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389B1 - 액체 도포구 - Google Patents

액체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389B1
KR930005389B1 KR1019910002296A KR910002296A KR930005389B1 KR 930005389 B1 KR930005389 B1 KR 930005389B1 KR 1019910002296 A KR1019910002296 A KR 1019910002296A KR 910002296 A KR910002296 A KR 910002296A KR 930005389 B1 KR930005389 B1 KR 930005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haft
head portion
shaft
liqu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339A (ko
Inventor
마사루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엔피쯔 가부시끼 가이샤
스우하라 에이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엔피쯔 가부시끼 가이샤, 스우하라 에이이찌로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엔피쯔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45D19/026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having brush or comb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13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dispensing by gravity or by sha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43K5/1818Mechanical feeding means, e.g. valves; Pumps
    • B43K5/1827Valves
    • B43K5/1836Valves automatically closing
    • B43K5/1863Valves automatically closing opened by actuation of the rear-side of the 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43K5/1818Mechanical feeding means, e.g. valves; Pumps
    • B43K5/1827Valves
    • B43K5/1836Valves automatically closing
    • B43K5/1863Valves automatically closing opened by actuation of the rear-side of the pen
    • B43K5/1872Valves automatically closing opened by actuation of the rear-side of the pen mounted on ink-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 도포구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도포구의 종단면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도포구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내축의 헤드가 통과구멍을 통과할 수 없도록 내축과 스토퍼가 걸어 맞춤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이 발명에 따른 도포구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내축의 헤드부가 통과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내축과 스토퍼가 걸어 맞춤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제4도의 선 D-D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내축칼라의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포구의 종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축 2 : 외축
3 : 브러시 4 : 밸브
8,9,22 : 홈 10 : 전방축
12 : 스폰지 14 : 안내파이프
19 : 스프링 슈우 20 : 패킹
23 : 테일 플러그 24 : 헤드부
27 : 통과구멍 28 : 제지벽
30 : 스토퍼 35 : 내축칼라
37 : 돌기
이 발명은 머리염료 등의 액체 도포시 사용하는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까지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머리염색기구가 잘 알려져 있었으며, 이 기구는 외축(2)과, 내부에 머리 염료를 수용하며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외축 내에 수납된 내축(1)과, 외축(2)의 전단에 고정된 브러시(3)와, 내축(1)과 브러시(3) 사이에 배치된 밸브(4)로 구성되어 있다. 내축(1)의 후방에 설치된 노킹부재(5)를 전방으로 밀어 움직이게 함으로써 외축(2)에 대하여 내축(1)이 전진하게 될 때, 밸브(4)는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머리 염료가 내축(1)에서 브러시(3)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체 도포구에 있어서는, 예컨대, 기구가 바닥에 떨어질 때 노킹부재(5)가 밀려 움직이게 되어 액체가 내축(1)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유출되지 않도록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단이 사용되어 왔다.
이 수단은 외축(2)의 후단에 삽입된 하나의 테일 플러그(6)의 내면에 제공된 돌기(7)와 축방향의 수직홈(8)과 돌기(7)를 수납하기 위하여 노킹부재(5)의 바깥 둘레에 제공된 원주방향의 축방향 홈(9)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구의 사용시에는 돌기(7)는 수직홈(8)에 위치하여 노킹부재(5)가 이동되고, 반면에 기구의 불사용시에는 돌기(7)는 축방향 홈(9)에 위치하여 노킹부재(5)가 회전되며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구에 있어서는, 예컨대, 기구가 바닥에 떨어질 때에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내축(1)은 자중을 가지고 있어 노킹부재(5)에 의하여 밀려 이동하지 않더라도 자중에 의한 관성력에 의하여 독자적으로 변위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액체 유출을 피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어떠한 수단에 의하여 상기의 전방으로의 내축(1)의 전진을 저지할 수 있다 하더라도, 내축의 치수편차에 기인하여 내축(1)이 약간 전방으로 이동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액체의 유출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노킹부재(5)의 바깥둘레에 수직 및 축방향 홈들(8, 9)을 형성시킴으로써 기구의 외관에도 좋지 않았으며, 설계 측면에 있어서도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발명은 기구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예컨대, 기구가 부주의로 바닥에 떨어질 때 내축(1)의 자중에 의한 관성력에 의하여 내축(1)이 전진하더라도 바람직하지 않은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내축(1)의 치수편차에 의하여 내축(1)이 약간 전진하더라도 액체의 유출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액체 도포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발명의 목적은 외축과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며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외축(2) 내에 수납된 내축과, 외축의 선단에 고정된 브러시와 같은 도포부재와 내축과 도포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외축(2)에 대하여 내축(1)이 전진할 때 개방되어 액체가 내축에서 도포부재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배치된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내축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며 단면형상이 비원형인 헤드부와, 내축이 밀려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원주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는 헤드부를 통과시키고 다른 위치에서는 헤드부가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통과구멍을 가진 제지벽과,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내축이 회전할 때 상기 헤드부가 상기 통과구멍을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밸브가 닫혀 있는 상기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내축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지벽의 후면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액체 도포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외축(2)은 그 선단이 나사 조임되어 전방축(1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 전방축(10)에는 브러시(3)가 이식되어 있는 페디스틀(Pedestal)(11)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페디스틀(11)의 중앙구멍에는 브러시(3)와 접촉하고 있는 스폰지(12)가 삽입되어 있고, 페디스틀(11)의 후방에는 스폰지 캐리어(13)를 통하여 액체 안내 파이프(14)가 고정되어 있으며, 전방축(10)의 선단 외측에는 콤(Comb)(15)이 끼워붙임 되어 있다.
외축(2)의 내부에는 액체 머리염료(도시 안됨)가 충전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내축(1)이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내축(1)의 선단 구멍에는 밸브(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밸브(4)는 밸브로드(16), 밸브 시이트(17), 밸브 스프링(18) 및 스프링 슈우(19)로 구성된다. 내축(1)의 선단 바깥둘레에는 내부에 패킹(20)을 고정시킨 덮개부재(21)가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덮개부재(21)의 중심구멍에는 액체를 개재하여 패킹(20)과 밀접하는 상태로 액체 안내파이프(14)의 후단이 삽입되며 액체 안내파이프(14)의 후단은 밸브 로드(16)의 선단과 접하고 있다. 내축(1)의 후단 바깥둘레에는 내축(1)상의 축방향 홈(22)들과 노킹부재(5)상의 돌기들이 걸어맞춤되어 노킹부재(5)를 회전시킴으로써 내축(1)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노킹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축(2)의 후단 구멍에는 내축(1)이 후방으로 미끄러져 빠지지 않도록 하는 테일 플러그(23)가 삽입 고정된다. 내축(1)의 선단에 설치된 덮개부재(21)의 후방에는 헤드부(24)가 설치되고, 이 헤드부(24)의 단면형상은 실체적으로는 타원형이며 양 측면은 편평한 형상이다. 헤드부(24)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축(1)과 일체적으로 회전되도록 내축(1)의 바깥 둘레상에 내축 칼라(35)가 설치 고정되는 배치를 갖는다. 내축 칼라(35)의 선단 양측에는 두개의 돌기(37)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돌기(37)는 높이가 약 1mm이며, 캠면(36)을 갖는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헤드부(24)의 각각의 곡면부(25)의 양단부에는 단턱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헤드부(24)는 내축(1)상에 설치된 내축칼라(35)와 함께 구성되어 있지만 헤드부(24)는 단지 내축에 의해서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30)가 외축(2)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30)의 내면에는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내축(1)의 헤드부(24)의 단면형상 보다 약간 큰 유사형상으로 형성된 통과구멍(27)을 가진 제지벽(28)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제지벽(28)의 가장자리 일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방향 리브(29)들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30)는 내축(1)이 밀려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지벽(28)이 내축(1)의 헤드부(24)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보다 상세히는 내축(1)이 밀려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4)가 닫혀있는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내축(1)의 헤드부(24)의 전면 위치는 제지벽(28)의 후면 위치와 거의 일치할 수 있다.
반면에, 제1도에서, 도면부호 31은 캡, 32은 내부캡, 33은 후방 링 그리고, 34는 데코레이션 링을 나타낸다.
작동시에는, 내축(1)의 해드부(24)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구멍(27)으로 진입하도록 노킹부재(5)가 내축(1)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되며, 노킹부재(5)가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는 경우에는 헤드부(24)는 통과구멍(27)을 통과하여 전진하고, 밸브 로드(16)는 그 자체 액체 안내파이프(14)와 접하고 있어 전진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밸브 시이트(17)에 대하여 후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밸브(4)가 개방되어 액체 머리염료가 내축(1)에서 배출되어 액체 안내파이프(14)와 스폰지(12)를 통과하여 브러시(3)로 공급된다. 단턱부(26)들과 리브(29)들은 상호 맞붙임될 때 헤드부(24)가 통과구멍(27)에 바로 수납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헤드부(24)가 통과구멍(27)의 후방에 위치하고 내축(1)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노킹부재(5)의 가압력은 해제되고 내축(1)은 밸브 스프링(18)의 복원력에 위하여 후퇴하게 되어, 제3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헤드부(24)는 통과구멍(27)에서 일탈되며, 따라서, 자중에 의한 관성력이 작용하더라도 제지벽(28)이 내축(1)의 전진을 저지하므로 내축(1)은 더 이상 전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구의 불사용시에도 내축(1)의 전진에 기인한 액체 머리염료의 바람직하지 않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3도와 같이 단턱부(26)들이 리브(29)들과 맞붙임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내축(1)이 회전할 때 내축(1)이 돌기(37)의 높이만큼 후퇴하도록 헤드부(24)의 전면에 형성된 경사 캠면(36)이 제지벽(28)의 후면에서 미끄럼 운동한다. 따라서, 기구의 불사용시 내축(1)은 밸브(4)가 닫혀 있는 필요한 소정의 위치로 더 후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액체 도포구는 내축(1)에 형성되며, 단면형상이 비원형인 헤드부(24)와, 내축이 밀려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헤드부(24)의 전방에 설치되며, 원주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는 헤드부(24)를 통과시키고 다른 위치에서는 헤드부(24)를 통과시키지 않는 통과구멍(27)을 가진 제지벽(28)을 구비하고 있어, 불사용시에도 자중에 기인한 관성력에 의하여 내축(1)의 전진이 제지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캠면(36)을 가진 돌기(37)가 헤드부(24)의 전면에 제공되어 불사용시 내축(1)이 밸브(4)가 닫혀있는 필요한 소정의 위치보다 더 이상의 후퇴위치를 후퇴할 수 없기 때문에 치수오차가 존재하더라도 밸브는 개방되지 않으며,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액체의 유출이 완전히 방지된다.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수직 및 축방향 홈들(8, 9)을 노킹부재(5)상에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구의 외관을 해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축(2)과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며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외축(2) 내에 수납된 내축(1)과, 외축(2)의 선단에 고정된 브러시와 같은 도포부재(3)와, 내축(1)과 도포부재(3) 사이에 배치되며 외축(2)에 대하여 내축(1)이 전진할 때 개방되어 액체가 내축(1)에서 도포부재(3)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배치된 밸브(4)를 구비하고 있는 액체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내축(1)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며 단면 형상이 비원형인 헤드부(24)와 ; 내축이 밀려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24)의 전방에 위치하며, 원주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는 헤드부(24)를 통과시키고, 다른 위치에서는 헤드부(24)가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통과구멍(27)을 가진 제지벽(28)과 ; 상기 헤드부(25)의 전면에 설치되며, 내축(1)이 회전할 때 상기 헤드부(24)가 상기 통과구멍(27)을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밸브(4)가 닫혀있는 상기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내축(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지벽(28)의 후면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돌기(37)와 ;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4)는, 상기 내축(1)상에 고정된 내축 칼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포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4)는, 단지 상기 내축(1)에 의해서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도포구.
KR1019910002296A 1990-02-10 1991-02-11 액체 도포구 KR930005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12523U JPH084883Y2 (ja) 1990-02-10 1990-02-10 液体塗布具
JP2-12523 1990-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339A KR910015339A (ko) 1991-09-30
KR930005389B1 true KR930005389B1 (ko) 1993-06-19

Family

ID=1180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296A KR930005389B1 (ko) 1990-02-10 1991-02-11 액체 도포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76461A (ko)
JP (1) JPH084883Y2 (ko)
KR (1) KR930005389B1 (ko)
CA (1) CA2035999A1 (ko)
DE (1) DE4103924A1 (ko)
FR (1) FR2658052A1 (ko)
GB (1) GB2241163A (ko)
IT (1) IT124471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764A2 (ko) * 2009-05-08 2010-11-11 Kim Myung Ja 용액도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6491B1 (fr) * 1992-01-24 1994-10-21 Oreal Dispositif de maquillage.
US5526676A (en) * 1994-02-11 1996-06-18 Radiometrics Corporation Profiling of selected atmospheric characteristics utilizing passive microwave remote sensing
GB9404172D0 (en) * 1994-03-04 1994-04-20 Whittle Mark A Liquid dispenser
US5851079A (en) * 1996-10-25 1998-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mplified undirectional twist-up dispensing device with incremental dosing
US5865554A (en) * 1997-07-21 1999-02-02 Lin; Pin-Huang Portable double-brush shoe polishing device
JP3081834B2 (ja) * 1998-03-20 2000-08-28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ES2258082T3 (es) * 2000-05-15 2006-08-16 Ashraf Mahfouz Abbas Instrumento aplicador de fluidos.
JP4726308B2 (ja) 2001-02-16 2011-07-20 三菱鉛筆株式会社 液状体塗布具
KR200363576Y1 (ko) * 2004-06-30 2004-10-13 (주)연우 샤프 타입 디스펜서 용기
KR100828417B1 (ko) * 2007-01-31 2008-05-08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파운데이션 용기
KR100849129B1 (ko) * 2007-07-09 2008-07-30 변영광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CN101896364B (zh) * 2007-12-12 2012-01-25 三菱铅笔株式会社 涂布器
KR100867684B1 (ko) * 2008-02-05 2008-11-10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회전 개폐수단을 갖는 퍼프 일체형 리퀴드 화장품 용기
US10532376B2 (en) * 2017-07-19 2020-01-14 Derik (JiangSu) Industrial Co., LTD Dispenser for storing and advancing a liqui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772A (en) * 1914-06-22 1915-05-11 Wayne Matthews Fountain-brush.
US2746073A (en) * 1952-09-26 1956-05-22 Rivet O Mfg Company Spring biased valve with lock
FR2585933B1 (fr) * 1985-08-09 1987-12-04 Oreal Distributeur de produit liquide, notamment de produit cosmetique tel que du vernis a ongles
JPS6395503U (ko) * 1986-12-09 1988-06-20
FR2612843B1 (fr) * 1987-03-24 1989-12-08 Mitsubishi Pencil Co Dispositif a soupape pour instrument d'ecriture ou de revetement avec un liquide
DE8717117U1 (ko) * 1987-12-31 1988-03-03 Katz, Otto, Dipl.-Ing., 8540 Schwabach, 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764A2 (ko) * 2009-05-08 2010-11-11 Kim Myung Ja 용액도포기
WO2010128764A3 (ko) * 2009-05-08 2011-03-10 Kim Myung Ja 용액도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03924A1 (de) 1991-08-14
KR910015339A (ko) 1991-09-30
US5176461A (en) 1993-01-05
IT1244716B (it) 1994-08-08
JPH03103005U (ko) 1991-10-25
JPH084883Y2 (ja) 1996-02-14
GB2241163A (en) 1991-08-28
ITMI910330A0 (it) 1991-02-08
ITMI910330A1 (it) 1992-08-08
CA2035999A1 (en) 1991-08-11
GB9102863D0 (en) 1991-03-27
FR2658052A1 (fr) 199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389B1 (ko) 액체 도포구
JPH055024Y2 (ko)
KR100339817B1 (ko) 회전식 봉상물 조출구
JPH084882Y2 (ja) 液体塗布具
US6102602A (en) Liquid container cap
US4115015A (en) Retractable pen with internal tip seating
US6244769B1 (en) Stick cosmetic container
JP7122369B2 (ja) 自動的に開閉するシールモジュール及びシールモジュールを用いた化粧品ケース
US3445171A (en) Lipstick container with self-contained closure
JP2000041733A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US3506368A (en) Container for lipstick and other cosmetics
KR920007195Y1 (ko) 액상체의 필기 또는 도포용기구에서의 밸브장치
JP3668523B2 (ja) キャップレス式筆記具
US6837638B1 (en) Capless holding device
KR102443543B1 (ko) 사물 출몰기구 및 그 밀봉구조
JPH0534596Y2 (ko)
KR102402977B1 (ko) 이중 트위스트 구조 및 이를 포함한 사물 출몰기구
US6513536B1 (en) Rotary holder
JP2528703Y2 (ja) 棒状化粧品繰出し容器
JP3308376B2 (ja) 繰出式筆記具
JPH055025Y2 (ko)
JP2531538Y2 (ja) 棒状化粧品繰出し容器
JPH0751174Y2 (ja) 流体吐出具
KR940001729Y1 (ko) 액체용기
JPS63294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