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575Y1 - 비계 설치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비계 설치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575Y1
KR930005575Y1 KR2019910012237U KR910012237U KR930005575Y1 KR 930005575 Y1 KR930005575 Y1 KR 930005575Y1 KR 2019910012237 U KR2019910012237 U KR 2019910012237U KR 910012237 U KR910012237 U KR 910012237U KR 930005575 Y1 KR930005575 Y1 KR 930005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acket
pipe
screw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2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963U (ko
Inventor
장무근
Original Assignee
삼일강업 주식회사
장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일강업 주식회사, 장무근 filed Critical 삼일강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2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575Y1/ko
Publication of KR930004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9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5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2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build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6Scaffold with cantilevered sections, e.g. to accommodate overhangs or recesses in the facad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6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계 설치용 지지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이전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이후 단면도.
제4도는 요부 분해 측면도.
제5도는 종래 지지구의 사시도.
본 고안은 건물을 신축하거나 증축 또는 개축할 때 건물 외벽과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비계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비계 설치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수평강관(20)에 띠 모양의 지지판넬(21)을 용접하며, 단관부(A)일측에 작동부(22)를 용착시킨 다음, 이에 압판(23)을 갖는 스크류(24)를 나사식으로 설치하여 이를 회전시켜 벽면 두께에 맞게끔 고정시켜 사용 하였었다.
즉, 단관부(A)를 벽면 상방에 걸친 다음, 스크류(24)를 조이게 되는바, 벽면과의 고정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는 세게 조여야 한다.
이는 단관부(A)가 원형인데다가 수평인 벽면에 얹쳐진 상태이므로 서로 맞닿아 접촉되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결국은 스크류(24)를 타이트하게 조일 수 밖에 없으며, 직접 조임 방식이므로 막중한 힘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때 스크류(24)를 무리하게 조이면 단관부(A)가 휘어지거나 작동부(22)가 휘어지는 폐단이 있다.
뿐만아니라, 한번 설치된 비계는 건물이 완공될때까지 설치되는바, 시간이 경과할수록 단관부(A)가 서서히 휘어져 회수하여 재사용할 때 스크류(24)와 단관부(A)의 수평이 맞지 않아 압판(23)의 일부분만이 벽면에 닿게 되어 그만큼 지지력이 떨어졌던 것이다.
또한, 관부(B)상에는 또다른 비계강관(도시생략)이 클램프(도시생략)로 연결되어 설치되므로 지지판넬(21)이 휘어지는 결함도 지적되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은 구조는 지지판넬(21) 및 작동부(22)가 띠모양의 판으로 형성되었고, 단관부(A)에 대한 견고성에 결여 되었으며, 스크류(24) 역시 직접조임 방식을 하고 있기 때문에 모두 휘어지기 쉬운 조건을 가지고 있어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지지판넬(1)에 수평강관(2) 및 버킴간(3)이 용착된 것에 있어서, 지지판넬(1) 상부에 호형단관(4)을 형성하여 수평강관(2)의 일측이 호형단관(4) 내벽에 용착되게 하며, 호형단관(4) 측벽에 통공(5')(5")을 갖는 브라켓트(5)를 용착시켜 걸림편(8)의 통공(8')을 상기한 통공(5')에 일치시켜 체결구(14)로 유설시키며, 걸림편(8)의 통공(8")을 손잡이(7)가 달린 작동구(6)의 통공(6')에 체결구(14')로 유설시킴과 동시에, 작동구(6)의 통공(6")와 작동판(9)의 통공(9')은 체결구(14")로 유설시키며, 작동판(9)의 통공(9")과 브라켓트(5)의 통공(5")에 체결구(14"')로 유설시키는 한편, 작동판(9) 하방에 너트(10)를 용착시켜 이에 스크류(11)를 나사식으로 설치하여 압판(12)에 용착된 브라켓트(13)의 통공(13')에 스크류(11)의 통공(11")을 체결구(14"")로 유설시켜서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는 비계용 세로파이프, 16은 비계는 가로파이프, 16은 클램프, 17은 동작파이프, 18은 벽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지지판넬(1)과 직각을 이루고 있는 호형단관(44)의 저면을 벽(18)상면에 걸쳐 놓는다. 이 저면은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이 자체만으로도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접촉면적을 넓게 보유하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호형단관(4)은 수평강관(2) 보다 훨씬 큰 호형상태를 보유함에 따라 휨 강도가 우수하다.
이와같이 벽(18)에 걸쳐 놓은 상태에서 스크류(11)를 회전시키면, 너트(1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11)의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압판(12)이 이동하는데, 스크류(11)의 통공(11')과 브라켓트(13)의 통공(13')에 체결구(14"")가 유설되어 있고, 브라켓트(13)는 압판(12)에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11)를 회전시켜 압판(12)이 벽(18)에 닿도록 한 다음, 작돋구(6)의 손잡이(7)를 브라켓트(5)쪽으로 밀게 되는데, 작동구(6)의 통공(6')과 걸림편(8)의 통공(8")에는 체결구(14')로 유설되어 있으며, 걸림편(8)은 다시 브라켓트(5)의 통공(5')에 체결구(14)로 유설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구(6)와 걸림편(8)은 통공(6')을 기점으로 하여 내측으로 접어짐과 동시에, 통공(5")과 통공(6')에 체결구(14")(14"')로 유설된 작동판(9)은 상기 동작에 따라 벽(18)쪽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너트(10)에 나차된 스크류(11)가 이동되면서 압판(12)이 벽(18)을 압박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작동구(6)와 걸림편(8)이 만나는 통공(6')(8")을 지점으로 하여 각각 내측으로 일단 접어지면 압판(12)과 벽(18)이 서로 미는 반발력이 발생됨과 아울러, 일단 접혀진 작동구(6)와 걸림편(8)은 이 반발력에 의하여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반대로, 손잡이(7)에 힘을 가해 당기면, 작동구(6)와 걸림편(8)이 통공(6')(8")을 지점으로 펴지면서 작동판(9)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압판(12)이 벽(18)에서 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 있어서 손잡이(7)를 당기는 동작은 손만의 힘으로는 벅차기 때문에 지렛대 역할을 하는 동작 파이프(17)을 끼워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지지판넬 상부에 호형단관을 형성하여 이 일측에 용착된 브라켓트에 걸림편과 작동구 및 작동판을 서로 유설시키고 작동판 하바의 너트에 압판을 갖는 스크류를 나착시켜서 걸림편, 작동구, 작동판의 꺽임각도를 이용하여 압판이 벽면을 압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의 비계를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지닌 고안이다.

Claims (1)

  1. 지지판넬(1)에 수평강관(2) 및 버팀간(3)이 용착된 것에 있어서, 지지판넬(1) 상부에 호형단관(4)을 형성하여 수평강관(2)의 일측이 호형단관(4) 내벽에 용착되게 하며, 호형단관(4) 측벽에 통공(5')(5")을 갖는 브라켓트(5)를 용착시켜 걸림편(8)의 통공(8')에 일치시켜 체결구(14)로 유설시키며, 걸림편(8)의 통공(8")을 손잡이(7)가 달린 작동구(6)의 통공(6')에 체결구(14')로 유설시킴과 동시에, 작동구(6)의 통공(6")와 작동판(9)의 통공(9')은 체결구(14")로 유설시키며, 작동판(9)의 통공(9")과 브라켓트(5)의 통공(5")에 체결구(14"')로 유설시키는 한편, 작동판(9) 하방에 너트(10)를 용착시켜 이에 스크류(11)를 나사식으로 설치하여 압판(12)에 용착된 브라켓트(13)의 통공(13')에 스크류(11)의 통공(11")을 체결구(14"")로 유설시켜서된 비계 설치용 지지구.
KR2019910012237U 1991-08-01 1991-08-01 비계 설치용 지지구 KR930005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237U KR930005575Y1 (ko) 1991-08-01 1991-08-01 비계 설치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237U KR930005575Y1 (ko) 1991-08-01 1991-08-01 비계 설치용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963U KR930004963U (ko) 1993-03-20
KR930005575Y1 true KR930005575Y1 (ko) 1993-08-23

Family

ID=1931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2237U KR930005575Y1 (ko) 1991-08-01 1991-08-01 비계 설치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5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963U (ko) 199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813772Y (zh) 用于固定脚手架工作踏板的固定装置
JPS6227285B2 (ko)
US5444951A (en) Bracket for supporting fence posts
US3729159A (en) Wall forming bracket
KR930005575Y1 (ko) 비계 설치용 지지구
JP2017206936A (ja) 単管パイプの取り付け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締付具
KR930005576Y1 (ko) 비계 설치용 지지구
JPH0849406A (ja) 建築用仮設材支持金具
JP3331500B2 (ja) スレート構造体の改修金具及びその改修構造
CN216108608U (zh) 预埋件固定组合装置
US4964747A (en) Concrete form bracket
CN215717124U (zh) 悬挑工字钢可拆卸式定位桩
JPS6220598Y2 (ko)
JP2975929B1 (ja) 足場パネル固定金具
KR0137976Y1 (ko) 버팀대 받침용 가설지지대
JPH0246601Y2 (ko)
JP3992836B2 (ja) 屋根リフォーム工法
JP3143789B2 (ja) 仮設建築用囲い装置
US7066440B2 (en) Waler bracket with attached wedge for concrete forms
JPH07247674A (ja) 足場揺れ止め金物
KR200187318Y1 (ko) 건물의 지붕패널 고정금구
JP2600766Y2 (ja) 手 摺
KR940008475Y1 (ko) 건축용 비계 설치구
JPH0748867Y2 (ja) 親綱支柱の固定装置
JPS5916440Y2 (ja) コンクリ−ト型枠用目違い防止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