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114B1 - 오버로크재봉기의 봉환(縫環)봉입장치 - Google Patents

오버로크재봉기의 봉환(縫環)봉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114B1
KR930005114B1 KR1019880015001A KR880015001A KR930005114B1 KR 930005114 B1 KR930005114 B1 KR 930005114B1 KR 1019880015001 A KR1019880015001 A KR 1019880015001A KR 880015001 A KR880015001 A KR 880015001A KR 930005114 B1 KR930005114 B1 KR 930005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ling
sewing machine
fo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336A (ko
Inventor
사찌오 니시우라
Original Assignee
페가사스미신세이죠 가부시기가이샤
미마 다이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가사스미신세이죠 가부시기가이샤, 미마 다이도오 filed Critical 페가사스미신세이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0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버로크재봉기의 봉환(縫環)봉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오버로크 재봉기의 봉환 봉입장치의 실시예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2a도 내지 제2f도는 실시예 장치에 의한 봉환의 처리과정을 도시한 요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봉환 협지부의 확대사시도.
제4도는 협지부의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오버로크 재봉기에 부설되어 이 오버로크 재봉기에 의하여 천의 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솔기에 연결되어 만들어지는 봉환(縫環, chain stitch)을 재봉기측에 필요한 길이를 남기고 절단하는 동시에, 이 재봉기 측에 남아있는 봉환을 다음 포지의 솔기중에 봉입하도록한 오버로크 재봉기의 봉환 봉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버로크 재봉기에 부설되는 봉환 봉입장치로는 근래 일본 특개소 53-128443호 등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포지에 형성된 솔기에 연결되는 봉환을 바늘 낙하부보다 뒤쪽에서 흡인 튜브내로 흡입하여 이 흡인튜브의 구멍내에서 봉환을 재봉기측에서 절단하고, 이 재봉기측에 남아있는 봉환의 자유단을 풍압에 의하여 바늘낙하부 바로 앞쪽으로 이동시켜 이동된 봉환의 자유단을 봉환자유단 흡인부에 의하여 흡입한 다음, 크로스 플레이트의 작업면상에 배치된 봉환협지부를 작동시켜 봉환의 자유단을 협지한 후 이것으로 재봉기에 남아있는 봉환을 바늘판 상면에 유지하여 이 봉환을 다음 포지의 솔기중에 봉입하는 것으로 특별한 해지작업을 하지 않고도 봉합개시부에서 솔기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 장치에서는, 봉환협지부 또는 봉환의 자유단 흡인부를 작업면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실고리 협지부가 천을 이송하는데 방해가 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것이었다.
또 봉환협지부에서의 봉환에 대한 협지력이 강한 장치에서는 다음 포지의 솔기중에 이 협지된 봉환을 봉입할 때에 포지의 단부가 봉환에 당겨져서 하측으로 주름이 잡히는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 장치에서는 포지의 솔기에 봉입되는 봉환의 길이가 흡입튜브의 개방부내에 설치한 절단기로 절단되는 곳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제품에 의해 봉입되는 봉환의 길이를 변하고저 할 경우에 이에 대응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지의 삽입이나 포지 이송에 하등의 지장을 주지않는 동시에, 봉환의 봉입을 따라서 포지의 단부에 주름이 생기지 않고 또한 포지의 솔기에 봉입하는 봉환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오버로크재봉기의 봉환봉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버로크 재봉기의 봉환 봉입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이 바늘낙하부의 바로 앞쪽의 재봉기작업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또한 흡입구멍에서 이동된 봉환의 자유단이 삽입가능한 삽입구를 작업면상에 개방하도록 구동이 가능한 제1협지판과, 평상시에는 제1협지판과 밀착되며 이 제1협지판이 구동되어 삽입구가 개방되었을 때 제1협지판과 대향하여 이 삽입구의 구멍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삽입구가 개방되어있는 상태에서 제1협지판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한 제2협지판과, 상기 삽입구에 공기에 의하여 봉환의 자유단을 삽입시키는 봉환 삽입수단과, 제2협지판의 평상시에 제1협지판과의 밀착면이 제2협지판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하는 범위와 봉환의 재봉기측과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영역에서 고정칼이 교차하는 절단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버로크재봉기의 봉환봉입장치는 바늘낙하부 바로 앞쪽으로 이동되어온 봉환의 자유단을 제1협지판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개방된 삽입구에 공기로 삽입한 다음 제1협지판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개방된 삽입구에 공기로 삽입한 다음 제1협지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삽입구를 폐쇄하는 것에 의하여 이 제1협지판과 제2협지판 사이에 협지한다. 또 봉환을 협지한 후 다음 포지를 삽입하였을 때 이 포지의 선단이 바늘낙하부를 통과후 몇바늘 봉제한 다음 제1협지판을 구동하여 삽입구를 개방하고 소정시간 경과후 제2협지판을 제1협지판과 접근한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하면 제2협지판으로 밀어보내진 실고리가 절단기가 교차하여 포지에 형성하는 솔기에 봉입되는 봉환을 소정길이를 남기고 절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2f도에 있어서, 부호 1은 오버로크 재봉기의 크로스플레이트이며, 이 크로스플레이트(1)의 작업면(1a)에는 재봉 바늘에 대응하는 곳에 바늘판(2)이 끼워져 있다. 이 바늘판(2)은 볼트(3)에 의하여 재봉기 본체(M)에 부착된 브라케트(171)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면은 작업면(1a)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바늘판(2)에는 작업면(1a)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바늘낙하부(4)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바늘낙하부(4)와 인접하는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뒤쪽(도면에서 화살표 B방향)으로 뻗은 설편(舌片)(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a도 내지 제2f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부호 X는 바늘낙하부(4)를 통과하는 포지이송방향과 일치하는 오버로크미싱의 봉제축이다.
상기 봉제축(X)에 대하여 설편(5)측으로 또한 바늘낙하부(4)보다도 바로앞쪽(제2a도 내지 제2f도의 화살표 A방향) 작업면(1a)에는 봉제축(X)과 평행한 한변이 개방변으로된 요입부(6)가 형성 설치되어 있으며, 이 요입부(6)에는 상면이 작업면(1a)과 동일평면상으로서 작업면(1a)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협지판(7)이 끼워져 있다.
협지판(7)은 요입부(6)의 저변과 앞쪽 한변을 따라 평면에서 보아 L자형으로 형성된 제2협지판(72)과 이 제2협지판(72)의 L자형 코너에 끼워지는 제1협지판(71)으로 되며, 이들 제1협지판(71)과 제2협지판(72)은 평상시에는 봉제축(X)과 평행한 변에서 밀착하고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협지판(71)에는 크로스플레이트(1)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재봉기 바로 앞쪽으로 뻗는 암부(7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암부(71a)의 선단에 볼트 관통구멍(7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협지판(72)에는 제1협지판(71)에 일체로 형성된 암부(71a)의 더욱 아래쪽을 통과하여 미싱 앞쪽측으로 뻗어 이 암부 71a와 접촉하는 암부 7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암부 72a의 선단에 볼트 관통구멍(72a)이 형성 설치되어 있다. 또 앞에 설명한 재봉기 본체(M)에 부착된 브라케트(171)에는 일단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볼트관통구멍(172a)이 형성설치된 보조 브라케트(172)가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협지판(71)과 제2협지판(72)의 암부(71a)(72a)는 보조브라케트(172)에 각각 볼트관통구멍(71b)(72b) 및 보조브라케트(172)의 볼트관통구멍(172a)을 관통하는 볼트(17)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에 의해 제1협지판(71)과 제2협지판(72)이 작업면(1a)에서 회동할 수 있게 되어있다. 부호 18은 볼트(17)에 체결되어 제1 및 제2협지판(71), (72)과 보조브라케트 (172) 를 겹합하는 너트이다. 또 부호 118은 볼트(17)에 감겨진 비틀림스프링이며, 이 비틀림스프링(118)의 일단은 제2협지판(72)과 일체인 암부(72a)와 접촉하는 제2협지판(72)을 바늘판(2)에 밀착하는 측으로 부세(付勢)하고 있다.
제1협지판(71)은 크로스플레이트(1)아래 쪽에 배치한 제1에어실린더(20)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한다.
즉, 제1협지판(71)에는 그 하면에 원주형상의 조작용 스터드(Stud)(71c)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조작용 스터드(71c)에 브라케트(171) 및 제2협지판(72)을 봉제축(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브라케트(171)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드(21)의 일단에 설치된 결합부재(22)가 결합되어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부호 72C는 제2협지판(72)에 형성 설치된 로드(21)의 관통용 요입부이다. 결합부재(22)는 앞쪽이 개방된 ㄷ자 형성을 한것으로서 이 개방부에는 조작용 스터드(71c)를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협지하고 있다. 이 로드(21)의 브라케트(17)에서의 돌출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에는 스프링 받침(23)이 끼워져 있다. 또한 이 스프링받침(23)과 브라케트(171) 사이에는 압축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압축스프링(24)의 부세력에 의하여 로드(21)에 결합된 제1협지판(71)은 제2협지판(72)과 밀착하는 방향(도면에서 화살표 C방향)으로 부세되어있다.
상기 제1에어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0a)에는, 이 피스톤로드(20a)가 후퇴하고 있을 때 제1협지판(71)이 제2협지판(72)에 밀착된 상태에서 로드(21)의 선단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로드압착부재(25)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에어실린더(20)는 피스톤로드(20a)를 연신(延神)시키는 것에 의해서 로드압착부재(25)가 로드(21)를 압축스프링(24)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압착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협지판(71)은 제1에어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0a)를 연신시키는 것에 의하여 볼트(17)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2협지판(72)의 L자형 코너에서 이탈할 수 있으며, 이것으로 제2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로스플레이트(1) 위에 제2협지판(72)을 개방부 가장자리의 일부로 하는 삽입구(H)가 형성된다.
즉, 제1에어실린더(20), 로드(21), 결합부재(22), 스프링받침(23), 압축스프링(24) 로드압착부재(25)에 의해 제1협지판(71)을 구동하는 제1구동기구(19)가 구성되어 있다.
제2협지판(72)는 크로스플레이트(1)내의 하부에 장착된 제2에어실린더(27)를 구동원으로하여 구동된다.
이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2협지판(72)에 일체로 형성된 암부(72a)에는 제2에어시린더(27)의 작동을 전달하는 요동암(28)의 선단부가 접촉하고 있다. 이 요동암(28)은 L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코너부(28a)가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코너부로 부터 세워지는 한번의 위쪽 선단부(28d)가 앞에 설명한 제3도에도 도시한 바와같이 암부(72a)에 접촉하고 있다. 또 이 요동암(28)의 코너부(28a)에서 횡방향으로 뻗는 한변의 선단에는 제2에어실린더(27)의 상하방향으로 전퇴하는 피스톤로드(27a)와 접촉로드받침(28b)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에어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27a)가 연신하여 로드받침(28b)을 위쪽으로 밀어올리면, 요동암(28)은 코너부(28a)를 중심으로하여 요동하고, 암부(72a)에 접촉된 선단부(28d)가 비틀림스프링(118)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암부(72a)를 압착한다. 이와같이하여 암부(72a)가 압착되면 이 암부(72a)와 일체로 형성된 제2협지판(72)이 요입부(6)에서 탈출하는 방향으로 볼트(17)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제2에어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27a)를 후퇴시키면 요동암(28)의 선단부(28d)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므로, 암부(72a)는 비틀림스프링(118)에 부세된 제2협지판(72)이 바늘판(2)과 봉제축(X) 위에서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동한다.
이상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에어실린더(27) 및 요동암(28)은 제2협지판(72)을 구동하는 구동기구(26)를 구성하고 있다.
부호 8a는 바늘판(2)과의 사이에 피가공품인 포지를 잡아주는 압축구이며, 이 압착구(8a)는 뒤쪽에서 재봉기 본체(M)에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압착대(8b)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압착대(8b)는 에어실린더(8c)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요동되며, 압착구(8a)를 천의 압착위치와 압착해제위치 사이에서 하로 이동시킨다.
또 설편(5)의 뒤쪽에는 제2a도 내지 제2f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봉제축(X)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 봉제축(X)과 평행한 천가이드(9)가 작업면(1a)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이 천가이드(9)의 안내면의 뒷면에는 봉환절단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봉환절단부(10)에는 공기흡입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동시에 천가이드(9)의 뒷면을 내벽의 일부로한 흡인통로(11)를 설치하여 흡인통로(11)의 흡입구멍(11a)을 바늘판(2)의 후단부 근처에서 천가이드(9)에 뚫어서 형성하고 또 흡인통로(11)에는 그 통로도중에 흡입구멍(11a)측으로 공기를 보내는 가느다란 직경의 송풍파이프(13)가 접속되어있으며, 또한 이 흡입구멍(11a)에는 제1절단기(1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제1절단기(12)는 흡입구멍(11a)의 하면에 칼날을 고정시킨 고정칼(12a)과 흡인통로(11)의 상면에서 이 흡인통로(11)내에 삽입되는 가동칼(12b)로 구성되며, 이 가동칼(12b)은 재봉기의 주축을 따라 구동하는 부재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으로, 그 칼날이 고정칼(12a)의 칼날과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칼(12b)의 구동은 반드시 재봉기의 구동에 따라 구동하지 않아도 좋으며 예를들면, 포지의 끝단이 바늘낙하부(4)를 통과한 후 바늘운동회수를 카운트하여 이 바늘운동회수가 설정한 수에 도달한 시점에서 재봉기를 정지시킨 다음, 솔레노이드등에 의하여 구동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혹은 작업자가 봉환이 필요한 길이로 만들어진 것을 확인하고 발판조작등에 의하여 구동시키도록 하여도 괜찮다.
상기 흡입구멍(11a)의 비스듬한 앞쪽으로 작업면(1a)에 관통된 긴구멍(14)에서 돌출하는 송풍파이프(15)의 노즐(15a)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노즐(15a)에는 작업면(1a)위를 따라서 협지판(7)측으로 공기를 분찰하도록 옆으로 긴 공기 분출구(15aa)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6은 선단에 공기분출구인 노즐(16a)을 구비한 송풍파이프이며, 이 송풍파이프(16)은 제1협지판(71)이 구동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구(H)측으로 공기를 분출시키도록 재봉기 본체(M)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설편(5)과 협지판(7)사이에는 각각 봉제축(X)과 평행한 칼날을 가진 고정칼(30a)과 가동칼(30b)로 이루어진 제2절단기(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절단기(30)는 제2협지판(72)의 평상시에 제1협지판(71)과의 밀착면(72d)이 제2구동기구(26)에 의하여 이 제2협지판(72)이 구동될 때에 이동하는 범위와 봉환의 제봉기측과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가동칼(30b)은 재봉기의 구동에 따라 왕복운동 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칼(30a)과 교차하고 있다.
또한 부호 31은 포지의 유무를 검지하는 천검지센서이다. 다음에 봉환 봉입장치의 작동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봉환절단부(10)에 있어서, 포지의 끝단에 연결된 봉환을 이 포지로부터 절단하여 분리한다. 즉, 재봉기구동시에는 흡인통로(11)에 접속된 공기흡인원이 작동상태로 되어 제2a도에 화살표 E1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공기가 흡인되고 있으며, 따라서 포지의 솔기에 연결되어 만들어지는 봉환도 자동적으로 흡인구멍(11a)내로 흡입된다. 따라서 제2a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포지(N)의 끝단을 흡입구멍(11a)의 뒤쪽으로 이동시켜 봉환(ch)을 제1절단기(12)와 교차시키면, 이 봉환(ch)은 재봉기에 약 일정길이를 남기고 포지(N)로 부터 절단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봉환(ch)의 절단한 후 재봉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동시에 재봉기의 발판(도시하지 않음)을 반복하여 밟아서 압착구(8a)를 상승시킨다.
다음 흡인통로(11)에 접속된 공기흡인원의 작동을 정지하고 송풍파이프(13)를 통해 공기를 보낸다. 이 송풍파이프(13)를 통해 보내진 공기는 제2b도에 화살표E2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흡입구멍(11a)측으로 보내지며, 이것에 의해 이 흡입구멍(11a)내에 흡입되어진 재봉기측에 남아있던 봉환은 제2b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흡입구멍(11a)의 비스듬한 앞쪽에 있는 공기분출구(15aa) 앞으로 밀려 나간다. 그리고 송풍파이프(13)를 통해 공기를 보내는 것이 정지된 후, 송풍파이프(15)의 노즐(15a)로부터 공기를 분출시키는 동시에 제1에어실린더(20)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20a)를 연신시키며 또한 송풍파이프(16)의 노즐(16a)에서도 공기를 분출시킨다.
따라서 봉환(ch)의 자유단이 노즐(15a)의 공기분출구(15aa)에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협지판(7)측으로 이동하고, 한편, 이와 동시에 피스톤로드(20a)의 연신에 따라서 제1협지판(71)이 볼트(17)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바늘낙하부 바로 앞쪽에 삽입구(H)를 개방한다. 그리고 다시 노즐(16a)에서 아래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봉환(ch)의 자유단은 제2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삽입구(H)로 들어가는 것이다.
이와같이하여 봉환(ch)이 삽입구(H)로 들어가면, 이어서 제1협지판(71)의 구동을 정지하고 피스톤로드(20a)를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삽입구(H)가 폐쇄되며 이리하여 제1협지판(71)과 제2협지판(72) 사이에 봉환(ch)이 끼워진다. 또한 노즐(16a)로부터의 공기분출시간을 제1에어실린더(20)의 구동시간 보다도 길게하는 것에 의해 피스톤로드(20a)가 후퇴하기 시작하여 삽입구(H)가 폐쇄되기까지의 시간에도 노즐(16a)에서 공기를 분출하여 제2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봉환(ch)을 느슨하지 않은 상태로 끼우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보다 확실하게 봉환(ch)을 느슨하지 않은 상태로 끼울수 있도록 삽입구(H) 아래에 개방부를 갖는 흡인파이프를 배치하여 송풍파이프(16)와 병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2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봉환(ch)을 끼운 다음 압착구(8a)를 바늘판(2) 위의 천압착위치로 하강시킨다.
다음, 재봉기의 압착구(8a)를 상승시키는 발판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압착구(8a)를 압착해 제위치로 상승시켜 포지(도시하지 않음)를 소정위치에 삽입한 다음 압착구(8a)를 하강시켜 이 압착구(8a)와 바늘판(2) 사이에 포지를 끼우고 이 상태로 재봉기를 구동시켜 포지의 단 가장자리에 솔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천검지센서(31)로 천의 유무를 검지하고, 그 신호에 따라 압착구(8a)의 승강을 에어실린더(8c)를 개재하여 제어할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포지의 단 가장자리에 솔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포지의 선단이 바늘 낙하부(4)에 도달하여 몇바늘 진행한 시점에서 다시 제1에어실린더(20)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20a)를 연신시킨다. 즉, 포지의 선단부에 솔기가 형성되며, 봉환(ch)의 자유단이 이 솔기중에 봉입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제2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협지판(71)을 삽입부 구멍쪽으로 이동시켜 봉환(ch)에 대한 협지상태를 해제한다. 이와같이 하여 협지상태가 해제되면 봉환(ch)은 포지의 선단부를 당기지않고 솔기중에 봉입되어지며 포지의 단부가 주름이 잡이지않는다. 또한 천의 끝단이 바늘낙하부(4)에 도달하여 봉환(ch)의 협지상태를 해제할 때까지의 바늘운동회수는 포지의 재질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되며, 심이 강한 포지에서는 비교적 많은 침수로 봉제하여도 좋으나 레스지와 같은 심이 약한 포지에서는 1바늘에서 2바늘로 그칠 필요가 있다.
한편, 솔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재봉기를 구동시키고 나서 소정시간후에 제1협지판(71)을 삽입구(H) 개방위치로 유지시킨채로 제2에어실린더(27)를 구동시켜 이 제2에어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27a)를 연신시킨다. 이 피스톤로드(27a)는 요동암(28)의 로드받침(28b)을 위쪽으로 압착하고, 이 압착에 의해 요동암(28)은 코너부(28a)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 요동에 의하여 요동암(28)의 위쪽 선단부(28d)는 제2협지판(72)에 일체로 형성된 암부(72a)를, 제2협지판(72)을 바늘판(2)과 밀착하는 쪽으롤 부세하고 있는 비틀림스프링(118)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압착한다. 그러므로 제2협지판(72)은 삽입구 개방위치에 있는 제1협지판(71)에 접근하는 쪽으로 보울트(17)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이에 따라서 제1협지판(71)과의 밀착면(72d)에 의하여 봉환(ch)을 제1협지판(71)측으로 밀어낸다.
그리고 이와같이 하여 봉환(ch)을 밀어낸 제2협지판(72)은 제2f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삽입구 개방위치에 있는 제1협지판(71)에 밀착되기까지 혹은 제1협지판(71)과 밀착한 다음 다시 제1협지판(71)을 압착하면서 회동하는 것으로 봉환(ch)은 제2절단기(30)와 교차하여 고정칼(30a)과 가동칼(30b)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가동칼(30b)은 재봉기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므로 봉환(ch)은 포지의 솔기중에 봉입되는 부분을 남기고 절단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하게되는 바와같이 포지의 솔기중에 봉입되는 봉환의 길이는 제2협지판(72)을 구동시키는 시기에 따라 변화한다. 즉, 재봉기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포지의 단 가장자리에 솔기가 형성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제2에어실린더(27)를 작동시키기까지 소정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포지에 봉입되는 봉환의 길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오버로크재봉기 봉환봉입장치는, 제1협지판(71)과 제2협지판(72)의 상면이 작업면과 동일평면상으로 이 작업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협지판의 재봉기 바로 앞쪽에서 바늘판 위로 삽입되는 포지를 방해하는 일은 없다.
또 제1협지판이 일단 바늘낙하부 바로 앞에서 협지한 봉환을 솔기형성을 하기 위하여 포지의 선단이 바늘낙하부를 통과한 후 몇바늘 봉제한 다음 해제하도록 작동하기 때문에 포지의 선단이 봉환에 당겨져서 주름잡히는 일이없다.
또한 다음 포지의 솔기중에 봉입되는 봉환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할 수 있으므로, 제2협지판(72)의 구동시기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솔기중에 봉입되는 봉환의 길이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며 예를들면, 실시예에서는 제1협지판(71)과 제2협지판(72)을 볼트(17)를 중심으로하여 회동시키도록 구동하고 있으나,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동시켜도 좋다. 또 제1협지판(71)이 구동되는 것에 의하여 개방된 삽입구에 봉환을 삽입시키는 수단도, 실시예와 같이 위쪽에서 불어넣는 것이 아니고 아래쪽에서 흡인하거나 혹은 위쪽에서 불어넣고 또한 아래쪽에서도 흡인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버로크 재봉기의 봉환 봉입장치에 따르면, 제1 및 제2협지판이 미싱 바로 앞쪽에서 바늘판 위로 삽입되는 포지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포지가 곧바로 삽입 이송되지 않아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는 향상된 효과를 발휘한다.
또 제1협지판을 포지의 선단이 바늘낙하부를 통과하여 몇바늘 진행한 시점에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봉환의 협지상태를 해제하도록 하였으므로, 포지의 선단이 봉환에 당겨져서 주름이 잡히는 일은 없다. 또한 이와같이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기때문에 이 포지의 선단에서 실이 뭉치는 상태와 같은 일도 발생하지 않는다. 즉, 봉환을 봉입하기 때문에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협지판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다음 포지의 솔기에 봉입되는 봉환의 길이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마무리 후에 솔기로부터 빠져나온 봉환을 절단하는 수고도 생략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제품의 품질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

  1. 포지의 단 가장자리에 형성한 솔기에 연결되어 만들어진 봉환(ch)을 바늘낙하부(4)보다 뒤쪽에 설치된 흡입구멍(11a)을 통해 흡입하여 이 흡입구멍(11a)내에서 절단하고, 재봉기측에 남아있는 봉환(ch)의 자유단을 바늘낙하부(4) 바로 앞쪽으로 이동시켜 이 이동된 봉환(ch)을 바늘낙하부(4) 바로 앞쪽에서 협지하고, 이 협지된 봉환(ch)을 다음 포지에 형성되는 솔기중에 봉입하도록한 오버로크 재봉기의 봉환 봉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늘낙하부(4) 바로 앞측의 재봉기 작업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또한 흡입구멍(11a)에서 이동되어온 봉환(ch)의 자유단이 삽입가능한 삽입구(H)를 작업면(1a)상에 개방하도록 구동가능한 제1협지판(71)과 평상시에는 제1협지판(71)과 밀착하며, 또한 이 제1협지판(71)이 구동되어 삽입구(H)가 개방되었을 때 제1협지판(71)과 대향하여 이 삽입구(H)의 개방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삽입구(H)가 개방되어있는 상태에서 제1협지판(7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도가능한 제2협지판(72)과, 상기 삽입구(H)에 공기에 의하여 실고리(ch)의 자유단을 삽입시키는 봉환 삽입수단과, 제2협지판(72)의 평상시에 제1협지판(71)과의 밀착면(72d)이 제2협지판(72)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하는 범위와 봉환(ch)의 재봉기측과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영역에 있어서 고정칼(30a)과 가동칼(30b)이 교차하는 절단기(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로크재봉기의 봉환봉입장치.
KR1019880015001A 1987-12-28 1988-11-15 오버로크재봉기의 봉환(縫環)봉입장치 KR930005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35236A JPH01171598A (ja) 1987-12-28 1987-12-28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空環縫い込み装置
JP335236 1987-12-28
JP87-335236 198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336A KR890010336A (ko) 1989-08-08
KR930005114B1 true KR930005114B1 (ko) 1993-06-15

Family

ID=1828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001A KR930005114B1 (ko) 1987-12-28 1988-11-15 오버로크재봉기의 봉환(縫環)봉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171598A (ko)
KR (1) KR930005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8803A (zh) * 2022-08-09 2022-12-02 深圳市憬锋机电有限公司 缝纫机的修线头机构及缝纫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71598A (ja) 1989-07-06
JPH0528160B2 (ko) 1993-04-23
KR890010336A (ko) 198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244A (en) Thread processing machine having a thread changing device
EP0322783B1 (en) Chaining thread sew-in device
US44534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nd tacking stitches
JP3372613B2 (ja) 環縫いミシンの空環縫込み装置
KR930005114B1 (ko) 오버로크재봉기의 봉환(縫環)봉입장치
US4796552A (en) Latch tacker
KR930005913Y1 (ko) 오버로크 재봉기
US4607583A (en) Cutting device in a sewing machine for cutting at least one thread chain or a sewn-on tape
US4763590A (en) Residual thread chain back tacking device for overlock stitch machines
US5203270A (en) Sewing machine with latch back device
KR930005113B1 (ko) 오버로크 재봉기의 봉환(縫環)봉입장치
US48299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d holding a thread chain
JPH03168178A (ja) テープ付け空環縫込み装置
US4825785A (en) Latch tacker
US4834009A (en) Sleeve backtack
JPS6029183A (ja) 縁かがり縫いミシンに用いる空環縫い込み装置
JPH0572240B2 (ko)
JPH0418554Y2 (ko)
US4785753A (en) Latch tacker
JP5218935B2 (ja) ミシンの空環縫い込み方法及び空環縫い込み装置
GB2199854A (en) Sewing machine
JPS63272395A (ja) オ−バ−ロックミシンの空環縫い込み装置
JPH02213385A (ja) ミシンの糸切装置
JPS63272394A (ja) オ−バ−ロックミシンの空環縫い込み装置
JPH0658877U (ja) テープ縫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