 상승해서 Vref-R1ㆍI1 부근으로 되면, Q3가 온도기 시작하여 Q3의 콜렉터전류상당의 전류가 R2로 흐르게 된다. 그에 따라, Q6의 애미터전압이 하강하여 Q3의 베이스전압을 하강시키도록 작용하고, 차동회로(Q2,Q3)의 절환을 촉진시킴과 더불어 Q5의 베배이스전압을 하강시켜 Vout-도 하강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전압변화는 제2a도와 같이 되어 R2 및 I2를 적절한 값으로 선택하면, Vout+와 Vout-의 변화가 보정적으로 변화하여 제2b도와 같이 출력의 비이상적인 변화영역(A)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NPN트랜지스터(Q6)는 전압버퍼의 역할을 하고, NPN트랜지스터(Q1)는 Q6의 VBE를 보상하는 레밸시프트로서 작용하면, PNP트랜지스터(Q5)는 Q2 또는 Q3의 VBE를 보상하는 레렐시프트로서 작용하지만, 이것들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회로에 의하면, 제2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의 비이상적인 변화영역(A)이 작아져 선형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그 결과, 진폭이 큰 영상신호의 왜곡이 개선되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전압출력에서는 클립점의 완만한 변화가 보정되기 때문에, 클립점근방의 전압변화가 샤프한 특성을 갖는 피크ㆍ클립회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제1극성의 제1트랜지스터(Q2) 및 제2트렌지스터(Q3)로 구성되고, 제1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입력신호가 인가되며, 공통에미터가 정상출력으로 되는 차동회로와, 상기 차동회로의 기준전압으로서 입력기준전압에 대해 클립시의 출력 잔류전압에 상당하는 오프셋전압을 상기 제2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가는 제1전위차회로(R1,I1) 및, 상기 차동회로의 클립시에 동작하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잔류에 비례하는 전위차를 이 제2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에 정귀환으로서 인가하는 제2전위차회로(Q4,Q7,R2)를 구비하고서, 상기 제2전위차회로(Q4,Q7,R2)의 전위차변화가 역상출력으로 되어 상기 정상출력과 역상출력의 차전압출력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크ㆍ클립회로.
KR1019910007947A 1990-05-17 1991-05-16 피크·클립회로 KR930006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7468A JP2557552B2 (ja) 1990-05-17 1990-05-17 ピーククリップ回路
JP02-127468 1990-05-17
JP?2-127468 1990-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123A KR910021123A (ko) 1991-12-20
KR930006185B1 true KR930006185B1 (ko) 1993-07-08

Family

ID=1496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947A KR930006185B1 (ko) 1990-05-17 1991-05-16 피크·클립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57552B2 (ko)
KR (1) KR930006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8114A (ja) * 2006-02-03 2007-08-16 Disco Abrasive Syst Ltd 切削装置
KR100899259B1 (ko) * 2007-05-28 2009-05-26 리믹스포인트, 인코포레이션 드릴검사장치, 드릴검사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57552B2 (ja) 1996-11-27
KR910021123A (ko) 1991-12-20
JPH0422206A (ja) 199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1553A (en) Comparator with built-in hysteresis
US5543748A (en) Flip-flop circuit with resonant tunneling diode
KR920015740A (ko) 주파수 2배 및 믹싱 회로
KR900003484B1 (ko) 차동 증폭회로
US3509362A (en) Switching circuit
KR930006185B1 (ko) 피크·클립회로
JP2852972B2 (ja) 差動出力端を有するttlからecl/cmlへの変換回路
JPS5938773B2 (ja) レベルシフト回路
US5066876A (en) Circuit for converting ecl level signals to mos level signals
JP2511399Y2 (ja) コンパレ―タ回路
US4937478A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low-distortion signal switching
KR930007795B1 (ko) 저전압동작형 증폭회로
US5285121A (en) Current switching circuit
SU425305A1 (ru) Двухтактный эмиттерный повторитель
KR930006077Y1 (ko)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전압비교회로
JPS58154911A (ja) 利得制御増幅器
JPH06120784A (ja) ウインドウコンパレータ
KR100234956B1 (ko) 차동 증폭기
JP3092015B2 (ja) コンパレータ回路
KR900005303B1 (ko) 전원전압 추종형 바이아스회로
KR19980028169A (ko)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JPH04316203A (ja) 電圧電流変換回路
KR920007128Y1 (ko) 무감쇠 볼티지 플로어회로
JPH04127602A (ja) オペアンプの出力回路
JPH045178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