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474Y1 - 전열기구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 - Google Patents

전열기구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474Y1
KR930005474Y1 KR2019910003496U KR910003496U KR930005474Y1 KR 930005474 Y1 KR930005474 Y1 KR 930005474Y1 KR 2019910003496 U KR2019910003496 U KR 2019910003496U KR 910003496 U KR910003496 U KR 910003496U KR 930005474 Y1 KR930005474 Y1 KR 930005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rocessor
terminal
comparator
sensing circuit
nomina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540U (ko
Inventor
마준호
Original Assignee
마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준호 filed Critical 마준호
Priority to KR2019910003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474Y1/ko
Publication of KR9200185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5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4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5Electrical circuits used in resisti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열기구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회로의 AC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에 대한 등가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기신호 보상회로부 2 : 공칭전압 감지회로부
3 : 제어회로부 4 : AC/DC 변환회로부
IC1 : 비교기 IC2 : 마이크로 프로세서
R1-R7 : 저항 C8 : 콘덴서
ZD : 제너 다이오드 VDD : +5V DC
본 고안은 전열기구의 정전력 공급장치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100V/220V)감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AC 상용 전원 주파수의 위상을 보상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상기 주파수에 정확하게 동기하여 동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로내의 선로 및 부품의 고장으로 인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전열기구의 정전력 공급 장치의 동기신호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보온밥솥등의 전열기구는 100V/220V의 AC 상용전원을 병용할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입력되는 AC 상용전원의 전압을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해 제어되게 함으로써 전열기구에 일정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는 그 자체 명령 사이클에 의한 지연이 발생하여 60Hz에 상승점을 정확하게 잡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100V/220V 자동절환방식에서 땜 불량 및 다른 선로 단선에 의하여 220V가 입력되었을 때 100V로 잘못 인식하고 이로 인하여 전열기구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열기구가 소손되거나 화재의 발생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원 주파수인 60Hz의 동기를 동기 신호보상회로로 정확하게 조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자체 명령 사이클에 의한 지연을 보상함으로써 60Hz 상승점을 정확하게 잡을 수 있음과 동시에 100V/220V와 60Hz 신호를 동시에 입력시키고 이 양자를 검출하여 제어신호에 사용함으로써 납땜불량 및 배선 단선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전열기구에 있어서 정전력 공급장치의 동기신호보상 및 100V/220V 감지회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100V/220V의 전원을 병용하는 전열기구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입력전원의 주파수의 위상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 사이클의 지연에 대응하여 보상하기 위한 저항과 콘덴서로 구성된 동기신호 보상회로부와, 비교기로 구성된 100V/220V 감지회로부와, 상기의 동기신호 보상회로부와 100V/220V 전압감지회로부의 신호를 받아 전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제어회로부로 구성되어 전열기구에 입력되는 전력을 감지하여 항상 안전하고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전열기구중 100V/220V의 공칭전압을 병용하는 전기보온밥솥에 본 고안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를 사용한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회로도이다.
1은 입력전원의 주파수를 저항과 콘덴서에 의하여 동기된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보내는 동기신호 보상 회로부이며, 2는 입력전원의 고저에 따라 각기 소정의 다른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보내는 100V/220V 전압감지회로이며, 3은 동기신호 보상회로부의 100V/220V 전압감지회로부의 신호를 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이고, 4은 AC/DC 전원변환 회로부이다.
그리고 상기 동기신호 보상회로부(1)은 AC전원에 접속된 저항(R7)을 거쳐 저항(R6)및 콘덴서(C8)가 병렬로 접속되게 구성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단자(2번핀)에 접속되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상기 100V/220V 전압감지회로부(2)는 비교기(IC1)의 (-)단자에 저항(R3, R4)이 분할되게 접속되어 +5V의 VDD전압을 인가하며, (+)단자에는 입력 AC 전압이 저항(R7, R1, R2)으로 분할되게 접속하여 비교기의 출력이 저항(R5)을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단자(6번핀)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제어회로부(3)는 동기신호 보상 회로부(1)로 부터의 신호와 100V/220V 전압 감지회로부(2)로 부터의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단자(2번핀, 6번핀)에 각각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의 (1), (2), (3)은 하이브리드 I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AC/DC 전원변환 회로부(4)는 AC 입력전원을 받아서 DC 설정전압(5V)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C 100V 60Hz 공칭전압이 인가되면(제1, 2도 참조) AC/DC 전원 변환회로부(4)를 거쳐 +5V(VDD)의 전압이 출력되어 비교기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여, AC 100V 60Hz 공칭전압으로부터 저항(R7)을 통하여 입력전압이 하강되어 콘덴서(C8)와 저항(R6)의 시정수에 의하여 진상의 위상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단자(2번핀)로 입력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3)에 내장되어 있는 두개의 다이오드를 거쳐 상용 주파수가 인가된다. 그러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이 상용 주파수의 상승점을 인식하여 다른 동작을 행한다.
비교기(IC1)의 (-)단자에는 +5V의 VDD전압을 저항(R3, R4)으로 일정한 기준전압을 걸고, (+)단자에는 입력된 AC 전압을 저항(R7, R1, R2)과 병렬회로(R6, ZD)로 분할하여 (+)단자의 전압치가 비교기(IC1)의 (-)단자 전압보다 낮게 걸리도록 하여, 비교기(IC1)의 출력에는 OV, 즉 로우전압이 걸려 제3도의 플로우챠트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단자(6번핀)는 100V로 인식하게 처리된다.
그리고 AC 220V 60Hz 입력신호가 인가되면(제1, 2도 참조) 상기의 AC 100V 인가시의 위상동기 동작을 동일하게 행함과 동시에 비교기(IC1)의 (+)단자에는 입력된 AC 전압을 저항(R7, R1, R2)과 병렬회로(R6, ZD)로 분할하여 (+)단자의 전압치가 비교기(IC1)의 (-)단자 전압보다 높게 걸리도록 설정되어 비교기(IC1)의 출력은 60Hz 주기로, 0V, 5V 즉 하이, 로우로 변화되는 출력을 제3도의 플로우챠트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단자(6번핀)는 220V로 인식하게 처리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상기의 AC 100V 및 220V를 감지처리할수가 있다.
만일 제1도의 D-E 구간이 단선일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단자(2번핀, 6번핀)에는 가해지는 신호가 없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이를 에러로 처리하게 된다.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AC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을 등가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100V/220V 입력전압은 저항(R7, R1, R2)에 의해 분할되고 저항(R6)과 제너다이오드(ZD)는 D점의 레벨을 안정화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여기서 제어 다이오드(ZD)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에 내장되어 있다.
한편 전체동작을 제3도의 플로우챠트로 설명한다. AC 100V/220V 전원이 인가되면 각 회로부에 VDD 전압이 인가됨과 동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전원단자에도 전압이 인가되므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초기화를 실행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내부 램(RAM)의 A, B는 모두 0으로 세팅되어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초기화 단계(SO1) 실행후에는 단계(SO2)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단자(2번핀)를 체크하여 상용 주파수가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100번의 서브루틴(SO3, SO4)을 행하여 에러(SO5)로 처리하며, 상용주파수가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 단계(SO6)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단자(6번핀)을 체크하여 비교기(IC1)의 출력이 60Hz 주기로 변하는가를 판단하여 예스(YES)이면 다음 단계(SO9)로 넘어가고, 노(NO)이면 100번의 서브루틴(SO7, SO8)을 행하여 다음 단계(S10)로 넘어간다. 마지막 단계(S11)는 RAM(C)가 로우 (C=0)인가를 판단하여 예스(YES)이면 AC 100V로 인식하여 노(NO)이면 AC 220V로 인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열기구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는 입력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저항(R6)과 콘덴서(C8)를 사용한 동기신호 보상회로부(1)로써 60Hz의 동기점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 이로 인하여 전원 주파수와 마이크로 프로세서(3)에서 인식하는 주파수를 일치시킬수 있으며 또한 입력전원 전압의 크기를 비교기(IC1)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3)를 사용하여 AC 100V/220V 전원과 60Hz 신호를 동시에 받아들이기 때문에 배선의 단선시 발생되는 동작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AC 100V/220V 자동 절환 방식에서 땜불량 및 다른 선로선단에 의해서 220V를 100V로 인식하는 오류를 사전에 감지하여 제품의 소손이나 화재발생이 우려를 없애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00V 또는 220V AC 공급전압에 관계없이 전열기구에 일정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열기구의 공급장치에 있어서, 입력전원에 연결된 저항(R7)을 거쳐 콘덴서(C8)와 저항(R6)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AC 입력 전원단자(2번핀)에 접속된 동기신호 보상회로부(1)와, AC 입력전원선에 저항(R7)을 통하여 비교기(IC1)의 (+)단자에는 저항(R1, R2)으로 분할되게 접속되고, 비교기(IC1)의 (-)단자에는 저항(R3, R4)으로 분할되어 +5V의 VDD단자에 연결되어 비교기(IC1) 출력에서 로우신호와 60Hz의 매 사이클마다 하이, 로우의 구형파 신호를 발생하는 공칭전압 감지회로부(2)와, 상기 동기신호 보상회로부(1)의 출력에 접속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하나의 입력단자(2번핀)와 상기 공칭전압 감지회로부(2)의 출력에 접속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의 다른 하나의 입력단자(6번핀)를 가지는 제어회로(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기구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
KR2019910003496U 1991-03-16 1991-03-16 전열기구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 KR930005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496U KR930005474Y1 (ko) 1991-03-16 1991-03-16 전열기구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496U KR930005474Y1 (ko) 1991-03-16 1991-03-16 전열기구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540U KR920018540U (ko) 1992-10-19
KR930005474Y1 true KR930005474Y1 (ko) 1993-08-20

Family

ID=1931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496U KR930005474Y1 (ko) 1991-03-16 1991-03-16 전열기구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4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525B1 (ko) * 1999-07-22 200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기록재생기의 로딩계 동력 분리 및 접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525B1 (ko) * 1999-07-22 200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기록재생기의 로딩계 동력 분리 및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540U (ko) 199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5202A (en) Inverter apparatus provided with electric discharge control circuit of dc smoothing capaci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4011758A1 (en) Protective circuit for electric device for avoiding electrical shock
KR900015672A (ko) 전기보온밥솥의 제어장치
WO2003059017A1 (en) Basic halogen convertor ic
KR930005474Y1 (ko) 전열기구의 동기보상 및 공칭전압 감지회로
US6310447B1 (en)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one fluorescent lamp, and electronic ballast therefor
KR900013907A (ko) 착유기의 제어장치
JP3249251B2 (ja) 負荷回路異常検出装置
JPH08185931A (ja) インターフェース接続装置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910007791Y1 (ko) 사출 성형기의 히터 단선검출 경보장치
KR200275678Y1 (ko) 110/220볼트겸용전기요.장판의온도조절기
KR940000707Y1 (ko) 전열기구의 히터제어장치의 감시회로
KR930003181Y1 (ko) 전열기구의 오동작 방지 보호 회로
KR930004800Y1 (ko)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소자 보호회로
KR870001583B1 (ko) 부하의 통 · 단전 제어장치
SU1257626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напр жен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JP3804103B2 (ja) ガス調理機器の制御装置
EP0429158A2 (en) Relay with control ciruit to minimize arcing
KR900006658Y1 (ko) 전열기구 온도 조절장치
JPH1183927A (ja) 断線警報器
KR960004838B1 (ko) 전자렌지의 고주파출력자동조절장치
JP2965381B2 (ja) 定電圧制御型電熱回路
EP0852106B1 (e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gas discharge lamps
KR910005507Y1 (ko) 전열기구의 정전력 공급회로
JP2921268B2 (ja) 遠隔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