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734Y1 -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734Y1
KR930005734Y1 KR2019900017901U KR900017901U KR930005734Y1 KR 930005734 Y1 KR930005734 Y1 KR 930005734Y1 KR 2019900017901 U KR2019900017901 U KR 2019900017901U KR 900017901 U KR900017901 U KR 900017901U KR 930005734 Y1 KR930005734 Y1 KR 930005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ir
electric
outlet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660U (ko
Inventor
요시히사 이시다
히데야 이끼다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20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각 장치
제1도는 일부 절개 상태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증발기의 좌우 관판 주위 부분을 배후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각장치 2 : 개구
3 : 단열상자 4 : 저장실
5, 8 : 구획판 9 : 냉기통로
10 : 증발기 12 : 취출구
13 : 흡입구 K : 공간
32 : 제2의 취출구 43 : 좌우관판
45 : "U"형 밴드부 50 : 제1공기유로
60 : 제2공기유로
본 고안은 냉기 통로에 증발기를 배설한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유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통로 형성판에 의하여 형성된 풍로에 증발기를 배치하여 이루는 냉각장치로서 ① 실공 평1-42793호 공보 및 ② 실공소 57-48451호 공보가 있다.
전기 공보 ①에 있어서는 증발기는 상기 풍로를 가로지르는 아래 방향의 단부에 공기의 유통방향과 평행인 엔드플레이트를 가지고 있으며 그 엔드플레이트의 상기 풍로에 있어서의 하류측 단부에 차단판을 설치하며, 상기 풍로형성판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치단판과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의 축방향에 공기의 유통을 저지된 공기 정체부를 설치하며, 그 공기 정체부에 감은부를 설치한 냉각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한편 전기 공보 ②에 있어서는 배벽의 냉장실측의 양측에 전면으로 복수의 통공 및 선반지지용 랙 구멍을 뚫어 설치한 좌우양 통로와, 중앙에 전면으로 복수의 랙 구멍을 뚫어 설치한 중공 지주와를 세워 설치하여 냉장실 하부의 냉각실과 상부의 냉기 유통로와를 연통하며, 냉각실, 좌우양통로, 중공지주 및 냉기 유통로를 통하는 냉기류로 전면 개구를 폐쇄하는 동시에, 전기 양 통로 및 중공지주를 통하는 냉기류의 일부를 통공 및 랙구멍으로부터 전면 개구에 향하여 취출하여 냉각 실내에 부류한 쇼유케이스가 개시되고 있다.
전기 ①의 기술에 있어서는 풍로형상판과 엔드플레이트와 차단판과에 의하여 증발기의 축방향에 공기의 유통을 저지된 공기정체부를 설치한 것인 때문에 증발기의 서리제거방식으로서, 냉매유통을 정지시켜 송풍기의 운전을 계속시킨 공기 대류에 의한 서리제거방식 (소위 강제 오프 사이클 서리제거방식)을 채택한 경우 이 공기 정체부에는 공기 유통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 공기 정체부 내에 향하는 냉매관("U"형 밴드부) 부분의 양호한 서리제거가 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지 "U"형 밴드부에서 순환냉기의 냉각은 기대할 수 없으며 증발기 전체의 냉각능력의 유효 활용이 되어 있지 않다.
한편 전기 ②의 기술에 있어서는 냉각실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가 좌우 통로 및 중공지주의 구멍으로부터 냉장실 내부에 붙여나가지며 나머지의 공기는 냉기 유통로에서 냉장실 내에 붙여나가진다. 그러나 냉각실을 통과한 공기는 반드시 좌우통로 혹은 중공지주를 경유한 후, 냉기 유통로에 인도되는 것이며, 냉기 유통로의 이를 때까지의 열손실은 무시할 수 없으며, 취출구로부터 불여나가지는 냉기의 온도는, 증발기 통과후의 온도보다도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증발기의 서리제거를 행함에 있어 ①과 동일하게 "U"형 밴드부는 다른 부위에 비교하여 서리 제거 곤란하며 "U"형 밴드부에 서리나머지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증발기 전체의 냉각 능력을 유효하게 저장실의 냉각에 이용하는 동시에, 서리 제거때 "U"형 밴드부 부분에 서리가 남아있는 일이 없게 하도록 한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면에 개구를 가지는 단열상자와, 그 단열상자의 내부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구획판과에 의하여 형성된 냉기통로에 배설되는 증발기와 냉기 통로의 전단 상부에 형성되는 취출구와 냉기통로의 전단하부에 형성되는 취입구를 구비하며, 취출구로부터 취입구에 향하여 에어커어튼을 형성하여 이루는 냉각장치에 있어, 전기 증발기의 하부 전방에 위치하여 구획판에 형성한 제2의 취출구에서 저장실과 연통하는 공간과, 증발기의 좌우 간판 사이를 통과하여 취출구에 향하는 제1공기유로와, 이 제1공기유로에 상단이 연통하여 하부가 공간에 연통하여 좌우관판의 외측방향에 형성되는 제2공기유로와를 구비하며, 그 제2공기유로에 증발기의 냉매관의 "U"형 밴드부를 향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증발기의 좌우관판 사이 즉 증발기의 주 냉각부를 통과한 공기를, 취출구에 향하는 제1공기유로와, 좌우 간판의 측방향에 향하는 제2공기유로아로 분류시키고 있는 관계상, 제2공기유로에 인도된 공기는, 제2공기유로 내부에 향하는 "U"형 밴드부에서 열교환되어서 제2의 취출구로부터 저장실 하부에 붙여나가진다. 이 때문에 냉각 장치의 냉각운전 때에 있어 "U"형 밴드부가 냉각의 2차 냉각부재로서 작용하여 서리제거운전 때에 있어 제2공기유로가 "U"형 밴드부에의 공기유통을 도모하는 "U"형 밴드부의 서리제거촉진부재로서 작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은 냉각장치로서의 전면 개방형의 저온쇼유케이스이며 전면에 상품수납 및 꺼내는 용의 개구(2)를 가지는 단열상자(3)로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냉각장치(1)는 이 단열상자(3)의 내부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복수의 선반(4B)을 가진 저장실(4)을 형성하는 제1-제4구획판(5) 내지 (8)과에 의하여 형성된 냉각통로(9)에 배설되는 플레이트 횐형 증발기(10) 및 측흐름형의 증발기용 송풍장치(11)와, 냉기통로(9)의 전단상부에 설치되어 개구(2)의 상면에 따라서가는 취출구로서의 제1의 취출구(12)와 냉기통로(9)의 전단하에 설치되어 개구(2)의 하면에 따라서 가는 흡입구(13)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열상자(3)의 좌우 양측벽에는 투명판(14)이 배치되며 단열벽의 상부에는 형광등(15)이 배치되고 있다.
(21)은 단열상자(3)의 아래방향에 형성된 기계실이며 증발기(10)과 동시에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압축기(22), 플레이트 휜형 응축기(23).
축흐름형의 응축기용 송풍장치(24)가 설치되는 외에 증발접시, 전장상자(동시에 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되고 있다.
제1구획판(5)은 단열상자(3)의 상부벽(3A)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2구획판(6) 및 제3구획판(7)은 각각 단열상자(3)의 배후벽(3B)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4구획판(8)은 단열상자(3)의 저벽 3C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증발기(10)는 단열상자의 배후벽(3B)에 따라서가 배치되고 있으며, 제2구획판(6)으로서 거울부재를 사용하며, 이 거울부재와 증발기(10)와의 사이에는 발포 폴리에티렌시이트 등의 단열성을 가지는 완충재(31)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또 제3구획판(7)은 거울부재의 하단에 연속하여 배치되며 증발기(10)의 하부와 제3구획판(7)과의 사이에 공간(K)을 형성하는 동시에 복수의 제2의 취출구(32)를 형성하여 공간(K)과 저장실(4)의 하부와를 연통하고 있다.
플레이트 휜 형 증발기(10)는 구불구불 구부러지게 배관되는 냉매관(41)과, 이 냉매관(41)이 관통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병설하는 복수의 방열휜(42)과, 이 방열휜(42)의 축방향에 병설되는 좌우 양관판(43)과로부터 이루며 냉매관(41)은 좌우 양관판(43)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직선부(44)와, 좌우 양관판(43)에서 축방향에 돌출하여 "U"자 모양으로 구부러지며 2개의 직선부(44)를 연결하는 복수의 "U"형 밴드부(45)와로부터 이룬다.
또 이 증발기(10)의 전면은 증발기 커버(46)로 덮어지고 있다. 이 증발기(10) 및 증발기 커버(46)를 냉기통로(9)에 배치하는 것으로 좌우 양관된(43) 사이를 연통하여 제1의 취출구(12)에 향하는 제1공기유로(50)와 좌우양과판(43)의 외측방향에 각각 형성되어 상단이 제1공기유로(50)에 연통하며, 하부가 증발기커버(46)에 형성한 연통구(47)에 의하여 공간(K)과 연통하는 제2공기유로(60)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2공기유로(60)의 하단은 차폐판(61)에 의하여 증발기(10) 아래방향에 위치하는 냉기통로부와는 차폐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거하여 저온 쇼우 케이스(1)의 냉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발기용 송풍장치(11)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10)의 좌우 양관판사이 즉 증발기(10)의 주요 냉각부를 통과하는 것으로 냉각되어 제1공기유로(50)를 경유하며 취출구(12)로부터 저장실(4) 상부에 붙여나가지는 냉기 9(제1도 화살표 참조)와, 제2공기유로(60), 연통구(47)를 경유하여 공간(K)에 인도되는 제2의 취출구(32)로부터 저장실(4) 하부에 붙여나가지는 냉기(Q)(제1도 및 제3도의 한 점 쇄선 화살표 참조)와로 분류된다. 분류비율은, 제1공기유로의 횡폭, 취출구의 개구면적과 제2공기유로 2개분의 횡폭, 제2취출구의 개구면적과의 관계로 대략 정해지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P : Q=0 : 1-10 : 1로 되게 하고 있다.
냉기 P는 취출구(12)로부터 취입구(13)에 향하여 차가운 공기의 막 즉 에어커어튼을 형성하며 저장실(4)을 전면으로부터 냉각시킨다.
제2공기유로(60)에 분류된 공기는 저온 쇼유케이스(1)의 냉각운전때에 있어, 이 제2공기유로(60) 내부에 향하는 "U" 밴드부(45)에서 열교환되어서 더한층 냉각되기 때문에 제2의 취출구(32)에 이를 때까지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뿐인가, 역으로 2차적으로 네 냉각되는 것으로 제2공기유로(60)에 인되된 때보다도 저온의 공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증발기(10)의 냉해순환을 정지하며 증발기용 송풍장치(11)를 계속 운전시켜서 증발기(10)의 서리제거를 행하는 소위 강제순환식 오프 사이클 서리제거운전 때에 있어서는 "U"형 밴드부(45)가 위치하는 제2공기유로(60)에고 공기유통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이 "U"형 밴드부(45)의 서리 나머지를 없앨 수 있다.
또 증발기(10)의 좌우관판 사이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를, 증발기(10) 전방에 형성한 공간(K)을 경유하여 저장실(4)의 하부에 불어내는 구성이 아니며 좌우관판의 축방향에 형성한 제2공기유로(60)를 통하게 하고 있는 관계상, 쇼유케이스(1)의 깊숙한 칫수를 변경하는 일없이 냉기 통로에 있어서의 배면 부분의 깊숙한 칫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저장실 용적이 감소되는 일은 없다. 더구나 제2구획판(6) 부분을 거울 부재로 하는 것으로 실제의 저장실의 깊숙한 칫수보다 크게 보이는 것이 가능한 뿐인가 진열 상품의 전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증발기의 좌우 관판 사이를 통과한 공기를, 분류하는 형태로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와도 인도할 수 있는 관계상, 종래에 비교하여 취출구에 인도되는 공기의 열손실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제2공기유로 부분에 있어 간판 및 "U"형 밴드부로 2차적으로 열교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냉각장치의 냉각운전 때에 증발기로 저온으로 유지된 냉기의 일부가 제2공기유로를 통과하는 사이에도 관판 및 "U"형 밴드부에서 계속해서 냉각되며 증발기통과 직후의 온도를 유지한 때로 제2의 취출구로부터 저장실 하부에 불어내지며 에어커어트 만으로는 충분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없었던 저장실 하부를 충분하게 냉각시킬 수 있으며 서리제거 운전 때에 "U"형 밴드부에 잔유되는 서리를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

  1. 전면에 개구(2)를 가지는 단열상자(3)와 그 단열상자(3)의 내부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저장실(4)를 형성하는 구획판(5……8)과에 의하여 형성된 냉기통로(9)에 배설되는 증발기(10)와, 전기 냉기통로(9)의 전단 상부에 형성되는 취출구(12)와, 전기 냉기통로(9)의 전단 하부에 형성되는 취출구(12)와를 구비하며, 전기 취출구(12)로부터 취출구(12)에 향하여 에어커어튼을 형성하여 이루는 냉각장치에 있어, 전기 증발기(10)의 하부 전방에 위치하여 전기 구획판(5……8)에 형성한 제2의 취출구(32)에서 전기 저장실(4)과 연통하는 공간(K)과, 전기 증발기(10)의 좌우관판(43) 사이를 통과하여 전기 취출구(12)에 향하는 제1공기유로(50)와, 이 제1공기유로(50)에 상단이 연통하여 하부가 전기 공간(K)에 연통하여 전기 좌우관판(43)의 외측방향에 형성되는 제2공기유로(60)와를 구비하며, 그 제2공기유로(60)에 전기 증발기(10)의 냉매관의 "U"형 밴드부(45)를 향하게 하여 이루는 냉각장치.
KR2019900017901U 1990-05-25 1990-11-20 냉각 장치 KR93000573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36460 1990-05-25
JP2136460A JPH07101143B2 (ja) 1990-05-25 1990-05-25 冷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660U KR910020660U (ko) 1991-12-20
KR930005734Y1 true KR930005734Y1 (ko) 1993-08-27

Family

ID=1517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901U KR930005734Y1 (ko) 1990-05-25 1990-11-20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01143B2 (ko)
KR (1) KR9300057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22460B (zh) * 2015-09-22 2019-01-1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660U (ko) 1991-12-20
JPH0432681A (ja) 1992-02-04
JPH07101143B2 (ja) 199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26263B1 (en) Refrigerator having return air inlets formed in two side walls of refrigerator body
KR930005734Y1 (ko) 냉각 장치
KR20210001150A (ko)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20060207281A1 (en) Showcase
KR102572073B1 (ko)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4095164B2 (ja) 間接冷却式の冷蔵庫
US20050011222A1 (en) Absorption refrigerator with ice-maker
JPH10205966A (ja) 電気冷蔵庫
KR930005735Y1 (ko) 냉각 장치
JP2003106734A (ja) 冷蔵庫
JP3886195B2 (ja) 冷気循環式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H0771857A (ja) 冷蔵庫
JP2001082846A (ja) 保冷庫
JPH07294089A (ja) 冷蔵庫の着霜低減装置
JP2001116425A (ja) 冷蔵庫
KR930005615B1 (ko) 저온쇼케이스
KR100675439B1 (ko) 저온쇼케이스
KR20110089573A (ko) 리턴덕트를 구비하는 냉장고
KR0124661Y1 (ko) 냉장고의 냉각장치
JP2001165551A (ja) 冷蔵庫
JP3345187B2 (ja) 冷蔵庫
JPS6326715Y2 (ko)
CN108366680A (zh) 冷藏销售器具
KR20230101193A (ko) 저장고
KR950009345Y1 (ko) 냉장 쇼케이스의 냉기 순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